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51 처지: 동제사, 동아일보, 동학 농민 운동, 류영모,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무궁화대훈장, 무풍지대, 문명호 (1896년), 문익환, 민정당, 민족사바로찾기연구원,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중당 (1965년), 민필호, 방일홍, 백기완, 백낙준, 백선엽, 박기출, 박정희, 박정희 정부, 박정희에 대한 비판, 박찬주 (교육인), 박창암, 박순천, 박서양 (1885년), 강원용, 경희대학교, 곽상훈, 공덕귀, 변영태, 권동진,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암정 (별장), 근우회, 긴급조치, 김덕룡, 김도연 (정치인), 김동길 (1928년), 김갑순, 김병로, 김병관, 김병기 (1962년), 김규식, 김대중, 김대중 납치 사건, 김구, 김두만 (1927년), 김두한, 김일성,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1 더) »
동제사
동제사(同濟社)는 1912년 7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결성된 한국의 독립운동 단체를 조직, 후원하기 위해 설립한 상회이자 무역 회사였.
보다 윤보선와 동제사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보다 윤보선와 동아일보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류영모
왼쪽이 류영모, 오른쪽이 그의 제자 함석헌이다 류영모(柳永模 1890년 3월 13일 ~ 1981년 2월 3일, 서울 출생)는 한국의 개신교 사상가이며 교육자, 철학자, 종교가이.
보다 윤보선와 류영모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은 1976년 3월 1일 명동성당에서 윤보선, 김대중, 문익환, 김승훈, 함석헌, 함세웅, 안병무 등 각계 지도층 인사들이 발표한 민주구국선언이.
무궁화대훈장
무궁화대훈장(無窮花大勳章)은 대한민국의 최고 훈장이.
보다 윤보선와 무궁화대훈장
무풍지대
《무풍지대》(無風地帶)는 1989년 6월 28일부터 1989년 9월 7일까지 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에 KBS 2TV에서 방송되었던 미니 시리즈로, 유지광의 참회록 자서전적 소설인 "대명"을 토대로 만든 드라마이.
보다 윤보선와 무풍지대
문명호 (1896년)
문명호(文命浩, 일본식 이름: 文原武, 1896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문익환
문익환(文益煥, 1918년 6월 1일 ~ 1994년 1월 18일)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사이.
보다 윤보선와 문익환
민정당
민정당(民政黨)은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보다 윤보선와 민정당
민족사바로찾기연구원
민족사바로찾기연구원은 찬란한 민족문화 및 예술의 개발․보급으로 건전한 민족의식과 올바른 가치관 고취 선양을 목적으로 1997년 12월 22일 새로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55년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사건을 계기로, 민주국민당의 보수파와 자유당의 탈당파, 흥사단등의 반이승만 세력이 모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 되었.
민중당 (1965년)
1965년 제1야당인 민정당(民政黨)과 제2야당인 민주당(民主黨)이 한일기본조약(韓日基本條約)체결의 반대투쟁을 단일화하기 위해 통합하여 창당하였.
민필호
민필호(閔弼鎬, 1898년 2월 7일 ~ 1963년 4월 14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 겸 정치인, 외교관이.
보다 윤보선와 민필호
방일홍
방일홍(方一弘, 1933년 3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이.
보다 윤보선와 방일홍
백기완
백기완(白基玩, 1932년 1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시민사회운동가, 통일운동가로, 정치인이자 작가이.
보다 윤보선와 백기완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백낙준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백선엽
박기출
박기출(1909년 ~ 1977년 8월 7일, 부산광역시)은 대한민국의 의사,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박기출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박정희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는 1961년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후 1979년 10·26 사건으로 사망할 때까지의 정부를 말. 박정희는 1962년 3월 24일부터 1963년 12월 16일까지 윤보선 대통령의 사퇴로 제2공화국의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으며, 제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1963년 12월 17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
보다 윤보선와 박정희 정부
박정희에 대한 비판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인 박정희에 대한 논란과 비판적 의견을 기술한 문서이.
박찬주 (교육인)
박찬주(朴贊珠, 1914년 12월 11일 ~ 1995년 7월 13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사회사업가이.
박창암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은 만주군 간도특설대 하사관 출신의 대한민국 육군 군인·정치가·역사가·언론인·저술가이.
보다 윤보선와 박창암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박순천
박서양 (1885년)
박서양, 1908년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이.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강원용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Kyung Hee University)는 1911년에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이.
보다 윤보선와 경희대학교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곽상훈
공덕귀
공덕귀(孔德貴, 1911년 4월 21일 ~ 1997년 11월 24일, 경남 통영)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이자 여성운동가, 신학자, 종교인, 사회기관단체인, 야당운동가이며, 영부인으로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두 번째 아내이.
보다 윤보선와 공덕귀
변영태
변영태(卞榮泰, 1892년 12월 15일 ~ 1969년 3월 10일)는 대한민국의 시인, 영문학자,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이었.
보다 윤보선와 변영태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권동진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용산 윤영렬 묘역(芙蓉山尹英烈墓域) 또는 부용산 윤보선 대종묘(芙蓉山尹潽善大宗廟)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산 3-1번지 부용산에 마련된 조선 말기의 장군 윤영렬, 한진숙 일가족의 묘역이.
부암정 (별장)
부암정(傅巖亭) 또는 윤가정원(尹家庭園)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던 독립운동가 겸 철학자 윤치호의 별장이.
근우회
우회(槿友會)는 일제 강점기 중반에 조직된 여성 단체이.
