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길준

색인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161 처지: 독립협회, 독립신문, 동학 농민 운동, 만민공동회, 명성황후,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미국의 정치, 민응식 (1844년), 민영목, 민영익, 민원식, 각단체대표이등박문조례단, 백완혁, 갑신정변, 박문웅 (1890년), 박병철 (1874년), 박규수, 박승봉, 박정양, 박중양, 박지원 (1737년), 강위, 박영교, 박영효, 박서양 (1885년), 경성유치원, 검단산 (하남/광주), 고영근, 보빙사, 변수 (1861년), 관민추도회, 권동진, 기계 유씨, 기호학교, 김가진, 김관현, 김윤식 (1835년), 김상설, 김옥균, 김형섭 (1878년), 김성근 (1835년), 김홍집 (1842년), 대한문전,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구당, 구연수, 국민대추도회, ..., 국채보상운동, 군국기무처, 군수삭발령, 남궁억, 노백린, 단발령, 우범선, 장석주 (1848년), 작위, 흥사단, 흥선대원군,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동인, 이건승, 이겸제, 이광수, 이규완, 이두황, 이노우에 가오루, 이용익, 이재선, 이종응, 이준용 (1870년), 이진호 (1867년), 이상재, 이호성 (대한제국), 일소대, 음력 10월 24일, 음력 8월 11일, 을미사변, 제국실업회, 정난교, 정한론, 조희연 (1856년), 조진태, 조사 시찰단, 조선귀족, 중추원 (대한제국), 찬란한 여명, 청년학우회, 천장욱, 천현동, 유만겸, 유각경, 유병덕 (공무원), 유길준 단령, 유정수 (1857년), 유치홍, 유혁로, 유옥겸, 유억겸, 유성준 (1860년), 유홍기 (1831년), 육용정, 육종윤, 윤경순 (1855년), 윤경완, 윤고려, 윤치영,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 일기, 윤영선 (1896년), 윤웅렬, 순헌황귀비, 영은문 주초, 오경석, 오카모토 류노스케, 오세창, 최광옥, 최남선, 최익현, 양심여학교, 역사 연표, 풀어쓰기, 사회진화론, 서광범, 서울은로초등학교, 서재창, 서재필, 서유견문, 서상우 (1831년), 통제영학당, 한규직, 한국 근대의 교육, 한국어 운동의 역사, 한국왕실정부대표이등박문조례단,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한제국 건국사, 한성부민회, 한성부판윤, 안경수 (1853년), 안트베르펜, 안창호, 하응선, 아관파천, 신응희, 후쿠자와 유키치, 홍계훈, 홍영식, 105인 사건, 11월 21일, 1856년, 1883년, 1885년, 1896년, 1908년, 1913년, 1914년, 4월 7일, 9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1 더)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독립신문

독립신문 초판 독립신문(獨立新聞)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독립신문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유길준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또는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는 조선말, 대한제국의 대토론회, 시민운동이자 시민사회단체로 독립협회에서 처음 주관하였다가 1898년 4월을 기점으로 독립협회의 영향력에서 독자적인 민중대회, 단체로 성장.

새로운!!: 유길준와 만민공동회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유길준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明成皇后 暗殺未遂 事件)은 1895년(고종 32년) 7월 조선의 정치인 박영효 등 급진개화파 일부가 명성황후를 비밀리에 암살하려던 사건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 더보기 »

미국의 정치

미국 의회 의사당 서쪽 정면. 미국 상하원이 이 곳에 있다. 미합중국은 1776년 성립되어, 전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방 국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미국의 정치 · 더보기 »

민응식 (1844년)

민응식(閔應植, 1844년 ~ 1903년 3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척이.

새로운!!: 유길준와 민응식 (1844년)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민영목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민영익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민원식 · 더보기 »

각단체대표이등박문조례단

각단체대표이등박문조례단(各團體代表伊藤博文弔禮團)은 1909년에 대한제국의 여러 단체가 연합해 구성한 이토 히로부미 조문단이.

