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1 처지: 람다 환, 리 대수 값 미분 형식, 리 쌍대대수, 미분 등급 대수, 미분 형식, 거스틴해버 대수, 베유 대수, 벡터 값 미분 형식, 벡터곱, 결합 대수, 게이지 이론, 그람 행렬, 대칭 대수, 내부곱, 내적 공간, 등급 대수, 단체 집합, 단순 리 초대수, 스핀 접속,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클리퍼드 대수, 일반화 복소다양체, 천 지표, 천-사이먼스 형식, 초다양체, 콤팩트 리 군, 코쥘 복합체, 코쥘 쌍대성, 위상 끈 이론, 호흐실트 호몰로지, 호지 추측, 헤르만 그라스만, 표준 선다발, 삼중곱, 설리번 대수, 세타 함수, 텐서, 텐서 대수, 셔플 순열, 11차원 초중력, 2차원 𝒩=2 초등각 장론.
람다 환
환대수학과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람다 환(λ環)은 벡터 공간의 외대수 연산과 유사한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일련의 연산들이 부여된 가환환이.
보다 외대수와 람다 환
리 대수 값 미분 형식
학에서, 리 대수 값 미분 형식(Lie代數값微分形式)은 리 대수인 자명한 벡터 다발의 값의 미분 형식이.
리 쌍대대수
리 대수 이론에서, 리 쌍대대수(Lie雙對代數)는 리 대수의 정의를 쌍대화하여 얻어지는 쌍대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리 쌍대대수
미분 등급 대수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미분 등급 대수(微分等級代數,, 약자 DGA)는 곱규칙을 만족시키는 공경계 연산이 주어진 공사슬 복합체이.
미분 형식
미분기하학에서, 미분 형식(微分形式)은 매끄러운 다양체의 여접다발의 외승의 단면이.
보다 외대수와 미분 형식
거스틴해버 대수
상대수학과 대수적 위상수학 및 양자장론에서, 거스틴해버 대수()는 결합 법칙을 만족시키는 대수와 리 대수의 구조를 합친 대수 구조의 하나이.
베유 대수
리 대수 이론에서, 베유 대수(Weil代數)는 리 대수의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에서, 고차 코호몰로지가 모두 없어지게 생성원들을 추가하여 얻는 미분 등급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베유 대수
벡터 값 미분 형식
미분기하학에서, 벡터 값 미분 형식(vector값微分形式)의 개념은 미분 형식의 개념의 일종의 일반화이.
벡터곱
벡터곱(vector곱) 또는 외적(外積)은 수학에서 3차원 공간의 벡터들간의 이항연산의 일종이.
보다 외대수와 벡터곱
결합 대수
상대수학에서, 결합 대수(結合代數)는 결합 법칙을 만족시키는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결합 대수
게이지 이론
양자장론에서, 게이지 이론()이란 그 라그랑지언이 국소적으로 대칭인 장론이.
보다 외대수와 게이지 이론
그람 행렬
실수체에서 정의하는경우, 그람 매트릭스(그람 행렬) G 는 어떤 벡터 M 과 그들의 집합 V를 예약했을때, 이들의 내적 곱의 모든 경우의 행렬 표현이.
보다 외대수와 그람 행렬
대칭 대수
상대수학에서, 대칭 대수(對稱代數)는 벡터 공간(또는 가군)으로부터 생성되는 가환 결합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대칭 대수
내부곱
미분기하학에서, 내부곱(內部곱)은 벡터장과 미분 형식 사이에 정의되는, 일종의 대수적 미분 연산이.
보다 외대수와 내부곱
내적 공간
적을 사용하여 정의한, 두 벡터 사이의 각도의 기하학적 해석 선형대수학과 함수해석학에서, 내적 공간(內積空間)은 두 벡터의 쌍에 스칼라를 대응시키는 일종의 함수가 주어진 벡터 공간이.
보다 외대수와 내적 공간
등급 대수
환론에서, 등급 대수(等級代數)는 그 원소들이 어떤 등급(等級)을 가진 결합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등급 대수
단체 집합
호모토피 이론에서, 단체 집합(單體集合)은 위상 공간의 조합론적인 표현의 일종이.
