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색인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1943년에서 1992년까지 발칸 반도에 존재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326 처지: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러시아의 대외 관계, 데얀, 데얀 다먀노비치, 데얀 스탄코비치, 데얀 야코비치, 독립기념일, 동계 올림픽,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동구권, 라도미르 안티치, 라도사브 페트로비치, 라미즈 알리아, 라디보예 마니치, 라트코 믈라디치,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로리크 차나, 로베르트 코렌,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루카 로트코비치, 루카 모드리치, 루카 밀리보예비치, 리타 오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마르코 판텔리치, 마리보르, 마리오 만주키치, 마리야 셰리포비치, 마린 오르슐리치, 마이다 브르호브니크, 마일린다 켈멘디, 마케도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장,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어, 마토 네레틀랴크, 마토 야얄로, 마테야 케주만, 멜라니아 트럼프, 모니카 셀레스,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1부 리그,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몬테네그로의 국기, 몬테네그로의 역사, 몬테네그로어, ..., 미랄렘 퍄니치, 미르코 부치니치,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미쇼 브레츠코,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민족 청소, 민주당 (세르비아), 믈라덴 페트리치,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발론 베흐라미, 발칸 반도, 바소 추브릴로비치, 밀란 로디치, 밀란 바델, 밀로시 라오니치, 밀로시 닌코비치, 밀로시 스토야노비치, 밀루틴 밀란코비치, 밀루틴 쿠카냐츠,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가힌샤 클럽, 베드란 유고비치, 베네치아줄리아, 베다드 이비셰비치, 벨레네, 경제상호원조회의, 벵가지, 범슬라브색, 고란 이바니셰비치, 고르돈 실덴펠트, 고리치아, 보라 밀루티노비치, 보루트 파호르,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보그단 밀리치,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보스니아인, 보이보디나 자치주 (1945년-1963년),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보얀 요키치, 보얀 사란, 보야나 노바코비치, 관세 무역 일반 협정, 분리주의, 부드바, 부크 예레미치, 기관단총 목록, 브란코 제베츠, 브란코 오블라크, 브리기타 부코베츠, 비밀 선거, 빅토르 트로이츠키, 국가 독립 연도에 따른 나라 목록, 두샨 바예비치, 내륙국,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나라별 해군 목록, 나타샤 도르치치, 나타샤 보이노비치, 드라간 믈라데노비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드라간 자이치,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드라잔 예르코비치, 드르바르, 네마냐 마티치, 네마냐 비디치, 네벤 수보티치, 네나드 밀리야시, 너지 임레, 노라 이스트레피, 노바고리차, 노바크 조코비치, 다리요 스르나, 다리오 비도시치, 다리오 시미치, 다리아 로렌치, 다보르 슈케르, 다닐로 튀르크,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니콜라 지기치, 니콜체 노베스키, FC 바이에른 뮌헨 선수 명단,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파르티잔, G15, HNK 리예카, 스릅스카 공화국, 스체판 메시치, 스코페, 스테비차 리스티치, 스티페 플레티코사, 슬라보예 지젝, 슬라브족이여,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슬로베니아의 국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우도 라테크, 우르슈카 졸니르, 우크라이나의 지역 구분, 우지체, 울리 회네스,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트리플 크라운 (농구), 요시프 브로즈 티토, 자스민 무이자, 자카 이흐베이셰,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페트라 치츠바리치, 크란스카,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크로아티아의 국가, 크로아티아의 국기, 크로아티아어, 크르스테 벨코스키, 흐바르섬, 이반 스트리니치, 이고르 마티치, 이보 요시포비치, 이비차 다치치, 이비차 올리치, 이탈리아의 역사, 이에리사, 이싸빅,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2-63,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6-67,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제난 라돈치치, 조란 렌둘리치, 조르게 이바노프, 종신형, 주르지차 베도브, 중소 분쟁, 즐라트코 데디치, 즐라트코 자호비치,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즐라탄 류비얀키치, 즐라탄 알로메로비치, 즈보니미르 보반, 지중해 및 중동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철문, 철십자 훈장, 체트니크, 축구 서포터, 카를로스 알론소 곤살레스,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 코토르, 코소보,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1946년-1974년),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유럽 야구 연맹, 유고,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교육,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유수프 다이치, 유엔 회원국,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 팀 마타브주, 옐레나 카를레우샤, 옐레나 얀코비치, 오그넨 코로만, 오드리 산토, 오스트리아의 연합군 군정기, 올림픽 메달 집계, 호자주의, 옛 나라 목록, 에르민 비착치치, 에미르 무탑치치, 에미르 바이라미, 에딘 비슈차, 에딘 제코, 역대 WTA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 풀라 영화제, 사라예보 포위전, 사미르 우이카니, 사보 밀로셰비치, 사회주의, 사회주의 국가, 사하로프상, 피란 만, 피오네르, 프라뇨 투지만,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프레디 보비치, 프리모르스카, 프리모시 코즈무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선거,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 세르비아 (동음이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세르비아 급진당, 세르비아 사회당,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세르비아인, 세르비아의 국기, 세르비아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야드 살리호비치, 토니 슈니치, 소련, 소련의 점령지, 야드란카 조키치,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야니차 코스텔리치, 야트 에어웨이스, 야이체, 알렌카 브라투셰크, 알렉산더 뢰어,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알바니아, 알치데 데 가스페리, 안드레 미야토비치, 안제 코피타르, 안톤 로프, 하리스 메두냐닌, 하산 살리하미지치, 아뎀 랴이치,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 아나 미하일로비치, 아나 이바노비치, 아드미르 메흐메디, 셰프키 쿠치, 테야 그레고린, 티토주의,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SFR, SRM, TT-33,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UEFA 유로 1972 예선, YU, 10일 전쟁, 11월 29일, 1978년 10월 콘클라베, 1978년 8월 콘클라베, 1984년 동계 올림픽,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89년 혁명, 1991년, 1991년 9월, 1992년, 1992년 4월, 1992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1992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복사, 8월 쿠데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6 더)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ŠK Slovan Bratislava)는 브라티슬라바를 연고로 하는 슬로바키아의 축구 클럽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더보기 »

러시아의 대외 관계

시아는 세계 1위 면적과 세계 9위 인구(1억 4200만명), 국내총생산(GDP) 1조 4200억 달러의 세계 12권 경제대국으로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 또한 천연자원이 풍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러시아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데얀

얀(‘무언가를 하기 위하여 행동하는 것’이라는 뜻)는 슬라브어권에서 쓰이는 이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데얀 · 더보기 »

데얀 다먀노비치

얀 다먀노비치 (1981년 7월 27일 ~)는 보스니아계 몬테네그로 국적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데얀 다먀노비치 · 더보기 »

데얀 스탄코비치

얀 스탄코비치 (1978년 9월 11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데얀 스탄코비치 · 더보기 »

데얀 야코비치

얀 야코비치(1985년 7월 16일 ~)는 캐나다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데얀 야코비치 · 더보기 »

독립기념일

공식적인 국경일 없음 독립기념일(獨立記念日)은 다른 나라의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독립기념일 · 더보기 »

동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은 4년마다 개최되는 겨울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보통 하계 올림픽과는 달리, 윤년이 아닌 짝수 해 2월에 열린.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동계 올림픽 · 더보기 »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동부 전선은 추축국 및 공동 교전국 핀란드가 소련,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를 비롯한 다른 연합국과 싸운 전역을 일컫.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동구권

동구권의 영역도. 동구권(東歐圈), 공산권(共産圈), 또는 소비에트 블록(Soviet bloc)은 과거 동유럽과 중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을 일컫는 말로, 바르샤바 조약의 가맹국과 더불어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 를 이르는데, 유고슬라비아는 1948년에, 알바니아는 1960년에 소비에트 연방과 결별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동구권 · 더보기 »

라도미르 안티치

미르 안티치 (1948년 11월 22일 ~)는 세르비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현재 중국 슈퍼리그의 허베이 중지의 감독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도미르 안티치 · 더보기 »

라도사브 페트로비치

사브 "라차" 페트로비치 (Radosav "Raća" Petrović, Радосав Петровић Раћа, 1989년 3월 8일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프리메이라리가의 클럽 스포르팅 CP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고 있.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2009년에 데뷔했으며, 현재 (2016년 기준) 까지 44경기에서 2골을 넣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도사브 페트로비치 · 더보기 »

라미즈 알리아

미즈 알리아 (Ramiz Tafë Alia, 1925년 10월 18일 ~ 2011년 10월 7일) 는 알바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미즈 알리아 · 더보기 »

라디보예 마니치

보예 마니치(1972년 1월 16일 ~)은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디보예 마니치 · 더보기 »

