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왕정복고

색인 왕정복고

스 2세 (영국) 왕정복고(王政復古)는 군주제를 부활시키는 일을 말. 군주의 명칭이 황제인 경우엔 제정복고(帝政復古), 대공인 경우엔 대공정복고(大公政復古)라고 부르.

51 처지: 런던, 도쿠가와 요시노부, 독일, 로드아일랜드주, 메이지 천황, 메이지 유신, 메이지 시대, 메이플라워 호, 가나가와 조약, 북조 (일본), 권리장전 (영국), 대정봉환, 대한제국 고종,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네덜란드 공화국, 욜랑드 드 폴라스트롱 드 폴리냑 공작부인,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자코바이트, 잉글랜드 왕정복고, 인신보호율, 일본 병부성, 일본 황실,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 제2차 백년전쟁,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조지 뭉크,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찰스 1세, 카타리나 디 브라간사, 파리 조약 (1815년), 윌리엄 펜의 저주, 휘그당 (영국), 샌드위치 백작, 영국-네덜란드 전쟁, 에드워드 몬태규 (초대 샌드위치 백작), 에투알 개선문, 사족 반란, 사카모토 료마, 삿초 동맹, 프랑스 총재정부,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토리당, 항해법, 해리 파크스, 식산흥업, 황제, 왕당파, 1661년 잉글랜드 총선, ..., 1795년 프랑스 총재선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런던

()은 잉글랜드와 영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런던 · 더보기 »

도쿠가와 요시노부

와 요시노부(1837년 10월 28일 - 1913년 11월 22일)는 도쿠가와 막부의 마지막 쇼군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도쿠가와 요시노부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독일 · 더보기 »

로드아일랜드주

아일랜드 주(The State of Rhode Island and Providence Plantations)는 미국에서 가장 작은 주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로드아일랜드주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메이지 천황 · 더보기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왕정 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

새로운!!: 왕정복고와 메이지 유신 · 더보기 »

메이지 시대

러일전쟁 (1905년) 메이지 시대()는 메이지 유신 이후의 메이지 천황의 통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에 의해 메이지 정부가 수립된 후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이 죽을 때까지 44년간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메이지 시대 · 더보기 »

메이플라워 호

리머스 항에 체류하고 있는 메이플라워호의 그림 메이플라워호(Mayflower)는 1620년 잉글랜드 남서부 플리머스에서 신대륙 아메리카 식민지, 현재의 매사추세츠 주 플리머스에 ‘필그림 파더스’라고 불리는 ‘청교도’(프로테스탄트) 개척자들을 수송한, 유명한 영국의 선박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메이플라워 호 · 더보기 »

가나가와 조약

와 조약 문서 가나가와 조약 문서2 시모다에 있는 매튜 C. 페리의 흉상 가나가와 조약() 혹은 미일화친조약(日米和親条約)은 1854년 3월 31일 미 해군의 매튜 C. 페리와 일본의 막부의 전권대신 하야시 후쿠사이 사이에서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가나가와 조약 · 더보기 »

북조 (일본)

북조()는 1336년에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수도였던 교토를 점령하여 고다이고 천황을 축출한 후, 지묘인 계통의 고묘 천황을 옹립하면서 수립한 조정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북조 (일본) · 더보기 »

권리장전 (영국)

1689년 권리장전 문서 영국의 권리장전(權利章典, Bill of Rights 1689)은 영국의 국가제도를 규정한 대헌장(大憲章)·권리청원(權利請願)과 함께 헌정사상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의회 제정법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권리장전 (영국) · 더보기 »

대정봉환

정봉환()은 1867년 11월 9일 도쿠가와 막부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메이지 천황에게 통치권을 반납하는 것을 선언한 정치적 사건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대정봉환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옹 보나파르트(1769년 8월 15일 ~ 1821년 5월 5일)는 프랑스 제1공화국의 군인이자 1804년부터 1814년, 1815년까지 프랑스 제1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왕정복고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더보기 »

네덜란드 공화국

7개주 연합공화국(Dutch Republic)은 1581년과 1795년 사이에 존재한 유럽의 공화국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네덜란드 공화국 · 더보기 »

욜랑드 드 폴라스트롱 드 폴리냑 공작부인

리냑 백작 부인,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룅 그림 폴리냑 공작부인 욜랑드 마르틴 가브리엘 드 폴라스트롱(1749년 9월 8일 ~ 1793년 12월 9일)은 프랑스의 귀족·정치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욜랑드 드 폴라스트롱 드 폴리냑 공작부인 · 더보기 »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작(子爵)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Henri de la Tour d'Auvergne, Vicomte de Turenne, 1611년 9월 11일 - 1675년 7월 27일)는 저명한 군인이자 프랑스 원수(元帥;Marshal of France)로써 흔히 튀렌(Turenne)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 유명한 가문인 라 투르 도베르뉴 가문 출신으로 프랑스 군사 역사상 단 6명만 임명된 프랑스 대원수(Marshal General of France)중 1명이었.

