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연산군묘

색인 연산군묘

연산군묘(燕山君墓)는 조선 제10대 연산군(1495∼1506 재위)과 거창군부인 신씨(居昌郡 夫人愼氏)(1476 ∼ 1537)의 무덤이.

10 처지: 도봉구, 방학천, 대한민국의 사적 (제301호 ~ 제400호), 폐비 신씨, 조선 연산군,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왕릉, 조선왕릉관리소 중부지구관리소, 충정공 목서흠 묘역.

도봉구

봉구(道峰區)는 서울특별시의 북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도봉구 · 더보기 »

방학천

방학천(放鶴川)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도봉산에서 발원하여 중랑천으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으로, 복개내(福開-) 또는 중천(中川) 등으로도 불. 창동, 쌍문동, 방학동의 행정 경계를 만들었으며, 상류 부근에 연산군묘 등이 있. 군데군데가 복개되어 있.

새로운!!: 연산군묘와 방학천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301호 ~ 제4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폐비 신씨

비 신씨(廢妃 愼氏, 1476년 12월 15일(음력 11월 29일)~1537년 5월 16일(음력 4월 8일)) 는 조선 연산군(燕山君)의 왕비(王妃)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폐비 신씨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연산군묘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연산군묘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릉관리소 중부지구관리소

조선왕릉관리소 중부지구관리소(朝鮮王陵管理所 中部地區管理所)는 조선왕릉관리소의 사무를 분장하는 소속기관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조선왕릉관리소 중부지구관리소 · 더보기 »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충정공 목서흠 묘역(忠貞公 睦叙欽 墓域)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인조 때 한성부 좌우윤을 지냈으며 백성을 위해 교화를 베풀고 청렴했던 목서흠의 묘역이.

새로운!!: 연산군묘와 충정공 목서흠 묘역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서울 연산군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