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37 처지: C* 대수, CW 복합체, 랴푸노프 안정성, 끝 (위상수학), 덮개 (위상수학), 라돈 측도, 로비어 공간, 루진의 정리, 르베그 덮개 차원,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리 대응, 리 군, 리만 곡면, 리만 사상 정리, 리스의 보조정리, 린델뢰프 공간, 매끄러운 다양체, 매끄러운 사상, 매끄러운 함수, 마틴 공리, 모나드 (범주론), 모형 범주, 몫공간, 무게 (표현론), 무어 공간, 무한원점, 미분, 배럴 공간, 갈루아 군, 갈루아 이론, 바나흐 공간, 바나흐 대수, 강하향 반사슬, 강압 쌍선형 형식, 가가 정리, 가군층, 가우스 합성, 가쿠타니 사상, 가역원, 거리 공간, 베르 공간, 베르 집합, 격자 (순서론), 결정 집합, 경계다양체, 범프 함수, 고유 사상, 고유 함수, 곱위상, 보렐 부분군,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7 더) »
C* 대수
수해석학에서, C* 대수(시스타 대수)는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서로 호환되게 갖춘 수학 구조이.
보다 열린집합와 C* 대수
CW 복합체
호모토피 이론에서, CW 복합체(CW復合體)는 일련의 세포(細胞)들을 이어붙여 구성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CW 복합체
랴푸노프 안정성
동역학계 이론에서, 랴푸노프 안정성(Ляпунов安定性)은 동역학계의 평형점이 가질 수 있는 안정성 성질 가운데 하나이.
끝 (위상수학)
일반위상수학에서, 끝()은 대략 어떤 위상 공간의 "경계"의 "연결 성분"을 뜻. 구체적으로, 점점 더 큰 콤팩트 집합을 잘라냈을 때 남는 연결 성분들의 사영 극한이.
덮개 (위상수학)
수학에서, 덮개()는 합집합이 전체 집합인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이.
라돈 측도
측도론에서, 라돈 측도(Radon測度)는 위상 공간의 구조와 특별히 잘 호환되는, 보렐 시그마 대수 위에 정의되는 측도이.
보다 열린집합와 라돈 측도
로비어 공간
학에서, 로비어 공간(Lawvere空間) 또는 일반화 거리 공간(一般化距離空間) 또는 반거리 공간(半距離空間) 또는 확장 준 유사 거리 공간(擴張準類似距離空間,, 약자 ∞qp-거리 공간)은 거리 공간 및 유사 거리 공간 및 확장 유사 거리 공간의 개념의 일반화이.
보다 열린집합와 로비어 공간
루진의 정리
석학에서, 루진의 정리(Лузин의定理)는 가측 함수가 거의 어디서나 연속 함수라는 정리.
보다 열린집합와 루진의 정리
르베그 덮개 차원
르베그 덮개 차원(-次元, Lebesgue covering dimension) 또는 르베그 피복 차원(-被覆 次元)은 위상수학에서 위상 공간에 적당한 위상적 불변량으로서의 차원을 주는 한 방법이.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수적 위상수학에서,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Люстерник-Шнирельман範疇)는 위상 공간의 자연수 값 호모토피 불변량이.
리 대응
리 군론에서, 리 대응(Lie對應)은 리 군의 범주에서 실수 리 대수의 범주로 가는 표준적인 함자이.
보다 열린집합와 리 대응
리 군
리 군(Lie群)은 매끄러운 다양체인 위상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리 군
리만 곡면
복소해석학에서, 리만 곡면(Riemann曲面)은 1차원 복소다양체이.
보다 열린집합와 리만 곡면
리만 사상 정리
복소해석학에서 리만 사상 정리(Riemann寫像定理)는 복소평면의 구멍이 없는 두 부분집합은 항상 쌍정칙 함수를 통해 동형이라는 정리.
리스의 보조정리
리스의 보조정리(Riesz' lemma, -補助定理)는 헝가리 수학자 리스 프리제시의 이름이 붙은 함수해석학의 보조정리이.
린델뢰프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린델뢰프 공간(Lindelöf空間)은 콤팩트 공간의 유한 부분 열린 덮개 조건을 가산 개의 부분 덮개 조건으로 약화시킨 조건을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이.
매끄러운 다양체
미분기하학에서, 매끄러운 다양체() 또는 미분 가능 다양체(微分可能多樣體)는 미적분학을 전개할 수 있는 구조가 주어진 다양체이.
매끄러운 사상
수기하학에서, 매끄러운 스킴()은 국소적으로 아핀 공간과 같이 보이는 체 위의 스킴이며, 매끄러운 사상(-寫像)은 각 올이 매끄러운 스킴을 이루는 스킴 사상이.
매끄러운 함수
석학에서, 매끄러운 함수()는 무한 번 미분이 가능한 함수이.
마틴 공리
집합론에서, 마틴 공리(Martin公理,, 약자 \mathsf)는 실수 집합의 크기보다 더 작은 집합들은 가산 집합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는 명제.
보다 열린집합와 마틴 공리
모나드 (범주론)
범주론에서, 모나드()는 내부 함자 범주의 모노이드 대상이.
모형 범주
호모토피 이론에서, 모형 범주(模型範疇)는 호모토피 이론을 전개할 수 있기에 충분한 구조가 갖추어져 있는 추상적인 범주이.
보다 열린집합와 모형 범주
몫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몫공간(-空間)은 어떤 위상 공간의 몫집합 위에 표준적으로 존재하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몫공간
무게 (표현론)
리 대수 이론에서, 무게()는 리 대수의 표현을 분류하는 일련의 수들이.
무어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무어 공간(Moore空間)은 거리화 가능 공간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무어 공간
무한원점
무한원점(無限遠點, point at infinity)은 직선이나 평면의 '끝'에 추가하는 가상의 점이.
보다 열린집합와 무한원점
미분
함수의 그래프와 그 접선. 함수의 점에서의 미분은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수학에서, 미분(微分) 또는 도함수(導函數)는 어떤 함수의 정의역 속 각 점에서의 함숫값의 변화량과 독립 변숫값의 변화량의 비의 극한 혹은 극한들로 치역이 구성되는 새로운 함수이.
