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원효

색인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154 처지: 도선비기, 마하연사, 무량수경종요, 무등산, 무속신앙, 무애무, 문무왕, 묘법연화경, 백강 전투, 백결 선생, 백씨 (백제), 발출론, 반야사, 박병호 (배우), 강수 (신라),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시, 견신라사, 경주 설씨, 경주향교, 경주테디베어박물관, 경산시, 번뇌, 번뇌장과 소지장, 범망경, 범어사, 법성종, 고려-거란 전쟁, 고려의 불교, 고묘 황후, 고구려-당 전쟁, 고양 흥국사 약사전, 곡성 도림사, 보리암 (남해군), 보살계본, 보살영락본업경, 공 (불교), 관념론, 불교 용어 목록/ㄷ, 분황사, 부은사, 기림사, 기장군, 금강삼매경론, 금탑사, 금산 (경상남도), 금산군, 김흠운, 김유신, 대운산, ..., 대승불교,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소,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불교총화종, 대한불교원효종, 대한불교화엄종, 국제 태권도 연맹,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다이쇼 신수 대장경, 운제산, 요석공주, 자재암, 장일남, 장안사 (기장군), 임혁, 포항 오어사 대웅전, 평로, 흥국사 (고양시), 이 달의 문화 인물, 이광수, 이장 (불교), 이지훈 (연예인), 이상현 (배우), 의상 (신라), 적멸보궁,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전무송, 정토 사상, 정토교, 종교학, 주류성, 진한 6부, 지통, 청도 적천사 대웅전, 천년의 신화, 천성산, 초롱이의 옛날여행, 초발심자경문, 파라마르타, 위파사나, 상주면, 샤스트라, 태종무열왕, 탄문, 투리야, 오미노 미후네, 오교 구산, 오주지번뇌, 오어지, 혜공, 최범술, 향일암, 양평읍,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양산 내원사, 양산시,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열반종요, 표충사 (밀양시), 삼막사,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삼국 시대의 불교, 삼국기, 설 (성씨), 설총, 성골과 진골, 서학 (배우), 소요산, 통일신라의 불교, 함안 원효암 칠성각, 해동 (별칭), 해동고승전,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한국의 고대 인명,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불교,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용운, 한일 관계, 아뢰야식, 아스카 시대, 아슈바고샤, 신라, 신라의 불교, 신라의 대외 관계, 신륵사, 신목왕후, 신자연주의, 신암행어사, 심의식, 원효로, 원효로동, 원효학술상, 원측, 화엄종, 화암사 (전북 완주군), 완주 화암사 극락전,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4 더) »

도선비기

《도선비기》(道詵秘記)는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도선(道詵, 827~898)이 지었다고 전하는 풍수서로 현재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고려사》에 언급된 것이 있을 뿐이.

새로운!!: 원효와 도선비기 · 더보기 »

마하연사

마하연사(摩訶衍寺) 또는 마가연사는 강원도 금강산의 내금강 지역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마하연사 · 더보기 »

무량수경종요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는 신라의 고승 원효가 《무량수경》에 대하여 논술한 책이.

새로운!!: 원효와 무량수경종요 · 더보기 »

무등산

무등산(無等山)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화순군 · 담양군에 걸쳐 있는 해발 1,187m의 산이.

새로운!!: 원효와 무등산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원효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무애무

무애무는 한국의 전통 무용의 하나이.

새로운!!: 원효와 무애무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원효와 문무왕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원효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원효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결 선생

백결(百結, 414년 ~ ?) 또는 백결 선생(百結 先生)은 신라 전기의 거문고 명수이.