새로운!!: 왕정복고와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 더보기 »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Jacques-Charles Dupont de l'Eure, 1767년 2월 27일 - 1855년 3월 3일)는, 프랑스의 법률가, 정치가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 더보기 »

자코바이트

자코바이트()는 1688년 영국에서 일어난 명예혁명의 반혁명 세력의 통칭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자코바이트 · 더보기 »

잉글랜드 왕정복고

스 2세 잉글랜드 왕정복고는 청교도 혁명에 의한 공화제(잉글랜드 연방)가 끝나고 1660년 잉글랜드의 찰스 2세가 의회의 지지를 얻어 왕위에 올라 군주제를 부활시킨 일을 말. 그 이후 명예혁명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가리킬 때도 있.

새로운!!: 왕정복고와 잉글랜드 왕정복고 · 더보기 »

인신보호율

인신보호율(人身保護律, Habeas Corpus Act)은 영국의 국왕 찰스 2세 때에 발포된 법률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인신보호율 · 더보기 »

일본 병부성

병부성(兵部省)은 일찍이 일본에 있던 존재했던 군정을 관할하던 행정 기관으로 다음 중 하나를 가리.

새로운!!: 왕정복고와 일본 병부성 · 더보기 »

일본 황실

일본 황실()은 일본의 천황과 황족의 총칭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일본 황실 · 더보기 »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은 독립 핀란드의 두 번째 내각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 · 더보기 »

제2차 백년전쟁

1815년의 워털루 전투 제2차 백년 전쟁(Second Hundred Years War, 1689년 ~ 1815년)는 유럽의 국경 분쟁과 왕위 계승, 북아메리카 대륙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해외 식민지 쟁탈, 그리고 그들로 인한 미국의 독립,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제국을 배경으로 영국(잉글랜드)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의 총칭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제2차 백년전쟁 · 더보기 »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제6차 대프랑스 동맹(Sixth Coalition, 1812년 - 1814년)는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국 패권에 도전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이 결성한 동맹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제6차 대프랑스 동맹 · 더보기 »

조지 뭉크

조지 뭉크, 초대 앨버말 공작(George Monck, 1st Duke of Albemarle, KG, 1608년 12월 6일 - 1670년 1월 3일)은 잉글랜드의 귀족, 군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조지 뭉크 · 더보기 »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는 조선 말기에 조선 조정을 관리하는 흥선대원군이 유교 사상으로의 쇄국 정책을 펼치면서 일본에서 보낸 국서(곧 서계)를 거부한 사건으로, 서계 사건 또는 서계 거부 사건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 더보기 »

찰스 1세

스 1세 (Charles I, 1600년 11월 19일 ~ 1649년 1월 30일)는 1625년부터 1649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찰스 1세 · 더보기 »

카타리나 디 브라간사

리나 디 브라간사(Catherine of Braganza, 1638년 11월 25일 ~ 1705년 11월 30일)는 잉글랜드 왕 찰스 2세의 왕비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카타리나 디 브라간사 · 더보기 »

파리 조약 (1815년)

리 조약(Treaty of Paris, 1815년 11월 20일)은 1815년에 나폴레옹 전쟁을 종결시킨 조약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파리 조약 (1815년) · 더보기 »

윌리엄 펜의 저주

아 시청 건물 꼭대기에 자리잡은 윌리엄 펜의 동상 윌리엄 펜의 저주(영어: Curse of William Penn)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시가 연고지인 프로 스포츠 팀이 우승을 못하는 불운에 대한 이야기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윌리엄 펜의 저주 · 더보기 »

휘그당 (영국)

휘그당(Whig Party)은 영국의 정당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휘그당 (영국) · 더보기 »

샌드위치 백작

샌드위치 백작(Earl of Sandwich)은 잉글랜드 귀족인 백작의 지위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샌드위치 백작 · 더보기 »

