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온성군

색인 온성군

온성군(穩城郡)은 함경북도 최북단에 있는 군이.

Google 지도에서 열기

목차

  1. 60 처지: 동만주 철도, 동포선, 박동익, 경원군 (함경북도), 봉오동 전투, 북관대첩, 북위 43도, 부군면 통폐합, 부산광역시의 교통, 김갑순, 김상윤 (1893년), 김시권, 김원태 (정치인),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대한지지, 구춘선, 구석기 시대,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7호선, 국경역, 군면리 대폐합, 남양, 남양로동자구, 남양국경선, 남양역, 달래음악단, 회령암군, 회령시, 재가승, 이십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종성, 종성군, 중앙대로 (부산), 윤봉조, 투먼 시, 온성 전투, 온성도, 온성역, 최북단순 나라 목록, 최진동, 최창익, 최춘국, 허하백, 삼둔자 전투, 성평선, 서병현, 함경북도,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동만주 철도

동만주철도(東滿洲鐵道)는 일제치하의 조선 함경북도(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북선동부선(함북선) 훈융역과 만주국 간도성 훈춘현(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훈춘 시)에 있었던 반석역(磐石驛)을 연결했던 철도노선과 여러 지선 및 그 노선들을 운영했던 회사를 말.

보다 온성군와 동만주 철도

동포선

동포선(東浦線)은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종성역과 동포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

보다 온성군와 동포선

박동익

박동익(朴東翼, 일본식 이름: 朴原東翼,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보다 온성군와 박동익

경원군 (함경북도)

경원군(慶源郡)은 함경북도 북단에 있는 군이.

보다 온성군와 경원군 (함경북도)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는 1920년 6월 6일~6월 7일 만주에 주둔 중이던 홍범도(洪範圖), 최진동(崔振東, 일명 최명록(崔明錄)), 안무 등이 이끄는 대한군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 한경세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중국 지린 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봉오동에서 일본군 제19사단 월강추격대대, 남양수비대 예하 1개 중대와 싸운 전투이다.

보다 온성군와 봉오동 전투

북관대첩

북관대첩(北關大捷)은 1592년~1593년 함경도에서 의병장 정문부가 경성과 길주 등지에서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반란을 일으킨 국경인과 여진족들을 모두 무찌르고 함경도를 탈환한 전투이.

보다 온성군와 북관대첩

북위 43도

북위 43도는 적도에서 43도 북쪽을 지나는 위선이.

보다 온성군와 북위 43도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보다 온성군와 부군면 통폐합

부산광역시의 교통

에어부산의 항공기 부산광역시의 교통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대도시라는 점과 지리적으로 산과 바다를 접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 관광이 발달한 도시라는 점 등을 특징으로 다른 지역의 교통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을 보이고 있.

보다 온성군와 부산광역시의 교통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보다 온성군와 김갑순

김상윤 (1893년)

상윤(金尙潤, 일본식 이름: 江原尙潤, 1893년~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보다 온성군와 김상윤 (1893년)

김시권

시권(金時權, 일본식 이름: 菊山時權, 1884년 5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보다 온성군와 김시권

김원태 (정치인)

원태(金元泰, 일본식 이름: 駕川元泰 가카와 모토타이, 1909년 8월 29일 ~ 1997년 12월 22일, 충북 괴산)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행정관료이며 정치가이.

보다 온성군와 김원태 (정치인)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온성군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

보다 온성군와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대한지지

"大韓地誌" 대한지지(大韓地誌)는 대한제국 개화기에 현채(玄采)가 번역 편집한 지리 교과서이.

보다 온성군와 대한지지

구춘선

선(具春先, 1857년 ~ 1944년 3월 2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온성군와 구춘선

구석기 시대

석기 시대(舊石器時代)는 선사 시대의 시대 구분으로 석기 시대 초기를 말.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타제석기)를 도구로 사용.

보다 온성군와 구석기 시대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10호선 (신의주 ~ 온성선, 國道第十號 木浦新義州線)은 대한민국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에서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보다 온성군와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부산 ~ 온성선, 國道第七號 釜山穩城線, 남한 구간은 의 일부)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옛시청 교차로 와 함경북도 온성군 유덕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보다 온성군와 국도 제7호선

국경역

국경역(國境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로동자구에 위치한 남양국경선의 종점 역이.

보다 온성군와 국경역

군면리 대폐합

면리 대폐합(郡面里 大廢合)은 1952년 12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반부 지역에 있어서의 행정 체계 중 면을 폐지함에 관하여》라는 정령에 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이.

보다 온성군와 군면리 대폐합

남양

양(南陽)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

보다 온성군와 남양

남양로동자구

만강 건너에서 바라본 남양 남양로동자구(南陽勞動者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소속의 로동자구이.

보다 온성군와 남양로동자구

남양국경선

양국경선(南陽國境線)은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역과 국경역을 잇는 0.8km의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창투 선, 투훈 선(圖渾線)과 직. 지선으로 강양역 방향으로 이어지는 삼각선이 있.