새로운!!: 원효와 백결 선생 · 더보기 »

백씨 (백제)

백씨(苩氏)는 백제의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원효와 백씨 (백제) · 더보기 »

발출론

발출론(發出論, Emanationism) 또는 유출설(流出說)은 샘에서 물이 흘러나오듯이 세계의 본원이 세계와 만물을 구성하는 에너지와 질료를 정묘한 상태에서 거친 상태로 계층적 또는 단계적으로 발출 또는 유출시켜 물질 우주의 세계와 만물을 현현시키고 성립시키며, 또한 이렇게 성립된 정묘한 상태로부터 거친 상태로의 계층적단계적 구조와 질서를 통해 우주 전체를 운행한다는 이론 또는 교의이.

새로운!!: 원효와 발출론 · 더보기 »

반야사

반야사(般若寺)는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반야사 · 더보기 »

박병호 (배우)

박병호(朴炳浩, 1937년 7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연기자, 영화배우이.

새로운!!: 원효와 박병호 (배우) · 더보기 »

강수 (신라)

강수(强首,? ~ 692년)는 신라의 유학자·문장가이.

새로운!!: 원효와 강수 (신라)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 표충사 대광전(密陽 表忠寺 大光殿)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원효와 밀양 표충사 대광전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효와 밀양시 · 더보기 »

견신라사

신라사()는, 고대 일본에서 신라로 파견했던 사절이.

새로운!!: 원효와 견신라사 · 더보기 »

경주 설씨

경주 설씨(慶州 薛氏 / 慶州 偰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원효와 경주 설씨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원효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주테디베어박물관

경주테디베어박물관은 경상북도 경주시 북군동 보문로에 있는 테디 베어 박물관이.

새로운!!: 원효와 경주테디베어박물관 · 더보기 »

경산시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효와 경산시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원효와 번뇌 · 더보기 »

번뇌장과 소지장

번뇌장(煩惱障)소지장(所知障)의 2장(二障,, dvidhā-dauṣṭhulya,,, two obstructions, two impediments)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원효와 번뇌장과 소지장 · 더보기 »

범망경

《범망경 노사나불설 보살심지계품 제십》(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K.0527, T.1484), 줄여서 《범망경》(梵網經)은 계율이 정리되어 있는 대승불교의 불경이.

새로운!!: 원효와 범망경 · 더보기 »

범어사

범어사(梵魚寺)는 부산 금정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범어사 · 더보기 »

법성종

법성종(法性宗)은 일체 만유(萬有)는 같은 법성을 가졌고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이.

새로운!!: 원효와 법성종 · 더보기 »

고려-거란 전쟁

-거란 전쟁은 993년, 1010년, 1019년에 고려와 거란의 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원효와 고려-거란 전쟁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원효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고묘 황후

묘 황후(다이호(大宝) 원년(701년) ~ 덴표호지(天平宝字) 4년(760년) 6월 7일(양력 7월 27일))은,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의 인물이.

새로운!!: 원효와 고묘 황후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원효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양 흥국사 약사전

양 흥국사 약사전(高陽 興國寺 藥師殿)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에 있는 약사전이.

새로운!!: 원효와 고양 흥국사 약사전 · 더보기 »

곡성 도림사

림사(道林寺)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곡성 도림사 · 더보기 »

보리암 (남해군)

보리암은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한 절이.

새로운!!: 원효와 보리암 (남해군) · 더보기 »

보살계본

보살계본(菩薩戒本)은 대승불교의 계율인 보살계가 정리되어 있는 불경이.

새로운!!: 원효와 보살계본 · 더보기 »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새로운!!: 원효와 보살영락본업경 · 더보기 »

공 (불교)

공(空)은 순야타()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

새로운!!: 원효와 공 (불교) · 더보기 »

관념론

제임스 진스는 "우주가 거대한 기계라기보다는 거대한 정신처럼 보이기 시작한다"라고 기술하였다. 관념론(觀念論)은 실체 또는 우리가 알 수 있는 실체는 근본적으로 정신적이거나 정신적으로 구성되었거나 또는 비물질적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이.