라트코 믈라디치

믈라디치 라트코 믈라디치 (Ratko Mladić, 1942년 3월 12일 ~) 는 유고슬라비아 및 스릅스카 공화국의 군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트코 믈라디치 · 더보기 »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자르 콜리셰프스키(1914년 2월 12일 ~ 2000년 6월 6일)는 유고슬라바아의 제 2대 대통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라자르 콜리셰프스키 · 더보기 »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The Lexus and the Olive Tree)는 미국의 언론인이자 뉴욕 타임즈의 컬럼니스트인 토머스 프리드먼의 1999년 책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 더보기 »

로리크 차나

리크 차나(Lorik Cana, 1983년 7월 27일, 코소보 프리슈티나 ~)는 알바니아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로리크 차나 · 더보기 »

로베르트 코렌

베르트 코렌(1980년 9월 20일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중앙 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로베르트 코렌 · 더보기 »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베르트 프로시네치키(1969년 1월 12일, 서독 슈베닝겐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감독 및 전 축구 선수로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 더보기 »

루카 로트코비치

비치 (1988년 7월 5일 ~)는 몬테네그로 국적의 축구 선수로, 현재 안산 그리너스 FC에서 포워드로 뛰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루카 로트코비치 · 더보기 »

루카 모드리치

모드리치 (1985년 9월 9일, 자다르 ~) 는 크로아티아의 프로 축구 선수로,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소속이며,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의 현 주장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루카 모드리치 · 더보기 »

루카 밀리보예비치

밀리보예비치 (1991년 4월 7일, 크라구예바츠 ~)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크리스털 팰리스에서 미드필더로 활약중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루카 밀리보예비치 · 더보기 »

리타 오라

리타 오라(Rita Ora, 1990년 11월 26일 ~)는 알바니아 계 코소보 인으로, 영국의 가수이자 배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리타 오라 · 더보기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홈구장 올드 트래퍼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풋볼 클럽()은 잉글랜드 맨체스터에 있는 잉글랜드 프로 축구 구단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마르코 판텔리치

마르코 판텔리치(1978년 9월 15일 ~)는 세르비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르코 판텔리치 · 더보기 »

마리보르

마리보르 마리보르의 위치 마리보르()는 슬로베니아 북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리보르 · 더보기 »

마리오 만주키치

마리오 만주키치 (IPA:, 1986년 5월 21일, 유고슬라비아 슬라본스키브로드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며, 현재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유벤투스 소속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리오 만주키치 · 더보기 »

마리야 셰리포비치

2009년의 마리야 셰리포비치 마리야 셰리포비치(Marija Šerifović, 세르비아어: Марија Шерифовић,, 1984년 11월 14일~)는 세르비아 출신의 가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리야 셰리포비치 · 더보기 »

마린 오르슐리치

마린 오르슐리치(1987년 8월 25일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수비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린 오르슐리치 · 더보기 »

마이다 브르호브니크

마이다 브르호브니크 마이다 브르호브니크(1922년 4월 14일 류블랴나 ~ 1945년 5월 4일 클라겐푸르트)는 슬로베니아의 의대생, 공산주의자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이다 브르호브니크 · 더보기 »

마일린다 켈멘디

마일린다 켈멘디(1991년 5월 9일 ~)는 알바니아와 코소보의 여자 유도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일린다 켈멘디 · 더보기 »

마케도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남동부 유럽 발칸 반도 한가운데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 더보기 »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장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장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장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대였던 1946년 7월 27일에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당시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의회를 통해 제정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장 · 더보기 »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은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그리스 북부에 있는 지명과 같은 국명을 사용하자, 그리스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라 이름을 변경하라고 요구하여 발생한 분쟁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 더보기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은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마케도니아인

마케도니아인()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주요 민족으로 남슬라브족을 가르키며,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민(시민권자)를 말. 그리고 두 번째 의미로는 고대 그리스 시기에 활동했던 마케도니아 왕국을 세운 그리스계의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을 가리.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인 · 더보기 »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마케돈스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공용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케도니아어 · 더보기 »

마토 네레틀랴크

마토 네레틀랴크(1979년 6월 3일 ~)는 은퇴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계 크로아티아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오라셰 출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토 네레틀랴크 · 더보기 »

마토 야얄로

마토 야얄로 (Mato Jajalo, 1988년, 5월 25일, 야이세 ~)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세리에 A의 팔레르모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토 야얄로 · 더보기 »

마테야 케주만

마테야 케주만(1979년 4월 12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제문 ~)은 은퇴한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마테야 케주만 · 더보기 »

멜라니아 트럼프

멜라니아 트럼프(Melania Trump, 1970년 4월 26일 ~)는 미국의 대통령 영부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멜라니아 트럼프 · 더보기 »

모니카 셀레스

모니카 셀레스(Monica Seles, 헝가리어: Szeles Mónika, 세르비아어: Моника Селеш, Monika Seleš,, 1973년 12월 2일 ~)는 은퇴한 미국 국적의 전 세계 랭킹 1위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모니카 셀레스 · 더보기 »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츠르나고라)는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의 아드리아 해 연안에 자리잡은 공화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 · 더보기 »

몬테네그로 1부 리그

몬테네그로 1부 리그 (세르비아어:Prva crnogorska fudbalska liga)는 몬테네그로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더보기 »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right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국기 (2004~2006년)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국기 (1993~2004년)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자치 공화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 ~ 2006년) · 더보기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은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로, SR 몬. 현 몬테네그로의 전신이며, 1943년에 세워져 1992년 해체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몬테네그로의 국기

20px 비율 1:2 세로 방향으로 게양된 국기 해군기 몬테네그로의 국기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이었던 2004년 7월 13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의 국기 · 더보기 »

몬테네그로의 역사

몬테네그로의 역사는 로마 제국의 한 지방이었던 달마티아에서 기원.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의 역사 · 더보기 »

몬테네그로어

몬테네그로어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몬테네그로의 공용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몬테네그로어 · 더보기 »

미랄렘 퍄니치

미랄렘 피야니치(1990년 4월 2일 ~)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미랄렘 퍄니치 · 더보기 »

미르코 부치니치

미르코 부치니치(Mиpкo Bучинић, 1983년 10월 1일 ~)는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로, 현재 아랍에미리트의 축구 클럽 알자지라 클럽 소속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미르코 부치니치 · 더보기 »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미르코 츠베트코비치(1950년 8월 16일 유고슬라비아 자예차르 ~)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 더보기 »

미쇼 브레츠코

미쇼 브레츠코 (Mišo Brečko, 1984년 5월 1일, 트르보플예 ~)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독일 분데스리가의 1. FC 뉘른베르크과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비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미쇼 브레츠코 · 더보기 »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미하일로 페트로비치(세르비아어: Михаило Петровић, 영어: Mihailo Petrović, 1957년 10월 18일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미하일로 페트로비치 · 더보기 »

민족 청소

인종청소(人種淸掃, ethnic cleansing)는 다른 민족 집단의 구성원을 강제로 제거하는 정책을 통틀어 일컫.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민족 청소 · 더보기 »

민주당 (세르비아)

민주당(民主黨)은 세르비아의 정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민주당 (세르비아) · 더보기 »

믈라덴 페트리치

믈라덴 페트리치 (1981년 1월 1일 ~)는 크로아티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믈라덴 페트리치 · 더보기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Младен Крстајић, Mladen Krstajić, 1974년 3월 4일, 제니차 ~) 는 전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FK 파르티잔의 구단 단장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더보기 »

발론 베흐라미

발론 베라미(1985년 4월 19일 유고슬라비아 코소브스카미트로비차 ~)는 스위스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발론 베흐라미 · 더보기 »

발칸 반도

발칸 반도(Balkan peninsula)는 유럽의 남동부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발칸 반도 · 더보기 »

바소 추브릴로비치

바소 추브릴로비치(1897년 1월 14일 ~ 1990년 6월 11일)는 세르비아의 혁명가,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바소 추브릴로비치 · 더보기 »

밀란 로디치

밀란 로디치(1991년 4월 5일)는 세르비아출신의 축구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란 로디치 · 더보기 »

밀란 바델

밀란 바델(1989년 2월 25일 자그레브 ~)은 세리에 A ACF 피오렌티나에서 미드필더로 뛰는 크로아티아의 축구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란 바델 · 더보기 »

밀로시 라오니치

밀로시 라오니치(Milos Raonic,;; 1990년 12월 27일 ~)는 캐나다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로시 라오니치 · 더보기 »

밀로시 닌코비치

밀로시 닌코비치(1984년 12월 25일 ~)는 유고슬라비아 태생의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로시 닌코비치 · 더보기 »

밀로시 스토야노비치

밀로시 스토야노비치(Miloš Stojanović,, 1984년 12월 25일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로시 스토야노비치 · 더보기 »

밀루틴 밀란코비치

밀루틴 밀란코비치 밀루틴 밀란코비치(1879년 5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현재의 크로아티아) 달(Dalj) ~ 1958년 12월 12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은 세르비아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루틴 밀란코비치 · 더보기 »

