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연안군

색인 연안군

연안군(延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 있는 군이.

54 처지: 라진포천, 명국환, 명승 (1355년), 배천군, 배천선, 개성·문산 전투, 박서양 (1885년), 경빈 이씨, 고려 충숙왕, 봉천군, 북위 38도, 부군면 통폐합, 김영섭 (목회자), 군면리 대폐합, 남연백군, 편덕렬, 편강렬, 이명직 (문신), 이봉운, 이은찬 (1878년), 이십삼부, 인 (성씨), 인천광역시, 절강 편씨, 정진 (136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청단군, 천 (성씨), 천태역, 초제, 윤영렬, 오몽을, 오현역, 최의, 연백군, 연안 (동음이의), 연안 명씨, 연안 김씨, 연안 단씨, 연안 이씨, 연안 인씨, 연안 전투, 연안 차씨, 연안 유씨, 연안 송씨, 연안역, 풍천역, 서촉 명씨, 한국의 호수 목록, 한산주, ..., 신증동국여지승람, 십삼도, 황해도, 황해남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라진포천

(羅津浦川)은 황해남도 배천군과 연안군 일대의 용각산에서 발원해서 황해로 흘러드는 하천이.

새로운!!: 연안군와 라진포천 · 더보기 »

명국환

명국환(1933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남성 원로 트로트 음악 가수이.

새로운!!: 연안군와 명국환 · 더보기 »

명승 (1355년)

명승(明昇, 1355년 ∼ 1393년 4월 6일(음력 2월 25일))은 명하(明夏)의 황제 명옥진(明玉珍)의 아들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황위를 이었다가 나라가 망하자 고려에 귀화한 귀화인이.

새로운!!: 연안군와 명승 (1355년) · 더보기 »

배천군

배천군(白川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동남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연안군와 배천군 · 더보기 »

배천선

배천선은 황해남도 해주시의 장방역을 기점으로 배천군에 있는 은빛역까지 잇는 철도노선이.

새로운!!: 연안군와 배천선 · 더보기 »

개성·문산 전투

성, 문산 전투(開城汶山戰鬪)는 한국 전쟁 발발일(1950년 6월 25일) 청단(靑丹), 연백(延白), 개성, 고랑포(高浪浦) 일대에서 한국군 제1사단이 제203전차연대로 증강된 북한군 제1사단 및 제6사단과 맞서 싸운 방어전투이.

새로운!!: 연안군와 개성·문산 전투 · 더보기 »

박서양 (1885년)

박서양, 1908년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연안군와 박서양 (1885년) · 더보기 »

경빈 이씨

경빈 이씨(慶嬪 李氏, 1541년 ~ 1595년 음력 6월)는 조선 명종의 후궁이.

새로운!!: 연안군와 경빈 이씨 · 더보기 »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새로운!!: 연안군와 고려 충숙왕 · 더보기 »

봉천군

봉천군(峯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의 동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연안군와 봉천군 · 더보기 »

북위 38도

북위 38도(北緯三十八度)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38도를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연안군와 북위 38도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연안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김영섭 (목회자)

영섭(金永燮, 일본식 이름: 金光永燮 가네미쓰 나가미쓰, 1888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연안군와 김영섭 (목회자) · 더보기 »

군면리 대폐합

면리 대폐합(郡面里 大廢合)은 1952년 12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반부 지역에 있어서의 행정 체계 중 면을 폐지함에 관하여》라는 정령에 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이.

새로운!!: 연안군와 군면리 대폐합 · 더보기 »

남연백군

연백군(南延白郡)은 38선 이남의 연백군을 한국 전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하자 신해방지구의 연백군(경기도 연백군)을 38선 이북의 연백군(황해도 연백군)과 구분하여 황해도에 설치한 행정구역이.

새로운!!: 연안군와 남연백군 · 더보기 »

편덕렬

덕렬(片德烈, 1897년 1월 29일 ~ 1976년 12월 12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열에서 독립 운동을 했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연안군와 편덕렬 · 더보기 »

편강렬

의성단원들의 무죄 석방 보도, 구속된 의성단장 형의 강제 퇴거명령에 경찰에 협박장을 보낸 의성단, 독립운동 3단체의 통합 편강렬(片康烈, 1892년 ~ 1928년)은 한국의 항일운동가이.

