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온성군

색인 온성군

온성군(穩城郡)은 함경북도 최북단에 있는 군이.

60 처지: 동만주 철도, 동포선, 박동익, 경원군 (함경북도), 봉오동 전투, 북관대첩, 북위 43도, 부군면 통폐합, 부산광역시의 교통, 김갑순, 김상윤 (1893년), 김시권, 김원태 (정치인),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대한지지, 구춘선, 구석기 시대,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7호선, 국경역, 군면리 대폐합, 남양, 남양로동자구, 남양국경선, 남양역, 달래음악단, 회령암군, 회령시, 재가승, 이십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종성, 종성군, 중앙대로 (부산), 윤봉조, 투먼 시, 온성 전투, 온성도, 온성역, 최북단순 나라 목록, 최진동, 최창익, 최춘국, 허하백, 삼둔자 전투, 성평선, 서병현, 함경북도,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 함경선, 함북선, 한국, 한국의 1위 목록, 한국의 구석기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 신태진 (1885년), 십삼도, 후기 구석기 시대, 왕재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동만주 철도

동만주철도(東滿洲鐵道)는 일제치하의 조선 함경북도(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북선동부선(함북선) 훈융역과 만주국 간도성 훈춘현(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훈춘 시)에 있었던 반석역(磐石驛)을 연결했던 철도노선과 여러 지선 및 그 노선들을 운영했던 회사를 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이 노선은 폐지되었고 현재 훈춘시내의 구간의 일부는 투훈 철로 노선으로 대체되어 있. 훈융역에서 두만강철교의 중심까지는 1.2km였는데 이 구간은 일제의 지방철도법의 적용을 받았고 나머지 구간은 만주국의 법률인 사설철도법의 적용을 받았.

새로운!!: 온성군와 동만주 철도 · 더보기 »

동포선

동포선(東浦線)은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종성역과 동포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

새로운!!: 온성군와 동포선 · 더보기 »

박동익

박동익(朴東翼, 일본식 이름: 朴原東翼,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온성군와 박동익 · 더보기 »

경원군 (함경북도)

경원군(慶源郡)은 함경북도 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온성군와 경원군 (함경북도) · 더보기 »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는 1920년 6월 6일~6월 7일 만주에 주둔 중이던 홍범도(洪範圖), 최진동(崔振東, 일명 최명록(崔明錄)), 안무 등이 이끄는 대한군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 한경세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중국 지린 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봉오동에서 일본군 제19사단 월강추격대대, 남양수비대 예하 1개 중대와 싸운 전투이다. 병력은 교전 당시 대한북로독군부 소속 한국인 독립군은 천 2백여 명이었고, 일본군은 5백여 명 정도였다. 삼둔자 전투에서의 패전 이후 일본군 제19사단은 병력을 출병하여 간도 내의 독립군단 토벌에 나선다. 1920년 6월 7일 북로 제1군 사령부(간도국민대) 부장 홍범도는 군무 도독부군, 국민회 독립군과 연합하여 대한북로독군부를 결성하고 봉오동 골짜기 인근에 포위진을 짜고 제3소대 분대장 이화일을 시켜 일본군을 유인해 오도록 하였다. 그러나 소나기가 내리쳤고, 일본군 부대는 선봉으로 올라가던 일본군 부대를 독립군으로 오인하여 사격을 가하면서 교전했다. 고지 꼭대기까지 올라간 홍범도 부대는 이를 내려다보고 남은 일본군에게 사격을 가했다. 6월 7일 오후 1시쯤, 일본군이 봉오동 상동(上洞) 남쪽 300m 지점 갈림길까지 들어오자 홍범도는 신호탄을 올렸다. 중앙선데이 제257호 257호 2012.02.12 삼면 고지에 매복한 독립군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면서 시작된 봉오동 전투는 3시간 이상 계속되었다. 사상자가 늘자 월강추격대대는 도주하기 시작했는데, 강상모(姜尙模)가 2중대를 이끌고 쫓아가 다시 큰 타격을 입혔다. 임시정부 군무부는 봉오동 승첩에서 일본군은 157명이 전사한 반면 아군은 불과 4명만 전사했다고 발표했다. 상해 임시정부의 발표에 의하면, 이 전투에서 일본군 측 피해는 전사자 157, 중상 200, 경상 100명이며 독립군 측 피해는 전사자 4, 중상 2명에 불과했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탄압을 받게 된 북로독군부군은 청산리로 옮겨가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과 연합하여 청산리 대첩을 전개해 나간다.

새로운!!: 온성군와 봉오동 전투 · 더보기 »

북관대첩

북관대첩(北關大捷)은 1592년~1593년 함경도에서 의병장 정문부가 경성과 길주 등지에서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반란을 일으킨 국경인과 여진족들을 모두 무찌르고 함경도를 탈환한 전투이.