밀루틴 쿠카냐츠

밀루틴 쿠카냐츠(1935년 ~ 2002년 1월 16일)는 세르비아인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의 연대장으로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참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루틴 쿠카냐츠 · 더보기 »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밀리보예 노바코비치(Milivoje Novakovič, 1979년 5월 18일 류블랴나 ~)는 슬로베니아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 더보기 »

가힌샤 클럽

힌샤 클럽(Garrincha Club)은 월드컵 본선에서 골을 넣은 뒤 파울로 퇴장당한 선수들의 그룹을 뜻하는 말로, 실제로 이러한 모임이 존재하지는 않고 해당 선수들의 목록 개념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가힌샤 클럽 · 더보기 »

베드란 유고비치

베드란 유고비치 (1989년 9월 10일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베드란 유고비치 · 더보기 »

베네치아줄리아

베네치아줄리아를 둘러싼 국경선의 변화 베네치아줄리아()는 현재의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에 걸쳐 있는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베네치아줄리아 · 더보기 »

베다드 이비셰비치

베다드 이비셰비치(Vedad Ibišević, 1984년 8월 6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로, 현재 독일 분데스리가의 헤르타 BSC 소속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베다드 이비셰비치 · 더보기 »

벨레네

벨레네 성 벨레네의 위치 벨레네()는 슬로베니아의 도시로 면적은 83.5km2, 인구는 33,331명(2002년 기준), 인구밀도는 399.2명/km2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벨레네 · 더보기 »

경제상호원조회의

경제상호원조회의의 기 참관국 경제상호원조회의(經濟相互援助會議,, 약칭 СЭВ)는 1949년 1월 소련의 주도 아래 중앙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국가의 경제 협력 기구로서 결성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경제상호원조회의 · 더보기 »

벵가지

벵가지()는 리비아의 두 번째로 큰 도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벵가지 · 더보기 »

범슬라브색

1848년 프라하에서 열린 범슬라브 회의에서 채택된 범슬라브 기 범슬라브색은 슬라브족의 나라의 국기나 지역 기에 쓰이는 빨강, 하양, 파랑의 세 색을 말. 러시아 제국의 국기 색에서 유. 19세기 범슬라브 운동 과정에서 러시아 제국의 국기색이 슬라브족을 상징하게 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범슬라브색 · 더보기 »

고란 이바니셰비치

이바니셰비치(1971년 9월 13일 ~)는 크로아티아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고란 이바니셰비치 · 더보기 »

고르돈 실덴펠트

르돈 실덴펠트 (Gordon Schildenfeld, 1985년 3월 18일, 크로아티아 SR 시베니크 ~)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수비수로, 현재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에서 뛰고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고르돈 실덴펠트 · 더보기 »

고리치아

성으로부터 보이는 고리치아의 오래된 지역 고리치아()는 북동쪽의 이탈리아에 있는 도시이며 알프스 산맥의 기슭에 위치하며 슬로베니아와 접경하고 있. 고리치아 현의 현도이며 관광, 산업, 상업의 지역 중심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고리치아 · 더보기 »

보라 밀루티노비치

벨리보르 "보라" 밀루티노비치(1944년 9월 7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바지나 베스타 ~)는 세르비아의 현직 축구 감독 겸 전직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라 밀루티노비치 · 더보기 »

보루트 파호르

보루트 파호르 보루트 파호르(1963년 11월 2일 ~)는 슬로베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루트 파호르 · 더보기 »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1956년 6월 25일 ~ 2004년 2월 26일)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제2대 대통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 더보기 »

보그단 밀리치

보그단 밀리치(1987년 11월 24일 ~)는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그단 밀리치 · 더보기 »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은 1992년 4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일어난 국제적인 무력 충돌이다. 전쟁은 몇 가지 측면과 관련되었다. 주요 참전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과 자칭 보스니안 세르비아와 보스니안 크로아티아가 있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스릅스카 공화국과 헤르체그보스니아가 있고, 외부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크로아티아가 있었다. 전쟁의 결과로 유고슬라비아의 해체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91년, 다민족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던 민족은 주로 무슬림인 보스니아인 (44%),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인 (31%), 천주교 크로아티아인 (17%)로 이루어진 독립을 위한 국민 투표가 1992년 2월 29일에 통과되었다. 이것은 국민 투표후 공화국 수립 후 자국 내 세르비아인들에게 반대를 얻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에 이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을 공격하고, 세르비아인은 보복을 피하기 위해 보스니아 지역을 탈출하며 특히 동부 보스니아인은 인종청소를 당했다. 이것은 주로 영토 분쟁으로, 초기에는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군(VRS)가 한 편에,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대부분이며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은 크로아티아 국방 위원회(HVO)가 또 다른 편에 섰다. 크로아티아 또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일부분의 영토를 원하며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일으켰다. 전쟁은 보통 쓰라린 전투, 무차별적인 도시 폭격, 인종 청소, 집단 강간과 대학살 등으로 대표된다. 사라예보 포위와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같은 사건들은 갈등의 대표적인 상징이 되고 있다. 세르비아는 초기 JNA의 무기와 광대한 자원으로 인해 우세였으나, 보스니아인들에 의해 추진력을 잃고 크로아티아인의 스프르스카 공화국과 동맹도 맺었으나, 결국 워싱턴 협정으로 인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형성된다. 스레브레니차 대학살과 마르칼레 대학살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1995년 동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격으로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진격을 방해하며, 이는 종전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전쟁은 1995년 12월 14일 파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 협정의 최종 협상이 진행되었다. 평화 협상은 1995년 12월 21일 미국 오하이오 데이턴에서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보통 데이턴 협정이라 부른다. 1995년 미국 중앙 정보국의 보고서에서, 세르비아군은 전쟁 중 90%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by Roger Cohen, The New York Times, 9 March 1995 2008년 초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45명의 세르비아인, 12명의 크로아티아인 및 4명의 보스니아인이 보스니아에서의 전범 재판으로 기소되었다.New York Times – Karadzic Sent to Hague for Trial Despite Violent Protest by Loyalists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는 10만-11만명이 사망하고 220만명이 난민이 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치명적인 전쟁으로 남았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스니아 전쟁 · 더보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right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남동부 유럽 발칸 반도에 있는 나라로 동쪽 및 남동쪽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북쪽과 서쪽은 크로아티아와 접. 이 나라는 거의 내륙국에 가까운데, 해안선의 길이는 21km에 불., The World Factbook, 2006-08-22 국토 내륙에서 중앙과 남부는 산지이고, 북서부는 구릉지이며, 북동쪽은 평지로 이루어져 있. 내륙 지방의 상당 부분은 여름엔 덥고 겨울엔 눈이 많이 내리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더보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유럽 발칸 반도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2개 주요 자치 공화국 중 하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 더보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은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보스니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국장 보스니아인 또는 보스니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민족으로 남슬라브 민족에 속. 보통은 구 유고슬라비아 내의 슬라브계 무슬림들을 말하는 표현으로 사용.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스니아인 · 더보기 »

보이보디나 자치주 (1945년-1963년)

right 보이보디나 자치주()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의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에 있던 두 개의 자치주 가운데 하나로, 수도는 노비사드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이보디나 자치주 (1945년-1963년) · 더보기 »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right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있던 두 개의 자치주 가운데 하나로, 수도는 노비사드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 더보기 »

보얀 요키치

보얀 요키치(Bojan Jokić, 1986년 5월 17일, 크란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프리메라리가의 비야레알 CF 소속 수비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얀 요키치 · 더보기 »

보얀 사란

보얀 사란(Bojan Šaranov, 1987년 10월 22일, 브르샤츠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얀 사란 · 더보기 »

보야나 노바코비치

보야나 노바코비치(1981년 11월 17일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로 세르비아 혈통을 갖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보야나 노바코비치 · 더보기 »

관세 무역 일반 협정

세 무역 일반 협정(關稅貿易一般協定, 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는 세계무역기구 체제 이전의 체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관세 무역 일반 협정 · 더보기 »

분리주의

분리주의(分離主義)는 중앙정부로부터 어느 지역을 분리, 독립시키려는 의도나 태도를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분리주의 · 더보기 »

부드바

부드바()는 아드리아 해 연안에 위치한 몬테네그로의 도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부드바 · 더보기 »

부크 예레미치

부크 예레미치 부크 예레미치(1975년 7월 3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는 세르비아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부크 예레미치 · 더보기 »

기관단총 목록

총 목록은 지금까지 개발되고 사용된 기관단총의 전체 목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기관단총 목록 · 더보기 »

브란코 제베츠

브라니슬라브 "브란코" 제베츠(1929년 5월 17일 자그레브 ~ 1988년 9월 26일 자그레브)는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브란코 제베츠 · 더보기 »