보다 윤보선와 근우회
긴급조치
급조치(緊急措置)는 1972년 개헌된 대한민국의 유신 헌법 53조에 규정되어 있던, 대통령의 권한으로 취할 수 있었던 특별조치를 말. 당시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었던 박정희는 이 조치를 발동함으로써 “헌법상의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잠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
보다 윤보선와 긴급조치
김덕룡
덕룡(金德龍, 1941년 4월 6일 익산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김덕룡
김도연 (정치인)
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김동길 (1928년)
동길(金東吉, 1928년 10월 2일 ~)은 대한민국의 시인 겸 대학 교수이자 前 제14대 국회의원(무소속)을 지낸 정치가 겸 저술가이며 방송인 겸 시사평론가이.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보다 윤보선와 김갑순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보다 윤보선와 김병로
김병관
병관(金炳琯, 경성부, 1934년 7월 24일 ~ 2008년 2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기업인이.
보다 윤보선와 김병관
김병기 (1962년)
병기(金炳基, 1962년 ~)는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며 고려대학교 교수를 역임.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보다 윤보선와 김규식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김대중
김대중 납치 사건
중 납치 사건(金大中拉致事件)은 일본으로 망명 중이던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대중이 1973년 8월 8일 오후 1시경 일본 도쿄도의 호텔 그랜드팰리스 2210호실 부근에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누군가의 섭렵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납치되어, 8월 13일에 서울의 자택 앞에서 발견된 사건이.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김구
김두만 (1927년)
만(金斗萬, 1927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며 정치가 겸 기업가이며 교육행정가 및 사회기관단체인이.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보다 윤보선와 김두한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보다 윤보선와 김일성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김준연
김준엽
준엽(金俊燁, 1920년 8월 26일 ~ 2011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
보다 윤보선와 김준엽
김준하 (1930년)
준하(金準河, 1930년 3월 6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 교육자, 언론인이.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보다 윤보선와 김창숙
김판술
술(金判述, 1909 ~ 2009, 전북 군산)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이었.
보다 윤보선와 김판술
김상돈
상돈(金相敦, 1901년 6월 9일 재령 ~ 1986년 4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이며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
보다 윤보선와 김상돈
김상진 할복 사건
상진 할복 사건은 1975년 4월 11일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생인 김상진이 대통령에게 드리는 공개장을 쓰고 할복자살한 사건이.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김수환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김영삼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영삼 단식 농성 사건은 1983년 5월 18일 당시 야당 지도자였던 김영삼이 5.18 광주 민주화 운동 3주년 기념일부터 6월 9일까지 그는 민주화 5개항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바로 단식 농성에 들어간 사건을 말. 김영삼은 5·18 3주년을 맞아 민주회복, 정치복원 등 민주화를 위한 전제조건 5개항을 내걸고 단식에 들어.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영삼 의원제명 파동은 1979년 9월 29일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에서 신민당 총재 김영삼(金永三)의 1979년 9월 16일자 〈뉴욕 타임스〉와의 기자회견 중 박정희 정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라는 내용을 문제삼아 10월 4일 국회에 징계동의안을 제출, 김영삼을 징계, 의원직을 박탈한 사건이.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영삼 질산 테러 사건은 1969년 6월 20일 밤 10시 15분 경 귀가 도중 신민당 원내총무 김영삼의 차량에 괴한 3명이 질산이 든 병을 던진 사건이.
김옥윤
옥윤(金玉允, 1901년 ~ 1990년 1월 27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 및 제2, 7대 국무총리를 지낸 장면의 아내이.
보다 윤보선와 김옥윤
김옥숙
옥숙(金玉淑, 1935년 8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을 역임한 노태우의 배우자이.
보다 윤보선와 김옥숙
김형민 (1909년)
형민(金炯敏, 1907년 5월 12일 ~ 1998년 5월 2일, 전북 익산)은 전직 공무원으로 초대 서울특별시장을.
김성은 (군인)
성은(金聖恩, 1924년 12월 20일 ~ 2007년 5월 15일)은 제15대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제4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을 지냈던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성숙 (1898년)
성숙(金星淑, 1898년 3월 10일 ~ 1969년 4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불교 승려 겸 정치가이.
김홍일 (1898년)
홍일(金弘壹,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은 중화민국 육군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 출신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보다 윤보선와 김활란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의 배우자
민국 대통령의 배우자는 통상적으로 '영부인'으로 불려지며 활동기간은 대통령의 임기와 동일.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
국가원로자문회의(國家元老諮問會議) 또는 국정자문회의(國政諮問會議)는 국정의 중요한 사항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대통령의 직속기관으로 설치되는 행정기관이.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또는 제19대 대선은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궐위에 의한 선거이.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12월 17일에 실시된 국민 투표로 공포, 시행된 헌법에 따라 설립한 대한민국의 세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3대 국회 의원 목록(임기: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3대 국회의원 선거일: 1954년 5월 20일.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는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총 16개의 선거구에서 16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458,735명 중 405,222명이 투표를 하여 88.3%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는 1960년 8월 12일에 국회에서 민의원과 참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치러졌.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4대 국회 의원 목록 (임기: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4대 국회의원 선거일: 1958년 5월 2일.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10월 15일 국민의 직접 선거에 의한 제5대 대통령 선거로 박정희 후보가 당선되었.
대한민국 제5대 국회
민의원 - 4년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참의원 - 6년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 정변으로 인해 1961년 5월 16일 국회가 해산되었.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임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제5대 국회는 4·19 혁명의 결과로 수립된 제2공화국에서 민의원과 참의원의 양원제가 실시되어 구성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는 해산되었고, 이어 제3공화국이 수립된 1963년에 제6대 국회가 새로 구성되었.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5대 국회의원 선거일: 1960년 7월 29일.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1967년 5월 3일 국민의 직접 선거에 의한 제6대 대통령 선거로 박정희 후보가 당선되었.
