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여흥부대부인

색인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50 처지: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민겸호, 민승호, 민진원, 민치구, 민유중, 민영찬, 민영환, 병인박해, 부대부인, 김경란 (배우), 김창숙 (1949년),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황실, 대원군 (드라마), 남정철, 남종삼, 남연군, 닥터 진, 흥인군, 흥친왕, 흥선대원군, 흥원, 이덕희 (배우), 이문용 (1882년), 이경실, 이관용 (황족), 이우용, 이재선, 이준용 (1870년), 이진완, 이옥 (1773년), 이해익 (1849년), 이하전, 이시학, 의친왕, 조선왕릉, 진안군 (왕족), 찬란한 여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여흥 민씨, 삼대민취,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한제국 건국사, 완창군, 완성군.

명성황후

쪽.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겸호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진원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치구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유중 · 더보기 »

민영찬

민영찬(閔泳瓚, 1874년 12월 3일 ~ 1948년 11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영찬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민영환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병인박해 · 더보기 »

부대부인

부대부인(府大夫人)은 조선 시대 외명부 봉작의 하나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부대부인 · 더보기 »

김경란 (배우)

경란(金敬蘭, 본명은 김근성(金根誠), 1940년 2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연기자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김경란 (배우) · 더보기 »

김창숙 (1949년)

창숙(金昌淑, 1949년 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여성 배우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김창숙 (1949년)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대한제국의 황실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남정철

정철(南廷哲, 1840년 ~ 1916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남정철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남종삼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남연군 · 더보기 »

닥터 진

《닥터 진》은 MBC에서 방영되었던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닥터 진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원

흥원(興園)은 대한제국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년 ~ 1898년)과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 1898년)의 묘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흥원 · 더보기 »

이덕희 (배우)

이덕희(李德姬, 1960년 1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덕희 (배우)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경실

이경실(李敬實, 1966년 2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겸 MC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경실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관용 (황족) · 더보기 »

이우용

이우용(李禹鎔, 1827년 - ?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헌종조와 철종조에 왕위에 물망올랐던 경원군 이하전(李夏銓)의 서형(庶兄)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우용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진완 · 더보기 »

이옥 (1773년)

이옥(李𪸛, 1773년 ~ 1820년 음력 2월 11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종친으로 고종의 어머니이자 흥선대원군의 처 여흥대원비 민씨의 외조부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옥 (1773년) · 더보기 »

이해익 (1849년)

이해익(李海益, 1849년 ~ 189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해익 (1849년)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하전 · 더보기 »

이시학

이시학(李時學, 1794년 - 1852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으로 도정궁 사손 완창군 이시인(完昌君 李時仁)의 친형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이시학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의친왕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진안군 (왕족)

안군 이언식(晋安君 李彦植, 1752년 ~ 18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진안군 (왕족)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1872년 11월 20일(음력 10월 20일) ~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는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정후(正后)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순명효황후 · 더보기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순정효황후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삼대민취

삼대민취(三代民娶)는 고려, 조선 시대에 귀족, 양반 사대부가 같은 귀족, 양반 사대부 가문의 딸과 결혼하지 못하고, 양인, 평민의 딸과 결혼, 아내로 취하는 것을 말. 3대가 되도록 같은 양반 사대부가문에서 신부를 얻지 못하고, 평민의 딸을 취할 경우 양반으로 대접해주지 않았.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삼대민취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완창군

완창군 이시인(完昌君 李時仁, 1805년 5월 2일 ~ 1843년 3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완창군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여흥부대부인와 완성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부대부인 민씨, 순목대원비, 순목대원왕비, 순목대원왕후, 순목왕후, 순목왕후 민씨, 순목후, 여흥부 대부인 민씨, 여흥부대부인 민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