새로운!!: 유길준와 각단체대표이등박문조례단 · 더보기 »

백완혁

백완혁(白完爀, 1856년 음력 9월 13일~1938년 양력 1월 12일)은 동양척식주식회사 위원을 지낸 친일파 금융인, 기업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백완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유길준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문웅 (1890년)

박문웅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문웅 (1890년) · 더보기 »

박병철 (1874년)

박병철(朴炳哲, 187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겸 금융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병철 (1874년)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승봉

박승봉(朴勝鳳, 1871년 ~ 1933년 6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도 관료를.

새로운!!: 유길준와 박승봉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유길준와 강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유길준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영효 · 더보기 »

박서양 (1885년)

박서양, 1908년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박서양 (1885년) · 더보기 »

경성유치원

경성유치원 (1917년) 경성유치원(京城幼稚園)은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내 조선인을 대상으로 1913년에 설립된 사립 교육 시설이.

새로운!!: 유길준와 경성유치원 · 더보기 »

검단산 (하남/광주)

산(黔丹山)은 경기도 하남시와 광주시에 걸쳐 있는 높이 657m의 산이.

새로운!!: 유길준와 검단산 (하남/광주) · 더보기 »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새로운!!: 유길준와 고영근 · 더보기 »

보빙사

변수 앞줄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중국인 통역 우리탕. 보빙사(報聘使)는 1883년 조선에서 최초로 미국 등 서방 세계에 파견된 외교 사절단이.

새로운!!: 유길준와 보빙사 · 더보기 »

변수 (1861년)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부터 부사 홍영식, 정사 민영익, 종사관 서광범, 미국인 로웰, 뒷줄 왼쪽부터 무관 현흥택 최경석, 수행원 유길준, 고영철, 변수 변수(邉燧, Byun Soo, 1861년 ~ 1891년 10월 22일)는 조선 말의 개화파 관료, 정치가, 개화운동가이자 외교관이며 미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유길준와 변수 (1861년) · 더보기 »

관민추도회

민추도회(官民追悼會)는 1909년에 대한제국 정부가 주요 관리들을 참석시켜 진행한 이토 히로부미 추도 행사이.

새로운!!: 유길준와 관민추도회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권동진 · 더보기 »

기계 유씨

유씨(杞溪 兪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유길준와 기계 유씨 · 더보기 »

기호학교

호학교(畿湖學校)는 1908년 기호학회(畿湖學會)에 의하여 창립된 사립학교로, 중앙고등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유길준와 기호학교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가진 · 더보기 »

김관현

현(金寬鉉, 일본식 이름: 金光副臣, 1876년 3월 3일 ~ 1948년 12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무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관현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김상설

상설(金相卨, 1880년 1월 11일 ~ 1938년 2월 26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겸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초명은 김봉석(金鳳錫)이며 본적은 경성부 원남정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상설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형섭 (1878년)

형섭(金亨燮, 1878년 음력 1월 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형섭 (1878년) · 더보기 »

김성근 (1835년)

성근(金聲根, 1835년 양력 3월 19일 ~ 1919년 양력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서예가, 정치인이자 성리학자이며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관료,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이.

새로운!!: 유길준와 김성근 (1835년)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유길준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한문전

문전(大韓文典)은 유길준이 1909년(융희 3년)에 지은 근대적인 문법책이.

새로운!!: 유길준와 대한문전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사관학교(海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해군 및 해병대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새로운!!: 유길준와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중추원 의장(中樞院 議長, Speaker of National Assembly)은 대한제국의 입법부인 중추원의 장이.

새로운!!: 유길준와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 더보기 »

구당

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길준와 구당 · 더보기 »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새로운!!: 유길준와 구연수 · 더보기 »

국민대추도회

국민대추도회(國民大追悼會)는 1909년 11월에 대한제국의 여러 단체와 인물이 연합해 결성한 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국민대추도회 · 더보기 »

국채보상운동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으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제안하였.