대한민국 제6대 국회
4년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대한민국 제3공화국 헌법(대한민국헌법)에 의해 임기 종료일이 1967년 6월 30일로 지정되었.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6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6대 총선(大韓民國第六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6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3년 11월 26일에 치러졌.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8대 총선(大韓民國第八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8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71년 5월 25일에 치러졌.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보다 윤보선와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상공부
상공부(商工部)는 상업·물자 행정·물가 행정·무역·광업·연료·수산·전기·공업·도량형 및 특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대한민국 헌법 제4호
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憲法) 또는 대한민국 헌법 제4호(大韓民國憲法第四號)는 대한민국 헌법 제3호가 4·19 혁명을 통해 개정된 헌법이.
대한민국군 베트남전 참전
민국 국군의 베트남전 참전(大韓民國軍 베트남戰 參戰) 또는 월남전 참전(越南戰 參戰), 월남 참전은 1964년 9월 11일 1차 파병을 시작으로, 1966년 4월까지 4차에 걸친 박정희 정부 하에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민국 전투부대를 파병한 일을 말.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경제개발 5개년 계획(經濟開發五個年計劃)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62년부터 1996년까지 총 7차에 걸쳐 실행된 경제 발전 계획을 말. 4차부터 경제사회개발이라 수정되었고, 5차부터는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經濟社會發展五個年計劃)으로 명칭이 바뀌어 진행되었.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민국의 대통령 목록(大韓民國大統領目錄)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의 명단이.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민국의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선거이.
대한민국의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國家再建最高會議 議長)은 대한민국에서 1961년 5월 16일에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면서 설치된 군사혁명위원회(軍事革命委員會)가 성립한지가 불과 2일 지난 후인 1961년 5월 18일에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로 개편된 과도정부 임시기구단체의 의장(議長)을 뜻.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역대 주요 정당들을 주로 다루고 있.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주당계 정당, 진보정당 등에서 확인할 수 있.
대한민국의 역사
민국은 해방이후 3년간의 미국, 소련의 신탁통치 중 신탁통치 후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간의 치열한 항쟁을 거쳐 김구,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임시정부" 세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시작.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産業通商資源部 長官)은 산업통상자원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국무위원으로 보.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보다 윤보선와 대한적십자사
대한축구협회
축구협회(大韓蹴球協會, Korea Football Association)는 축구경기의 보급을 통해서 국민의 여가선용, 체력향상, 스포츠 정신을 함양하고 국제 경기를 통한 국위선양과 국민 체육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이.
보다 윤보선와 대한축구협회
구자옥
자옥(具滋玉, 일본식 이름: 具家滋玉(구쓰이에 치다마), 1887년 3월 30일 ~ 1950년 11월)은 시인 활약을 한 바 있는 일제 강점기의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가로, 본관은 능성(綾城)이.
보다 윤보선와 구자옥
국민방위군 사건
소집된 국민방위군 이승만, 신성모, 윤보선(1949년 3.1절 기념식장에서)(사건 직후 윤보선은 이승만에게 신성모와 김윤근 등의 처벌을 건의했으나 오히려 공산주의자들의 농간이라는 대답을 듣고 이승만과 결별한다.) 국민방위군 사건(國民防衛軍 事件)은 한국전쟁중 1951년 1월 1·4 후퇴때 제2국민병으로 편성된 국민방위군 고위 장교들이 국고금과 군수물자를 부정처분하여 착복함으로써 12월~2월 사이에 500,000명에 달하는 국민방위군으로 징집된 이들 가운데 아사자, 병사자, 동사자가 약120,000여명에 이르렸고 동상으로 인해 손가락과 발가락 뿐만아니라 손과발까지 절단난 200,000여명이 넘는 동상자들을 이르게한 사건을 말.
국민당 (대한민국, 1971년)
국민당(國民黨)은 1971년에 창당하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국민의당 (1963년)
국민의당(國民의黨)은 1963년 8월 1일에 민우당과 신정당 그리고 민주당과 민정당의 일부 의원과 무소속 참여하여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을 거쳐 9월 5일에 창당되었다가 1964년 9월 17일 민주당에 흡수합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남궁연
궁연(南宮演, 1967년 5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드럼 연주가, 방송인이.
보다 윤보선와 남궁연
남흥우
흥우(南興祐, 일본식 이름: 南煒, 영문명:Nam Heung-woo, 1913년 6월 7일 ~ 2012년 10월 6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법학자, 한국화가이.
보다 윤보선와 남흥우
나항윤
항윤(羅恒潤, 일본식 이름: 富田恒滿, 1918년 ~ 1997년 8월 30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보다 윤보선와 나항윤
낙산장
낙산장(駱山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하던 기와집으로,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인 조성환과 신익희의 자택이.
보다 윤보선와 낙산장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노태우
노태우 정부
우 정부(盧泰愚政府, 1988년 ~ 1993년)는 6월 항쟁의 결과로 성립된 제6공화국의 첫 번째 정부이.
보다 윤보선와 노태우 정부
노태우에 대한 비판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노태우에 대한 비판과 논란을 서술한 문서이.
운석기념회
운석기념회는 운석 장면 선생의 정신․사상 및 업적의 연구, 발전, 계승으로 민족문화 창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11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보다 윤보선와 운석기념회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보다 윤보선와 장덕수
장도빈
장도빈(張道斌, 1888년 10월 22일 ~ 1963년 9월 12일)은 한민족의 독립운동가이자 국학자이.
보다 윤보선와 장도빈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장도영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장면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본 문서는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명단을 나타낸 것이.
장발 (화가)
장발(張勃, Thomas Chang, 1901년 4월 3일 ~ 2001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며 서양화가 겸 외교관이.
