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엄

색인 유엄

유엄(劉龑, 889년 ~ 942년)은, 오대십국 시대의 남한의 초대 황제(재위:917년 ~ 942년)이.

14 처지: 박당 전투 (938년), 건형, 부화연, 대장화, 남한 (십국), 담전파, 이언도 (건주방어사), 중국의 연호 목록, 유은, 유지겸, 유성 (십국), 십국 (오대 십국), 왕연균, 942년.

박당 전투 (938년)

박당 전투(Trận Bạch Đằng)는 938년에 베트남에서 개국한 응오 왕조의 베트남군과 남한군과의 전투이.

새로운!!: 유엄와 박당 전투 (938년) · 더보기 »

건형

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유엄와 건형 · 더보기 »

부화연

《부화연》(浮華宴)는 2015년 공개된 중국의 영화이.

새로운!!: 유엄와 부화연 · 더보기 »

대장화

장화(大長和)는 지금의 중국 윈난 성 일대에 있던 나라이.

새로운!!: 유엄와 대장화 · 더보기 »

남한 (십국)

(南漢, 909년 ~ 971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당나라 멸망 후 지금의 광둥 성과 광시 지역을 지배한 나라이.

새로운!!: 유엄와 남한 (십국) · 더보기 »

담전파

전파(譚全播, Tan Quanbo, 834년? ~ 918년?《십국춘추(十國春秋)》《자치통감》제270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백승군 절도사(百勝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로서 913년부터 918년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하였.

새로운!!: 유엄와 담전파 · 더보기 »

이언도 (건주방어사)

이언도(李彦圖, Li Yantu, ? ~ 913년)는 오대십국 시대 전기 때 912년부터 913년까지 건주(虔州, 현 장시 성 간저우 시)를 지배했던 군인이.

새로운!!: 유엄와 이언도 (건주방어사)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유엄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유은

유은(874년《신오대사》, 권 65 ~ 911년 4월 4일《자치통감》, 권 268)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당나라를 계승한 오대 후량 초에 걸쳐 활약했던 군벌로, 절도사(節度使)로서 청해군(淸海軍, 본거지는 현 광둥 성 광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유엄와 유은 · 더보기 »

유지겸

유지겸(劉知謙, ? ~ 894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남한의 창시자인 유은·유엄 형제의 아버지이.

새로운!!: 유엄와 유지겸 · 더보기 »

유성 (십국)

유성(劉晟, 920년 ~ 958년)은, 오대십국 시대의 남한의 제3대 황제(재위:943년 ~ 958년).

새로운!!: 유엄와 유성 (십국) · 더보기 »

십국 (오대 십국)

십국(十國)은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강남과 쓰촨 일대에 흥망한 10개의 정권을 말.

새로운!!: 유엄와 십국 (오대 십국) · 더보기 »

왕연균

민 혜종 왕연균(閩惠宗 王延鈞, ? ~ 935년 11월 17일)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제3대 군주로, 황제를 칭한 민나라 최초의 군주이기도 하였.

새로운!!: 유엄와 왕연균 · 더보기 »

9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엄와 94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유척, 유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