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염제신

색인 염제신

염제신(廉悌臣, 1304년 10월 30일 ~ 1382년 3월 18일)은 고려 후기 문신이.

30 처지: 문하시중, 개국 (드라마), 고려 공민왕, 고려의 공신, 김상순 (배우), 이제현, 이천 (1376년), 이색, 정도전, 정몽주, 정희계, 정휘, 파주 염씨, 수현사, 최록, 최영, 염 (성씨), 염국보, 염흥방, 염제신 초상, 염정수, 허백, 안우, 하륜, 신돈 (드라마), 신비 염씨, 홍길동 (조선), 홍일동, 10월 30일, 1304년.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염제신와 문하시중 · 더보기 »

개국 (드라마)

국은 1983년 1월 2일에서 1983년 12월 18일까지 방송한 KBS1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염제신와 개국 (드라마)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염제신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의 공신

의 공신은 고려에 대한 공으로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관직이.

새로운!!: 염제신와 고려의 공신 · 더보기 »

김상순 (배우)

상순(金相淳, 1937년 10월 20일 ~ 2015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연기자, 영화배우이.

새로운!!: 염제신와 김상순 (배우) · 더보기 »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새로운!!: 염제신와 이제현 · 더보기 »

이천 (1376년)

이천(李蕆, 1376년 ~ 1451년 11월 30일(음력 11월 8일))은 조선 세종 대에 활약한 무관(武官)이자 행정가, 과학자(科學者)이.

새로운!!: 염제신와 이천 (1376년)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새로운!!: 염제신와 이색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염제신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염제신와 정몽주 · 더보기 »

정희계

정희계(鄭熙啓, ? ~ 1396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염제신와 정희계 · 더보기 »

정휘

정휘(鄭暉, 1305년 ~ ?)는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

새로운!!: 염제신와 정휘 · 더보기 »

파주 염씨

주 염씨(坡州 廉氏)는 경기도 파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염제신와 파주 염씨 · 더보기 »

수현사

수현사(水鉉祠)는 고려 후기의 명신 염제신과 그의 아들 염국보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

새로운!!: 염제신와 수현사 · 더보기 »

최록

록(崔祿, 1325년 ~ 1362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염제신와 최록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염제신와 최영 · 더보기 »

염 (성씨)

염(廉, 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염제신와 염 (성씨) · 더보기 »

염국보

염국보(廉國寶, ? - 1388년)는 고려시대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염제신와 염국보 · 더보기 »

염흥방

염흥방(廉興邦, ? ~ 1388년)은 고려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주(坡州), 자는 중창(仲昌), 호는 동정(東亭)이.

새로운!!: 염제신와 염흥방 · 더보기 »

염제신 초상

염제신 초상(廉悌臣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염제신와 염제신 초상 · 더보기 »

염정수

염정수(廉廷秀, ? ~ 1388년)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염제신와 염정수 · 더보기 »

허백

백(許伯, ? ~ 1357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염제신와 허백 · 더보기 »

안우

안우(安祐, ? ~ 공민왕 11년 2월 29일(1362년 3월 25일))는, 고려(高麗) 말의 무장이.

새로운!!: 염제신와 안우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염제신와 하륜 · 더보기 »

신돈 (드라마)

《신돈》(辛旽)은 문화방송에서 2005년 9월 24일부터 2006년 5월 7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염제신와 신돈 (드라마) · 더보기 »

신비 염씨

신비 염씨(愼妃 廉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1대 왕 공민왕의 제5비이.

새로운!!: 염제신와 신비 염씨 · 더보기 »

홍길동 (조선)

홍길동(洪吉同, 1443년? ~ 1510년?)은 조선 연산군 때 충청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도적떼의 우두머리.

새로운!!: 염제신와 홍길동 (조선) · 더보기 »

홍일동

홍일동(洪逸童, 1412(?) ∼ 1464년 3월 13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이고, 자(字)는 일휴(日休), 호는 마천(麻川)이.

새로운!!: 염제신와 홍일동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염제신와 10월 30일 · 더보기 »

13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염제신와 130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곡성백, 곡성백 염제신, 매헌 염제신, 충경공 염제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