영국-네덜란드 전쟁

영국-네덜란드 전쟁()은 17세기 후반에 있어서의 영국과 네덜란드 양국간의 3차에 걸친 전쟁과 18세기 말엽의 1차례 일어났던 전쟁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영국-네덜란드 전쟁 · 더보기 »

에드워드 몬태규 (초대 샌드위치 백작)

에드워드 몬태규, 1대 샌드위치 백작, 피터 펠리 그림, 약. 1660-65. 에드워드 몬태규, 초대 샌드위치 백작(Edward Montagu, 1st Earl of Sandwich, KG, 1625년 7월 27일 - 1672년 5월 28일)은 잉글랜드의 귀족, 군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에드워드 몬태규 (초대 샌드위치 백작) · 더보기 »

에투알 개선문

에투알 개선문 에투알 개선문(Arc de triomphe de l'Étoile)은 1806년 나폴레옹에 의해 기공되어 그의 사후 준공된 매우 거대한 개선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에투알 개선문 · 더보기 »

사족 반란

사족 반란(士族反乱)은 일본 메이지 시대 초기에 구 무사() 계급인 사족()들이 메이지 정부를 상대로 벌인 일련의 반정부 활동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사족 반란 · 더보기 »

사카모토 료마

사카모토 료마(덴포 6년 음력 11월 15일 (1836년 1월 3일) ~ 게이오 3년 음력 11월 15일 (1867년 12월 10일))는 도사 번 고시(鄕士) 계급 출신으로, 일본의 무사 겸 사업가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사카모토 료마 · 더보기 »

삿초 동맹

보신전쟁의 사쓰마 사무라이 (펠리체 베아토 촬영) 삿초 동맹()은 일본의 에도 시대 후기에, 사쓰마 번(지금의 가고시마현)과 조슈 번(지금의 야마구치현)이 맺은 정치적, 군사적인 동맹을 가리.

새로운!!: 왕정복고와 삿초 동맹 · 더보기 »

프랑스 총재정부

제2차 총재정부의 총재 5인, 왼쪽부터 앙투안 메루란 드 두에, 마리 드 라 루붸 에르, 폴 바라스, 루이 프랑수아 드 누후샤토, 프랑수아 루베루 총재정부(總裁政府, Directory)는 1795년 11월 2일부터 1799년 11월 9일까지 존속한 프랑스의 정부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프랑스 총재정부 · 더보기 »

프랑스 혁명

랑스 혁명(Révolution française, 1789년 7월 14일~1794년 7월 27일)은 프랑스에서 일어난 자유주의 혁명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프랑스 혁명 · 더보기 »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랑스 혁명 전후에 활약한 주요 인물을 정치적 입장 등을 참고로 하여 분류하였.

새로운!!: 왕정복고와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 더보기 »

토리당

리당(Tory Party)은 한때 잉글랜드 왕국의 정당이었.

새로운!!: 왕정복고와 토리당 · 더보기 »

항해법

항해법(Navigation Acts)은 1651년부터 1673년까지 식민지에서의 중상주의(mercantilism)를 강화하기 위해 잉글랜드 의회가 1651년부터 1673년까지 아홉 차례에 걸쳐 개정하고, 보강한 법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항해법 · 더보기 »

해리 파크스

리 스미스 파크스(Sir Harry Smith Parkes, CGMG, KCB, 1828년 2월 24일 – 1885년 3월 22일) 경은 영국의 대중국 외교관으로 애로호 사건을 크게 불려 제2차 아편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해리 파크스 · 더보기 »

식산흥업

마에다 마사나 식산흥업(殖産興業)은 메이지 정부가 서양 제국에 맞서 산업, 자본주의를 육성하여 국가의 근대화를 추진한 여러 정책을 가리.

새로운!!: 왕정복고와 식산흥업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황제 · 더보기 »

왕당파

왕당파(王黨派)는 군주제의 유지나, 군주에 의한 통치(친정)를 주장하는 정치 당파이.

새로운!!: 왕정복고와 왕당파 · 더보기 »

1661년 잉글랜드 총선

1661년, 찰스 2세는 왕정복고 후 의회를 소집해 왕은 의회 활동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선포함으로써 의회와의 조심스런 한계를.

새로운!!: 왕정복고와 1661년 잉글랜드 총선 · 더보기 »

1795년 프랑스 총재선거

1795년 프랑스 총선은 1795년 10월 20일에 치러진 선거로, 공화력 3년 헌법에 따른 제한선거로 오백인회 중 150인을 선.

새로운!!: 왕정복고와 1795년 프랑스 총재선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복벽, 왕정 복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