보다 열린집합와 미분
배럴 공간
수해석학에서, 배럴 공간()은 공간의 모든 배럴 집합이 영벡터의 근방인 하우스도르프 위상 벡터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배럴 공간
갈루아 군
수학에서 갈루아 군(Galois群)은 특정한 종류의 체의 확대에 대응되는 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갈루아 군
갈루아 이론
상대수학에서, 갈루아 이론(Galois理論)은 체의 확대를 그 자기동형군을 통해 연구하는 이론이.
보다 열린집합와 갈루아 이론
바나흐 공간
수해석학에서, 바나흐 공간(Banach空間)은 완비 노름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바나흐 공간
바나흐 대수
수해석학에서, 바나흐 대수(Banach代數)는 바나흐 공간과 결합 대수의 구조를 서로 호환되게 갖춘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바나흐 대수
강하향 반사슬
순서론에서, 강하향 반사슬(強下向反사슬)은 서로 다른 두 원소가 공통된 하계를 갖지 않는, 원순서 집합의 반사슬이.
강압 쌍선형 형식
수해석학에서, 강제 쌍선형 형식(強壓雙線型形式)은 그 대각 성분들이 양의 하한을 갖는, 실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쌍선형 형식이.
가가 정리
수기하학에서, 가가 정리(GAGA定理)는 복소수에 대한 사영 스킴이 해석적 다양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보이는 일련의 정리들이.
보다 열린집합와 가가 정리
가군층
수기하학에서, 가군층(加群層)은 어떤 환 달린 공간 위에, 어떤 열린집합 위에 달린 가환환에 대한 가군을 이루는 아벨 군으로 구성된 층이.
보다 열린집합와 가군층
가우스 합성
이차 형식 이론에서, 가우스 합성(Gauß合成)은 2항 이차 형식의 동치류 집합에 정의될 수 있는 아벨 군 구조이.
보다 열린집합와 가우스 합성
가쿠타니 사상
수학과 경제학에서, 가쿠타니 사상(寫像)은 고정점을 가지게 되는 특별한 성질을 갖는, 정의역의 멱집합을 공역으로 갖는 함수이.
가역원
상대수학에서, 가역원(可逆元, 또는 유닛)은 환 또는 모노이드에서 곱셈에 대한 역원이 있는 원소들이.
보다 열린집합와 가역원
거리 공간
수학에서, 거리 공간(距離空間)은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정의된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거리 공간
베르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베르 공간(Baire空間)은 가산 개의 조밀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이 조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점들을 갖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베르 공간
베르 집합
측도론에서, 베르 집합(Baire集合)은 실수 값 연속 함수들을 모두 가측 함수로 만드는 가장 엉성한 시그마 대수이.
보다 열린집합와 베르 집합
격자 (순서론)
순서론에서, 격자(格子)는 두 원소 부분집합의 상한(이음)과 하한(만남)이 항상 존재하는 부분 순서 집합이.
결정 집합
집합론과 일반위상수학에서, 결정 집합(決定集合)은 두 사람이 번갈아서 자연수를 고르는 게임에서, 항상 두 사람 가운데 하나가 필승 전략을 갖게 되는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결정 집합
경계다양체
유한한 높이의 원기둥은 2차원 경계다양체를 이루며, 그 경계는 두 개의 원으로 구성된다. 미분기하학에서, 경계다양체(境界多樣體)는 국소적으로 유클리드 공간 또는 유클리드 반(半)공간에 위상 동형인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경계다양체
범프 함수
변수의 범프함수의 예시이다. 범프 함수는 유클리드 공간Rn에서 매끄러운 함수이면서 콤팩트 지지 집합인 함수f: Rn → R이며, '테스트 함수라고도 불린.
보다 열린집합와 범프 함수
고유 사상
수기하학에서, 고유 사상(固有寫像)은 복소다양체 사이의 고유 함수를 일반화하는 스킴 사상의 종류이.
보다 열린집합와 고유 사상
고유 함수
일반위상수학에서, 고유 함수(固有函數)은 콤팩트 집합의 원상이 콤팩트한 연속 함수이.
보다 열린집합와 고유 함수
곱위상
일반위상수학에서, 곱위상(-位相)은 위상 공간들의 곱집합에 표준적으로 부여되는 위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곱위상
보렐 부분군
수군 이론에서, 보렐 부분군(Borel部分群)은 대수군의 극대 가해 부분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보렐 부분군
보렐 집합
측도론에서, 보렐 집합(Borel集合)은 열린집합들로부터 가산 합집합 · 가산 교집합 · 차집합 연산을 가산 번 반복하여 만들 수 있는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보렐 집합
본질적 특이점
각을 나타내며 명도는 절댓값을 나타낸다. 이 그림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질적인 특이점에 접근하는 것이 어떻게 다른 경향이 나타나는지를 보여준다 (어떤 방향에서 접근하든지 균일하게 하얀 극점과는 반대다). 복소 함수 6w.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석학과 일반위상수학에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Bolzano-Weierstraß定理)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유계 닫힌집합과 점렬 콤팩트 공간의 개념이 일치한다는 정리이.
복소다양체
미분기하학에서, 복소다양체(複素多樣體)는 국소적으로 복소 공간 \mathbb C^n으로 간주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복소다양체
별모양 영역
별모양 영역의 예. 수학에서, 별모양 영역(-模樣領域)은 유클리드 공간의 특정한 꼴의 부분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별모양 영역
불 대수
순서론과 추상대수학, 논리학에서, 불 대수(Boole代數)는 고전 명제 논리의 명제의 격자와 같은 성질을 갖는 격자이.
보다 열린집합와 불 대수
분리 집합쌍
일반위상수학에서, 분리 집합쌍(分離集合雙)은 서로의 폐포와 겹치지 않는 두 개의 집합을 뜻. 이 개념 및 이를 강화한 조건들을 통해, 위상 공간의 다양한 분리공리(分離公理)들을 정의할 수 있.
보다 열린집합와 분리 집합쌍
분리 사상
수기하학에서, 분리 사상(分離寫像)은 스킴 사이의 사상의 일종이.
보다 열린집합와 분리 사상
분포 (해석학)
수해석학에서, 분포(分布)는 함수와 확률 분포 등을, 디랙 델타 분포와 같이 특이점을 가질 수 있게 일반화한 것이.
