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오세창

색인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81 처지: 독립협회, 라디오 네트워크 (KBS 제1라디오), 만세보, 민족대표 33인, 민영익, 박규수, 강위, 거창중학교 고제분교,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고구려 평양성 석편, 권동진, 김가진, 김규식, 김구, 김정희필 세한도, 김창숙, 김옥균, 김성수 (1891년), 김완규, 대한민보,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민국 정부 수립,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대한협회, 대원군 (드라마), 국민대추도회, 남궁억, 나인협, 임예환,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동인, 이경희 (1880년), 이규완, 이승만, 이회영, 이인, 이케다 다이사쿠, 이성림 (1900년), 일제 강점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전형필, 정광조 (1883년), 정난교, 정태우, 정혜사 (청양군), 조만식, 조병호 (한학자), 조용만, ..., 조선미술전람회, 조소앙, 중랑구, 중동고등학교, 지구촌 오늘, 찬란한 여명, 유길준, 유혁로, 유홍기 (1831년), 윤급 초상, 윤치호, 오경석, 최린, 양한묵, 삼청동문, 서울신문, 서재창, 서재필, 서화협회, 손병희, 해주 오씨, 한국민주당, 한자신문사이등박문추도회, 신응희, 신윤복,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홍기조, 홍영식, KBS안동방송국, 1918년, 4월 1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1 더)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오세창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라디오 네트워크 (KBS 제1라디오)

오 네트워크는 KBS 1라디오의 시사프로그램이.

새로운!!: 오세창와 라디오 네트워크 (KBS 제1라디오) · 더보기 »

만세보

만세보 (萬歲報) 는 1906년 6월 17일 천도교에서 창간한 신문이.

새로운!!: 오세창와 만세보 · 더보기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

새로운!!: 오세창와 민족대표 33인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민영익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오세창와 박규수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오세창와 강위 · 더보기 »

거창중학교 고제분교

창중학교 고제분교(居昌中學校 高梯分校)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농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오세창와 거창중학교 고제분교 · 더보기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오세창와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고구려 평양성 석편

평양성 석편(高句麗 平壤城 石片) 또는 고구려 평양성 축성 기록 글자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쌓을 당시 도성의 축조를 맡은 공사책임자가 평평한 자연석 위에 글자를 새긴 것이.

새로운!!: 오세창와 고구려 평양성 석편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권동진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가진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오세창와 김규식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구 · 더보기 »

김정희필 세한도

정희필 세한도(金正喜筆 歲寒圖)는 조선 말기의 사대부 서화가 완당 김정희가 1844년 제주도 유배지에서 수묵으로만 간략하게 그린 사의체의 문인화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정희필 세한도 · 더보기 »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창숙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오세창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완규

완규(金完圭, 1878년 8월 7일(음력 7월 9일) ~ 1948년 양력 5월 2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김완규 · 더보기 »

대한민보

《대한민보(大韓民報)》는 대한제국 말기에 대한협회에 발행한 신문이.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민보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 더보기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또는 대한민국 초대 정·부통령 선거는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에 의한 제1대 정·부통령 선거로 이승만 후보를 초대 대통령으로, 이시영 후보를 초대 부통령으로 각각 선. 대통령선거는 오전 10시에 시작되었고, 부통령 선거는 오후 2시에 시작되었.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 더보기 »

대한협회

협회(大韓協會)는 대한 제국 시기인 1907년 11월 10일에 결성된 애국 계몽 운동 계열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오세창와 대한협회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오세창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국민대추도회

국민대추도회(國民大追悼會)는 1909년 11월에 대한제국의 여러 단체와 인물이 연합해 결성한 단체이.

새로운!!: 오세창와 국민대추도회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남궁억 · 더보기 »

나인협

인협(羅仁協, 1872년 10월 8일 ~ 1951년 4월)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나인협 · 더보기 »

임예환

임예환(林禮煥, 1865년 7월 17일 ~ 1949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임예환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오세창와 이규완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인 · 더보기 »

이케다 다이사쿠

이케다 다이사쿠(1928년 1월 2일 ~)는 일본의 종교인, 작가이다. 종교법인 창가학회의 명예회장, 국제창가학회(SGI) 회장이다. 야마모토 신이치(), 법오공(法悟空)의 필명으로 작가 활동도 하고 있다.

새로운!!: 오세창와 이케다 다이사쿠 · 더보기 »

이성림 (1900년)

이성림(李成林, 190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오세창와 이성림 (1900년)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오세창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민국 제6회 지방 선거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는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2014년 6월 4일에 시행되었.