보다 윤보선와 장발 (화가)
장건상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장건상
장경순 (1922년)
장경순(張坰淳, 1922년 3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가이.
장극
장극(張勀, 초명(初名)은 張剋, 영문명(英文名)은 Paul Chang, 1913년 4월 8일 ~ 2008년 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항공공학자이자 대학 교수 겸 저술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소령이.
보다 윤보선와 장극
장기영 (1903년)
장기영(張基永, 1903년 10월 20일 영월 - 1981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외교관, 정치인이.
장급 저택
장급 저택 또는 장(莊)이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거물급 정치인들이나 대학자들이 살던 저택 혹은 규모가 큰 개인 자택에 붙이던 존칭이었.
보다 윤보선와 장급 저택
장준하
장준하(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장준하
장진 (1927년)
장진(張震, 1927년 2월 10일 ~ 2011년 9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생물학자이며 대학 교수이.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보다 윤보선와 장택상
장석윤
장석윤(張錫潤, 1904년 4월 13일 ~ 2004년 1월 16일, 강원 횡성)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장석윤
장세동
장세동(張世東, 1936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장세동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다스리던 기간이었.
임춘원
임춘원(林春元, 1938년 3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임춘원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임영신
포산 (승려)
산, 1939년 무렵 포산(飽山) 또는 포산당 혜천(飽山堂 慧天, 1912년 10월 12일 ~ 1971년 9월 6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불교 조계종 승려였.
보다 윤보선와 포산 (승려)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보다 윤보선와 흥친왕
이능섭 (1907년)
이능섭(李能燮, 일본식 이름: 東園寺能燮 또는 東園寺能昭, 190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및 경찰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이.
이만갑
이만갑(李萬甲,1921년 2월 14일~2010년 6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이만갑
이명박
이명박(李明博, 1941년 12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이명박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이묘묵
이묘묵(李卯默, 일본식 이름: 李宮卯默, 1902년 12월 9일 ~ 1957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 출신이.
보다 윤보선와 이묘묵
이범승
이범승(李範昇, 1887년 음력 8월 29일 ~ 1976년 9월 3일, 세종)은 일제 강점기와 미 군정기의 관료 출신으로 제2대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관료,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이범승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보다 윤보선와 이병도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보다 윤보선와 이광수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이기붕
이우정 (1923년)
이우정(李愚貞, 1923년 8월 1일 ~ 2002년 5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신학자, 여성운동가, 대학교수이며 철학자, 기독교 페미니스트, 인권 운동가이.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이승만
이회창
이회창(李會昌, 1935년 6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이회창
이재항 (1920년)
이재항(李載沆, 1920년 5월 4일 ~ 1985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 외교관, 정치가, 언론인이.
이재학 (1904년)
이재학(李在鶴, 일본식 이름: 大原郁生, 1904년 5월 31일 홍천 ~ 1973년 11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이은혜 (정치인)
이은혜(異恩惠, 1902년 4월 21일 ~ 1980년 8월 23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이.
이종 (1940년)
이종(李淙, 1940년 11월 9일(음력 10월 10일) ~ 1966년 12월 25일)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로, 흥선대원군의 5대손이.
이종구 (성우)
이종구(1950년 2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극배우이.
이종찬 (1936년)
이종찬(李鍾贊, 1936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의 정치가이.
이주일 (군인)
이주일(李周一, 1918년 11월 14일 ~ 2002년 1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보다 윤보선와 이진완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보다 윤보선와 이철승
이태영
이태영(李兌榮, 1914년 8월 10일 ~ 1998년 12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사회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이태영
이순재
이순재(李順載, 1934년 1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윤보선와 이순재
이헌구
이헌구(李軒求, 일본식 이름: 牧山軒求 나키야마 노키쿠, 1905년 5월 12일 ~ 1983년 1월 4일)는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작가이며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작가이.
보다 윤보선와 이헌구
이석제
이석제(李錫濟, 1925년 3월 18일 - 2011년 2월 2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법조인, 정치인, 관료이.
보다 윤보선와 이석제
이아주
이아주(李娥珠, 리아주, 1899년 음력 7월 19일 ~ 1968년 9월 11일)는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출신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이아주
이신재
이신재(1943년 5월 21일 ~)는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보다 윤보선와 이신재
이홍렬 (정치인)
이홍렬(李泓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이었.
일당 우위 정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一黨優位 政黨制)는 1개의 나라에 2개이상의 실질적인 정당들이 있어서 합법적으로 국민선거에 의한 정권교체가 허용되나 1개의 정당이 압도적으로 여당으로서 집권하는 일당제이.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의친왕
제2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은 MBC가 제2공화국을 배경으로 1960년 4·19 혁명에서부터, 1961년 5·16 군사정변, 그리고 군정과 제3공화국의 성립까지를 그린 정치 드라마로 1989년 7월 16일부터 1990년 4월 2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에 방영되었으며, 총 41부작 드라마이.
제3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3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박정희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1961년 5·16 군사정변과 군정, 그리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이 선포되는 것까지 다룬 드라마로 매주 일요일에 방영되었으며, 1993년 2월에서부터 8월까지 방영된 총 26부작 드라마이.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MBC에서 1995년 10월 18일에서부터 1996년 1월 25일까지 방영된 제4공화국을 배경으로 한 정치드라마로, MBC의 전통적인 공화국 시리즈를 잇는 작품이.
제5공화국 (드라마)
《제5공화국》(第五共和國)은 제5공화국을 배경으로 한 MBC의 특별기획 주말드라마.
제정구
제정구(諸廷垢, 1944년 3월 1일 ~ 1999년 2월 9일)는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빈민, 사회운동가였.