새로운!!: 원효와 관념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ㄷ

(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의 상속, 업(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

새로운!!: 원효와 불교 용어 목록/ㄷ · 더보기 »

분황사

분황사(芬皇寺)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분황사 · 더보기 »

부은사

부은사(父恩寺)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안태리 천태산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부은사 · 더보기 »

기림사

림사(祗林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의 함월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기림사 · 더보기 »

기장군

장군청사 기장군(機張郡)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원효와 기장군 · 더보기 »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은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금강삼매경》의 해석서이.

새로운!!: 원효와 금강삼매경론 · 더보기 »

금탑사

탑사(金塔寺)는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천등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금탑사 · 더보기 »

금산 (경상남도)

산(錦山)은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있는 높이 681m의 산이.

새로운!!: 원효와 금산 (경상남도) · 더보기 »

금산군

산군(錦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원효와 금산군 · 더보기 »

김흠운

흠운(金歆運, ? - 655년)은 신라 중기의 왕족 출신 장군이.

새로운!!: 원효와 김흠운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원효와 김유신 · 더보기 »

대운산

운산(大雲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양산시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원효와 대운산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원효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원효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승기신론소

《기신론소(起信論疏)》 또는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는 7세기 남북국 시대 신라(668-935)의 고승인 원효(元曉, 617-686)가 저술한 불교 논서로, 전통적으로 마명 보살의 저술로 여기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해석서("소疏")이.

새로운!!: 원효와 대승기신론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원효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불교총화종

불교 총화종(大韓佛敎總和宗)은 1969년 12월 30일 서울 종로구 연지동 40에 최득연(崔得淵)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원효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원효와 대한불교총화종 · 더보기 »

대한불교원효종

불교 원효종(大韓佛敎元曉宗)은 1963년 12월 6일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에서 김경담(金敬潭)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원효사상계(元曉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원효와 대한불교원효종 · 더보기 »

대한불교화엄종

불교 화엄종(大韓佛敎華嚴宗)은 1966년 10월 21일 인천시 신흥동 1가 4에서 한영석(韓永錫) 종사가 창종하였고 원효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원효와 대한불교화엄종 · 더보기 »

국제 태권도 연맹

국제 태권도 연맹(國際跆拳道聯盟,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은 1966년 3월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인 최홍희가 주축이 되어 설립한 국제 태권도 단체이.

새로운!!: 원효와 국제 태권도 연맹 · 더보기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 유홍준이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화유산을 답사하며 관련된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소개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설명한 기행문이.

새로운!!: 원효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더보기 »

다이쇼 신수 대장경

이쇼 신수 대장경()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

새로운!!: 원효와 다이쇼 신수 대장경 · 더보기 »

운제산

운제산정상비 운제산(雲梯山)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와 대송면 산여리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원효와 운제산 · 더보기 »

요석공주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

새로운!!: 원효와 요석공주 · 더보기 »

자재암

자재암(自在庵)은 소요산에 위치한 신라 무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고찰로 원효대사와 요석공주가 기거했다는 전설 때문인지 무수한 승려들이 수도차 거쳐가는 곳으로도 유명.

새로운!!: 원효와 자재암 · 더보기 »

장일남

장일남(張一男, 1932년 2월 2일 ~ 2006년 9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작곡가, 지휘자, 음악가, 대학 교수이며 본관은 결성(結城)이.

새로운!!: 원효와 장일남 · 더보기 »

장안사 (기장군)

장안사(長安寺)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2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장안사 (기장군) · 더보기 »

임혁

임혁(任革, 본명: 임정혁(任政爀), 1949년 5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원효와 임혁 · 더보기 »

포항 오어사 대웅전

항 오어사 대웅전(浦項 吾魚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어사에 있는 대웅전이.

새로운!!: 원효와 포항 오어사 대웅전 · 더보기 »

평로

300px 평로(open hearth furnace)은 1회에 다량의 용강을 얻는 노로이거나, 대형은 50~500ton, 중형은 10~25ton, 소형은 3~5ton 정도로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예열하는 축열신과 원효를 용해하는 반사로 설도 있. 분류:기술 분류:제강 분류:공업요로.