새로운!!: 온성군와 북관대첩 · 더보기 »

북위 43도

북위 43도는 적도에서 43도 북쪽을 지나는 위선이.

새로운!!: 온성군와 북위 43도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온성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부산광역시의 교통

에어부산의 항공기 부산광역시의 교통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라는 점과 지리적으로 산과 바다를 접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 관광이 발달한 도시라는 점 등을 특징으로 다른 지역의 교통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

새로운!!: 온성군와 부산광역시의 교통 · 더보기 »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새로운!!: 온성군와 김갑순 · 더보기 »

김상윤 (1893년)

상윤(金尙潤, 일본식 이름: 江原尙潤, 1893년~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온성군와 김상윤 (1893년) · 더보기 »

김시권

시권(金時權, 일본식 이름: 菊山時權, 1884년 5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온성군와 김시권 · 더보기 »

김원태 (정치인)

원태(金元泰, 일본식 이름: 駕川元泰 가카와 모토타이, 1909년 8월 29일 ~ 1997년 12월 22일, 충북 괴산)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행정관료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온성군와 김원태 (정치인)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온성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며, 시내동지역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시장이 관리.

새로운!!: 온성군와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더보기 »

대한지지

"大韓地誌" 대한지지(大韓地誌)는 대한제국 개화기에 현채(玄采)가 번역 편집한 지리 교과서이.

새로운!!: 온성군와 대한지지 · 더보기 »

구춘선

선(具春先, 1857년 ~ 1944년 3월 2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온성군와 구춘선 · 더보기 »

구석기 시대

석기 시대(舊石器時代)는 선사 시대의 시대 구분으로 석기 시대 초기를 말.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타제석기)를 도구로 사용.

새로운!!: 온성군와 구석기 시대 · 더보기 »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10호선 (신의주 ~ 온성선, 國道第十號 木浦新義州線)은 대한민국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에서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온성군와 국도 제10호선 · 더보기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부산 ~ 온성선, 國道第七號 釜山穩城線, 남한 구간은 의 일부)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옛시청 교차로 와 함경북도 온성군 유덕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온성군와 국도 제7호선 · 더보기 »

국경역

국경역(國境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로동자구에 위치한 남양국경선의 종점 역이.

새로운!!: 온성군와 국경역 · 더보기 »

군면리 대폐합

면리 대폐합(郡面里 大廢合)은 1952년 12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반부 지역에 있어서의 행정 체계 중 면을 폐지함에 관하여》라는 정령에 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이.

새로운!!: 온성군와 군면리 대폐합 · 더보기 »

남양

양(南陽)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

새로운!!: 온성군와 남양 · 더보기 »

남양로동자구

만강 건너에서 바라본 남양 남양로동자구(南陽勞動者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소속의 로동자구이.

새로운!!: 온성군와 남양로동자구 · 더보기 »

남양국경선

양국경선(南陽國境線)은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역과 국경역을 잇는 0.8km의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창투 선, 투훈 선(圖渾線)과 직. 지선으로 강양역 방향으로 이어지는 삼각선이 있.

새로운!!: 온성군와 남양국경선 · 더보기 »

남양역

양역(南陽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로동자구에 위치한 함북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온성군와 남양역 · 더보기 »

달래음악단

음악단은 오렌지 엔터프라이즈 소속의 5인조 여성그룹이.

새로운!!: 온성군와 달래음악단 · 더보기 »

회령암군

회령암군은 한반도의 제4기 하세 관입암류이.

새로운!!: 온성군와 회령암군 · 더보기 »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온성군와 회령시 · 더보기 »

재가승

재가승(在家僧)은 함경북도의 두만강변의 여러 마을들에서 살던 족속 집단들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온성군와 재가승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온성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새로운!!: 온성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종성

종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온성군와 종성 · 더보기 »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새로운!!: 온성군와 종성군 · 더보기 »

중앙대로 (부산)

중앙대로(Jungang-daero Road, 中央大路)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7가 옛시청사거리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여락고가교 북단을 잇는 부산광역시의 도로이.

새로운!!: 온성군와 중앙대로 (부산) · 더보기 »

윤봉조

윤봉조(尹鳳朝, 1680년 ∼ 176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온성군와 윤봉조 · 더보기 »

투먼 시

먼시()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온성군와 투먼 시 · 더보기 »

온성 전투

온성 전투(穩城戰鬪)는 1920년 3월에 온성군에서 독립군(국민회군, 북로 군정서군 등)이 일본군과 싸운 전투였.

새로운!!: 온성군와 온성 전투 · 더보기 »

온성도

온성도(穩城島)는 두만강에 있는 섬이.