보다 윤보선와 제정구
전동장
전동장(典洞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5-18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무신 윤웅렬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계몽사상가, 교육인인 좌옹 윤치호가 살던 대저택을 말. 전동장과는 별도로 안국동의 윤보선 사저는 안동장이라고 불.
보다 윤보선와 전동장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事件), 줄여서 민청학련 사건(民靑學聯事件)은 1974년 4월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시국 사건을 말.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하 민청학련)의 관련자 180여 명이 불온세력의 조종을 받아 국가를 전복시키고 공산정권 수립을 추진했다는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이.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전두환
전진한
전진한(錢鎭漢, 1901년 11월 5일 ~ 1972년 4월 22일, 경북 상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전진한
전성천
전성천(全聖天, 1913년 12월 4일 ~ 2007년 7월 31일, 경북 예천)은 일제강점기의 목회자, 신학자이자 대한민국의 목회자, 언론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전성천
정광현
정광현(鄭光鉉, 1902년~ 1980년 12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
보다 윤보선와 정광현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정인지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보다 윤보선와 정일형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鄭鎭肅, 1912년 11월 5일 ~ 2008년 8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대한민국의 출판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이며, 을유문화사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
정헌주
정헌주(鄭憲柱, 1915년 9월 23일 ~ 1999년 5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정헌주
정성태
정성태(鄭成太, 1915년 7월 28일 - 2000년 8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사회운동가로, 제3, 4, 5, 6, 7, 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
보다 윤보선와 정성태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조병옥
조종호
조종호(趙鍾淏, 1921년 12월 22일 ~ 2010년 3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4·5·11·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조종호
조헌영
조헌영(趙憲泳, 1901년 1월 8일 ~ 1988년 5월 23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 한의학자, 정치가, 국회의원이었.
보다 윤보선와 조헌영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이며, 조선총독부 관사(朝鮮總督府官舍)는 조선총독부와 유관 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이.
종로구 (선거구)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를.
주요한
주요한(朱曜翰, 일본식 이름: 松村紘一(마쓰무라 고이치), 1900년 12월 5일 ~ 1979년 1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회운동가·시인·언론인, 개신교 목사이며 극작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주요한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보다 윤보선와 창씨개명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보다 윤보선와 청와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일부사제들로 구성된 사설단체이.
춘천시
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
보다 윤보선와 춘천시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코리아게이트》(Koreagate)는 1995년 10월 21일부터 12월 23일까지 방영된 전 SBS 창사 5주년 기념 특별기획 드라마로 토요일 오후 8시 50분부터 2회 연속 방송.
유진오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법학자, 교육자,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유진오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보다 윤보선와 유진산
유창순 (1918년)
유창순(劉彰順, 1918년 8월 6일 ~ 2010년 6월 3일)은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가, 기업가이.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육영수
육영수(陸英修, 1925년 11월 29일 ~ 1974년 8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의 부인이.
보다 윤보선와 육영수
윤 (성씨)
윤(尹)씨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윤보선와 윤 (성씨)
윤명선
윤명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윤보선와 윤명선
윤명선 (1900년)
윤명선(尹明善, 1900년 9월 1일 - 1946년 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관료, 럭비 선수, 문인이.
윤명선 피습 사건
윤명선 피습 사건은 1946년 2월 21일 저녁 서울특별자유시 중구 황금정(을지로)에서 만주국 관료였던 윤명선(尹明善), 안익조(安益祚) 등이 강도 홍성우(洪性禹, 별명 꺽쇠), 김필순(金弼淳, 별명 떼부), 유정석(兪政奭, 별명 청수(淸水)), 김지양(金智陽, 땅딸보) 등에게 살해된 사건이.
윤문희
윤문희(尹文姬, 1907년 9월 18일 - ?)는 조선후기의 무신 윤웅렬의 손녀이며,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사상가 윤치호의 셋째 딸이.
보다 윤보선와 윤문희
윤고려
윤고려 윤고려(尹高麗,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명은 김고려, 김고라였.
보다 윤보선와 윤고려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보다 윤보선와 윤광선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보다 윤보선와 윤근수
윤기선
윤기선(尹琦善, 영문명 Kee-Suhn Yoon, 1921년 10월 22일 ~ 2013년 7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이며 대한민국, 미국의 음악가 겸 대학 교수이.
보다 윤보선와 윤기선
윤기섭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윤기섭(尹琦燮, 1887년 ~ 195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기섭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보다 윤보선와 윤두수
윤남경
윤남경(尹男慶, 1931년 - 2008년 3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겸 작가, 언론인, 칼럼니스트이.
보다 윤보선와 윤남경
윤득우
윤득우(尹得雨, 1719년 2월 9일 - 1774년 8월 7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득우
윤노덕
윤노덕(尹老德, 1889년 9월 19일 ~ 1979년 10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 사회사업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노덕
윤승선
윤승선(尹昇善,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해군,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
보다 윤보선와 윤승선
윤장선
윤장선(尹璋善, 다른 이름은 워싱턴 윤(Washington Yoon), 1920년 1월 27일 ~ 2004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외교관이.
보다 윤보선와 윤장선
윤인구
윤인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윤보선와 윤인구
윤인구 (아나운서)
윤인구(尹寅求, 1972년 9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KBS 아나운서이.
윤인선 (1944년)
윤인선(尹仁善, 1944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사회기관단체인이.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일선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흔
윤제동
윤제동(尹悌東,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제동
윤종구
윤종구(尹鍾求, 1933년 7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의사, 의학자, 대학 교수이.
보다 윤보선와 윤종구
윤창구
윤창구(尹昌求, 1941년 12월 18일 ~ 1991년 7월 27일)는 대한민국의 화학자 겸 공학자, 교육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창구
윤취동
윤취동(尹取東, 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효자, 문신으로 윤두수의 7대손이며 증조는 돈령부사 윤세겸(尹世謙)이고 조부는 낭청을 지내고 증 호조참의와 증 비서원승에 추증된 윤발(尹潑)이.