새로운!!: 연안군와 편강렬 · 더보기 »

이명직 (문신)

이명직(李命稙, 1865년 1월 11일~1915년 9월 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이.

새로운!!: 연안군와 이명직 (문신) · 더보기 »

이봉운

이봉운(李鳳蕓, ? ~ ?)은 조선 말기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연안군와 이봉운 · 더보기 »

이은찬 (1878년)

이은찬(문숙공, 李殷瓚, 1878년 ~ 1909년)은 13도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진공작전을 기획한 대한제국의 의병장이며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연안군와 이은찬 (1878년)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연안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인 (성씨)

인(印)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인 (성씨)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연안군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절강 편씨

절강 편씨(浙江 片氏)는 중국 절강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절강 편씨 · 더보기 »

정진 (1361년)

정진(鄭津, 1361년 ~ 1427년)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으로 시호는 희절공(僖節公)이며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아들이.

새로운!!: 연안군와 정진 (1361년)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새로운!!: 연안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청단군

청단군(靑丹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남도에 속하는 군이.

새로운!!: 연안군와 청단군 · 더보기 »

천 (성씨)

(天, 千)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천 (성씨) · 더보기 »

천태역

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에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서 운영하는 배천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연안군와 천태역 · 더보기 »

초제

제(醮祭)는 고려 시대에 제신(諸神)에게 지내던 제사이.

새로운!!: 연안군와 초제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연안군와 윤영렬 · 더보기 »

오몽을

오몽을(吳蒙乙, ? ~ 139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연안군와 오몽을 · 더보기 »

오현역

오현역(梧峴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 봉서면에 있는 철도역이.

새로운!!: 연안군와 오현역 · 더보기 »

최의

의(崔竩, 1233년 ~ 1258년)는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겸 정치가이자 최항(崔沆)의 서자(庶子)이.

새로운!!: 연안군와 최의 · 더보기 »

연백군

연백군(延白郡)은 1952년까지 황해도에 있던 군(郡)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백군 · 더보기 »

연안 (동음이의)

연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동음이의) · 더보기 »

연안 명씨

연안 명씨(延安 明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명씨 · 더보기 »

연안 김씨

연안 김씨(延安 金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김씨 · 더보기 »

연안 단씨

연안 단씨(延安 段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단씨 · 더보기 »

연안 이씨

연안 이씨(延安 李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이씨 · 더보기 »

연안 인씨

연안 인씨(延安 印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인씨 · 더보기 »

연안 전투

연안 전투(延安戰鬪)는 1592년 8월 28일부터 9월 2일까지 연안에서 황해도 초토사 이정암과 구로다 나가마사의 3군이 싸워 왜군을 물리친 전투를 말. 본래 이조참의였던 이정암은 임진왜란 발발 후 선조가 몽진을 떠나자 따라가려 했으나 낙오되어 체직되었.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전투 · 더보기 »

연안 차씨

연안 차씨(延安 車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차씨 · 더보기 »

연안 유씨

연안 유씨(延安 劉氏)는 황해남도 연안군을 관향으로 삼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유씨 · 더보기 »

연안 송씨

연안 송씨(延安宋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 송씨 · 더보기 »

연안역

연안역(延安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舊 황해도 연백군 연안읍 산양리(山陽里))에 있는 배천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연안군와 연안역 · 더보기 »

풍천역

풍천역(豊川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연안군 풍천리에 있는 배천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연안군와 풍천역 · 더보기 »

서촉 명씨

서촉 명씨(西蜀 明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안군와 서촉 명씨 · 더보기 »

한국의 호수 목록

음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호수 목록이.

새로운!!: 연안군와 한국의 호수 목록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연안군와 한산주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연안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연안군와 십삼도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연안군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해남도

황해남도(黃海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연안군와 황해남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석포, 청룡 반도, 연안도호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