브란코 오블라크

브란코 오블라크(1947년 5월 27일 ~)는 은퇴한 유고슬라비아와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브란코 오블라크 · 더보기 »

브리기타 부코베츠

브리기타 부코베츠(1970년 5월 21일 ~)는 슬로베니아의 은퇴한 육상 선수로 주 종목은 허들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브리기타 부코베츠 · 더보기 »

비밀 선거

비밀 선거(秘密選擧, Secret ballot)는 선거인이 어느 후보자를 선출하는지 알 수 없게 하는 것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비밀 선거 · 더보기 »

빅토르 트로이츠키

빅토르 트로이츠키(Viktor Troicki,, 1986년 2월 10일 ~)는 세르비아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빅토르 트로이츠키 · 더보기 »

국가 독립 연도에 따른 나라 목록

음은 국가 독립 연도에 따른 나라 목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국가 독립 연도에 따른 나라 목록 · 더보기 »

두샨 바예비치

샨 바예비치 (1948년 12월 10일, 모스타르 ~) 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 축구 감독이자 전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두샨 바예비치 · 더보기 »

내륙국

세계의 내륙국 내륙국(內陸國, landlocked country)은 육지 안쪽에 위치하여 외곽에 바다를 접하지 않는 나라를 말. 준내륙국과 회랑을 가진 나라는 내륙국으로 분류하지 않.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내륙국 · 더보기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불가리아어로 작성된 불가리아-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혁명위원회의 1896년판 규정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약칭 VMRO, ВМРО)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 사이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지방의 해방을 위해 결성된 민족주의 조직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 더보기 »

나라별 해군 목록

이 문서에는 현재까지도 존재하는 해군과 과거에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해군이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나라별 해군 목록 · 더보기 »

나타샤 도르치치

샤 도르치치(1968년 6월 9일 ~)는 크로아티아의 배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나타샤 도르치치 · 더보기 »

나타샤 보이노비치

샤 보이노비치(1979년 8월 28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나타샤 보이노비치 · 더보기 »

드라간 믈라데노비치

믈라데노비치(1976년 2월 16일 ~)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현재 세르비아) 크랄레보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라간 믈라데노비치 · 더보기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스토이코비치 (Dragan Stojković, 1965년 3월 3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니시 ~)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로, 현재 중국 슈퍼리그의 클럽 광저우 푸리의 감독을 맡고 있. 별명은 요정이라는 뜻의 Pixie (Пикси) 이. 스토이코비치는 장기간에 걸쳐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주장을 맡았던 선수로서,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축구 역사에 있어서 우수한 선수 중 하나로 간주.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더보기 »

드라간 자이치

자이치 (1946년 5월 30일 ~)는 은퇴한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라간 자이치 · 더보기 »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브 "드라자" 미하일로비치(1893년 4월 26일 ~ 1946년 7월 17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동한 세르비아계 유고슬라비아 장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 더보기 »

드라잔 예르코비치

잔 예르코비치(1936년 8월 6일 ~ 2008년 12월 9일)는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라잔 예르코비치 · 더보기 »

드르바르

르바르 드르바르의 위치 드르바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589.3km2, 높이는 약 480m, 인구는 7,506명(2013년 기준), 인구 밀도는 13명/km2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드르바르 · 더보기 »

네마냐 마티치

마냐 마티치(1988년 8월 1일 샤바츠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네마냐 마티치 · 더보기 »

네마냐 비디치

마냐 비디치 (1981년 10월 21일, 유고슬라비아 티토보우지체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네마냐 비디치 · 더보기 »

네벤 수보티치

벤 수보티치 (Neven Subotić, 1988년 12월 10일, 바냐루카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리그 1의 생테티엔 소속 센터백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네벤 수보티치 · 더보기 »

네나드 밀리야시

밀리야시(1983년 4월 30일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며 현재는 츠르베나 즈베즈다 소속으로 활동 중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네나드 밀리야시 · 더보기 »

너지 임레

임레 너지 임레(1896년 6월 7일 ~ 1958년 6월 16일) 는 헝가리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헝가리의 수상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너지 임레 · 더보기 »

노라 이스트레피

이스트레피(Nora Istrefi, 1986년 3월 25일 ~)는 코소보, 알바니아의 싱어송라이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노라 이스트레피 · 더보기 »

노바고리차

스베타고라 산(Sveta Gora)에서 내려다 본 노바고리차 시가지 노바고리차의 위치 노바고리차()는 슬로베니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면적은 309.0km2, 인구는 32,763명(2002년 기준), 인구 밀도는 106명/km2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노바고리차 · 더보기 »

노바크 조코비치

바크 조코비치(), 1987년 5월 22일 ~)는 세르비아 출신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ATP 현 세계 랭킹 2위인 그는 그랜드 슬램 대회 남자 단식에서 12차례 우승(오스트레일리아 오픈 6회, 프랑스 오픈 1회, 윔블던 선수권 3회, US 오픈 2회) 했으며 연말 세계 랭킹 1위를 네 차례(2011, 2012년, 2014년, 2015년) 했다. 2008년 호주 오픈에서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로저 페더러를 준결승에서 꺾고, 결승에서는 프랑스의 신예 조윌프리드 총가를 누르면서 생애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따냈다. 이로써 그는 그랜드 슬램에서 우승한 최초의 세르비아인이 되었으며, 또한 오픈 시대 이후 가장 어린 나이에 4개 그랜드 슬램 준결승에 모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2007년 US 오픈에서 준우승을 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테니스 남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땄다. 2008년에 그는 4개의 마스터스 시리즈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8명의 톱랭커들만이 출전하는 연말 마스터스 컵에서도 우승했다. 2011년 윔블던에서 라파엘 나달을 누르고 우승했고, US 오픈에서도 라파엘 나달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노바크 조코비치 · 더보기 »

다리요 스르나

리요 스르나 (1982년 5월 1일, 유고슬라비아 메트코비치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세리에 A의 칼리아리 소속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리요 스르나 · 더보기 »

다리오 비도시치

리오 비도시치 (Dario Vidošić, 1987년 4월 8일, 크로아티아, 오시예크 ~) 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리오 비도시치 · 더보기 »

다리오 시미치

리오 시미치 (1975년 11월 12일,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 ~)는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 센터백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리오 시미치 · 더보기 »

다리아 로렌치

리아 로렌치(Daria Lorenci, 1976년 4월 13일 ~)는 크로아티아의 배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리아 로렌치 · 더보기 »

다보르 슈케르

보르 슈케르 (1968년 1월 1일, 오시예크 ~) 는 은퇴한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의 회장으로, 그는 이 직위를 2012년 7월부터 맡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보르 슈케르 · 더보기 »

다닐로 튀르크

르크(1952년 2월 19일 ~)는 슬로베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다닐로 튀르크 · 더보기 »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에프스키 니콜라 그루에프스키(1970년 8월 31일 스코페 ~)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니콜라 그루에프스키 · 더보기 »

니콜라 지기치

(Nikola Žigić, 1980년 9월 25일, 유고슬라비아 바츠카 토폴라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니콜라 지기치 · 더보기 »

니콜체 노베스키

베스키 (Nikolče Noveski, 1979년 4월 28일 비톨라 ~)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축구 선수로, 독일 분데스리가의 1. FSV 마인츠 05에서 수비수로 활약하다가 2015년 고별식을 가졌.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니콜체 노베스키 · 더보기 »

FC 바이에른 뮌헨 선수 명단

음은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으로 40경기 이상의 분데스리가 경기에 출장한 선수들의 목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FC 바이에른 뮌헨 선수 명단 · 더보기 »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는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FK 믈라도스트 포드고리차 · 더보기 »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FK Budućnost Podgorica)는 몬테네그로의 축구 클럽으로 수도인 포드고리차에 연고를 두고 있. 현재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2007-08시즌에 우승을 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 더보기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하는 세르비아의 축구 클럽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더보기 »

FK 파르티잔

FK 파르티잔(Football Club Partizan)은 베오그라드를 연고로 하는 세르비아의 축구 클럽으로, 2013-14 시즌은 2위로 마. 과거 국방부 소속이었던 이 팀과 내무부 소속이었던 츠르베나 즈베즈다와의 베오그라드 더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더비 중 하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FK 파르티잔 · 더보기 »

G15

G15 회원국 그룹 오브 15(Group of 15, G-15)The adopts the "G-15" 맞춤법 (with a hyphen) in order to distinguish an abbreviated reference to this group -- contrasts with other similarly named entities.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G15 · 더보기 »

HNK 리예카

HNK 리예카(HNK Rijeka)는 크로아티아 리예카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며 현재는 프르바 HNL에 참가하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HNK 리예카 · 더보기 »

스릅스카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은 유럽 발칸 반도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이루고 있는 세르비아계 자치공화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스릅스카 공화국 · 더보기 »