보다 윤보선와 윤취동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취지
윤치명
윤치명(尹致明, 1885년 10월 27일(음력 9월 20일) ~ 1944년 양력 4월 21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 겸 교육자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명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병
윤치일
윤치일(尹致日, 1935년 2월 10일 ~ 1985년 4월 8일)은 대한민국의 농업인, 농학자로 조선 말기에 육군참장을 지낸 윤영렬의 아들이었.
보다 윤보선와 윤치일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창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영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보다 윤보선와 윤치호
윤치호 묘역
윤치호 묘역 또는 윤치호 일가 묘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330-2번지에 있는 구한말의 독립운동가 겸 계몽사상가 윤치호 일가의 묘역을 말. 근처 둔포면 신항1리는 윤보선, 윤일선, 윤치호의 고향으로 윤보선 대통령 생가와 윤일선 가옥, 윤제형 가옥, 윤승구 가옥 등이 소재해 있.
보다 윤보선와 윤치호 묘역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성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소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보다 윤보선와 윤치왕
윤유선 (의사)
윤유선 박사, 1956년 윤유선(尹裕善, 1910년 9월 3일 - 1987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피부과, 비뇨기과, 나병과의사, 대학 교수, 연구인이.
윤상구
윤상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윤보선와 윤상구
윤탁구
윤탁구(尹鐸求, 1932년 6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의사이.
보다 윤보선와 윤탁구
윤상구 (1949년)
윤상구(尹商求, 1949년 10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사회 사업가이.
윤택중
윤택중(尹宅重, 1913년 ~ 2002년 1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자 교육자, 공무원 이었.
보다 윤보선와 윤택중
윤택선
윤택선(尹澤善, 1914년 11월 20일 ~ 1998년 4월 6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택선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영렬
윤영구 (1923년)
윤영구(尹英求, 1923년 9월 17일 ~ 1991년 3월 8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겸 공무원이.
윤영구 (1928년)
윤영구(尹鑅求, Alice Yun, 1928년 7월 10일 - 2011년 5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음악가, 인류학자이자 미국의 인류학자, 여성학자이.
윤영선
윤영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윤보선와 윤영선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영선 (1922년)
윤영선(尹暎善, 1922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군인, 참전유공자이.
윤옥 (1694년)
윤옥(尹沃, 1694년 10월 18일 - 1767년 4월 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윤호선
윤호선(尹豪善, 1914년 3월 21일 ~ 1982년 2월 2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출판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호선
윤형남
윤형남(尹亨南, 1911년 3월 16일 ~ 2002년 9월 10일, 전라남도 순천)은 변호사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윤형남
윤연선 (1936년)
윤연선(尹然善, 1936년 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자 공공기업인이.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윤보선와 윤세겸
윤시선
윤시선(尹時善, 1898년 5월 30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시선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보다 윤보선와 윤원선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훤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윤웅렬
윤왕선
윤왕선 아버지 윤치오 윤왕선(尹旺善, 1902년 1월 ~ 1926년 8월 2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 사업가 윤치오(尹致旿)의 셋째 아들이며, 의학자 겸 정치인 윤일선의 셋째 남동생이.
보다 윤보선와 윤왕선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영웅시대》(英雄時代)는 2004년 7월 5일부터 2005년 3월 1일까지 방송된 대한민국의 경제사를 다룬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인데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제작비 대비 시청률이 낮다'는 이유 탓인지 70부작으로 조기종영.
오긍선
오긍선(吳兢善, 일본식 이름: 吳兢善, 1878년 10월 4일 ~ 1963년 5월 18일)은 구한 말의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 사회사업가이.
보다 윤보선와 오긍선
오위영
오위영(吳緯泳, 1901년 5월 5일 ~ 1978년 10월 2일, 울산)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 정치인으로 제2·4·5대 국회의원이었.
보다 윤보선와 오위영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보다 윤보선와 오세창
오화영
오화영(吳華英, 1880년 4월 5일 ~ 1960년 9월 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오화영
호헌동지회
호헌동지회(護憲同志會)는 제1공화국 시기 1954년 11월 30일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노리고 위헌적으로 강행한 사사오입 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결집된 범야당 연합을 말. 주로 민국당, 자유당 탈퇴파, 무소속 동지회 등 60명의 정치인들이 결집.
보다 윤보선와 호헌동지회
현정건
현정건(玄鼎健, 1887년 6월 29일 ~ 1932년 12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ㆍ교육자이.
보다 윤보선와 현정건
현진건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朝鮮)의 작가, 소설가 겸 언론인, 독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현진건
현상윤
현상윤(玄相允, 1893년 6월 14일~ 1950년 9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교육인, 철학자이.
보다 윤보선와 현상윤
현영학
현영학(玄永學, 1921년 1월 6일 - 2004년 1월 14일)은 한국의 교육자, 기독교 사회운동가, 민중신학자, 민속학자이며 반유신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활동.
보다 윤보선와 현영학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현석호
최규하
(崔圭夏, 1919년 7월 16일 ~ 2006년 10월 22일)는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
보다 윤보선와 최규하
최규하 정부
정부(崔圭夏 政府)는 1979년 12월 21일부터 1980년 8월 16일까지 존속한 대한민국 제4공화국의 두 번째 정부이.
보다 윤보선와 최규하 정부
최기일
일(崔基一, 1922년 ~)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인, 언론인이며 미국의 대학교수이.