새로운!!: 유길준와 국채보상운동 · 더보기 »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는 1894년 1차 갑오개혁 때 만들어진 관청이.

새로운!!: 유길준와 군국기무처 · 더보기 »

군수삭발령

수삭발령(郡守削髮令)은 대한제국에서 1902년(광무 7년) 8월부터 1910년(융희 4년) 10월까지 대한제국에 존재했던 법령의 하나였.

새로운!!: 유길준와 군수삭발령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남궁억 · 더보기 »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새로운!!: 유길준와 노백린 · 더보기 »

단발령

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

새로운!!: 유길준와 단발령 · 더보기 »

우범선

우범선(禹範善, 1857년 5월 24일 ~ 1903년 11월 24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및 군인 겸 정치가이며,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협력자이자 명성황후 살해에 가담한 조선 시대 말기 고위 인사의 일원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우범선 · 더보기 »

장석주 (1848년)

장석주(張錫周, 일본식 이름: 高谷義, 1848년 음력 12월 26일 ~ 1921년 양력 9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유길준와 장석주 (1848년)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유길준와 작위 · 더보기 »

흥사단

흥사단 창립자 도산 안창호 흥사단(興士團)은 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흥사단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유길준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유길준와 이건승 · 더보기 »

이겸제

이겸제(李謙濟, 일본식 이름: 福田謙治, 1867년 11월 9일 ~ 1947년 7월 6일)는 구한말 무관으로 개화파의 일원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유길준와 이겸제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새로운!!: 유길준와 이광수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유길준와 이규완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두황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용익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종응

이종응(李鍾應, 1853년 - 1920년)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로 무과(武科)에 급제한 뒤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으며, 1902년(광무 6) 영국 왕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사절단으로 다녀와 《서사록(西徙錄)》을 지었.

새로운!!: 유길준와 이종응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진호 (1867년)

이진호(李軫鎬,, 1867년 8월 30일(음력 8월 2일) ~ 1946년 9월 3일)는 조선 후기의 개화파 무관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진호 (1867년) · 더보기 »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상재 · 더보기 »

이호성 (대한제국)

이호성(李鎬性, 1842년/1843년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이호성 (대한제국) · 더보기 »

일소대

일소대(一笑臺) 또는 일소정(一笑亭)은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 1동 1381-1번지 오봉산에 있던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관료 겸 정치인 박중양(朴重陽, 1872 ~ 1959)의 별장과 그가 세워놓은 정자였.

새로운!!: 유길준와 일소대 · 더보기 »

음력 10월 24일

음력 10월 24일은 음력 10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유길준와 음력 10월 24일 · 더보기 »

음력 8월 11일

음력 8월 11일은 음력 8월의 11번째 날이.

새로운!!: 유길준와 음력 8월 11일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유길준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제국실업회

제국실업회(帝國實業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설립된 보부상 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제국실업회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정난교 · 더보기 »

정한론

정한론() 또는 정조론(征朝論)은 19세기 말 당시, 일본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 또는 신념이.

새로운!!: 유길준와 정한론 · 더보기 »

조희연 (1856년)

조희연(趙羲淵, 일본식 이름: 大村智三郞, 1856년 5월 26일 ~ 1915년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유길준와 조희연 (1856년) · 더보기 »

조진태

조진태(趙鎭泰, 1853년 음력 6월 6일 ~ 1933년 양력 12월 17일)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 설립위원을 지낸 금융인, 기업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조진태 · 더보기 »

조사 시찰단

1882년 일본 유학 중의 유길준 윤치호 조사 시찰단(朝士視察團)은 1881년(고종 18년) 4월 10일부터 윤7월 2일까지 김홍집의 주장에 따라 수신사에 이어 일본 제국에 파견되었던 집단이.

새로운!!: 유길준와 조사 시찰단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유길준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새로운!!: 유길준와 중추원 (대한제국)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유길준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청년학우회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는 1909년 2월부터 1910년 11월까지 활동한 청년 계몽운동 목적의 시민단체이자 신민회의 측면 조직 단체였.