분지점
복소해석학에서, 분지점(分枝點)은 두 리만 곡면 사이의 정칙 함수가 국소적으로 피복 공간을 이루지 못하는 점이며, 그 상을 가지점(-點)이.
보다 열린집합와 분지점
분수체
상대수학에서, 분수체(分數體)는 정역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는 체이.
보다 열린집합와 분수체
분쇄곱
수적 위상수학에서, 분쇄곱(粉碎-)은 두 위상 공간의 곱을 취하는 방법의.
보다 열린집합와 분쇄곱
분할 거듭제곱 환
환대수학에서, 분할 거듭제곱 환(分割-環)은 표수의 배수인 n의 경우에도, 적어도 어떤 아이디얼의 원소 x의 경우에는 “x^n/n!”과 유사한 연산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주어진 가환환이.
분해 가능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분해 가능 공간(分解可能空間)은 가산 집합이 조밀 집합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위상 공간이.
부분 대상 분류자
범주론에서, 부분 대상 분류자(部分對象分類子)는 주어진 대상의 각각의 부분 대상들을, 특정한 대상 2로 가는 사상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
부분공간 위상
위상수학에서, 부분공간 위상(subspace topology)이란 위상 공간 X 의 위상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X 의 부분집합의 위상이.
균등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균등 공간(均等空間)은 두 점이 서로 "가까운지" 여부가 주어진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균등 공간
균등 유계성 원리
수해석학에서, 균등 유계성 원리(均等有界性原理) 또는 바나흐-스테인하우스 정리(Banach-Steinhaus定理)는 바나흐 공간 위의 일련의 유계 작용소들에 대하여, 점별 유계성이 균등 유계성과 동치라는 정리이.
균등 연속 함수
수학에서, 균등 연속 함수(均等連續)는 두 균등 공간 사이의, 균등 공간의 구조와 호환되는 함수이.
그래프 그림
이론에서, 그래프 그림()은 어떤 그래프 또는 다중 그래프를 어떤 곡면 위에, 변이 교차할 수 있게 표시한 것이.
보다 열린집합와 그래프 그림
그로텐디크 위상
수기하학과 범주론에서, 그로텐디크 위상(Grothendieck位相)은 열린 덮개의 개념을 공리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이.
그물 (수학)
위상수학에서, 그물() 또는 무어-스미스 열(Moore-Smith列)은 점렬의 일반화이.
극값
수f(x).
보다 열린집합와 극값
극대 아이디얼
환론에서, 극대 아이디얼(極大ideal)은 환 전체가 아닌 아이디얼들의 극대 원소이.
극점 (기하학)
팩트 볼록 집합의 극점들은 붉게 칠해진 점들이다. 크레인-밀만 정리에 따라, 이 극점들의 볼록 폐포는 원래 볼록 집합과 같다. 기하학에서, 극점(極點)은 어떤 볼록 집합 속의 점 가운데, 다른 두 점의 볼록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것이.
극한 집합
동역학계 이론에서, \omega_\pm-극한 집합(\omega_\pm-極限集合)은 무한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주어진 초기 상태의 동역학계가 수렴하게 되는 상태들의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극한 집합
근방
방 N(p,r)의 표현: 평면 위의 집합 V는, p 주위의 작은 원반이 V에 포함되었다면 점 p의 근방이다. 일반위상수학에서, 근방(近傍)은 어떤 점의 주위를 포함하는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근방
근방 필터
일반위상수학에서, 근방 필터(近傍filter)는 주어진 점의 모든 근방들로 구성된 필터이.
보다 열린집합와 근방 필터
귀납적 차원
일반위상수학에서, 귀납적 차원(歸納的次元)은 어떤 기하학적 대상의 경계의 차원이 전체의 차원보다 1만큼 더 작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위상 공간 위에 정의되는 두 개의 차원 개념이.
보다 열린집합와 귀납적 차원
기본군
수적 위상수학에서, 기본군(基本群)은 어떤 위상 공간 속의 폐곡선들의 호모토피 동치류들의 군이며, 1차 호모토피 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기본군
기저 (위상수학)
일반위상수학에서, 위상 공간의 기저(基底)는 모든 열린집합을 합집합을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열린집합들이.
기약 공간
수기하학과 일반위상수학에서, 기약 공간(旣約空間) 또는 초연결 공간(超連結空間)은 대수다양체의 자리스키 위상과 같이, 두 닫힌 진부분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기약 공간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위상수학에서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不動點定理, Brouwer fixed-point theorem)는 라위트전 브라우어르의 이름이 붙은 고정점 정리이.
비이산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비이산 공간(非離散空間)은 주어진 집합 위에서 가장 적은 수의 열린집합들을 갖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비이산 공간
대각 사상
범주론에서, 대각 사상(對角寫像)은 어떤 대상에서 그 거듭제곱으로 가는 표준적인 사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대각 사상
대칭 공간
리만 기하학과 리 군론에서, 대칭 공간(對稱空間)은 일반점의 안정자군이 어떤 대합에 의하여 정의되는 동차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대칭 공간
대수기하학
수기하학(代數幾何學)은 대수적 방정식들로 정의될 수 있는 도형들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며, 현재 많은 수학 분야들 중 가장 복잡하고 발달된 분야 중.
보다 열린집합와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수기하학에서, 대수다양체(代數多樣體)는 국소적으로 다항식들로 주어지는 방정식들의 영점 집합처럼 보이는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대수다양체
구간
수학에서, 구간(區間)은 주어진 두 실수 (또는 무한대) 사이의 모든 실수의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구간
국소 콤팩트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국소 콤팩트 공간(局所compact空間)은 국소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위상 공간이.
국소 연결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국소 연결 공간(局所連結空間)은 모든 점이 연결 근방을 갖는 위상 공간이.
국소화 (환론)
환론에서, 국소화(局所化)는 환의 일부 원소에 역원을 추가하여 가역원으로 만드는 방법이.
내부 (위상수학)
위상수학에서, 내부(內部)는 원래의 집합에서 경계를 제외하여 얻는 집합이.
나무 (집합론)
순서론과 집합론에서, 나무()는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그 미만의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이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루는 부분 순서 집합이.
