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극영

색인 윤극영

윤극영(尹克榮, 1903년 9월 6일~1988년 11월 15일)은 동요 〈반달〉을 작사·작곡한 대한민국의 동요 작곡가이자 동화 작가이.

27 처지: Behind Time 1925 - 1955 a memory left at an alley, 동요, 마해송, 모기윤, 방정환, 백괴사전, 반달 (동음이의), 바라바라 꿍, 강상면, 고한승, 계수나무, 이 달의 문화 인물, 윤치호, 색동회, 서덕출, 손뼉치기, 한국의 아동문학, 한국의 아동극, 한국어린이문화예술원, 심명섭, 심우섭 (1890년), 심훈, 11월 15일, 1923년, 1927년, 1988년, 9월 6일.

Behind Time 1925 - 1955 a memory left at an alley

《Behind Time 1925 - 1955 a memory left at an alley》는 한영애가 2003년에 낸 여섯 번째 앨범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1955년에 이르는 옛 대중가요를 다시 부른 곡을 실었.

새로운!!: 윤극영와 Behind Time 1925 - 1955 a memory left at an alley · 더보기 »

동요

작은 별. 동요(童謠)는 주로 어린이들이 부르는, 어린이들의 감정을 담은 노래이.

새로운!!: 윤극영와 동요 · 더보기 »

마해송

마해송(馬海松, 1905년 1월 8일 ~ 1966년 11월 6일)은 대한민국의 어린이 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아동문학가, 동화 작가로 한국 창작 아동문학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 경기도 개성 출생으로, 본명은 마상규(馬湘圭)이고 아명은 마창록(馬昌祿)이며 본관은 목천(木川)이고 해송(海松)은 그의 아호(雅號)이.

새로운!!: 윤극영와 마해송 · 더보기 »

모기윤

모기윤(毛麒允, 1912년 ~ 1983년 6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시인 겸 아동극작가 및 국문학자 겸 수필가이.

새로운!!: 윤극영와 모기윤 · 더보기 »

방정환

방정환(方定煥, 1899년 11월 9일~1931년 7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며 어린이날의 창시자이.

새로운!!: 윤극영와 방정환 · 더보기 »

백괴사전

백괴사전(—事典) 혹은 언사이클로피디아()는 위키백과를 패러디한 유머 웹사이트로, 2005년 1월 5일에 시작되어 정교한 풍자와 패러디에서부터 무작위적 개그까지 여러 유머 수단을 사용하고 있. 설립자 조너선 황이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내용 없는 백과사전’(the content-free encyclopedia that anyone can edit, Uncyclopedia)을 슬로건으로 내걸었.

새로운!!: 윤극영와 백괴사전 · 더보기 »

반달 (동음이의)

반달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윤극영와 반달 (동음이의) · 더보기 »

바라바라 꿍

《바라바라 꿍》은 2011년 9월 3일부터 2011년 9월 11일까지 방영한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드라마이.

새로운!!: 윤극영와 바라바라 꿍 · 더보기 »

강상면

강상면(江上面)은 경기도 양평군의 행정구역이.

새로운!!: 윤극영와 강상면 · 더보기 »

고한승

승(高漢承, 1902~1950)은 한국의 아동문학가로, 경기도 개성 출생이.

새로운!!: 윤극영와 고한승 · 더보기 »

계수나무

수나무(桂樹-)는 계수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동아시아의 중국과 일본이 원산지이.

새로운!!: 윤극영와 계수나무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윤극영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윤극영와 윤치호 · 더보기 »

색동회

색동회는 소파 방정환이 결성한 어린이 운동단체이.

새로운!!: 윤극영와 색동회 · 더보기 »

서덕출

서덕출(徐德出, 1906년 1월 24일~1940년 1월 12일)은 한국의 동시인, 아동문학가로 본관은 달성이며 호는 신월(晨月)이.

새로운!!: 윤극영와 서덕출 · 더보기 »

손뼉치기

손뼉치기를 하는 아이와 여자 손뼉치기는 두 손을 이용한 놀이이.

새로운!!: 윤극영와 손뼉치기 · 더보기 »

한국의 아동문학

국의 아동문학(韓國_兒童文學)은, 1908년에 창간된 《소년》을 비롯하여 《붉은 저고리》·《아이들 보이》· 《새별》 등의 잡지가 동화나 동요를 다루기도 했으나, 한국 고유의 옛날 이야기가 아닌 외국의 동화를 다른 나라 말에서 옮겨온 2중 번역이 많았으며, 글도 한문투를 벗어나지 못. 그러던 중 1923년 3월 소파 방정환에 의해 창간된 《어린이》 잡지를 무대로 새로운 동요·동화가 싹트기 시작하였고, 1925년을 전후해 전례없는 동요의 황금시대가 열. 방정환의 〈형제별〉, 윤극영의 〈반달〉, 한정동의 〈따오기〉, 이원수의 〈고향의 봄〉, 윤석중의 〈오뚜기〉, 유지영의 〈고드름〉, 서덕출의 〈봄편지〉 등은 딱딱한 창가의 굴레를 벗어던진 예술동요의 샛길을 터준 작품들이었다고 평. 창작동화에 이르러서는 동요보다 늦은 시기에 마해송(馬海松)·고한승(高漢承)이 등장하였.

새로운!!: 윤극영와 한국의 아동문학 · 더보기 »

한국의 아동극

국의 아동극(韓國-兒童劇)은 20세기 초부터 색동회를 중심으로 시작되었.

새로운!!: 윤극영와 한국의 아동극 · 더보기 »

한국어린이문화예술원

국어린이문화예술원은 동심문화의 연구 및 개발보급을 위한 사업을 목적으로 1987년 11월 4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윤극영와 한국어린이문화예술원 · 더보기 »

심명섭

심명섭(沈明燮, 1898년 ~ 1950년?)은 대한민국의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윤극영와 심명섭 · 더보기 »

심우섭 (1890년)

심우섭(沈友燮, 1890년 ~ 1946년 3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 언론인, 방송인, 수필가이.

새로운!!: 윤극영와 심우섭 (1890년) · 더보기 »

심훈

심훈(沈熏, 1901년 9월 12일 ~ 1936년 9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시인, 언론인, 영화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로 본명은 심대섭(沈大燮)이.

새로운!!: 윤극영와 심훈 · 더보기 »

11월 15일

1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9번째(윤년일 경우 3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윤극영와 11월 15일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극영와 1923년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윤극영와 1927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윤극영와 1988년 · 더보기 »

9월 6일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윤극영와 9월 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