보다 외대수와 단체 집합
단순 리 초대수
리 초대수 이론에서, 단순 리 초대수(單純Lie超代數)는 자명하지 않은 아이디얼을 갖지 않는 리 초대수이.
스핀 접속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스핀 접속(spin接續)은 스피너 다발 위에 존재하는 코쥘 접속이.
보다 외대수와 스핀 접속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상대수학에서,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Chevalley-Eilenberg代數)는 리 대수에 대하여 대응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
클리퍼드 대수
환론에서, 클리퍼드 대수(Clifford代數)는 이차 형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결합 대수의 한 종류이.
보다 외대수와 클리퍼드 대수
일반화 복소다양체
미분기하학에서, 일반화 복소다양체(一般化複素多樣體)는 복소다양체와 심플렉틱 다양체의 공통적인 일반화이.
천 지표
수적 위상수학에서, 천 지표(指標)는 복소수 벡터 다발에 대응되는 유리수 계수 특성류이.
보다 외대수와 천 지표
천-사이먼스 형식
미분위상수학에서, 천-사이먼스 형식(-Simons型式)은 리 대수 값 미분 형식 또는 주접속으로부터 주어지는, 매끄러운 다양체의 위상수학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홀수 차수의 미분 형식이.
초다양체
양체(超多樣體)는 초대칭을 고려하여 다양체의 개념을 일반화시킨 것이.
보다 외대수와 초다양체
콤팩트 리 군
리 군론에서, 콤팩트 리 군(compact Lie群)은 콤팩트 공간인 리 군이.
보다 외대수와 콤팩트 리 군
코쥘 복합체
환대수학에서, 코쥘 복합체(Koszul複合體)는 가환환의 가군 및 가군의 특별한 원소로부터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코쥘 복합체
코쥘 쌍대성
수학에서, 코쥘 쌍대성(Koszul雙對性)은 결합 대수와 결합 대수 사이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오퍼라드와 오퍼라드 사이의 쌍대성 이론이.
보다 외대수와 코쥘 쌍대성
위상 끈 이론
이론물리학에서, 위상 끈 이론(位相끈理論)는 끈 이론의 단순한 종류의 하나이.
보다 외대수와 위상 끈 이론
호흐실트 호몰로지
상대수학에서,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가환환 위의 결합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이론이.
호지 추측
호지 추측(Hodge推測)은 대수기하학에서 복소수체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의 코호몰로지에 대한 주요 미해결 문제이.
보다 외대수와 호지 추측
헤르만 그라스만
헤르만 귄터 그라스만(1809년 4월 15일 ~ 1877년 9월 26일)은 독일의 수학자이자 언어학자이.
표준 선다발
수기하학에서, 표준 선다발(標準線다발) 또는 표준 선속(標準線束)은 켈러 미분의 층의 최고차 외부 거듭제곱이.
보다 외대수와 표준 선다발
삼중곱
삼중곱(triple product) 또는 삼중 벡터곱(triple vector product)는 벡터 미적분학에서 벡터 3개를 곱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스칼라 삼중곱과 벡터 삼중곱 2가지가 있.
보다 외대수와 삼중곱
설리번 대수
호모토피 이론에서, 설리번 대수(Sullivan代數)는 특별한 형태의 유리수 계수 가환 미분 등급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설리번 대수
세타 함수
수학에서 세타 함수()는 타원 곡선 또는 아벨 다양체 위의 선다발의 단면이.
보다 외대수와 세타 함수
텐서
수학과 물리학에서, 텐서(tensor)는 선형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적 대상이.
보다 외대수와 텐서
텐서 대수
선형대수학에서, 텐서 대수(tensor代數)는 어떤 벡터 공간 또는 가군 위의 원소들로부터 생성되는 비가환 다항식들로 구성되는 등급 단위 결합 대수이.
보다 외대수와 텐서 대수
셔플 순열
조합론에서, 셔플 순열()은 카드의 셔플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순열이.
보다 외대수와 셔플 순열
11차원 초중력
이론물리학에서, 11차원 초중력(十一次元超重力)은 (10,1)차원에 정의되는 초중력 이론이.
2차원 𝒩=2 초등각 장론
양자장론에서, 2차원 \mathcal N.
또한 그라스만 대수, 그라스만대수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