들리뉴-베일린손 코호몰로지
학에서, 들리뉴-베일린손 코호몰로지(Deligne-Бе́йлинсон cohomology) 또는 들리뉴 코호몰로지는 접속을 갖는 원군 n-주다발을 나타내는, 미분 형식으로 구성된 공사슬 복합체로서 정의되는 코호몰로지 이론이.
뇌터 환
환론에서 뇌터 환(Noether環)은 아이디얼들이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하는 환이.
보다 열린집합와 뇌터 환
노름 공간
선형대수학 및 함수해석학에서, 노름 공간(norm空間)은 원소들에 일종의 ‘길이’ 또는 ‘크기’가 부여된 벡터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노름 공간
단위 디스크
위 디스크(단위 원판,단위 원반,unit disk, unit disc) 반지름(r)이 1 인 디스크 (unit disk) 열린(개방형) 단위 디스크는 다음에 의해 정의된 복소 평면의 영역으로 간주 될 수 있. 여기서 | z | 는 복소 계수(Complex modulus)을.
보다 열린집합와 단위 디스크
단사 대상
범주론에서, 단사 대상(單射對象)은 이 대상을 공역으로 삼는 사상의 정의역을 임의로 확장할 수 있는 대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단사 대상
단사층
층 이론에서, 단사층(單射層)은 층의 범주에서의 단사 대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단사층
닫힌 그래프 정리
일반위상수학에서, 닫힌 그래프 정리(닫힌graph定理)는 하우스도르프 공간으로 가는 연속 함수의 그래프가 닫힌집합이라는 정리.
닫힘
닫힘 또는 닫힌 또는 닫혀있다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갖.
보다 열린집합와 닫힘
Fpqc 위상
층 이론에서, fpqc 위상(fpqc位相)은 스킴의 범주 위에 정의되는 매우 섬세한 그로텐디크 위상이.
스킴 (수학)
수기하학에서, 스킴()은 국소적으로 가환환의 스펙트럼과 동형인 공간이.
튜브 보조정리
브 보조정리(tube lemma, -補助定理)는 위상수학에서 콤팩트 공간과 그 확장 공간들의 곱공간을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정리이.
자리스키 위상
수기하학에서, 자리스키 위상()은 대수다양체나 스킴에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위상이.
자기 조밀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자기 조밀 공간(自己稠密空間)은 고립점을 갖지 않는 위상 공간이.
장소 (수학)
일반위상수학에서, 장소(場所)는 위상 공간의 열린집합의 부분 순서 집합을 추상화한 구조이.
편미분
벡터 미적분학과 미분기하학에서, 편미분(偏微分)은 다변수 함수의 특정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를 상수로 생각하여 미분하는 것이.
보다 열린집합와 편미분
페르 엔플로
르 헨리크 엔플로(1944~)는 스웨덴의 수학자이자 피아니스트이.
보다 열린집합와 페르 엔플로
크룰 차원
환대수학과 대수기하학에서, 크룰 차원(Krull次元)은 가환환에 대한 차원의 일종이.
보다 열린집합와 크룰 차원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덮개
수학에서,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덮개(Knaster-Kuratowski-Mazurkiewicz덮개)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체의 닫힌집합으로 구성된 덮개이.
보다 열린집합와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덮개
클리퍼드 대수
환론에서, 클리퍼드 대수(Clifford代數)는 이차 형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결합 대수의 한 종류이.
폐포 (위상수학)
위상수학에서, 어떤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의 폐포(閉包)는 그 집합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집합이.
폐포 (수학)
수학에서, 어떤 집합의 그 위의 관계에 대한 닫힘()은 그 집합의 원소와 관계가 있는 원소가 항상 그 집합에 속한다는 성질이.
폰 노이만 대수
수해석학에서, 폰 노이만 대수(von Neumann代數)는 어떤 복소수 바나흐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으로 나타낼 수 있는 C* 대수이.
폴란드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폴란드 공간(Poland空間)은 지나치게 크지 않으며, 완비 거리 공간과 유사하여 측도론 및 기술 집합론()을 쉽게 전개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폴란드 공간
평균값 정리
(''a'', ''f''(''a''))와 (''b'', ''f''(''b''))의 연결선을 아래로 평행 이동하여 어떤 점 ''c''에서의 접선을 얻을 수 있다. 미적분학에서, 평균값 정리(平均-定理)는 대략 구간에 정의된 함수는 평균 변화율과 같은 순간 변화율을 갖는다는 정리이.
보다 열린집합와 평균값 정리
평탄 가군
환론에서, 평탄 가군(平坦加群)은 단사 가군 준동형에 텐서곱을 하여도 단사성이 보존되는 가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평탄 가군
이산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이산 공간(離散空間)은 모든 부분집합이 열린집합인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이산 공간
인자 대수
수해석학에서, 인자 대수(因子代數)는 ‘분해’되지 못하는 폰 노이만 대수이.
보다 열린집합와 인자 대수
일반점
수기하학과 일반위상수학에서, 일반점(一般點)은 공간 전체에 대하여 조밀한 점이.
보다 열린집합와 일반점
일반위상수학
일반위상수학(一般位相數學) 또는 점-집합 위상수학(點集合位相數學)은 위상 공간을 일반적으로 그것을 정의하는 집합론적 공리만으로 다루는 위상수학의 한 분과이.
보다 열린집합와 일반위상수학
음함수 정리
변수 미적분학에서 음함수 정리(陰函數定理)는 하나 또는 여러 다변수 방정식이 음함수를 결정할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
보다 열린집합와 음함수 정리
점렬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점렬 공간(點列空間)은 위상수학적 구조를 그물 대신 점렬만으로 다룰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점렬 공간
점렬 콤팩트 공간
점렬 콤팩트 공간(點列 compact 空間)은 모든 점렬이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갖는 위상 공간이.
점류
집합론에서, 점류(點類)는 어떤 구체적 범주(예를 들어, 폴란드 공간들의 범주)의 각 대상에 대하여 그 부분 집합들의 집합족을 대응시키며, 특정 함수 아래의 원상에 대하여 닫혀 있는 구조이.
보다 열린집합와 점류
제1 가산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제1 가산 공간(第一可算空間)은 모든 점이 가산 국소 기저를 갖는 위상 공간이.
제1 범주 집합
일반위상수학에서, 제1 범주 집합(第一範疇集合)은 위상만으로 정의할 수 있는, ‘매우 작은’ 집합의 개념이.