새로운!!: 온성군와 온성도 · 더보기 »

온성역

온성역(穩城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읍에 위치한 함북선의 철도역이.

새로운!!: 온성군와 온성역 · 더보기 »

최북단순 나라 목록

분류:나라 목록.

새로운!!: 온성군와 최북단순 나라 목록 · 더보기 »

최진동

동(崔振東, 1883년 ~ 1945년 11월 2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온성군와 최진동 · 더보기 »

최창익

창익(崔昌益, 1896년 ~ 1957년 10월)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공산주의자이.

새로운!!: 온성군와 최창익 · 더보기 »

최춘국

국(崔春國, 1914년 9월 6일 ~ 1950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

새로운!!: 온성군와 최춘국 · 더보기 »

허하백

백(許河伯, 일본식 이름: 金村河伯 가네무라 가와하쿠, 190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교육인 겸 여성계 인물로 조각가 김복진의 부인이.

새로운!!: 온성군와 허하백 · 더보기 »

삼둔자 전투

삼둔자 전투(三屯子戰鬪)는 1920년 6월 4일 새벽 5시부터 6월 6일 자정까지 대한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만주 북간도 화룡현(和龍縣) 월신강변 삼둔자(三屯子)에서 니히미 지로 중위가 이끄는 (일본군 남양수비대(南陽守備隊) 예하 1개 중대를 격파한 소규모 전투였다. 한국인 독립군이 국내 진공을 목적으로 일본군을 선제 공격한 사건이기도 하다. 봉오동 전투로 이어지며 넓게는 봉오동 전투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6월 4일 새벽에 북간도 화룡현 삼둔자에서 출발한 독립군 홍범도, 최진동 부대의 1개소대와 신민단 독립군 예하 1개 소대가 당일 새벽 5시 경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의 일본군 헌병 초소를 선제 습격함으로써 발생하였다. 이후 6월 6일 월강추격대대가 이들을 추격하여 불법으로 중국 영토인 삼둔자에 왔으나 독립군이 보이지 않아 보복으로 양민을 살육하였다. 삼둔자 범진령 고개에 숨어있던 독립군 부대는 매복한 지점 한가운데까지 이들이 들어오기를 기다려 궤멸, 퇴각시켰다. 1920년 6월 7일의 봉오동 회전은 그 직전에 있은 화룡현 월신강(月新江) 삼둔자 전투에서 비롯되었다. 삼둔자 전투는 독립군이 그동안 통상적으로 수행하던 소규모의 국내 진입작전이 도화선이 됐다.윤병석, 《간도역사의 연구》(국학자료원, 2006) 75페이지 동시에 일본군 육군이 최초로 중국 대륙을 침공한 사건이기도 하다.

새로운!!: 온성군와 삼둔자 전투 · 더보기 »

성평선

성평선(城坪線)은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강안리역과 성평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

새로운!!: 온성군와 성평선 · 더보기 »

서병현

서병현(徐炳玹,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온성군와 서병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온성군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함경북도청 청사 함경북도(咸鏡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청진부 나남읍(1940년 경성군 나남읍이 청진부에 편입됨, 1920년까지는 경성군에 있었음)이며 면적은 20,346.76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102,272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54.2명/km2이.

새로운!!: 온성군와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함경선

창평역 일대의 선로 부설 공사 함경선(咸鏡線)은 함경남도 원산시의 원산역과 함경북도 종성군에 있는 상삼봉역(현재는 온성군에 있음.)을 연결하던 철도 노선으로, 그 길이는 664.0km였.

새로운!!: 온성군와 함경선 · 더보기 »

함북선

북선(咸北線)은 함경북도 청진시 반죽역을 기점으로 회령, 종성, 온성을 지나 라선특별시에 위치한 라진역을 연결하면서 한반도의 최북단을 휘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온성군와 함북선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온성군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1위 목록

국의 극치(韓國의 極値)는 한국(한반도) 첫 번째 또는 1위의 일람이.

새로운!!: 온성군와 한국의 1위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구석기 시대

국의 구석기 시대 유적은 산악지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현재까지 약 90여 군데가 발굴되었.

새로운!!: 온성군와 한국의 구석기 시대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온성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태진 (1885년)

신태진(申泰鎭, 일본식 이름: 平山泰鎭, 1885년 음력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온성군와 신태진 (1885년)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온성군와 십삼도 · 더보기 »

후기 구석기 시대

후기 구석기(後期舊石器, Upper Palaeolithic)는 구석기 시대 후기로 구석기 시대의 세부 분류 중 세 번째 단계에 해당.

새로운!!: 온성군와 후기 구석기 시대 · 더보기 »

왕재산

왕재산(旺載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해발 239m이.

새로운!!: 온성군와 왕재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온성, 온성도호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