보다 윤보선와 최기일
최용건
용건(崔庸健, 1900년 6월 21일 ~ 1976년 9월 19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중국, 소련의 군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최용건
양주삼
양주삼(梁柱三, 일본식 이름: 梁原柱三, 1879년 평남 용강 ~ ?)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 감리교회의 감독으로, 서울 종교교회에서 담임목사로 시무.
보다 윤보선와 양주삼
양유찬
양유찬 양유찬(梁裕燦, You Chan Yang, 1897년 - 1975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외교,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양유찬
에든버러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University of Edinburgh)는 스코틀랜드의 수도 에든버러에 위치해 있으며, 1582년에 설립되어 영국 전체에서 여섯 번째, 스코틀랜드에서는 네 번째로 긴 역사를 가진 대학교이.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보다 윤보선와 여운형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보다 윤보선와 여운홍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허정
사면
사면(赦免, Pardon)은 사전적 의미는 죄를 용서하여 기소나 형벌을 면제한다는 뜻이.
보다 윤보선와 사면
사회 운동
사회 운동(社會運動) 또는 시민 운동(市民運動)은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중과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적이고 집합적이며 연속적인 다양한 행동을 의미.
보다 윤보선와 사회 운동
사회진화론
버트 스펜서 사회진화론(社會進化論)은 19세기 찰스 다윈이 발표한 생물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의 변화와 모습을 해석하려는 견해로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
보다 윤보선와 사회진화론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三金時代)는 1998년 2월 28일부터 1998년 5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三選改憲反對汎國民鬪爭委員會)는 1969년 3선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신민당과 정치활동정화법 해금인사와 재야인사가 규합하여 1969년 7월 17일 발기한 정치단체이.
선우종원
선우종원(鮮于宗源, 1918년 2월 17일 ~ 2014년 3월 8일)은 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이.
보다 윤보선와 선우종원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은 일본 도쿄 지요다 구에 있는 고등학교이.
서동만
서동만(徐東晩, 본관은 이천 1956년 5월 31일 ~ 2009년 6월 4일)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외교학자, 대학 교수이.
보다 윤보선와 서동만
서울특별시 부시장
서울특별시 부시장(서울特別市 副市長)은 서울특별시장을 보조하고 시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首爾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보다 윤보선와 서울특별시장
서울재동초등학교
서울재동초등학교(서울齋洞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서울의 봄
서울의 봄은 대한민국에서 수많은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던 1979년 10월 26일 ~ 1980년 5월 17일 사이를 일컫는 말이.
보다 윤보선와 서울의 봄
서상일
서상일(徐相日, 1886년 7월 9일 - 1962년 4월 18일, 대구 출생)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서상일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보다 윤보선와 손정도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보다 윤보선와 송요찬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송필만
송필만(宋必滿, 1890년 진천 ~ 1978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법학자,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송필만
송원영 (1928년)
송원영(宋元英, 1928년 11월 14일 ~ 1995년 7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이.
소선규
소선규(蘇宣奎, 1903년 11월 30일 ~ 1968년 8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이.
보다 윤보선와 소선규
함석헌
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
보다 윤보선와 함석헌
함세웅
세웅(咸世雄, 1942년 6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운동가, 로마 가톨릭교회 신부이.
보다 윤보선와 함세웅
해평 윤씨
평 윤씨(海平 尹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윤보선와 해평 윤씨
해평 윤씨 (1835년)
평윤씨 부인(海平尹氏 夫人, 1835년 - 1920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초기의 여성 지식인으로, 한글로 된 《윤상공 선정록고》(尹相公善政錄攷)를.
한근조
조(韓根朝, 평안남도 강서군 1895년 7월 19일 ~ 1972년 2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한국의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한근조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보다 윤보선와 한국민주당
한국국민당
국국민당(韓國國民黨).
보다 윤보선와 한국국민당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보다 윤보선와 한국의 군정기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보다 윤보선와 한일 관계
한일회담
일회담(韓日會談)은 1951년부터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또는 한일협정)이 타결되기까지 14년간 총 7차례에 걸쳐 있었던 대한민국과 일본간의 일련의 협정을 말.
보다 윤보선와 한일회담
한진창
창(韓鎭昌, 1858년 1월 26일 ~ 1935년 2월 2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가회동이.
보다 윤보선와 한진창
안동장 (동음이의)
안동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보다 윤보선와 안동시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
하야
야(下野)는 관직이나 정계에서 물러나는 것을 뜻. 보통 대통령이 물러날 때 쓰는 말로, 다른 관직에서는 보통 사. 하야와 탄핵은 전직 대통령 예우상 큰 차이.
보다 윤보선와 하야
아산군
아산군(牙山郡)은 원래 아산시 북부의 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보다 윤보선와 아산군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보다 윤보선와 아산시
신민당 (1967년)
신민당(新民黨)은 1967년 창당, 1980년 헌법 9호 부칙에 의해 해산되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신규식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신규식(申圭植, 1880년 2월 22일(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윤보선와 신규식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신익희
신현확
신현확(申鉉碻, 일본식 이름: 平林佑國 히라하야시 유쿠니, 1920년 10월 29일 ~ 2007년 4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고위행정관료, 정치가, 경제인, 기업인이.
보다 윤보선와 신현확
신성모
신성모(申性模, 1891년 10월 20일 ~ 1960년 5월 2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보다 윤보선와 신성모
심종석
심종석(沈宗錫, 일본식 이름: 靑木道明, 1908년 7월 13일 ~ 1988년 11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 기업인이.
보다 윤보선와 심종석
원석연 (화가)
원석연(元錫淵, 1922년 - 2003년 11월 5일)은 대한민국의 화가, 작가이.
원세훈 (1951년)
원세훈(元世勳, 1951년 1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가정보원장을.
황윤석 (법조인)
황윤석(黃允石, 1929년 ~ 1961년 4월 21일)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판사이.