제2 가산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제2 가산 공간(第二可算空間)은 가산 기저를 갖는 위상 공간이.
전미분
벡터 미적분학에서, 전미분()은 다변수 함수의 모든 변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행태를 근사하는 양이.
보다 열린집합와 전미분
정규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정규 공간(正規空間)은 서로소 닫힌집합들을 서로소 근방 또는 연속 실함수로 분리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규 공간
정칙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정칙 공간(正則空間)은 서로소인 점과 닫힌집합을 각각을 포함하는 서로소 근방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칙 공간
정칙 이차 미분
리만 곡면 이론에서, 정칙 이차 미분(正則二次微分)은 표준 선다발의 2차 텐서곱의 정칙 단면이.
정칙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정칙 함수(正則函數)는 복소 함수에 대한, 미분 가능 함수와 해석 함수에 동시에 대응하는 개념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칙 함수
정상 집합
집합론에서, 클럽 집합(club集合)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집합이며, 정상 집합(定常集合)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충분한 수"를 포함하여, 임의의 클럽 집합과 하나 이상의 원소를 공유하는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상 집합
정수적 원소
환대수학에서, 정수적 원소(整數的元素)는 어떤 부분환에 계수를 갖는 일계수 다항식의 근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환환 원소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수적 원소
정역
환대수학에서, 정역(整域)은 영인자가 존재하지 않는, 자명환이 아닌 가환환이.
보다 열린집합와 정역
조밀 집합
일반위상수학에서, 조밀 집합(稠密集合)은 어떤 공간을 ‘조밀하게’ 채우는 부분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조밀 집합
조절 분포
조화해석학에서, 조절 분포(調節分布)는 푸리에 변환이 정의될 수 있는 특수한 종류의 분포이.
보다 열린집합와 조절 분포
종순군
에서, 종순군(從順群)은 군의 작용에 불변인 유한 가법 확률 측도를 정의할 수 있는 국소 콤팩트 위상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종순군
주다발
위상수학에서, 주다발(主-)은 올이 위상군인 올다발이.
보다 열린집합와 주다발
중적분
이중 적분은 그래프 곡면 아래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이다. 밑면(직사각형)은 함수의 정의역을 나타내며, 윗면(쌍곡 포물면 ''z''.
보다 열린집합와 중적분
줄기 (수학)
층 이론에서, 줄기()는 어떤 층이 어떤 한 점에서 가질 수 있는 값들의 공간이.
준열린집합
일반위상수학에서, 준열린집합(準-集合) 또는 베르 성질 집합(Baire性質集合)은 열린집합 또는 닫힌집합에 제1 범주 집합만큼 가까운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준열린집합
직관 논리
리학에서, 직관 논리(直觀論理)는 귀류법을 배척하는 논리 체계이.
보다 열린집합와 직관 논리
직교 여공간
선형대수학에서, 직교 여공간(直交餘空間)은 주어진 부분공간과 수직인 벡터들의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직교 여공간
집적점
일반위상수학에서, 집적점(集積點)은 그 임의의 근방이 주어진 집합과 주어진 기수 개 이상의 점들을 공유하는 점이.
보다 열린집합와 집적점
지수열
복소기하학에서, 지수열(指數列)은 복소수의 지수 함수로부터 유도되는 층들의 긴 완전열이.
보다 열린집합와 지수열
차분한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차분한 공간(-空間)은 모든 점들이 열린집합의 격자로부터 결정되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차분한 공간
체흐 코호몰로지
수적 위상수학에서, 체흐 코호몰로지()는 위상 공간 위의 층 코호몰로지를 공간을 작은 조각으로 쪼개어 정의·계산하는 방법이.
체흐 신경
원 \mathbb S^1은 세 개의 원소를 갖는 열린 덮개를 갖는다. 각 열린집합은 체흐 신경의 꼭짓점(0차 단체)에 대응하며, 두 열린집합의 교집합은 체흐 신경의 변(1차 단체)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 세 개의 열린집합의 교집합(즉, 2차 단체)은 존재하지 않는다.
보다 열린집합와 체흐 신경
초거리 공간
수학에서, 초거리 공간(超距離空間)은 삼각 부등식보다 더 강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거리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초거리 공간
초입방체
4차원 공간의 초입방체. 초입방체(超立方體)는 정사각형과 정육면체 등을 n차원으로 확장한 폴리토프(다포체) 이. 이는 서로 평행이거나 직교하는 선분들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닫혀 있고 볼록한 콤팩트 공간을 이. 계량 폴리토프(measure polytope).
보다 열린집합와 초입방체
축소구간정리
축소하는 닫힌구간들의 열 수학에서, 축소구간열(縮小區間列, sequence of nested intervals)은 각 구간이 바로 앞 구간의 부분 집합인 구간들의 열이.
보다 열린집합와 축소구간정리
측지선
측지선(測地線, geodesic) 또는 지름길이란 직선의 개념을 굽은 공간으로 일반화한 것이.
보다 열린집합와 측지선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
리만 기하학에서,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測地線完備準Riemann多樣體)는 그 측지선들이 중간에 임의로 끊기지 않는 준 리만 다양체이.
층 (수학)
수학에서, 층(層)은 어떤 위상 공간에서, 각 점에 국소적 구조를 붙인 것이.
보다 열린집합와 층 (수학)
칸토어의 교점 정리
일반위상수학에서, 칸토어의 교점 정리(Cantor-交點定理)는 점점 작아지는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집합들의 열의 교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라는 정리이.
콤팩트 리 군
리 군론에서, 콤팩트 리 군(compact Lie群)은 콤팩트 공간인 리 군이.
콤팩트 공간
수학에서, 콤팩트 공간()은 대략 경계 없이 무한히 뻗어나가지 않는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콤팩트 공간
콤팩트 생성 공간
위상수학에서, 콤팩트 생성 공간(compact生成空間) 또는 k-공간()은 연속 함수들의 공간이 항상 잘 정의되는 위상 공간이.
콤팩트-열린집합 위상
일반위상수학에서, 콤팩트-열린집합 위상(compact-열린集合位相)은 연속 함수의 공간 위에 정의될 수 있는 위상의 하나이.