보다 온성군와 남양국경선

남양역

양역(南陽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로동자구에 위치한 함북선의 철도역이.

보다 온성군와 남양역

달래음악단

음악단은 오렌지 엔터프라이즈 소속의 5인조 여성그룹이.

보다 온성군와 달래음악단

회령암군

회령암군은 한반도의 제4기 하세 관입암류이.

보다 온성군와 회령암군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보다 온성군와 회령시

재가승

재가승(在家僧)은 함경북도의 두만강변의 여러 마을들에서 살던 족속 집단들을 부르는 말이.

보다 온성군와 재가승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보다 온성군와 이십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보다 온성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종성

종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온성군와 종성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보다 온성군와 종성군

중앙대로 (부산)

중앙대로(Jungang-daero Road, 中央大路)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7가 옛시청사거리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여락고가교 북단을 잇는 부산광역시의 도로이.

보다 온성군와 중앙대로 (부산)

윤봉조

윤봉조(尹鳳朝, 1680년 ∼ 1761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온성군와 윤봉조

투먼 시

먼시()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

보다 온성군와 투먼 시

온성 전투

온성 전투(穩城戰鬪)는 1920년 3월에 온성군에서 독립군(국민회군, 북로 군정서군 등)이 일본군과 싸운 전투였.

보다 온성군와 온성 전투

온성도

온성도(穩城島)는 두만강에 있는 섬이.

보다 온성군와 온성도

온성역

온성역(穩城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읍에 위치한 함북선의 철도역이.

보다 온성군와 온성역

최북단순 나라 목록

분류:나라 목록.

보다 온성군와 최북단순 나라 목록

최진동

동(崔振東, 1883년 ~ 1945년 11월 2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온성군와 최진동

최창익

창익(崔昌益, 1896년 ~ 1957년 10월)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공산주의자이.

보다 온성군와 최창익

최춘국

국(崔春國, 1914년 9월 6일 ~ 1950년 7월 30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

보다 온성군와 최춘국

허하백

백(許河伯, 일본식 이름: 金村河伯 가네무라 가와하쿠, 190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교육인 겸 여성계 인물로 조각가 김복진의 부인이.

보다 온성군와 허하백

삼둔자 전투

삼둔자 전투(三屯子戰鬪)는 1920년 6월 4일 새벽 5시부터 6월 6일 자정까지 대한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만주 북간도 화룡현(和龍縣) 월신강변 삼둔자(三屯子)에서 니히미 지로 중위가 이끄는 (일본군 남양수비대(南陽守備隊) 예하 1개 중대를 격파한 소규모 전투였다.

보다 온성군와 삼둔자 전투

성평선

성평선(城坪線)은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강안리역과 성평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

보다 온성군와 성평선

서병현

서병현(徐炳玹,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보다 온성군와 서병현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보다 온성군와 함경북도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함경북도청 청사 함경북도(咸鏡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청진부 나남읍(1940년 경성군 나남읍이 청진부에 편입됨, 1920년까지는 경성군에 있었음)이며 면적은 20,346.76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102,272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54.2명/km2이.

보다 온성군와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함경선

창평역 일대의 선로 부설 공사 함경선(咸鏡線)은 함경남도 원산시의 원산역과 함경북도 종성군에 있는 상삼봉역(현재는 온성군에 있음.)을 연결하던 철도 노선으로, 그 길이는 664.0km였.

보다 온성군와 함경선

함북선

북선(咸北線)은 함경북도 청진시 반죽역을 기점으로 회령, 종성, 온성을 지나 라선특별시에 위치한 라진역을 연결하면서 한반도의 최북단을 휘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

보다 온성군와 함북선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보다 온성군와 한국

한국의 1위 목록

국의 극치(韓國의 極値)는 한국(한반도) 첫 번째 또는 1위의 일람이.

보다 온성군와 한국의 1위 목록

한국의 구석기 시대

국의 구석기 시대 유적은 산악지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현재까지 약 90여 군데가 발굴되었.

보다 온성군와 한국의 구석기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보다 온성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신태진 (1885년)

신태진(申泰鎭, 일본식 이름: 平山泰鎭, 1885년 음력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보다 온성군와 신태진 (1885년)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보다 온성군와 십삼도

후기 구석기 시대

후기 구석기(後期舊石器, Upper Palaeolithic)는 구석기 시대 후기로 구석기 시대의 세부 분류 중 세 번째 단계에 해당.

보다 온성군와 후기 구석기 시대

왕재산

왕재산(旺載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해발 239m이.

보다 온성군와 왕재산

또한 온성, 온성도호부로 알려져 있다.

, 함경선, 함북선, 한국, 한국의 1위 목록, 한국의 구석기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 신태진 (1885년), 십삼도, 후기 구석기 시대, 왕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