스체판 메시치

스체판 "스티페" 메시치(1934년 12월 24일 ~)는 크로아티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스체판 메시치 · 더보기 »

스코페

스코페에 있는 고체 델체프와 다메 그루에프 동상 스코페()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로 인구는 약 44만 명(1994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스코페 · 더보기 »

스테비차 리스티치

스테비차 리스티치(1982년 5월 23일 ~)는 세르비아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브르샤츠 출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스테비차 리스티치 · 더보기 »

스티페 플레티코사

스티페 플레티코사 (1979년 1월 8일, 유고슬라비아 스플리트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스티페 플레티코사 · 더보기 »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예 지젝(1949년 3월 21일 ~)은 유고슬라비아 출생의 대륙철학자이자 헤겔, 마르크스,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에 기반한 비판이론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라보예 지젝 · 더보기 »

슬라브족이여

유고슬라비아 국가 슬라브족이여()는 1834년 슬로바키아의 시인 사모 토마시크(Samo Tomášik, 1813 ~ 1887)가 작사한 노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라브족이여 · 더보기 »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슬라비샤 요카노비치(1960년 8월 16일 ~)는 세르비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현직 축구 감독으로 현재 풀럼의 감독을 맡고 있. 선수 시절 주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었으며 자국 클럽인 파르티잔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라리가에서 여러 팀을 거치며 오랫동안 머물.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 더보기 »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슬로베니아의 국기

23px 슬로베니아의 국기, 해군기 비율 1:2 슬로베니아의 국기는 1991년 6월 27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로베니아의 국기 · 더보기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1941년 8월 20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포자레바츠 ~ 2006년 3월 11일 네덜란드 헤이그)는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인이다. 1989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 속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 붕괴 과정에서 일어난 내전에서 대(大)세르비아주의를 주창하며 타민족 학살을 주도하여 국제사회의 큰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1997년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후신인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으나, 2000년 민중 봉기로 실각하였고, 이후 국제 사법 재판소에 전쟁 범죄자로 수감되어 재판을 받던 중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 더보기 »

우도 라테크

우도 라테크(Udo Lattek, 1935년 1월 16일 ~ 2015년 2월 4일, 동프로이센 젠스부르크(Sensburg, 현 폴란드 므롱고보) 보젬(Bosemb) ~)는 은퇴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 TV 스포츠캐스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우도 라테크 · 더보기 »

우르슈카 졸니르

우르슈카 졸니르(1981년 10월 9일 ~)는 슬로베니아의 유도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우르슈카 졸니르 · 더보기 »

우크라이나의 지역 구분

우크라이나의 지역적 구분. 주황색(서부 우크라이나), 노란색(중부 우크라이나), 하늘색(남부 우크라이나), 파란색(동부 우크라이나). 지도의 가운데 표시된 것이 드네프르 강이다. 우크라이나는 현재 서부 우크라이나와 중부 우크라이나, 남부 우크라이나, 동부 우크라이나의 크게 4.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우크라이나의 지역 구분 · 더보기 »

우지체

우지체 시가지 우지체()는 세르비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즐라티보르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면적은 579km2, 도시 인구는 83,022명(2002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102,463명(2002년 기준, 주변에 있는 지방 자치체 인구 포함)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우지체 · 더보기 »

울리 회네스

울리히 "울리" 회네스 (Ulrich “Uli” Hoeneß, 1952년 1월 5일, 울름 ~) 은 은퇴한 독일의 축구 선수로, 선수시절 공격수로 활약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울리 회네스 · 더보기 »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리에스테 자유 지구()는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사이에 있던 도시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 더보기 »

트리플 크라운 (농구)

리플 크라운(Triple Crown)은 유럽의 프로농구팀들이 한 시즌동안 자국의 최상위 리그 우승과 컵대회 우승, 그리고 유럽국가대항전(유로리그) 총 3개의 메이저 대회 우승을 달성한 것을 지칭하는 농구 용어로, 유럽의 프로농구팀들이 한 시즌동안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성적을 의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트리플 크라운 (농구) · 더보기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요시프 브로즈 티토(1892년 5월 7일 ~ 1980년 5월 4일)는 유고슬라비아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공산주의 혁명가이며,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전 대통령이자 비동맹 운동의 전 의장이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요시프 브로즈 티토 · 더보기 »

자스민 무이자

자스민 무이자(Jasmin Mujdža, 1974년 3월 2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 축구 선수로 크로아티아 국적이며, FC 서울의 피지컬 코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자스민 무이자 · 더보기 »

자카 이흐베이셰

자카 이흐베이셰(1986년 8월 29일 ~)는 팔레스타인인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자카 이흐베이셰 · 더보기 »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제도 축구 대표팀은 페로 제도를 대표하는 축구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페트라 치츠바리치

바리치(1986년 3월 29일 ~)는 크로아티아의 배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페트라 치츠바리치 · 더보기 »

크란스카

인 공국의 문장 크란스카()는 슬로베니아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가장 큰 도시는 류블랴나(슬로베니아의 수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란스카 · 더보기 »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또는 SAO 크라이나 (САО Крајина) 현대의 크로아티아, 당시의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내의 자칭 세르비아인 자치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 더보기 »

크로아티아

아티아 공화국(), 줄여서 크로아티아()는 남동유럽에 속한 나라로 발칸 반도의 판노니아 평원의 교차점에 자리 잡고 있. 수도는 자그레브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 · 더보기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아티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인구 분포도(1981년 인구 조사 기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은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을 선언한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 정부에게 거부당하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세르비아 지역군이 크로아티아로 침공하여 전투한 전쟁으로, 1992년에 크로아티아와 JNA가 정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더보기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크로아티아어: Socijalistička Republika Hrvatska, SR Hrvatska) 은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크로아티아의 국가

우리의 아름다운 조국()는 크로아티아의 국가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이었던 1972년 2월 29일에 채택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의 국가 · 더보기 »

크로아티아의 국기

23px 크로아티아의 국기 비율 1:2 크로아티아의 국기는 1990년 12월 21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의 국기 · 더보기 »

크로아티아어

아티아어(Hrvatski)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로아티아어 · 더보기 »

크르스테 벨코스키

르스테 벨코스키(1988년 2월 27일 ~)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태어났으며, 마케도니아의 국가대표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크르스테 벨코스키 · 더보기 »

흐바르섬

흐바르성 흐바르섬의 위치 흐바르섬()는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면적은 297.37km2, 인구는 11,459명(2001년 기준), 최장 길이는 68km, 최고점은 628m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흐바르섬 · 더보기 »

이반 스트리니치

이반 스트리니치(1987년 7월 17일 ~)는 삼프도리아에서 뛰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반 스트리니치 · 더보기 »

이고르 마티치

이고르 마티치(1981년 7월 22일 ~)는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고르 마티치 · 더보기 »

이보 요시포비치

이보 요시포비치 (1957년 8월 28일 ~)는 크로아티아의 대통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보 요시포비치 · 더보기 »

이비차 다치치

이비차 다치치 이비차 다치치(1966년 1월 1일 유고슬라비아 프리즈렌 ~)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비차 다치치 · 더보기 »

이비차 올리치

이비차 올리치 (1979년 9월 14일, 유고슬라비아 다보르 ~)는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비차 올리치 · 더보기 »

이탈리아의 역사

마 프레스코 벽화(기원후 45-79년) 이탈리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인 85만년 전 무렵에 살았던 구석기인의 유적인 몬테포기올로까지 소급될 수 있.(이탈리아어) 또한 4만 3천년 전 무렵부터는 크로마뇽인이 거주 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탈리아의 역사 · 더보기 »

이에리사

이에리사(李에리사, 1954년 8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대학 교수이자 전직 탁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에리사 · 더보기 »

이싸빅

이싸빅(李싸빅, 1973년 5월 29일 ~)은 크로아티아계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투즐라 출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이싸빅 · 더보기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2-63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2-63(1962-63 Inter-Cities Fairs Cup)은 1962년부터 1963년까지 개최된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의 5번째 시즌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2-63 · 더보기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6-67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6-67(1966-67 Inter-Cities Fairs Cup)은 1966년부터 1967년까지 개최된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의 9번째 시즌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1966-67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에는 종종 새로운 시기로 분. 이 기간 동안 유럽과 일본을 재건하기 위한 유럽 부흥 계획, 트루먼 독트린의 시작, UN의 건설이 있.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미국이 이끄는 서양 민주주의 국가와 소련이 이끄는 공산주의 국가가 대립하며 냉전이 시작.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녹색이 연합국, 하늘색이 추축국의 최대 세력 범위, 노란색이 중립국 처칠. 장제스, 루즈벨트와 처칠. 루즈벨트와 처칠은 팔꿈치를 마주 대고 같이 앉아 있다. 태평양 전쟁의 연합군 지도자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참석하였다. 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석한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 연합국(聯合國)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에 대항하여 만들어진 연합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 더보기 »