새로운!!: 원효와 평로 · 더보기 »

흥국사 (고양시)

흥국사(興國寺)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흥국사 (고양시)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원효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원효와 이광수 · 더보기 »

이장 (불교)

2장(二障,, dvidhā-dauṣṭhulya,,, two obstructions, two impediments)은 2애(二礙)라고도 하는데, 가로막아 앎성취 또는 발현을 방해한다는 장애(障礙)의 뜻에서 번뇌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원효와 이장 (불교) · 더보기 »

이지훈 (연예인)

이지훈(李志勳, 1979년 3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이.

새로운!!: 원효와 이지훈 (연예인) · 더보기 »

이상현 (배우)

《이상현(1977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이.

새로운!!: 원효와 이상현 (배우)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원효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적멸보궁

적멸보궁(寂滅寶宮)은 신라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원효와 적멸보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원효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전무송

전무송(全茂松, 1941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원효와 전무송 · 더보기 »

정토 사상

정토 사상(淨土思想)은 아미타불과 같은 부처나 미륵보살과 같은 보살들이 거주하고 있는 청정한 세계인 정토(淨土Pure land)에 대해 전개된 대승불교의 사상이.

새로운!!: 원효와 정토 사상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원효와 정토교 · 더보기 »

종교학

양한 종교들의 상징 종교학(宗敎學)은 종교에 대한 학문이.

새로운!!: 원효와 종교학 · 더보기 »

주류성

주류성(周留城)은 백제의 성이.

새로운!!: 원효와 주류성 · 더보기 »

진한 6부

6부(辰韓六部) 또는 사로 6촌은 현재 한반도 동남쪽에 있었던 부족연맹체 진한에서 신라의 기반이 된 서라벌의 여섯 부락이며, 씨족 집단으로 육촌(六村) 또는 육부촌(六部村)이.

새로운!!: 원효와 진한 6부 · 더보기 »

지통

통(智通, ? ~ ?)은 신라 성덕왕 때의 승려이.

새로운!!: 원효와 지통 · 더보기 »

청도 적천사 대웅전

청도 적천사 대웅전(淸道 磧川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 적천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원효와 청도 적천사 대웅전 · 더보기 »

천년의 신화

의 신화는 대한민국의 게임 회사 HQ팀이 제작한 RTS게임이.

새로운!!: 원효와 천년의 신화 · 더보기 »

천성산

성산(千聖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높이 920.17m의 산이.

새로운!!: 원효와 천성산 · 더보기 »

초롱이의 옛날여행

《초롱이의 옛날여행》은 한국의 역사적 위인들을 소재로 한 교육용 만화영화를 말. 한국방송공사와 애니메이션 전문제작업체인 세영애니텔이 공동으로 제작하였.

새로운!!: 원효와 초롱이의 옛날여행 · 더보기 »

초발심자경문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은 불교 입문서로 세 가지 글로 이루어진 책이.

새로운!!: 원효와 초발심자경문 · 더보기 »

파라마르타

마르타(499-569)는 인도의 승려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현장(玄奘: 602-664)불공(不空: 705-774)과 함께 중국 불교의 4대 역경사 중의 한 명이.

새로운!!: 원효와 파라마르타 · 더보기 »

위파사나

위파사나(위빠사나, 위빠싸나, Vipassanā, विपश्यना, 觀, Vipaśyanā) 또는 관(觀)은 불교의 명상법이.

새로운!!: 원효와 위파사나 · 더보기 »

상주면

상주면(尙州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의 면이.