새로운!!: 유길준와 청년학우회 · 더보기 »

천장욱

장욱(千章郁, 일본식 이름: 大山健正, 大山健忠, 1867년 음력 6월 1일 ~ 1923년 양력 9월 1일)은 상인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지방 관료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유길준와 천장욱 · 더보기 »

천현동

현동(泉峴洞)은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새로운!!: 유길준와 천현동 · 더보기 »

유만겸

유만겸(兪萬兼, 1889년 7월 13일 ~ 1944년 12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만겸 · 더보기 »

유각경

유각경(兪珏卿, 1892년 ~ 1966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 기독교 운동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각경 · 더보기 »

유병덕 (공무원)

유병덕(兪炳德, 1932년 - 2000년 6월 20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병덕 (공무원) · 더보기 »

유길준 단령

유길준 단령(兪吉濬 團領)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에 있는 조선시대의 의복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길준 단령 · 더보기 »

유정수 (1857년)

유정수(柳正秀, 1857년 음력 4월 11일 ~ 1938년 양력 4월 17일)는 개항기 최초의 일본 유학생 중 한 명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유길준와 유정수 (1857년) · 더보기 »

유치홍

유치홍(兪致弘, 1800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치홍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혁로 · 더보기 »

유옥겸

유옥겸(兪鈺兼, 1883년 ~ 1922년)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교육자이자 저술가, 역사학자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옥겸 · 더보기 »

유억겸

유억겸 (1947년) 유억겸(兪億兼, 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법조인, 교육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유억겸 · 더보기 »

유성준 (1860년)

유성준(兪星濬, 1860년 음력 9월 7일 ~ 1934년 양력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인물로 일제 강점기에 고위 관료를 역임.

새로운!!: 유길준와 유성준 (1860년) · 더보기 »

유홍기 (1831년)

유홍기(劉鴻基, 1831년 ~ 1884년?)는 조선 말기의 개화사상가이자 학자이자 정치인이였.

새로운!!: 유길준와 유홍기 (1831년) · 더보기 »

육용정

육용정(陸用鼎, 1842년 ~ 1917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소설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육용정 · 더보기 »

육종윤

육종윤(陸鍾允, 1863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유길준와 육종윤 · 더보기 »

윤경순 (1855년)

윤경순(尹景純, 1855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상인, 무신, 혁명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경순 (1855년)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윤경완 · 더보기 »

윤고려

윤고려 윤고려(尹高麗,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명은 김고려, 김고라였.

새로운!!: 유길준와 윤고려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유길준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호 일기

《윤치호 일기》(尹致昊日記)는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사상가, 계몽운동가, 교육자인 좌옹 윤치호가 쓴 일기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치호 일기 · 더보기 »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영선 (1896년)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윤웅렬 · 더보기 »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유길준와 순헌황귀비 · 더보기 »

영은문 주초

서울 영은문 주초(영은문주초 → 서울 영은문 주초)로 명칭변경 되었습.(문화재청고시제2011-116호,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560호, 392면, 2011-07-28)(서울 迎恩門 柱礎)는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있던 일각문(一脚門)의 주춧돌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있.

새로운!!: 유길준와 영은문 주초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카모토 류노스케

오카모토 류노스케(岡本 柳之助, 1852년 8월 14일 ~ 1912년 5월 14일)는 기슈 번 출신의 군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오카모토 류노스케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오세창 · 더보기 »

최광옥

광옥 (崔光玉, 1879년 ~ 1911년) 은 조선 말기의 문법학자이.

새로운!!: 유길준와 최광옥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최남선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최익현 · 더보기 »

양심여학교

양심여학교(養心女學校)은 1908년 도정궁(都正宮) 창산군 이해창(李海昌)의 양모이자 경원군 이하전(李夏銓)의 부인(夫人)인 서대혜(徐大慧)의 후원으로 설립된 여자교육기관이.