제난 라돈치치

제난 라돈치치(1983년 8월 2일 ~)는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제난 라돈치치 · 더보기 »

조란 렌둘리치

조란 렌둘리치(Зopaн Peндулић, 1984년 5월 22일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조란 렌둘리치 · 더보기 »

조르게 이바노프

조르게 이바노프(1960년 5월 12일 ~)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조르게 이바노프 · 더보기 »

종신형

적색: 무기형을 운영하는 국가 녹색: 여자에게는 무기형을 선고하지 않는 국가 청색: 무기형 폐지 국가 회색: 미확인 (무기형이 운영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 종신형(終身刑) 또는 무기형(無期刑)은 수형자가 사망할 때까지 무기한으로 교도소에 가두는 형벌을 말. 무기형은 가석방의 가능성 여부에 따라 가석방을 할 수 있는 상대적 무기형과 가석방을 할 수 없는 절대적 무기형(절대적 종신형)으로 나눌 수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종신형 · 더보기 »

주르지차 베도브

주르자 "주르지차" 베도브(1947년 4월 5일 ~)는 유고슬라비아의 수영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주르지차 베도브 · 더보기 »

중소 분쟁

중소 분쟁(中蘇 紛爭) 또는 중소 대립(中蘇 對立)은 1956년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 이후 소련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공산주의 이념의 원칙적인 여러 문제에 관해 벌인 분쟁을 말.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중소 분쟁 · 더보기 »

즐라트코 데디치

(Zlatko Dedič, 1984년 10월 5일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현재 FSV 프랑크푸르트에서 뛰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즐라트코 데디치 · 더보기 »

즐라트코 자호비치

자호비치 (1971년 2월 1일, 마리보르 ~)는 슬로베니아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와 공격형 미드필더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즐라트코 자호비치 · 더보기 »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유누조비치(1987년 9월 26일 ~)는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 더보기 »

즐라탄 류비얀키치

비얀키치 (1983년 12월 15일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J리그 디비전 1의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즐라탄 류비얀키치 · 더보기 »

즐라탄 알로메로비치

알로메로비치 (Zlatan Alomerović, 1991년 6월 15일, 프리보이 ~) 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출신의 독일인 축구 선수로, 현재 독일 분데스리가의 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소속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즐라탄 알로메로비치 · 더보기 »

즈보니미르 보반

보니미르 보반 (1968년 10월 8일, 유고슬라비아 이모트스키 ~)은 과거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즈보니미르 보반 · 더보기 »

지중해 및 중동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중해 전구()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전구 중 하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지중해 및 중동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철문

우 강에서 본 철문 철문에 설치된 댐 철문(鐵門)은 도나우 강에 위치한 협곡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철문 · 더보기 »

철십자 훈장

《철십자 훈장》(Cross of Iron)은 1977년 샘 패킨파 감독, 제임스 코번 등 주연으로 제작된 영국의 전쟁영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철십자 훈장 · 더보기 »

체트니크

유고슬라비아 육군 체트니크 분견대(Chetnik Detachments of the Yugoslav Army), 속칭 체트니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드라자 미하일로비치가 이끈 세르비아 민족주의 유격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체트니크 · 더보기 »

축구 서포터

축구 서포터는 특정 축구 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응원 하는 사람을 뜻.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축구 서포터 · 더보기 »

카를로스 알론소 곤살레스

를로스 알론소 곤살레스 (1952년 8월 23일, 칸타브리아 지방 산티야나 델 마르 ~) 는 줄여서 산티야나 로 알려진 은퇴한 스페인의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공격수로 활약.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카를로스 알론소 곤살레스 · 더보기 »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

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1968년 4월 29일 ~)는 크로아티아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 · 더보기 »

코토르

르 옛 시가지 코토르의 위치 코토르(몬테네그로어: Kotor)는 몬테네그로의 도시로, 면적은 335km2, 도시 인구는 22,947명(2003년 기준), 인구밀도는 68명/km2, 지방 자치체 인구는 5,341명(2003년 기준)이며 코토르 만 입구와 접. 파일:Flag of Kotor.jpg|시기 파일:Coat of Arms of Kotor.png|시 문장.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코토르 · 더보기 »

코소보

소보()는 남유럽에 위치한 영토 분쟁 지역이자 부분적 승인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코소보 · 더보기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1946년-1974년)

right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있던 두 개의 자치주 가운데 하나로, 주도(州都)는 프리슈티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1946년-1974년) · 더보기 »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right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있던 두 개의 자치주 가운데 하나로, 주도(州都)는 프리슈티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 더보기 »

유럽 야구 연맹

유럽 야구 연맹(CEB)은 유럽의 야구 연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럽 야구 연맹 · 더보기 »

유고

유고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일반적인 유고슬라비아의 위치.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이탈리아와의 국경이 변화하였다. 유고슬라비아(세르보크로아티아어·슬로베니아어(로마자): 유고슬라비야; 세르보크로아티아어(키릴 문자): Југославија; 유고슬라비아)는 20세기 대부분에 걸쳐 유럽의 남동부 발칸 반도에 연이어 존재했던 세 개의 나라를 말. 유고슬라비아는 "남(南) 슬라브인들의 땅"이란 뜻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Yugoslav Prva Liga)는 과거 유럽에 있었던 축구 리그로, 유고슬라비아 왕국(1918-194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1945-1991),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1991-2003)이 2003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변경하기 전까지의 리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당기 유고슬라비아 피오네르 연합의 행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Savez komunista Jugoslavije, Zveza komunistov Jugoslavije, 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Југославиј), 1952년 이전에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Komunistička partija Jugoslavije, Komunistična partija Jugoslavije, Комунистичка партија на Југославија, Komunistička partija na Jugoslavija) 은 유고슬라비아의 주요한 공산당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르(dinar, 키릴 문자: динар)는 3개의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왕국 (옛 이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서 사용되었던 통화 이름으로, 1918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7년, UNEF의 일원으로 파견된 시나이 반도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병사.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M-84AB1 탱크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또는 유고슬라비아 국가군 (Ј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ја - ЈНА /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NA), 또는 간단하게 JNA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군대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영토에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일어난 전쟁을 일컫.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전쟁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해체된 이후 잔류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합심하여 세워진 나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교육

본 문서는 1945년에서 1991년까지 발칸 반도에 존재했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교육에 관한 내용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교육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 (1963년 ~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 (1943년 ~ 196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은 1945년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연방이 해체되었던 1992년까지 사용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장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1918년 12월 1일부터 1941년 4월까지 존재한 옛 나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 왕국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이 문서는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를 설명하는 문서로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기에 대해 설명.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 더보기 »

유수프 다이치

유수프 다이치(Jusuf Dajić, 1984년 8월 21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수프 다이치 · 더보기 »

유엔 회원국

1990년 이후에 유엔에 가입한 나라 유엔 회원국과 유엔 가입일이 함께 표기된 유엔의 보도 자료 문서 (2006년 7월 3일에 작성된 영어판 문서) 현재 유엔에는 193개국이 가입되어 있. 유엔 헌장 제2장 제4조에서는 유엔 회원국 가입에 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 유엔 회원국으로 가입하려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엔 총회 양측의 승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주권을 가진 국가라도 국제 사회에서 주권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 특정 유엔 회원국의 반대가 있는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 현재의 모든 유엔 회원국은 주권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엔 회원국 · 더보기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는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에 대한 침공을 개시하자마자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채택한 결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호 · 더보기 »

팀 마타브주

마타브주(Tim Matavž, 1989년 1월 13일 ~)는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에레디비시의 피테서 소속 공격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팀 마타브주 · 더보기 »

옐레나 카를레우샤

옐레나 카를레우샤(1978년 8월 17일 ~)는 세르비아의 가수, 패션 디자이너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옐레나 카를레우샤 · 더보기 »

옐레나 얀코비치

옐레나 얀코비치(Jelena Janković,,, 1985년 2월 28일 ~)는 세르비아의 프로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옐레나 얀코비치 · 더보기 »

오그넨 코로만

오그넨 코로만(1978년 9월 19일 ~)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계 세르비아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팔레 출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오그넨 코로만 · 더보기 »

오드리 산토

오드리 산토(Audrey Santo, 1983년 12월 19일 출생 - 2007년 4월 14일 사망)는 그녀의 순례자들에게 작은 오드리라고 불렸던, 일생동안 기적을 이루어 냈다고 여겨지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우스터의 젊은 여성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오드리 산토 · 더보기 »

오스트리아의 연합군 군정기

오스트리아의 연합군 군정기는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이어졌.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오스트리아의 연합군 군정기 · 더보기 »

올림픽 메달 집계

음은 역사상 치뤄진 모든 올림픽 경기의 메달 집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올림픽 메달 집계 · 더보기 »