콜모고로프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콜모고로프 공간(Колмогоров空間) 또는 T0 공간()은 서로 다른 두 점을 열린집합으로 구별할 수 있는 위상 공간이.
코시-리만 방정식
복소해석학에서, 코시-리만 방정식(-方程式)은 열린 집합에서 정의된 복소함수가 정칙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인 연립 편미분 방정식이.
쿠라토프스키 모노이드
일반위상수학에서, 쿠라토프스키 모노이드()는 주어진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 위의 폐포 · 내부 · 여집합 연산들로 구성된 모노이드이.
쌍곡 좌표계
오일러 평면에 나타낸 쌍곡 좌표계: 같은 파란색 직선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좌표값 ''u''를 공유하고, 같은 빨간색 쌍곡선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좌표값 ''v''를 공유한다. 수학에서, 쌍곡 좌표계()는 직교 좌표 평면의 제 1사분면에 있는 점들을 위치시키는 방법이다 쌍곡 좌표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 쌍곡면의 값을 가진다: HP에 있는 이 좌표계는 Q에 있는 정비례의 로그 비교 연구와 정비례의 편차 측정 연구에서 유용.
보다 열린집합와 쌍곡 좌표계
쌍대뿔
C (푸른 부분)의 쌍대뿔은 C^*(붉은 부분)이다. 기하학에서, 쌍대뿔(雙對뿔)은 주어진 벡터 집합의 모든 원소와의 내적이 음수가 아닌 벡터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쌍대뿔
유리 사상
수기하학에서, 유리 사상(有理寫像)은 “거의 어디서나” (즉, 조밀 열린 부분 스킴)에서 정의되는 스킴 사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유리 사상
유리 함수층
수기하학에서, 유리 함수층(有理函數層)는 어떤 대수다양체 위에 존재하는 유리 함수들로 구성된 층이.
보다 열린집합와 유리 함수층
유클리드의 정리
수론에서, 유클리드의 정리(Euclid의定理)는 무한한 수의 소수들이 존재한다는 정리이.
유사 미분 연산자
조화해석학에서, 유사 미분 연산자(類似微分演算子,, 약자 ΨDO)는 미분 연산자와, 매끄러운 함수와의 곱셈의 공통된 일반화이.
유사 거리 공간
학에서, 유사 거리 공간(類似距離空間)은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잴 수 있지만, 서로 다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0이 될 수 있는 기하학적 공간이.
유한형 사상
수기하학에서, 유한형 사상(有限型寫像)은 대략 유한 개의 변수에 대한 다항 함수에 대응하는 스킴 사이의 사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유한형 사상
파라콤팩트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파라콤팩트 공간(paracompact空間)은 단위 분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콤팩트 공간의 개념의 일반화이.
파면 집합
조화해석학에서, 파면 집합(波面集合)은 어떤 분포가 특이점을 갖는 위치 및 방향들의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파면 집합
위상 벡터 공간
수학에서, 위상 벡터 공간(位相vector空間,, 약자 TVS)은 호환되는 위상이 주어진 벡터 공간이.
위상 공간 (수학)
일반위상수학에서, 위상 공간(位相空間)은 어떤 점의 근처(근방)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만, 점 사이의 거리나 넓이·부피 따위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공간이.
위상 함자
범주론과 일반위상수학에서, 위상 함자(位相函子)는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 집합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와 여러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함자이.
보다 열린집합와 위상 함자
위상군
에서, 위상군(位相群)은 위상이 주어진 군으로서 위상적 구조와 대수적 구조가 서로 어울리는 경우이.
보다 열린집합와 위상군
위상의 비교
일반위상수학과 범주론에서, 위상 함자를 통해 주어진 집합 위에 여러 위상수학적 구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은 완비 격자를 이. 이 경우 한 구조가 다른 구조에 대하여 더 섬세한 구조(纖細-構造) 또는 더 엉성한 구조(-構造).
보다 열린집합와 위상의 비교
위상수학
right 위상수학(位相數學)은 연결성이나 연속성 등, 작은 변환에 의존하지 않는 기하학적 성질들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
보다 열린집합와 위상수학
상태 (함수해석학)
C* 대수 이론에서, 상태(狀態)는 C* 대수 위에 정의된, 특정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작용소 노름 1의 복소수 값 유계 작용소이.
상수 함수
수학에서, 상수 함수(常數函數)는 정의역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값을 갖는 함수를 말. 예를 들어, f(x).
보다 열린집합와 상수 함수
순서위상
순서론에서, 순서위상(順序位相)은 전순서 집합 위의, 열린구간으로부터 생성되는 위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순서위상
수렴 수열 공간
수해석학에서, 수렴 수열 공간(收斂數列空間)은 어떤 값으로 수렴하는 수열들로 구성된 바나흐 공간이.
수열의 극한
접 ''n''각형의 둘레의 수열의 극한 역시 이와 같다. 해석학에서, 수열의 극한(極限)은 수열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이.
보다 열린집합와 수열의 극한
영역 (수학)
석학에서, 영역(領域)은 해석학의 각종 정리에서 함수의 정의역으로 등장하는, 지나치게 이상하지 않은 점집합이.
혼돈 이론
로렌즈 방정식의 궤도. 로렌즈 방정식은 대표적인 연속 시간 혼돈계이며, 로렌즈 방정식의 궤도는 위와 같이 복잡한 모양을 보인다. 이는 야릇한 끌개의 하나이다. 동역학계 이론에서, 혼돈(混沌) 또는 카오스(χάος)는 특정 동역학계의 시간 변화가 초기 조건에 지수적으로 민감하며, 시간 변화에 따른 궤도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혼돈 이론
현수환
환대수학에서, 현수환(懸垂環)은 두 소 아이디얼 사이의 상대 높이가 잘 정의되는 가환환이.
보다 열린집합와 현수환
최대 원리
석학에서, 최대 원리(最大原理)는 조화 함수가 극대점을 갖지 않는다는 정리.
보다 열린집합와 최대 원리
헤이팅 대수
순서론과 논리학에서, 헤이팅 대수()는 직관 논리의 명제들의 격자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격자이.
보다 열린집합와 헤이팅 대수
역함수 정리
미적분학에서, 역함수 정리(inverse function theorem, 逆函數 定理)는 주어진 함수가 가역 함수일 충분 조건과 역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공식을 제시하는 정리이.
