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9 처지: 목내선, 무고의 옥, 문익점, 민희 (1614년), 민정중, 반계수록, 박규수, 박지원 (1737년), 박세당, 박세채, 경신환국,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면,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북벌론, 권대운, 권상유, 권상하, 금보 (문화재), 김만기 (1633년), 김만중, 김효원, 김우명, 김자점, 김익훈, 김좌명, 김종수 (1728년), 김집 (1574년), 김수항, 김수홍, 김석주, 대전광역시, 남구만, 남인, 남원 윤씨, 회니시비,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임경업, 희빈 장씨, 이맹휴, 이경석 (1595년), 이담명, 이우정 (1635년), 이이, 이인좌, 이인좌의 난, 이익 (1681년), 이응순 (1570년), 이조, 이수광,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9 더) »
목내선
목내선(睦來善, 1617년 ~ 1704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목내선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보다 윤휴와 무고의 옥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보다 윤휴와 문익점
민희 (1614년)
민희(閔熙, 1614년 ~ 1687년)는 조선의 문신이.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민정중
반계수록
반계수록 본문의 일부 《반계수록》(磻溪隨錄)은 1670년(현종 11년)에 완성되어 1769년(영조 45년)에 간행된 반계 유형원의 대표적인 저술로서 국가체제에 관한 책이.
보다 윤휴와 반계수록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박규수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보다 윤휴와 박세당
박세채
박세채(朴世采, 1631년 ~ 1695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박세채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보다 윤휴와 경신환국
보길도 윤선도 원림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尹善道園林)은 대한민국의 명승 제34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조선시대의 문신, 시인, 학자 윤선도가 여생을 보낸 곳이.
보길면
보길면(甫吉面)은 전라남도 완도군 서쪽에 위치해 있는 면이.
보다 윤휴와 보길면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步之華陽洞 不謁宋先生)은 조선 중기 이후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화양동 서원을 풍자한 유행어였.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보다 윤휴와 북벌론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권대운
권상유
상유(權相游, 1656년 - 1724년)는 조선 시대 후기의 학자, 사상가, 문신이.
보다 윤휴와 권상유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보다 윤휴와 권상하
금보 (문화재)
보(琴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보다 윤휴와 금보 (문화재)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보다 윤휴와 김만중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보다 윤휴와 김효원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보다 윤휴와 김우명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보다 윤휴와 김자점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보다 윤휴와 김익훈
김좌명
좌명(金佐明, 1616년 ~ 167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서예가이.
보다 윤휴와 김좌명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보다 윤휴와 김수항
김수홍
수홍(金壽弘, 1601년 ~ 168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작가로 자는 하보(夏甫), 본관은 (신)안동이.
보다 윤휴와 김수홍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보다 윤휴와 김석주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보다 윤휴와 대전광역시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보다 윤휴와 남구만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보다 윤휴와 남인
남원 윤씨
원 윤씨(南原 尹氏)는 전라북도 남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윤휴와 남원 윤씨
회니시비
회니시비(懷尼是非)는 1681년(숙종 7년) 윤증과 송시열이 서로를 비방했던 사건이.
보다 윤휴와 회니시비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보다 윤휴와 임경업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보다 윤휴와 희빈 장씨
이맹휴
이맹휴(李孟休, 1713년~175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보다 윤휴와 이맹휴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보다 윤휴와 이담명
이우정 (1635년)
이우정(李宇鼎, 1635년 ~ 1692년)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윤휴와 이이
이인좌
이인좌(李麟佐, 1694 ~ 1728)는 조선 영조 때의 역신(逆臣)이.
보다 윤휴와 이인좌
이인좌의 난
이인좌의 난(李麟佐亂)은 조선 영조(英祖) 4년(1728년) 소론 강경파와 남인 일부가 경종의 죽음에 영조와 노론이 관계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일으킨 반란이.
보다 윤휴와 이인좌의 난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이응순 (1570년)
이응순(李應順, 1570년 ~ 1653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며 공신이.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보다 윤휴와 이조
이수광
이수광(李睟光, 1563년 3월 14일(음력 2월 20일)~ 1629년 1월 19일(음력 1628년 12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자 성리학자, 실학자, 외교관이.
보다 윤휴와 이수광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보다 윤휴와 이현일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보다 윤휴와 이언적
이헌길
이헌길(李獻吉, 생몰년 미상)은 조선 후기 영조 때의 의학자이.
보다 윤휴와 이헌길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보다 윤휴와 이산해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이원익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보다 윤휴와 이황
이완 (1602년)
이완(李浣, 1602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이.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보다 윤휴와 이완용
전 윤효전 초상
전 윤효전 초상(傳 尹孝全 肖像)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초상화이.
보다 윤휴와 전 윤효전 초상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보다 윤휴와 정도전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조지운
조지운(趙之耘, 1637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화가이.