YWCA 위장결혼식 사건
YWCA 위장결혼식 사건은 10.26 사건 이후 간접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려는 통일주체국민회의의 발표에 반발하여 윤보선, 함석헌 등의 주도하에 1979년 11월 24일에 서울 YMCA 회관에서 개최되었던 대통령 직선제 요구 시위였.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보선와 10월 15일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윤보선와 1897년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윤보선와 1960년
1960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1960년 3월 15일에 실시한 3·15 부정선거: 대한민국 국민의 직접 투표로 실시하였으며,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이기붕이 당선되었으나 무효가 되었.
196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60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1월 23일, 10월 10일, 12월 30일 치러졌.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윤보선와 1963년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윤보선와 1967년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윤보선와 1990년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보다 윤보선와 20세기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보선와 3월 23일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보다 윤보선와 4.19 혁명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6·3 항쟁
6·3 항쟁(六三抗爭) 또는 6·3 시위(六三示威), 한일협상 반대 운동(韓日協商反對運動)은 1964년 6월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운동이었.
보다 윤보선와 6·3 항쟁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보선와 7월 18일
8월 12일
8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4번째(윤년일 경우 225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보선와 8월 12일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보선와 8월 26일
또한 경천 윤보선, 해위로 알려져 있다.
, 김준연, 김준엽, 김준하 (1930년), 김창숙, 김판술, 김상돈, 김상진 할복 사건, 김수환, 김영삼,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김옥윤, 김옥숙, 김형민 (1909년), 김성은 (군인), 김성수 (1891년), 김성숙 (1898년), 김홍일 (1898년), 김활란,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의 배우자,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6대 국회,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상공부, 대한민국 헌법 제4호, 대한민국군 베트남전 참전,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대한민국의 역사,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한적십자사, 대한축구협회, 구자옥, 국민방위군 사건, 국민당 (대한민국, 1971년), 국민의당 (19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남궁연, 남흥우, 나항윤, 낙산장, 노태우, 노태우 정부, 노태우에 대한 비판, 운석기념회, 장덕수, 장도빈, 장도영, 장면,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장발 (화가), 장건상, 장경순 (1922년), 장극, 장기영 (1903년), 장급 저택, 장준하, 장진 (1927년), 장택상, 장석윤, 장세동,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임춘원, 임영신, 포산 (승려), 흥친왕, 이능섭 (1907년), 이만갑, 이명박, 이문용 (1882년), 이묘묵, 이범승, 이범석 (1900년), 이병도, 이광수, 이기붕, 이우정 (1923년), 이승만, 이회창, 이재항 (1920년), 이재학 (1904년), 이은혜 (정치인), 이종 (1940년), 이종구 (성우), 이종찬 (1936년), 이주일 (군인), 이준용 (1870년), 이진완, 이철승, 이태영, 이순재, 이헌구, 이석제, 이아주, 이신재, 이홍렬 (정치인), 일당 우위 정당제, 의친왕, 제2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 (드라마), 제5공화국 (드라마), 제정구, 전동장,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두환, 전진한, 전성천, 정광현, 정인지, 정일형, 정진숙 (출판인), 정헌주, 정성태, 조병옥, 조종호, 조헌영,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종로구 (선거구), 주요한, 창씨개명, 청와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춘천시,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유진오, 유진산, 유창순 (1918년), 유원식 (군인), 육영수, 윤 (성씨), 윤명선, 윤명선 (1900년), 윤명선 피습 사건, 윤문희, 윤고려, 윤광선, 윤근수, 윤기선, 윤기섭, 윤두수, 윤남경, 윤득우, 윤노덕, 윤승선, 윤장선, 윤인구, 윤인구 (아나운서), 윤인선 (1944년), 윤일선, 윤흔, 윤제동, 윤종구, 윤창구, 윤취동, 윤취지, 윤치명, 윤치병, 윤치일, 윤치창, 윤치영,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 묘역, 윤치성, 윤치소, 윤치왕, 윤유선 (의사), 윤상구, 윤탁구, 윤상구 (1949년), 윤택중, 윤택선, 윤영렬, 윤영구 (1923년), 윤영구 (1928년), 윤영선, 윤영선 (1896년), 윤영선 (1922년), 윤옥 (1694년), 윤호선, 윤형남, 윤연선 (1936년), 윤세겸, 윤시선, 윤원선, 윤훤, 윤웅렬, 윤왕선,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오긍선, 오위영, 오세창, 오화영, 호헌동지회, 현정건, 현진건, 현상윤, 현영학, 현석호, 최규하, 최규하 정부, 최기일, 최용건, 양주삼, 양유찬, 에든버러 대학교, 여운형, 여운홍, 허정, 사면, 사회 운동, 사회진화론, 삼김시대 (드라마),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선우종원, 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 서동만, 서울특별시 부시장, 서울특별시장, 서울재동초등학교, 서울의 봄, 서상일, 손정도, 송요찬, 송진우 (1890년), 송필만, 송원영 (1928년), 소선규, 함석헌, 함세웅, 해평 윤씨, 해평 윤씨 (1835년), 한근조, 한국민주당, 한국국민당, 한국의 군정기, 한일 관계, 한일회담, 한진창, 안동장 (동음이의), 안동시, 안국동 윤보선가, 하야, 아산군, 아산시, 신민당 (1967년), 신규식, 신익희, 신현확, 신성모, 심종석, 원석연 (화가), 원세훈 (1951년), 황윤석 (법조인), YWCA 위장결혼식 사건, 10월 15일, 1897년, 1960년, 1960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63년, 1967년, 1990년, 20세기, 3월 23일, 4.19 혁명, 5·16 군사 정변, 6·3 항쟁, 7월 18일, 8월 12일, 8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