보다 열린집합와 역함수 정리
연결 공간
A는 유클리드 평면의 연결 부분 공간이며, B는 비연결 부분 공간이다. 일반위상수학에서, 연결 공간(連結空間)은 공집합이 아닌 두 열린집합으로 쪼갤 수 없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연결 공간
연접층
수기하학과 복소기하학에서, 연접 가군층(連接加群層)은 유한 계수 벡터 다발(국소 자유층)의 핵 · 여핵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군층이.
보다 열린집합와 연접층
연속 쌍대 공간
수해석학에서, 연속 쌍대 공간(連續雙對空間)은 주어진 위상 벡터 공간 위의 연속 선형 범함수들로 구성된 벡터 공간이.
연속 함수
위상수학과 해석학에서, 연속 함수(連續函數)는 정의역의 점의 "작은 변화"에 대하여, 치역의 값 역시 작게 변화하는 함수이.
보다 열린집합와 연속 함수
열린 함수와 닫힌 함수
일반위상수학에서, 열린 함수(-函數)는 열린집합의 상이 열린집합인 함수.
엽층
미분위상수학에서, 엽층(葉層)은 매끄러운 다양체를 낮은 차원의 다양체들의 층으로 잘게 자른 것을 말.
보다 열린집합와 엽층
푸앵카레-벤딕손 정리
동역학계 이론에서, 푸앵카레-벤딕손 정리()는 2차원 평면 위의 연속 시간 동역학계에서는 혼돈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정리이.
풍부한 가역층
수기하학에서, 풍부한 가역층(豐富한可逆層)은 그 거듭제곱의 단면들로 다양체를 사영 공간에 매장시킬(embed) 수 있는 가역층이.
사유한군
수학에서, 사유한군(射有限群)은 유한군의 사영극한으로 얻어지는 위상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사유한군
사영 스펙트럼
수기하학에서, 사영 스펙트럼(射影spectrum)은 등급환으로부터 스킴을 만드는 한 방법이.
사영 집합
집합론에서, 사영 집합(射影集合)은 보렐 집합으로부터 사영과 여집합을 여러 번 취하여 얻을 수 있는, 폴란드 공간의 부분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사영 집합
피복 공간
원상은 U의 분리합집합이다. 위상수학에서, 피복 공간(被覆空間) 또는 덮개 공간은 어떤 공간을, 여러 겹의 "피복"을 이루며 둘러싸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피복 공간
프레드홀름 작용소
수해석학에서, 프레드홀름 작용소(Fredholm作用素)는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핵과 여핵이 유한 차원인 유계 작용소이.
프레셰 공간
수해석학에서, 프레셰 공간(Fréchet空間)은 일련의 반노름들로 위상을 정의할 수 있는 위상 벡터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프레셰 공간
소볼레프 공간
석학에서, 소볼레프 공간(Соболев空間)은 충분히 매끄럽고, 무한대에서 충분히 빨리 0으로 수렴하는 함수들로 구성된 함수 공간이.
함수의 극한
석학에서, 함수의 극한()은 독립 변수가 일정한 값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의 값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이.
보다 열린집합와 함수의 극한
항등 정리
복소해석학에서, 항등 정리(恒等定理)는 해석적 연속의 토대가 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정리이.
보다 열린집합와 항등 정리
해석 공간
수기하학에서, 해석 공간(解析空間)은 특이점을 가질 수 있고 모든 추이 사상이 해석함수인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해석 공간
해석 함수
수학에서 해석 함수(解析函數)란 국소적으로(locally) 수렴하는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를 말. 함수 f 가 한 점 x_0 에서 해석적이라는 것은 그 점 근방에서의 테일러 급수가 수렴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고, 정의역 D 의 모든 점에서 해석적인 함수를 해석함수.
보다 열린집합와 해석 함수
해석적 집합
집합론과 일반위상수학에서, 해석적 집합(解析的集合)은 폴란드 공간의 연속적 상인 폴란드 공간 부분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해석적 집합
해석적 연속
복소해석학에서, 해석적 연속(解析的連續, analytic continuation),은 주어진 정칙함수에 대한 정의역을 늘이는 방법이.
보다 열린집합와 해석적 연속
야코비 행렬
벡터 미적분학에서, 야코비 행렬()은 다변수 벡터 함수의 도함수 행렬이.
보다 열린집합와 야코비 행렬
하르 측도
석학에서, 하르 측도(Haar measure)는 특수한 위상군 위에 정의할 수 있는, 군의 구조를 따르는 측.
보다 열린집합와 하르 측도
하르톡스 확장정리
변수 복소해석학에서, 하르톡스 확장 정리(Hartogs’ extension theorem, -擴張定理)는 복소 일변수의 해석학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복소 다변수만의 특성을 다루는 정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하우스도르프 공간() 또는 T2 공간(T2空間) 또는 분리 공간(分離空間)은 서로 다른 점들을 각각 서로소 근방들로 둘러쌀 수 있는 위상 공간이.
하이네-보렐 정리
일반위상수학에서, 하이네-보렐 정리()는 균등 공간이 콤팩트 공간일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정리이.
핵작용소
수해석학에서, 핵작용소(核作用素)는 그 성분들의 p거듭제곱들의 합이 수렴하는 콤팩트 작용소이.
보다 열린집합와 핵작용소
아이디얼 층
층 이론에서, 아이디얼 층(ideal層)은 어떤 가환환층의 각 단면환에 아이디얼을 대응시키는 층이.
보다 열린집합와 아이디얼 층
아핀 사상
수기하학에서, 아핀 사상(affine寫像)은 모든 아핀 열린집합의 원상이 아핀 열린집합인 스킴 사상이.
보다 열린집합와 아핀 사상
실수
실수을 수직선으로 나타낸 것 수학에서, 실수(實數)는 주로 실직선 위의 점 또는 십진법 전개로 표현되는 수 체계이.
보다 열린집합와 실수
실수의 완비성
실수의 이론에서, 실수의 완비성(實數-完備性)은 대략 '메꿔질 구멍이 없다'는 의미의, 실수의 핵심적 성질이.
티호노프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티호노프 공간(Тихонов空間) 또는 T3½ 공간()은 점과 닫힌집합을 연속 함수로 분리할 수 있는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이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부분 공간인 조건과 동치이.