새로운!!: 유길준와 양심여학교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유길준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풀어쓰기

어쓰기는 한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닿소리와 홀소리를 음절 단위로 한 덩어리씩 모아 적는 모아쓰기와 달리, 낱소리를 모두 풀어 헤쳐서 따로 나열해 쓰는 방식을 통틀어 일컫.

새로운!!: 유길준와 풀어쓰기 · 더보기 »

사회진화론

버트 스펜서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은 19세기 찰스 다윈이 발표한 생물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의 변화와 모습을 해석하려는 견해로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

새로운!!: 유길준와 사회진화론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울은로초등학교

서울은로초등학교(서울恩露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유길준와 서울은로초등학교 · 더보기 »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새로운!!: 유길준와 서재창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유길준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유견문

《서유견문》(西遊見聞)은 1895년에 유길준이 미국 유학 중에 보고 배운 것을 국한문혼용체로 쓴 책이.

새로운!!: 유길준와 서유견문 · 더보기 »

서상우 (1831년)

서상우(徐相雨, 1831년 ~ 1903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개화파이.

새로운!!: 유길준와 서상우 (1831년) · 더보기 »

통제영학당

통제영학당(統制營學堂, Korean Imperial Navy Academy)은 1893년 고종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인 해군사관학교이.

새로운!!: 유길준와 통제영학당 · 더보기 »

한규직

직(韓圭稷, 1845년 ~ 1884년)은 조선 말기의 무관이.

새로운!!: 유길준와 한규직 · 더보기 »

한국 근대의 교육

국의 근대 교육은 조선 말기의 1883년 원산학사에서 부터 출발하여 1910년 국권 강탈까지의 교육일반을.

새로운!!: 유길준와 한국 근대의 교육 · 더보기 »

한국어 운동의 역사

국어 운동(국어 운동)의 역사는 1886년 에서 처음으로 국한문 혼용체가 이루어진 후부터라고 볼 수 있. 이 새로운 문체가 단행본에 사용된 것은 1895년 유길준(兪吉濬)의 이 처음이었.

새로운!!: 유길준와 한국어 운동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왕실정부대표이등박문조례단

국왕실정부대표이등박문조례단(韓國王室政府代表伊藤博文弔禮團)은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서 안중근에게 저격되었을 때 이토의 사망이 미칠 파장을 우려하여 조직된 대한제국 정부 차원의 위문조례단이.

새로운!!: 유길준와 한국왕실정부대표이등박문조례단 · 더보기 »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漢字統一會伊藤博文追悼會)는 1909년 12월에 대한제국에서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유길준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유길준와 한성부민회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유길준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경수 (1853년)

안경수(安駉壽, 1853년 ~ 19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화파 정치인으로 독립협회의 초대 회장이.

새로운!!: 유길준와 안경수 (1853년) · 더보기 »

안트베르펜

안트베르펜의 위치 안트베르펜()는 벨기에의 도시로 안트베르펜 주의 주도이.

새로운!!: 유길준와 안트베르펜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안창호 · 더보기 »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새로운!!: 유길준와 하응선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유길준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유길준와 신응희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유길준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계훈

홍계훈(洪啓薰, 1842년 ~ 1895년)은 조선 후기의 무장으로 초명은 재희(在熙), 본관은 남양(南陽).

새로운!!: 유길준와 홍계훈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유길준와 홍영식 · 더보기 »

105인 사건

105인 사건(百五人事件)은 1911년에 일어난 일본이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사건들 중 하나이.

새로운!!: 유길준와 105인 사건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길준와 11월 21일 · 더보기 »

1856년

185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856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883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885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896년 · 더보기 »

1908년

190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908년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913년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유길준와 1914년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길준와 4월 7일 · 더보기 »

9월 30일

9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3번째(윤년일 경우 2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유길준와 9월 3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구당 유길준, 구일, 구일 유길준, 류길준, 천민 유길준, 유구당.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