새로운!!: 오세창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 더보기 »

전형필

전형필(全鎣弼, 1906년 7월 29일 ~ 1962년 1월 26일)은 대한민국의 문화재 수집, 보존, 연구가이며 교육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전형필 · 더보기 »

정광조 (1883년)

정광조(鄭廣朝, 일본식 이름: 川上廣朝, 1883년 ~ 1953년)는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천도교 지도자이.

새로운!!: 오세창와 정광조 (1883년)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오세창와 정난교 · 더보기 »

정태우

정태우(鄭泰祐, 1982년 3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오세창와 정태우 · 더보기 »

정혜사 (청양군)

정혜사(定慧寺)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화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절이.

새로운!!: 오세창와 정혜사 (청양군) · 더보기 »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조만식 · 더보기 »

조병호 (한학자)

조병호(趙柄鎬, 1914년 ~ 2005년)는 대한민국의 한학자이며, 호는 정향(靜香)이.

새로운!!: 오세창와 조병호 (한학자) · 더보기 »

조용만

조용만(趙容萬, 1909년 3월 10일 ~ 1995년 2월 6일)은 한국의 영문학자, 기자, 문학.

새로운!!: 오세창와 조용만 · 더보기 »

조선미술전람회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는 일제 강점기에 개최된 미술 공모전이.

새로운!!: 오세창와 조선미술전람회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오세창와 조소앙 · 더보기 »

중랑구

중랑구(中浪區)는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오세창와 중랑구 · 더보기 »

중동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中東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오세창와 중동고등학교 · 더보기 »

지구촌 오늘

《지구촌 오늘》은 KBS 1라디오에서 방송중인 국제시사 프로그램이.

새로운!!: 오세창와 지구촌 오늘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오세창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유길준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오세창와 유혁로 · 더보기 »

유홍기 (1831년)

유홍기(劉鴻基, 1831년 ~ 1884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가이자 학자이자 정치인이였.

새로운!!: 오세창와 유홍기 (1831년) · 더보기 »

윤급 초상

윤급 초상(尹汲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오세창와 윤급 초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오세창와 윤치호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오경석 · 더보기 »

최린

린(崔麟, 1878년 1월 25일 ~ 1958년 1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이.

새로운!!: 오세창와 최린 · 더보기 »

양한묵

양한묵(梁漢默, 1862년 4월 29일 ~ 1919년 5월 26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양한묵 · 더보기 »

삼청동문

삼청동문(三淸洞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마을 입구에 있는 병풍바위에 새겨진 글씨이.

새로운!!: 오세창와 삼청동문 · 더보기 »

서울신문

《서울신문》(서울新聞)은 현재 발간 중인 대한민국 신문 중 하나로, 일시적으로 《대한매일》(大韓每日) 제호로 발간하였.

새로운!!: 오세창와 서울신문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오세창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오세창와 서재필 · 더보기 »

서화협회

서화협회(書畵協會)는 1918년 5월 19일에 창설된 미술 단체로, 근대 초기의 한국인들만으로 이뤄진 순수한 미술 단체였.

새로운!!: 오세창와 서화협회 · 더보기 »

손병희

손병희(孫秉熙, 1861년 4월 8일 ~ 1922년 5월 19일)는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손병희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오세창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오세창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자신문사이등박문추도회

자신문사이등박문추도회(漢字新聞社伊藤博文追悼會)는 1909년 11월에 대한제국의 3개 신문사가 이토 히로부미 추도회 개최를 위해 공동 조직한 단체이.

새로운!!: 오세창와 한자신문사이등박문추도회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오세창와 신응희 · 더보기 »

신윤복

신윤복(申潤福, 1758년 ~ 1814년경)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를 잘. 또한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새로운!!: 오세창와 신윤복 · 더보기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은 조선시대 후기인 18세기 말에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를 엮은 연작 화첩으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화첩으로 여. '혜원풍속도'(蕙園風俗圖) 혹은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오세창와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 더보기 »

홍기조

홍기조 홍기조(洪基兆, 1865년 12월 6일 ~ 1938년 7월 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오세창와 홍기조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오세창와 홍영식 · 더보기 »

KBS안동방송국

KBS안동방송국(KBS安東放送局)은 경북 북부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이.

새로운!!: 오세창와 KBS안동방송국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오세창와 1918년 · 더보기 »

4월 16일

4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6번째(윤년일 경우 1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오세창와 4월 1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위창 오세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