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기음

색인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41 처지: , ,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무기음, 반치음, 반설음,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박찬옥 (영화 감독), 격음화, 버마 문자, 버마어, 그림의 법칙, 비교 재구, 꽁옹어, 대한민국의 힙합, 국제 음성 기호, 닿소리, 니브흐어, 자질문자, 재일 한국어, 힌디어, 입술소리, 이그보어, 이누크티투트어, 일본어의 한자, 음운론, 청음과 탁음, 치음 (음운학), 파열음, 영어, 오음 (음운학), 최범호, 설음, 한국어, 한국어 음운론, 알타이 제어, 아음, 후음, ه, X-SAMPA.

ㄶ(니은히읗)은 한글 낱자의 ㄴ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유기음와 ㄶ · 더보기 »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새로운!!: 유기음와 ㅎ · 더보기 »

ㅀ(리을히읗)은 한글 낱자의 ㄹ과 ㅎ을 겹쳐 놓은 것이.

새로운!!: 유기음와 ㅀ · 더보기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하나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함께 가장 널리 쓰인.

새로운!!: 유기음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더보기 »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새로운!!: 유기음와 무기음 · 더보기 »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유기음와 반치음 · 더보기 »

반설음

반설음(半舌音) 또는 반혓소리(반혀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설음과 조음 위치가 같지만 조음방법이 오음(五音)에 기준이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유기음와 반설음 · 더보기 »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바이어() 는 중국 윈난 성에 사는 바이족들의 언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바이어 (아시아의 언어) · 더보기 »

박찬옥 (영화 감독)

박찬옥(朴燦玉, 1968년~)은 대한민국의 여성 영화 감독이.

새로운!!: 유기음와 박찬옥 (영화 감독) · 더보기 »

격음화

격음화현상은 유기음화(有氣音化)현상 또는 거센소리.

새로운!!: 유기음와 격음화 · 더보기 »

버마 문자

버마 문자()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

새로운!!: 유기음와 버마 문자 · 더보기 »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버마어 · 더보기 »

그림의 법칙

림의 법칙은 독일의 야코프 그림이 그의 저서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에서 지적한, 게르만어의 역사적인 변화 과정에서 파열음 계열의 소리들이 보이는 규칙적인 음운 변화를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그림의 법칙 · 더보기 »

비교 재구

비교 재구(comparative reconstruction)란 공통의 언어로부터 분기되었다고 믿어지는 둘 이상의 언어들이 있을 때 이들 언어들을 체계적으로 비교해서 그 언어들이 분화되기 이전 상태의 언어인 공통조어를 재구하는 연구 방법론을 말. 비교 재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층위를 포괄하는 전체적인 조어의 모습을 세밀한 부분까지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재구하는 것이나, 현재까지의 비교 재구에 연관된 연구들은 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에 집중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비교 재구는 일반적으로 말소리의 비교 재구를 가리.

새로운!!: 유기음와 비교 재구 · 더보기 »

꽁옹어

꽁옹어는 코이산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음운이 141개가 있으며 그 대부분이 흡착음이.

새로운!!: 유기음와 꽁옹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힙합

민국의 힙합은 1990년대부터 듀스, 서태지와 아이들, 지누션, 김진표 등의 뮤지션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서울과 부산, 대구를 중심으로 유명 크루들이 활동하고 에픽하이, 드렁큰 타이거, 키비, 다이나믹 듀오, 배치기 등의 실력자들이 활동.

새로운!!: 유기음와 대한민국의 힙합 · 더보기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국제 음성 기호 (2015년 개정) 한국어판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

새로운!!: 유기음와 국제 음성 기호 · 더보기 »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유기음와 닿소리 · 더보기 »

니브흐어

브흐어(нивхгу)는 니브흐족들이 쓰는 언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니브흐어 · 더보기 »

자질문자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alphabet)는 표음 문자의 일종으로, 조음 위치와 같은 음운의 자질이 반영된 문자 체계이.

새로운!!: 유기음와 자질문자 · 더보기 »

재일 한국어

재일 한국어(在日韓國語) 혹은 재일조선어()는 일본의 재일 한국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유기음와 재일 한국어 · 더보기 »

힌디어

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हिन्दी)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공용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힌디어 · 더보기 »

입술소리

입술소리(입시울쏘리) 또는 순음(脣音)은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라는 뜻으로 현대 음성학과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새로운!!: 유기음와 입술소리 · 더보기 »

이그보어

이그보어(IgboLaurie Bauer, 2007,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또는 이보어(Ibo)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에 사는 이그보인들이 사용하는 주 모국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이그보어 · 더보기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ᐃᓄᒃᑎᑐᑦ)는 알래스카 서부에서 그린란드까지 퍼져 있는, 이누이트의 언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이누크티투트어 · 더보기 »

일본어의 한자

()는 일본에서 쓰이고 있는 한자(漢字) 즉, 일본어의 한자를 지칭.

새로운!!: 유기음와 일본어의 한자 · 더보기 »

음운론

음운론(音韻論)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의 하나로 특정 개별 언어 또는 여러 언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유기음와 음운론 · 더보기 »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새로운!!: 유기음와 청음과 탁음 · 더보기 »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새로운!!: 유기음와 치음 (음운학) · 더보기 »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새로운!!: 유기음와 파열음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유기음와 영어 · 더보기 »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새로운!!: 유기음와 오음 (음운학) · 더보기 »

최범호

범호(崔範浩, 1964년 10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유기음와 최범호 · 더보기 »

설음

설음(舌音) 또는 혓소리(혀쏘리)는 혀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유기음와 설음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유기음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 음운론

이 문서에서는 한국어의 말소리를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점에서 기술.

새로운!!: 유기음와 한국어 음운론 · 더보기 »

알타이 제어

알타이 제어 알타이 제어(Altai諸語)는 우랄 산맥 이동의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지역의 언어를 설명하고자 하는 가상의 어족이.

새로운!!: 유기음와 알타이 제어 · 더보기 »

아음

아음(牙音) 또는 어금닛소리(엄쏘리)는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전통적 음운학에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말. 오음의.

새로운!!: 유기음와 아음 · 더보기 »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새로운!!: 유기음와 후음 · 더보기 »

ه

()는 아랍 문자의 스물 여섯번째 글자로, 음가는 무성 성문 마찰음 이. 페니키아 문자 Hē(Hē)에서 변화한 문자 중 하나로, 히브리 문자 ה, 아람어 Hē 12px, 시리아 문자 Hē ܗ, 그리스 문자 Ε, 로마자 E, 키릴 문자 E에 대응.

새로운!!: 유기음와 ه · 더보기 »

X-SAMPA

확장된 SAM 음성 기호(X-SAMPA: eXtended Speech Assessment Methods Phonetic Alphabet)는 런던 대학교의 음성학 교수인 존 C. 웰스가 1995년에 고안한 SAMPA의 변형이.

새로운!!: 유기음와 X-SAMPA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ʰ, 거센소리, 격음, 기음, 대기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