보다 윤휴와 조지운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보다 윤휴와 조선 효종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보다 윤휴와 조선 정조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보다 윤휴와 조선 숙종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보다 윤휴와 조선 현종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지윤
윤(池奫, ? ∼ 1377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 정치인, 재상이.
보다 윤휴와 지윤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채제공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보다 윤휴와 유형원
윤관 (1490년)
윤관(尹寬, 1490년-1550년) 또는 윤자관(尹子寬)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윤비경
윤비경(尹飛卿, 1607년 ~ 1680년 12월 29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보다 윤휴와 윤비경
윤효전
윤효전 영정 윤효전(尹孝全, 1563년 - 1619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윤휴와 윤효전
윤승길
윤승길(尹承吉, 1540년 10월 18일 - 1616년 11월 2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윤승길
윤희손 초상
윤희손 초상(尹喜孫 肖像)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윤희손의 초상화이.
보다 윤휴와 윤희손 초상
윤의제
윤의제(尹義濟, 1640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윤의제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보다 윤휴와 윤증
윤추
윤추(尹推, 1632년 - 170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보다 윤휴와 윤추
윤영 (1611년)
윤영(尹鍈, 1611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보다 윤휴와 윤선도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윤선거
수천부정
수천부정 증 수천군 이정은(秀泉副正 贈 秀泉君 李貞恩, ? - ?년 4월 7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으로 조선 태종의 11번째 서자인 익녕군 이치의 서자였.
보다 윤휴와 수천부정
영평군 (1636년)
영평군 이사(寧平君 李泗, 1636년(1631년) ∼ 1721년(1722년))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며, 종실 진양군 이담령(珍陽君 李聃齡)의 2남이.
오시만
오시만(吳始萬, 1647년 - 1700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오시만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보다 윤휴와 예송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보다 윤휴와 최익현
어우동
어우동(朴於宇同, 1430년경(?) ~ 1480년 10월 18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이자 시인, 서예가, 작가, 기생, 무희였.
보다 윤휴와 어우동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보다 윤휴와 허목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보다 윤휴와 허균
허난설헌
설헌(許蘭雪軒, 1563년 ~ 1589년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시인, 작가, 화가,이.
보다 윤휴와 허난설헌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허적
허한
(許僩, 1574년 ~ 1642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의보(毅甫), 호는 행오(杏塢) 또는 향오(香塢)이고, 본관은 양천이.
보다 윤휴와 허한
허후 (1588년)
후(許厚, 1588년 ~ 1661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
사문난적
사문난적(斯文亂賊)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리학 또는 유교 이념에 반대하는 사람 또는 사상을 비난, 공격하는 용어였.
보다 윤휴와 사문난적
산림 (정치)
산림(山林)은 학식과 덕이 높으나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숨어 지내는 선비로서 산림숙덕지사, 산림독서지인의 준말이.
보다 윤휴와 산림 (정치)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보다 윤휴와 삼복의 옥
성운 (1497년)
성운(成運, 1497년 2월 17일(음력 1월 16일)∼1579년 6월 19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문신이.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보다 윤휴와 성혼
성서탈적
성서탈적(聖庶奪嫡)은 고려, 조선 왕조 시대 한국에서 정실 부인에게 아들이 없는 경우, 측실, 첩이 낳은 아들을 정실 부인의 아들로 하는 것이었.
보다 윤휴와 성서탈적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보다 윤휴와 서경덕
송이창
송이창(宋爾昌, 1561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보다 윤휴와 송이창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보다 윤휴와 송준길
송창 (1633년)
송창(宋昌, 1633년 ~ 170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보다 윤휴와 송시열
한효순
효순(韓孝純, 1543년 ~ 16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
보다 윤휴와 한효순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보다 윤휴와 안정복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보다 윤휴와 신사임당
신후담
신후담(愼後聃, 1702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이.
보다 윤휴와 신후담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윤휴와 심지원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보다 윤휴와 홍우원
홍처량
홍처량(1607년 ~ 168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숙종 때 서인의 거두이자 중진이었.
보다 윤휴와 홍처량
홍수의 변
홍수의 변(紅袖之變)은 조선 숙종 1년,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아들인 종친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녀와 간통하여 자식을 보았다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거짓 고발로 발발한 사건이.
보다 윤휴와 홍수의 변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1506년? ~ 1567년?)는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작가, 서예가, 음악가, 무희이.
보다 윤휴와 황진이
10월 14일
10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7번째(윤년일 경우 288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휴와 10월 14일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보다 윤휴와 17세기
5월 20일
5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0번째(윤년일 경우 141번째) 날에 해당.
보다 윤휴와 5월 20일
또한 백호 윤휴, 윤 휴, 윤정 (1617년), 윤희중 (1617년)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