새로운!!: 원효와 상주면 · 더보기 »

샤스트라

샤스트라(는 일반적인 의미로는 "교육지식규칙"을 뜻하는 산스크리트 낱말이다. 이 낱말은 일반적인 용도로는 실용적인 분야의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문헌들의 제목에서 끝에 붙는 단어로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바스투샤스트라아르타샤스트라 등이 있다. 이런 일반적인 용법이 확대되어 "샤스트라"는 특정 교의 또는 사상을 해설하는 불교 또는 힌두교의 논서(論書)를 가리키는 낱말로 사용되었으며, 위의 일반적인 뜻보다 이런 뜻으로 더 자주 사용된다. 특히, 불교의 경우 "샤스트라"는 특정 수트라(Sutra), 즉, 특정 불교 경전에 대한 주석서를 의미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 불교 경전은 붓다의 지위에 도달한 존재가 설한 것을 기록한 문헌을 뜻한다. 예를 들어, 용수의 《대지도론》과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은 각각 고타마 붓다 또는 붓다의 지위에 속한 존재들이 설한 《반야경》과 《금강삼매경》의 주석서이다. 이 때문에 경(經)이라고 하지 않고 론(論)이라고 한다. 분류:산스크리트어 낱말 분류:고대 법전 분류:불교 용어 분류:힌두교 용어.

새로운!!: 원효와 샤스트라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원효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탄문

문(坦文, 900년~975년)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원효와 탄문 · 더보기 »

투리야

리야(Turiya)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네 번째" 또는 "넷"이.

새로운!!: 원효와 투리야 · 더보기 »

오미노 미후네

《전현고실(前賢故實)》에 실린 오미노 미후네의 초상화. 오미노 미후네(722년 ~ 785년)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

새로운!!: 원효와 오미노 미후네 · 더보기 »

오교 구산

오교 구산(五敎九山)은 신라 중기에 성립된 교종의 5교와 신라 말기와 고려 초에 성립된 선종의 9산을 통칭하여 부르는 낱말이.

새로운!!: 원효와 오교 구산 · 더보기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five entrenchments of mental disturbanc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원효와 오주지번뇌 · 더보기 »

오어지

오어지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에 있는 연못으로 냉천의 지류인 신광천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 특히 이곳에는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는 오어사가 있.

새로운!!: 원효와 오어지 · 더보기 »

혜공

혜공(惠空: fl. 7세기 후반)은 신라 중기의 승려이.

새로운!!: 원효와 혜공 · 더보기 »

최범술

범술(崔凡述, 1904년 5월 26일 사천 ~ 1979년 7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불교 승려이며 제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원효와 최범술 · 더보기 »

향일암

향일암(向日庵)은 지방문화재 제40호로 낙산사의 홍연암, 남해 금산 보리암, 강화도 보문암과 함께 한국의 4대 관음기도처 중 하나이.

새로운!!: 원효와 향일암 · 더보기 »

양평읍

양평읍(楊平邑)은 경기도 양평군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원효와 양평읍 · 더보기 »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梁山 彌陀庵 石造阿彌陀如來立像)은 경상남도 양산시 미타암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석조 아미타불 입상이.

새로운!!: 원효와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더보기 »

양산 내원사

원사(內院寺)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양산 내원사 · 더보기 »

양산시

양산시청 양산시(梁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원효와 양산시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원효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원효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열반종요

《열반종요(涅槃宗要)》는 신라의 고승 원효가 지은 책으로 《대반열반경》을 요약한 책이.

새로운!!: 원효와 열반종요 · 더보기 »

표충사 (밀양시)

PAGENAMEBASE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표충사 (밀양시) · 더보기 »

삼막사

삼막사(三幕寺)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삼성산 기슭에 있는 산사(山寺)이자,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本寺)인 용주사의 말사(末寺)이.

새로운!!: 원효와 삼막사 · 더보기 »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음은 삼국시대 주요 인물들의 목록이.

새로운!!: 원효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불교

이 문서는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에 전개된 불교를 설명.

새로운!!: 원효와 삼국 시대의 불교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원효와 삼국기 · 더보기 »

설 (성씨)

설(薛, 偰)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원효와 설 (성씨)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원효와 설총 · 더보기 »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새로운!!: 원효와 성골과 진골 · 더보기 »

서학 (배우)

서학(徐學, 1952년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원효와 서학 (배우) · 더보기 »

소요산

소요산(逍遙山)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해발 고도 536m의 산이.