호자주의

호자주의는 1970년대 말 마오쩌둥주의 운동에서 독립한 반수정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일종으로, 1978년 중국공산당과 알바니아 노동당 사이의 이념 대립의 산물이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호자주의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에르민 비착치치

에르민 비착치치(1990년 1월 24일, 즈보르니크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로, 현재 분데스리가 클럽 호펜하임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 소속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에르민 비착치치 · 더보기 »

에미르 무탑치치

에미르 무탑치치(1960년 5월 27일 ~)는 유고슬라비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농구 선수, 지도자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스몰 포워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에미르 무탑치치 · 더보기 »

에미르 바이라미

부림 에미르 바이라미 (1988년 3월 7일, 프리슈티나 ~) 는 코소보-알바니아계 스웨덴인 축구 선수로, 현재 알스벤스칸의 엘프스보리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 그는 전 스웨덴 국가대표팀 일원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에미르 바이라미 · 더보기 »

에딘 비슈차

에딘 비슈차(1990년 2월 17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윙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에딘 비슈차 · 더보기 »

에딘 제코

에딘 제코 (1986년 3월 17일, 사라예보 ~)는 로마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중앙 공격수로 활약하고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에딘 제코 · 더보기 »

역대 WTA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

WTA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했다.(377주) 다음의 역대 WTA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은 과거 세계 랭킹 1위를 했거나 현재 1위를 하고 있는 선수들의 국적 및 이름을 랭킹 1위를 기록한 시작일 및 종료일과 함께 담고 있. WTA가 랭킹 산정을 전산화한 1975년 11월 3일 이후 19명의 여자 선수가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역대 WTA 랭킹 1위 테니스 선수 목록 · 더보기 »

풀라 영화제

영화제()는 매년 7, 8월경 크로아티아 풀라에서 국제 영화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풀라 영화제 · 더보기 »

사라예보 포위전

사라예보 포위전()은 현대 역사상 가장 긴 포위전 중 하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라예보 포위전 · 더보기 »

사미르 우이카니

사미르 우이카니(1988년 7월 5일, 부치트른 ~)는 코소보, 알바니아의 축구 선수로, 이탈리아 축구 클럽의 크레모네세와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미르 우이카니 · 더보기 »

사보 밀로셰비치

사보 밀로셰비치 (1973년 9월 2일 유고슬라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옐리나 ~)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전직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보 밀로셰비치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사회주의 국가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기업이나 철도·은행 등의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고, 사회가 이런 것을 소유한다는 사회주의 제도를 취하고 있든가 또는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있. 사회주의 하에서는 국가의 역할이 대단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회주의 국가 · 더보기 »

사하로프상

사하로프상(~賞, Sakharov Prize)은 유럽 의회가 인권과 자유 수호에 커다란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으로, 1988년 12월 소련의 핵물리학자이자 반체제 인사인 안드레이 사하로프를 기념하기 위해 제정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사하로프상 · 더보기 »

피란 만

만 드르노브셰크-라찬 합의를 바탕으로 한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해상 경계선으로 피란 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 경계선은 크로아티아 의회의 부결로 확정되지 않았다. 피란 만(Gulf of Piran,, 또는 Savudrijska vala)은 아드리아 해 북부에 위치한 트리에스테 만의 일부로 면적은 약 19km2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피란 만 · 더보기 »

피오네르

자흐 SSR의 피오네르 단원들 피오네르()는 소련과 공산권의 소년단을 말. 피오네르란 러시아어로 「개척자」를 의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피오네르 · 더보기 »

프라뇨 투지만

만 프라뇨 투지만(1922년 5월 14일 ~ 1999년 12월 10일)은 크로아티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라뇨 투지만 · 더보기 »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페자" 미야토비치(1969년 1월 19일, 유고슬라비아 몬테네그로 티토그라드 ~)는 과거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로, 현재 레알 마드리드의 스포츠 지도자로 일하고 있. 그는 1990년대, 그의 나라에서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았으며, 선수 시절 그의 포지션은 공격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더보기 »

프레디 보비치

보비치(1971년 10월 30일, 마리보르 ~)는 은퇴한 독일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레디 보비치 · 더보기 »

프리모르스카

서쪽에서 1번으로 표시된 프리모르스카 지방 (초록색) 프리모르스카() 또는 슬로베니아 연해 지방은 슬로베니아 서부에 위치한 지방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리모르스카 · 더보기 »

프리모시 코즈무스

리코시 코즈무스(1979년 9월 30일 ~)는 슬로베니아의 해머던지기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리모시 코즈무스 · 더보기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주()는 이탈리아 동북부 끝에 있는 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 더보기 »

선거

선거(選擧)는 대중이 공직자나 대표자를 선출하는 의사 결정 절차로, 대개 투표를 통해 진행.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선거 · 더보기 »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세르게이 바르바레즈(1971년 9월 17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하노버 96, 도르트문트, 함부르크, 레버쿠젠을 포함한 다수의 독일 분데스리가 클럽들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 더보기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트어(srpskohrvatski/hrvatskosrpski/српскохрватски)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의 여러 방언을 통합 정리한, 슬라브어파의 언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보크로아트어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 더보기 »

세르비아 (동음이의)

세르비아는 다음을 일컫.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동음이의) · 더보기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연합(약칭은 'СЦГ / SCG')은 2003년 2월 4일부터 2006년 6월 5일까지 존재한 유럽의 옛 나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더보기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는 2006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분리되기 전까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최상위 축구 리그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 더보기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23px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비율 1: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시절이었던 1992년 4월 27일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되었던 2006년 6월까지 사용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 더보기 »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right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2004~2006년)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기 (1992~2004년) 세르비아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자치 공화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공화국 (1992년 ~ 2006년) · 더보기 »

세르비아 급진당

세르비아 급진당 (---- 急進黨,, Srpska radikalna stranka, SRS) 은 세르비아의 정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급진당 · 더보기 »

세르비아 사회당

세르비아 사회당 은 세르비아의 좌익 정당으로, 민주사회주의, 좌파민족주의를 지향.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사회당 · 더보기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right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구성했던 공산주의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더보기 »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유럽 지도에서 크로아티아(녹색)과 세르비아(주황색)의 위치.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은 도나우 강 유역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간 벌어지는 국경 분쟁을 의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 더보기 »

세르비아인

세르비아인()는 주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스르프스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남슬라브족을 말하거나, 세르비아의 국민(시민권자)를 말. 보통은 남슬라브족의 세르비아 민족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인 · 더보기 »

세르비아의 국기

23px 세르비아의 국기 비율 2:3 세르비아의 국기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이었던 2004년 8월 17일에 제정되었으며 현재의 국기는 2010년 11월 11일에 제정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의 국기 · 더보기 »

세르비아어

right 세르비아어(스르프스키)는 세르비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르비아어 · 더보기 »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FINA World Aquatics Championships)는 1973년 연방공화국 베오그라드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2001년 일본 후쿠오카 시에서 열린 대회까지 4년마다 개최해오다 현재는 2년 간격으로 대회가 열리고 있. 대회는 경영, 오픈 워터 스위밍,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수구 등 다섯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는 국제 핸드볼 연맹(IHF)가 주관하는 국제대회로 1957년부터 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세야드 살리호비치

세야드 살리호비치 (Sejad Salihović, 1984년 10월 8일, 즈보르니크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로 현재 함부르크 SV에서 미드필더로 활약.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세야드 살리호비치 · 더보기 »

토니 슈니치

슈니치 (Toni Šunjić, 1988년 12월 15일, 모스타르 ~) 는 보스니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활약하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토니 슈니치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소련 · 더보기 »

소련의 점령지

소련이 점령한 영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비에트 연방은 점령한 중앙유럽 영토에 안정된 공산당 정부를 만들고 싶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소련의 점령지 · 더보기 »

야드란카 조키치

야드란카 조키치(1981년 1월 14일 ~)는 크로아티아의 배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야드란카 조키치 · 더보기 »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야네즈 드르노브셰크(1950년 5월 17일 ~ 2008년 2월 23일)는 슬로베니아의 정치가로 전 대통령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 더보기 »

야니차 코스텔리치

야니차 코스텔리치(Janica Kostelić, 1982년 1월 5일 자그레브에서 태어남)는 크로아티아의 알파인 스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야니차 코스텔리치 · 더보기 »

야트 에어웨이스

야트 에어웨이스()는 베오그라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항공사로 허브 공항은 베오그라드 국제공항이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야트 에어웨이스 · 더보기 »

야이체

야이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행정 구역상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하는 주인 중앙보스니아 주의 도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야이체 · 더보기 »

알렌카 브라투셰크

알렌카 브라투셰크 알렌카 브라투셰크(1970년 3월 31일 유고슬라비아(현재의 슬로베니아) 첼레 ~)는 슬로베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알렌카 브라투셰크 · 더보기 »

