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금필

색인 유금필

유금필 또는 유검필(庾黔弼, ? ~941년 음력 4월)은 고려(高麗)의 무신(武臣) 겸(謙) 정치가(政治家)로 평주(平州: 평산)(平山) 출생이며, 태조(太祖)을 도와 고려(高麗)를 건국(建國)하는 데 큰 공을 세웠.

33 처지: 동양원부인, 무송 유씨, 강인덕 (배우), 박술희, 견훤, 고려 태조, 고려의 공신, 고창 전투, 부여 가림성,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효목태자, 효은태자, 임존성, 평산 유씨, 평산군, 일리천 전투, 유 (성씨), 유방 (고려), 유금필, 상달, 상애, 태조 왕건 (드라마), 태사사, 온양 정씨, 서낭당, 서원 철폐, 신검, 월경지,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홍유, 왕흥, 왕충 (고려 초기), 941년.

동양원부인

동양원부인 유씨(東陽院夫人 庾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9비이.

새로운!!: 유금필와 동양원부인 · 더보기 »

무송 유씨

무송 유씨(茂松 庾氏)는 전라북도 고창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유금필와 무송 유씨 · 더보기 »

강인덕 (배우)

강인덕(1949년 1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유금필와 강인덕 (배우) · 더보기 »

박술희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945년 10월 24일(음력 9월 16일))는 신라(新羅) 말기와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사람이며,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神)이다. 태조(太祖)의 측근 중의 한 사람이다.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高麗) 전기의 무신(武神)이자, 개국공신으로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시대의 문신 박제상(朴堤上)과 백결 선생(百結 先生)의 후손이다.

새로운!!: 유금필와 박술희 · 더보기 »

견훤

훤(甄萱, 867년~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935년 음력 3월)은 후백제를 건국한 후백제의 시조이.

새로운!!: 유금필와 견훤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유금필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의 공신

의 공신은 고려에 대한 공으로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관직이.

새로운!!: 유금필와 고려의 공신 · 더보기 »

고창 전투

창 전투는 930년 신라 고창(현재 안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결전으로 927년 공산 동수 전투와 함께 후삼국 시대 중요한 전투로 꼽히며, 왕건이 승리해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고 후백제는 쇠.

새로운!!: 유금필와 고창 전투 · 더보기 »

부여 가림성

부여 가림성(扶餘 加林城)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와 장암면에 걸쳐 세워진 산성으로 백제 동성왕 23년인 501년에 세워진 산성이.

새로운!!: 유금필와 부여 가림성 · 더보기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는 SBS에서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1월 1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유금필와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더보기 »

효목태자

효목태자 왕의(孝穆太子 王義)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의 장남이.

새로운!!: 유금필와 효목태자 · 더보기 »

효은태자

효은태자 왕원(孝隱太子 王垣)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의 소생이.

새로운!!: 유금필와 효은태자 · 더보기 »

임존성

예산 임존성(禮山 任存城)은 한국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봉수산 꼭대기에 있는 둘레 약 3km의 산성이.

새로운!!: 유금필와 임존성 · 더보기 »

평산 유씨

평산 유씨(平山 庾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유금필와 평산 유씨 · 더보기 »

평산군

평산군(平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유금필와 평산군 · 더보기 »

일리천 전투

일리천 전투는 936년(고려태조 19) 9월에 고려군과 후백제군이 일선군(一善郡)의 일리천(一利川, 구미시 인동면)에서 치른 전투로, 고려가 후백제에 압도적으로 승리하였.

새로운!!: 유금필와 일리천 전투 · 더보기 »

유 (성씨)

(柳, 劉) 또는 유(兪, 庾)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유금필와 유 (성씨) · 더보기 »

유방 (고려)

유방(庾方, ? ~ 1038년 7월 24일)은 고려의 관료, 재상이.

새로운!!: 유금필와 유방 (고려) · 더보기 »

유금필

유금필 또는 유검필(庾黔弼, ? ~941년 음력 4월)은 고려(高麗)의 무신(武臣) 겸(謙) 정치가(政治家)로 평주(平州: 평산)(平山) 출생이며, 태조(太祖)을 도와 고려(高麗)를 건국(建國)하는 데 큰 공을 세웠.

새로운!!: 유금필와 유금필 · 더보기 »

상달

상달(尙疸)은 후백제의 장군이.

새로운!!: 유금필와 상달 · 더보기 »

상애

상애(尙哀)는 후백제의 장수이.

새로운!!: 유금필와 상애 · 더보기 »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KBS에서 후삼국시대부터 삼별초, 공민왕 시대까지 다룬 고려사 시리즈 중 첫 번째로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유금필와 태조 왕건 (드라마) · 더보기 »

태사사

평산 태사사(平山 太師祠)는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에 있던 옛 사우이.

새로운!!: 유금필와 태사사 · 더보기 »

온양 정씨

온양 정씨(溫陽 鄭氏)는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유금필와 온양 정씨 · 더보기 »

서낭당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진또배기 성황당 성황당 입구 서낭당은 한국의 무속신앙에서 신을 모시는 사당이.

새로운!!: 유금필와 서낭당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유금필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신검

신검(甄神劍,? ~ 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 재위: 935년 11월 15일(음력 10월 17일)~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은 후백제(後百濟)의 두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다.

새로운!!: 유금필와 신검 · 더보기 »

월경지

(그림 1) C의 주권이 B에 속해 있으며, B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C는 B의 '''월경지'''이다. 이에 대해 C는 A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A의 '''위요지'''이다. (그림 2) C는 B의 월경지이지만, A와 D가 국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요지는 아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빨강 부분)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월경지(越境地)는 특정 국가나 특정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주위를 다른 나라·행정구역 등에 둘러싸여 격리된 곳을 말. 월경지 외에 비지(飛地)·비입지(飛入地)·포령(包領) 등의 용어도 쓰인.

새로운!!: 유금필와 월경지 · 더보기 »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금필와 후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홍유

홍유(洪儒)는 고려 초기의 무신(武臣)이자 고려 개국공신 가운데 한 명이.

새로운!!: 유금필와 홍유 · 더보기 »

왕흥

왕흥(王興, ? ~ 1401년)은 여말선초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금필와 왕흥 · 더보기 »

왕충 (고려 초기)

왕충(王忠)은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臣)이.

새로운!!: 유금필와 왕충 (고려 초기) · 더보기 »

9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금필와 94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유검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