원군
원군에서의 곱셈은 각도의 덧셈으로 여길 수 있다. 군론에서, 원군(圓群)은 절댓값이 1인 복소수로 구성된 1차원 리 군이.
보다 열린집합와 원군
원순서 집합
순서론에서, 원순서 집합(原順序集合)은 그 속의 두 원소를 추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집합이.
보다 열린집합와 원순서 집합
원환 다양체
수기하학에서, 원환 다양체(圓環多樣體)는 대수적 원환면 (\mathbb C^*)^n을 조밀하게 포함하여, 그 작용을 다양체 전체에 정의할 수 있는 대수다양체이.
보다 열린집합와 원환 다양체
외부 (위상수학)
외부는 한 집합 A의 A와 만나지 않는 모든 열린 집합의 합집합이.
환 달린 공간
수학에서, 환 달린 공간(環달린空間)은 간단히 말하면 각 열린집합마다 가환환이 달려 있어서, 그 환의 각 원소들을 열린집합 위의 일종의 함수로 볼 수 있는 공간이.
환경 공간
수학에서, 환경 공간()은 공간을 둘러싸는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환경 공간
환의 스펙트럼
환대수학과 대수기하학에서, 가환환의 스펙트럼()은 환의 모든 소 아이디얼의 집합이.
완비 거리 공간
학에서, 완비 거리 공간(完備距離空間)은 그 안이나 경계에 "빠진 점"이 없는 거리 공간이.
완비 격자
순서론에서, 완비 격자(完備格子)는 임의의 크기의 이음 및 만남이 존재하는 격자이.
보다 열린집합와 완비 격자
완비 불 대수
순서론에서, 완비 불 대수(完備Boole代數)는 완비 격자인 불 대수이.
확률변수의 수렴
확률변수의 수렴에는 여러 가지의 정의가 존재.
T1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T1 공간(T1空間)은 주어진 두 점에 대하여, 첫째를 포함하며 둘째를 포함하지 않는 열린집합이 존재하는 위상 공간이.
보다 열린집합와 T1 공간
또한 개집합, 닫힌 집합, 닫힌 열린 집합, 닫히고 열린 집합, 정칙 닫힌집합, 열리고 닫힌, 열린닫힌집합로 알려져 있다.
, 보렐 집합, 본질적 특이점,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복소다양체, 별모양 영역, 불 대수, 분리 집합쌍, 분리 사상, 분포 (해석학), 분지점, 분수체, 분쇄곱, 분할 거듭제곱 환, 분해 가능 공간, 부분 대상 분류자, 부분공간 위상, 균등 공간, 균등 유계성 원리, 균등 연속 함수, 그래프 그림, 그로텐디크 위상, 그물 (수학), 극값, 극대 아이디얼, 극점 (기하학), 극한 집합, 근방, 근방 필터, 귀납적 차원, 기본군, 기저 (위상수학), 기약 공간,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비이산 공간, 대각 사상, 대칭 공간,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구간, 국소 콤팩트 공간, 국소 연결 공간, 국소화 (환론), 내부 (위상수학), 나무 (집합론), 들리뉴-베일린손 코호몰로지, 뇌터 환, 노름 공간, 단위 디스크, 단사 대상, 단사층, 닫힌 그래프 정리, 닫힘, Fpqc 위상, 스킴 (수학), 튜브 보조정리, 자리스키 위상, 자기 조밀 공간, 장소 (수학), 편미분, 페르 엔플로, 크룰 차원, 크나스테르-쿠라토프스키-마주르키에비치 덮개, 클리퍼드 대수, 폐포 (위상수학), 폐포 (수학), 폰 노이만 대수, 폴란드 공간, 평균값 정리, 평탄 가군, 이산 공간, 인자 대수, 일반점, 일반위상수학, 음함수 정리, 점렬 공간, 점렬 콤팩트 공간, 점류, 제1 가산 공간, 제1 범주 집합, 제2 가산 공간, 전미분, 정규 공간, 정칙 공간, 정칙 이차 미분, 정칙 함수, 정상 집합, 정수적 원소, 정역, 조밀 집합, 조절 분포, 종순군, 주다발, 중적분, 줄기 (수학), 준열린집합, 직관 논리, 직교 여공간, 집적점, 지수열, 차분한 공간, 체흐 코호몰로지, 체흐 신경, 초거리 공간, 초입방체, 축소구간정리, 측지선, 측지선 완비 준 리만 다양체, 층 (수학), 칸토어의 교점 정리, 콤팩트 리 군, 콤팩트 공간, 콤팩트 생성 공간, 콤팩트-열린집합 위상, 콜모고로프 공간, 코시-리만 방정식, 쿠라토프스키 모노이드, 쌍곡 좌표계, 쌍대뿔, 유리 사상, 유리 함수층, 유클리드의 정리, 유사 미분 연산자, 유사 거리 공간, 유한형 사상, 파라콤팩트 공간, 파면 집합, 위상 벡터 공간, 위상 공간 (수학), 위상 함자, 위상군, 위상의 비교, 위상수학, 상태 (함수해석학), 상수 함수, 순서위상, 수렴 수열 공간, 수열의 극한, 영역 (수학), 혼돈 이론, 현수환, 최대 원리, 헤이팅 대수, 역함수 정리, 연결 공간, 연접층, 연속 쌍대 공간, 연속 함수, 열린 함수와 닫힌 함수, 엽층, 푸앵카레-벤딕손 정리, 풍부한 가역층, 사유한군, 사영 스펙트럼, 사영 집합, 피복 공간, 프레드홀름 작용소, 프레셰 공간, 소볼레프 공간, 함수의 극한, 항등 정리, 해석 공간, 해석 함수, 해석적 집합, 해석적 연속, 야코비 행렬, 하르 측도, 하르톡스 확장정리, 하우스도르프 공간, 하이네-보렐 정리, 핵작용소, 아이디얼 층, 아핀 사상, 실수, 실수의 완비성, 티호노프 공간, 원군, 원순서 집합, 원환 다양체, 외부 (위상수학), 환 달린 공간, 환경 공간, 환의 스펙트럼, 완비 거리 공간, 완비 격자, 완비 불 대수, 확률변수의 수렴, T1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