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고슬라비아 해체

색인 유고슬라비아 해체

소보 (2008년 독립)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란 유고슬라비아가 8개 나라로 쪼개져 분열된 사건을 말. 유고슬라비아는 1945년 나치의 지배로부터 해방된 뒤부터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의해 35년간 안정적으로 통치되었.

16 처지: 로그 혁명, 무슬리마니, 보스니아 전쟁, 공산주의 국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비동맹 운동,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유고슬라비아 전쟁, 올림픽 메달 집계, 풀라 영화제, 세르비아,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소련의 붕괴, 1989년 혁명.

로그 혁명

혁명()은 1990년 8월 17일 독립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인 다수 지역에서 일어난 세르비아인 봉기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로그 혁명 · 더보기 »

무슬리마니

무슬리마니(Muslimani)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무슬림을 하나의 민족으로 분류한 말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무슬리마니 · 더보기 »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 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은 1992년 4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일어난 국제적인 무력 충돌이다. 전쟁은 몇 가지 측면과 관련되었다. 주요 참전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과 자칭 보스니안 세르비아와 보스니안 크로아티아가 있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스릅스카 공화국과 헤르체그보스니아가 있고, 외부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크로아티아가 있었다. 전쟁의 결과로 유고슬라비아의 해체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91년, 다민족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던 민족은 주로 무슬림인 보스니아인 (44%), 세르비아 정교회 세르비아인 (31%), 천주교 크로아티아인 (17%)로 이루어진 독립을 위한 국민 투표가 1992년 2월 29일에 통과되었다. 이것은 국민 투표후 공화국 수립 후 자국 내 세르비아인들에게 반대를 얻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에 이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세르비아 정부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을 공격하고, 세르비아인은 보복을 피하기 위해 보스니아 지역을 탈출하며 특히 동부 보스니아인은 인종청소를 당했다. 이것은 주로 영토 분쟁으로, 초기에는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군(VRS)가 한 편에,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ARBiH)이 대부분이며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은 크로아티아 국방 위원회(HVO)가 또 다른 편에 섰다. 크로아티아 또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일부분의 영토를 원하며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을 일으켰다. 전쟁은 보통 쓰라린 전투, 무차별적인 도시 폭격, 인종 청소, 집단 강간과 대학살 등으로 대표된다. 사라예보 포위와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같은 사건들은 갈등의 대표적인 상징이 되고 있다. 세르비아는 초기 JNA의 무기와 광대한 자원으로 인해 우세였으나, 보스니아인들에 의해 추진력을 잃고 크로아티아인의 스프르스카 공화국과 동맹도 맺었으나, 결국 워싱턴 협정으로 인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이 형성된다. 스레브레니차 대학살과 마르칼레 대학살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1995년 동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폭격으로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진격을 방해하며, 이는 종전의 주요한 원인이었다. 전쟁은 1995년 12월 14일 파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 협정의 최종 협상이 진행되었다. 평화 협상은 1995년 12월 21일 미국 오하이오 데이턴에서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보통 데이턴 협정이라 부른다. 1995년 미국 중앙 정보국의 보고서에서, 세르비아군은 전쟁 중 90%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by Roger Cohen, The New York Times, 9 March 1995 2008년 초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서 45명의 세르비아인, 12명의 크로아티아인 및 4명의 보스니아인이 보스니아에서의 전범 재판으로 기소되었다.New York Times – Karadzic Sent to Hague for Trial Despite Violent Protest by Loyalists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는 10만-11만명이 사망하고 220만명이 난민이 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치명적인 전쟁으로 남았다.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보스니아 전쟁 · 더보기 »

공산주의 국가

공산주의 국가(共産主義國家)는 공산주의를 통치 이념으로 삼은 국가를 말. 1990년 이후 소련 붕괴 전후로 동유럽이 포기하고 독일 통일 등이 실현됨으로써 본격적으로 냉전이 종식되고 이념대결과 공산주의의 시대는 종결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공산주의 국가 · 더보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北大西洋 條約 機構) 또는 북대서양 동맹은 국제 군사 기구로 1949년 4월 4일 체결된 북대서양 조약에 의해 창설되었.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 · 더보기 »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2002년 3월)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1922년 11월 14일 ~ 2016년 2월 16일)는 이집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제6대 유엔 사무총장을.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 더보기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 회원국.(2012년) 연한 파랑은 참관국 지위. 비동맹 운동(非同盟運動)은 주요 강대국 블록에 공식적으로 속하지 않거나 이에 대항하려는 국가들로 이룬 국제 조직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비동맹 운동 · 더보기 »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또는 SAO 크라이나 (САО Крајина) 현대의 크로아티아, 당시의 유고슬라비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내의 자칭 세르비아인 자치주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크라이나 세르비아인 자치주 · 더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슬로바키아 해체()는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해체를 자가 결정하여 1993년 1월에 발효한 사건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 더보기 »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영토에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일어난 전쟁을 일컫.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유고슬라비아 전쟁 · 더보기 »

올림픽 메달 집계

음은 역사상 치뤄진 모든 올림픽 경기의 메달 집계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올림픽 메달 집계 · 더보기 »

풀라 영화제

영화제()는 매년 7, 8월경 크로아티아 풀라에서 국제 영화제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풀라 영화제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세르비아 · 더보기 »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유럽 지도에서 크로아티아(녹색)과 세르비아(주황색)의 위치.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은 도나우 강 유역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간 벌어지는 국경 분쟁을 의미.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 · 더보기 »

소련의 붕괴

15. 우즈베키스탄 소련의 붕괴는 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42-Н 선언으로 일어.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소련의 붕괴 · 더보기 »

1989년 혁명

1989년 혁명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 초까지 발생한 혁명의 물결의 일부로 동유럽과 기타 지역의 공산정권을 붕괴시키게 된 결과를 낳았.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1989년 혁명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유고 붕괴, 유고 해체,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