알렉산더 뢰어

알렉산더 뢰어 (Alexander Löhr, 1885년 5월 20일 ~ 1947년 2월 16일) 는 1930년대 오스트리아 공군 (Österreichische Luftstreitkräfte) 의 지휘관이자, 오스트리아 병합 (Anschluss) 이후, 독일 공군 (Luftwaffe) 의 지휘관이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알렉산더 뢰어 · 더보기 »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1983년 3월 22일 ~)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측면 수비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 더보기 »

알바니아

알바니아 (알바니아어: Shqipëri/Shqipëria; 슈치퍼리/슈치퍼리아), 공식적으로는 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共和國, 알바니아어: Republika e Shqipërisë; 레푸블리카 에 슈치퍼리스)은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알바니아 · 더보기 »

알치데 데 가스페리

알치데 데 가스페리 추모우표(1968년 서독) 알치데 데 가스페리(1881년 4월 3일 ~ 1954년 8월 19일) 는 이탈리아의 정치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알치데 데 가스페리 · 더보기 »

안드레 미야토비치

안드레 미야토비치 (Andre Mijatović, 1979년 12월 3일, 리예카 ~) 는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현재 2. 푸스발-분데스리가의 FC 잉골슈타트 04에서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 그는 리예카 출신으로, 지역 클럽 HNK 리예카에서 축구를 시작하였고, 1998년 팀의 1군에 합류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안드레 미야토비치 · 더보기 »

안제 코피타르

안제 코피타르(1987년 8월 24일 ~)는 슬로베니아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현재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클럽인 로스앤젤레스 킹스의 주장으로 뛰고 있. 2005년 NHL 드래프트 전체 11위로 선정되어 슬로베니아인으로는 최초로 NHL에 입성했으며, 2006년에 로스앤젤레스 킹스에 입단하여 그 팀에서 NHL 경력 전부를 보내고 있. 2015-16 시즌부터 킹스의 주장을 맡았으며, 그 시즌에 정규시즌 최우수 수비형 공격수에게 주는 상인 프랭크 J. 셀키 트로피와 NHL 최고의 스포츠 정신을 보여준 선수에게 주는 레이디 빙 트로피를 받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안제 코피타르 · 더보기 »

안톤 로프

안톤 로프 안톤 로프(1960년 12월 27일 유고슬라비아(현재의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는 슬로베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안톤 로프 · 더보기 »

하리스 메두냐닌

리스 메두냐닌 (Haris Medunjanin, 1985년 3월 8일, 사라예보 ~) 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프로 축구 선수로, 현재 미국 클럽 필라델피아 유니언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 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네덜란드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하리스 메두냐닌 · 더보기 »

하산 살리하미지치

산 살리하미지치 (Hasan Salihamidžić, 1977년 1월 1일, 유고슬라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야블로니차 ~)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하산 살리하미지치 · 더보기 »

아뎀 랴이치

아뎀 랴이치 (1991년 9월 29일, 세르비아, 노비파자르) 는 현재 이탈리아 세리에 A 클럽인 토리노에서 뛰고 있. 포지션은 왼쪽 미드필더 및 공격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아뎀 랴이치 · 더보기 »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 (1986년 3월 6일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아브디야 브르샤예비치 · 더보기 »

아나 미하일로비치

아나 미하일로비치(Ana Mihajlović, 1986년 5월 20일 ~)는 세르비아의 모델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아나 미하일로비치 · 더보기 »

아나 이바노비치

아나 이바노비치(Ana Ivanović, 세르비아어: Ана Ивановић,,, 1987년 11월 6일 ~)는 세르비아 출신의 전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아나 이바노비치 · 더보기 »

아드미르 메흐메디

아드미르 메흐메디(1991년 3월 16일, 고스티바르 ~)는 스위스 국가대표팀 일원인 축구 선수로, 현재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세컨드 스트라이커, 중앙 공격수로 활약중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아드미르 메흐메디 · 더보기 »

셰프키 쿠치

셰프키 쿠치(1976년 11월 10일 ~)는 구 유고슬라비아 태생의 핀란드 축구 선수였으며, 현재는 핀란드 베이카우스리가의 FC 혼카에서 감독으로 재임 중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셰프키 쿠치 · 더보기 »

테야 그레고린

야 그레고린(1980년 6월 29일 ~)은 슬로베니아의 여자 바이애슬론 선수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테야 그레고린 · 더보기 »

티토주의

주의(Titoism)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주장한 독자적인 공산주의를 말.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티토주의 · 더보기 »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시니샤 미하일로비치(1969년 2월 20일,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부코바르 ~)는 과거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 더보기 »

SFR

SFR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SFR · 더보기 »

SRM

SRM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SRM · 더보기 »

TT-33

TT-33(권총은 소련이 1930년에 나강 M1895 리볼버를 대체할 목적으로 채용한 TT-30을 약간 개량한 반자동 권총이다. 미국의 총기 설계자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FN M1903과 비슷한 점이 많다. 사용 탄환은 7.62 × 25 mm 토카레프 탄을 사용하는데, 이 탄환은 마우저 C96에 사용되는 7.63 × 25 mm 마우저 탄과 비슷하다. 오랫동안 구 소련 및 공산권의 제식 권총이었다. 소련에서는 1954년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나, 라이선스 생산 또는 불법 복제 TT-33이 만들어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은 51식, 54식, M20, TU-90이란 이름으로 계속 사용했고, 폴란드와 헝가리는 M48이란 이름으로 사용했다. 수출용 버전도 있는데 9 mm 패러벨럼 탄을 사용하도록 개조된 이집트용(안전 장치가 추가되고 잡기가 편해졌다)과, 유고슬라비아는 M57과 M70A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68식 권총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소련 블록에 속한 나라들은 TT-33 대신에 9mm 마카로프 탄을 사용하는 블로우백 방식의 마카로프 권총을 제식으로 채용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TT-33 · 더보기 »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시즌은 UEFA 챔피언스리그의 38번째 시즌이며, 명칭이 유러피언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로 바뀐 이후의 첫 시즌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 더보기 »

UEFA 유로 1972 예선

UEFA 비회원국 UEFA 유로 1972 예선은 유럽 축구 연맹에 속한 32개 팀들이 UEFA 유로 1972에 참가하기 위해 서로 겨루는 대회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UEFA 유로 1972 예선 · 더보기 »

YU

YU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YU · 더보기 »

10일 전쟁

10일 전쟁(十日戰爭) 또는 슬로베니아 독립 전쟁()은 1991년 6월 25일 슬로베니아가 독립 선포를 하자 일어난 유고슬라비아의 내전이다. 1991년 슬로베니아가 독립 선포를 하고 나서는 슬로베니아 국토방위군()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끼리 전투를 했다. 10일 동안 전쟁을 했기 때문에 10일 전쟁(), 일주일 전쟁() 또는 열흘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전쟁은 1991년 7월 7일 브리유니 평화 조약의 서명으로 끝나게 되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0일 전쟁 · 더보기 »

11월 29일

11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3번째(윤년일 경우 3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1월 29일 · 더보기 »

1978년 10월 콘클라베

성좌의 문장 1978년 10월 콘클라베는 제264대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진행된 콘클라베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78년 10월 콘클라베 · 더보기 »

1978년 8월 콘클라베

성좌의 문장 1978년 8월 콘클라베는 제263대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진행된 콘클라베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78년 8월 콘클라베 · 더보기 »

1984년 동계 올림픽

1984년 동계 올림픽(XIV Olympic Winter Games)은 1984년 2월 8일부터 2월 19일까지 유고슬라비아(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에서 개최된 제14회 동계 올림픽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84년 동계 올림픽 · 더보기 »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XIV Summer Universiade)는 1987년 7월 8일부터 7월 19일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자그레브에서 열린 하계 유니버시아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 더보기 »

1989년 혁명

1989년 혁명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 초까지 발생한 혁명의 물결의 일부로 동유럽과 기타 지역의 공산정권을 붕괴시키게 된 결과를 낳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89년 혁명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1년 · 더보기 »

1991년 9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1년 9월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2년 · 더보기 »

1992년 4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2년 4월 · 더보기 »

1992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1992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는 199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순으로 매긴 각국의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들의 목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2년 하계 패럴림픽 메달 집계 · 더보기 »

1992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1992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는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순으로 매긴 각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의 목록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1992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 더보기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복사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사격 남자 50m 소총복사 종목은 8월 15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에 있는 베이징 사격관에서 열. 28개국에서 43명의 선수가 참가하였.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복사 · 더보기 »

8월 쿠데타

8월 쿠데타()는 1991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소련 공산당 보수파들이 중심이 된 국가비상사태위원회가 당시 소련 대통령이던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반대해 일으킨 쿠데타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8월 쿠데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구유고 연방, 구유고슬라비아, 구유고슬라비아 연방, 구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구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