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요사

색인 요사

요사(遼史)는 중국의 정사인 이십사사(청나라 건륭제가 정한 24종의 기전체 역사서) 중의 하나로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역사를 다룬 116권의 사서이.

32 처지: 동주 (동경도), 명사 (역사서), 개주, 발해-요 전쟁, 발해고, 건주, 범어사, 고모한, 금나라, 금사, 낙랑군, 녹주, 요 성종, 요주, 이명 (고려), 이십사사, 전자사전과 사전편찬, 정사 (역사학), 중경도, 케레이트, 상경도, 현주 (랴오닝 성), 서경 압록부, 토크토아, 야율배, 야율균덕식, 야율대석, 야율누리사, 야율살랄덕, 야율살랄적, 한국한자어사전, 실위.

동주 (동경도)

동주(同州)는 요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동경도에 속. 진안군(鎭安軍)이라고도 하여 《요사》에는 동주 진안군으로 언급되어 있. 하급주로 절도사를 두었.

새로운!!: 요사와 동주 (동경도) · 더보기 »

명사 (역사서)

《명사》()은 중국 청나라 때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요사와 명사 (역사서) · 더보기 »

개주

주(開州)는 요나라가 동경도에 설치한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요사와 개주 · 더보기 »

발해-요 전쟁

발해-요 전쟁 (渤海國-遼國 戰爭)은 9세기 선왕 이후 해동성국 발해가 쇠퇴하던 10세기 이후부터 세력을 팽창하던 거란과 발해와의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요사와 발해-요 전쟁 · 더보기 »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새로운!!: 요사와 발해고 · 더보기 »

건주

주(乾州)는 요나라가 동경도에 설치한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요사와 건주 · 더보기 »

범어사

범어사(梵魚寺)는 부산 금정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요사와 범어사 · 더보기 »

고모한

모한(高模翰)은 발해 사람으로, 다른 이름은 송(松)이.

새로운!!: 요사와 고모한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새로운!!: 요사와 금나라 · 더보기 »

금사

《금사》(金史)는 중국의 이십사사 중 하나로서, 금나라에 대한 역사책이.

새로운!!: 요사와 금사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요사와 낙랑군 · 더보기 »

녹주

녹주(淥州)는 요나라가 동경도에 설치한 행정 구역 중 하나로 현재 압록강 유역에 설. 발해를 멸망시킨 이후 서경 압록부 일대에 설. 대연림의 난이 진압된 이후 이지역 주민들을 상경 역속현(易俗縣)으로 옮. 2,000호가 살았으며, 동경유수사 관할에 있었.

새로운!!: 요사와 녹주 · 더보기 »

요 성종

요 성종 야율융서(遼聖宗 耶律隆緒, 971년 - 1031년)는 요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982년 ~ 1031년)이.

새로운!!: 요사와 요 성종 · 더보기 »

요주

요주(遼州)는 요나라가 동경도에 설치한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요사와 요주 · 더보기 »

이명 (고려)

이명(李茗, ? - ?)은 고려 말의 기인이.

새로운!!: 요사와 이명 (고려) · 더보기 »

이십사사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역사서 24종의 통칭이.

새로운!!: 요사와 이십사사 · 더보기 »

전자사전과 사전편찬

전자사전(電子辭典)은 책으로 만들어 놓은 일반 사전이나 백과사전을 하드디스크나 CD-ROM등과 같은 전자기록 매체를 통해 구축하여 컴퓨터로 이용할 수 있는 사전을 말. 종이의 인쇄매체를 통하여 만들어진 책으로 된 사전의 내용을 컴퓨터 저장 장치 등과 같은 기억 매체에 축적하여 전자화한 사전.

새로운!!: 요사와 전자사전과 사전편찬 · 더보기 »

정사 (역사학)

정사(正史)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편찬한 역사서 또는 역사적 사실을 말. 중국·한국·일본 등에서 주로 등장한 개념으로 특정한 왕조 또는 시대의 역사를 주로 기전체(紀傳體) 형식으로 편찬한 국가 공인 역사서이.

새로운!!: 요사와 정사 (역사학) · 더보기 »

중경도

중경도(中京道)는 요나라가 세운 5도 중 하나였.

새로운!!: 요사와 중경도 · 더보기 »

케레이트

이트()는, 몽골 제국 이전 시대에 몽골 고원 중북부 한가이 산맥 부근에 흩어져 살던 유목민 부족의 집단이.

새로운!!: 요사와 케레이트 · 더보기 »

상경도

상경도(上京道)는 요나라가 설치한 5도 중의 하나였.

새로운!!: 요사와 상경도 · 더보기 »

현주 (랴오닝 성)

현주(顯州)는 요나라가 동경도에 설치한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요사와 현주 (랴오닝 성) · 더보기 »

서경 압록부

서경 압록부(西京鴨綠府)는 발해의 중요 도시인 5경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요사와 서경 압록부 · 더보기 »

토크토아

아 (1314년 ~ 1355년)는 원나라의 승상이자 권신이.

새로운!!: 요사와 토크토아 · 더보기 »

야율배

야율배(耶律倍, 900년 ~ 937년)는 거란 동란국의 군주였.

새로운!!: 요사와 야율배 · 더보기 »

야율균덕식

야율균덕식(耶律勻德寔,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요사와 야율균덕식 · 더보기 »

야율대석

야율 대석(耶律大石, 1087년 ~ 1143년, 재위: 1132년 ~ 1143년)은 요나라의 황족 출신이며, 서요(西遼)의 초대 황제.

새로운!!: 요사와 야율대석 · 더보기 »

야율누리사

야율누리사(耶律耨里思, ? ~ ?)는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요사와 야율누리사 · 더보기 »

야율살랄덕

야율살랄덕(耶律薩剌德,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요사와 야율살랄덕 · 더보기 »

야율살랄적

야율살랄적(耶律撒剌的, ? ~ ?)은 당나라 시대 거란 질랄부(迭剌部)의 족장(夷离)이었.

새로운!!: 요사와 야율살랄적 · 더보기 »

한국한자어사전

thumb 『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은 한국에서 만든 한국식 한자와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한국식 한자용어 등을 집대성하여 편찬한 한국식 한자 사전이.

새로운!!: 요사와 한국한자어사전 · 더보기 »

실위

실위(室韋, 병음:Shìwéi)는 6세기에서 10세기까지 중국 동북부의 넌장 강, 아르군 강, 흑룡강 유역에 존재했던 민족이.

새로운!!: 요사와 실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