새로운!!: 원효와 소요산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원효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함안 원효암 칠성각

안 원효암 칠성각(咸安 元曉庵 七星閣)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효암에 있는 원효대사와 의상대사가 수도하던 곳이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원효와 함안 원효암 칠성각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원효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은 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고려 고종 2년(1215)에 각훈(覺訓)이 편찬한 현존하는 책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승려 전기이.

새로운!!: 원효와 해동고승전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불교에서는 때로는 새로운 종파가 성립되기도 하고 때로는 기존의 종파들이 통합되기도 하면서 여러 종파들이 성립발전하였.

새로운!!: 원효와 한국 불교의 종파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이 문서는 한국의 역대 불교 종파와 해당 종파의 시조(始祖)를 가나다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

새로운!!: 원효와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원효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원효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의 고대 인명

국의 고대 인명(韓國의 古代 人名)은 중국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한반도에서 쓰이던 고유 인명체계를 말.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과 중국문물 수입에 따른 인명의 한화(漢化) 이전의 삼국시대 및 그 이전에는 고유어 인명이 널리 쓰였.

새로운!!: 원효와 한국의 고대 인명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원효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새로운!!: 원효와 한국의 불교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원효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원효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원효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원효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새로운!!: 원효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는 고훈 시대의 종말기와 겹치기도 하지만,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반에 걸쳐 아스카에 궁전, 도시가 세워진 시대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원효와 아스카 시대 · 더보기 »

아슈바고샤

아슈바고샤(Aśvaghoṣa, 80년-160년) 또는 마명(馬鳴)은 인도의 고전인 산스크리트 문학 최초의 불교 시인이.

새로운!!: 원효와 아슈바고샤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원효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원효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대외 관계

아래는 신라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원효와 신라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신륵사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 때 창건되었다고 여.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신륵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

새로운!!: 원효와 신륵사 · 더보기 »

신목왕후

신목왕후 김씨(神穆王后 金氏, 655년 이전 ~ 700년 6월 1일)는 신라 신문왕의 왕비이며, 효소왕과 성덕왕의 모후이.

새로운!!: 원효와 신목왕후 · 더보기 »

신자연주의

신자연주의 는 가나인 (미학자) (본명 전하현)에 의해1993년부터 시작된 미학과 예술운동이.

새로운!!: 원효와 신자연주의 · 더보기 »

신암행어사

신암행어사는 윤인완이 쓰고 양경일이 그린 만화로, 일본에서 연재되었고 한국으로는 정식 수입되었.

새로운!!: 원효와 신암행어사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원효와 심의식 · 더보기 »

원효로

원효로(元曉路)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암동 원효로 나들목에서 갈월동 남영역 사이를 잇는 도로이.

새로운!!: 원효와 원효로 · 더보기 »

원효로동

원효로동(元曉路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행정동 및 법정동이.

새로운!!: 원효와 원효로동 · 더보기 »

원효학술상

원효학술상은 불교 대중화에 앞장섰던 신라 승려 원효를 기리며 불교사상의 현대적 조명과 한국철학의 세계화를 주도할 인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대한불교진흥원과 원효학술상운영위원회가 2009년 제정한 학술상이.

새로운!!: 원효와 원효학술상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원효와 원측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원효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암사 (전북 완주군)

화암사(花岩寺)는 전라북도 완주군 경천면,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위치하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원효와 화암사 (전북 완주군) · 더보기 »

완주 화암사 극락전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은 전라북도 완주군 화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이.

새로운!!: 원효와 완주 화암사 극락전 · 더보기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18學年度 大學修學能力試驗, 2017년 수능)은 2017년 11월 23일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새로운!!: 원효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설서당, 서당화상, 소성거사, 원효 대사, 원효 스님, 원효보살, 원효대사, 원효사상, 원효사상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