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을사사화

색인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67 처지: 류인숙, 문묘, 문정왕후 (조선), 백인걸, 갑자사화, 박승임, 박순 (조선), 박수량, 봉성군, 기묘사화, 김인후, 김저 (1512년), 구사안, 낙덕정, 노수신, 울산 김씨, 장성 박수량 백비, 장성 김인후 신도비,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목판, 임진왜란, 임억령, 희빈 홍씨, 이량 (1519년), 이기 (1476년), 이이, 이준경, 이언적, 이황, 인종실록, 의성 김씨, 을사, 정난정, 정철, 정순붕, 조광조,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선조, 조선의 공신, 조선의 역사, 취석정, 윤백원, 윤임, 윤지임, 윤여필, 윤원로, 윤원형, 여인천하 (드라마), 역사 연표, ..., 허자, 사림파, 사화, 성담수, 성운 (1497년), 성혼, 한국의 유교, 필암서원 문적 일괄, 신사임당, 심연원, 심통원, 훈몽재 유지, 훈구파, 월산대군, 홍언필, 1545년, 16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 더) »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류인숙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을사사화와 문묘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백인걸

휴암 백인걸 백인걸(白仁傑, 1497년 - 1579년 9월 29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사림파 정치인이며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백인걸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갑자사화 · 더보기 »

박승임

박승임(朴承任, 1517년 ~ 1586년)은 조선 명종, 선조 때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박승임 · 더보기 »

박순 (조선)

박순(朴淳, 1523년 ~ 1589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성리학자, 시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박순 (조선) · 더보기 »

박수량

박수량(朴守良, 1491년 ~ 155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박수량 · 더보기 »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봉성군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저 (1512년)

저(金儲, 1512년 ~ 1547년)는 조선(朝鮮)의 문관 관료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김저 (1512년) · 더보기 »

구사안

사안(具思顔, 1523년 (중종 18) ~ 1562년 4월 22일 (명종 1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중종의 부마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구사안 · 더보기 »

낙덕정

낙덕정(樂德亭)은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상송리에 있는 정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낙덕정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노수신 · 더보기 »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울산 김씨 · 더보기 »

장성 박수량 백비

장성 박수량 백비(長城 朴守良 白碑)는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호사(狐寺. 여우절) 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청백리 박수량의 묘 앞에 비문을 새기지 않고 상징적으로 세운 호패형 빗돌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장성 박수량 백비 · 더보기 »

장성 김인후 신도비

장성 김인후 신도비(長城 金麟厚 神道碑)는 조선시대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하서 김인후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한 신도비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장성 김인후 신도비 · 더보기 »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長城 筆岩書院 河西遺墨木板一括)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소재 필암서원에 있는 조선 인종 때의 학자인 하서 김인후(1510∼1560)와 관련된 문서들을 새긴 목판으로, 모두 56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장성 필암서원 하서유묵목판일괄 · 더보기 »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목판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목판(長城 筆岩書院 河西先生文集木板)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소재 필암서원에 있는 조선 인종 때의 학자인 하서 김인후(1510∼1560) 문집을 새긴 목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장성 필암서원 하서선생문집목판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억령

임억령(林億齡, 1496년 ~ 156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임억령 · 더보기 »

희빈 홍씨

희빈 홍씨(熙嬪 洪氏, 1494년 ~ 1581년)는 중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희빈 홍씨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이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언적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을사사화와 이황 · 더보기 »

인종실록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실록》(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實錄)은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으로, 인종 연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인종실록 · 더보기 »

의성 김씨

의성 김씨(義城 金氏)는 경상북도 의성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의성 김씨 · 더보기 »

을사

을사(乙巳)는 60간지 중 42번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을사 · 더보기 »

정난정

정난정(鄭蘭貞, ? ~ 1565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며 명종의 넷째 외삼촌이자 재상인 윤원형의 애첩이자 그의 둘째 부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정난정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정철 · 더보기 »

정순붕

정순붕(鄭順朋, 1484년 ~ 1548년 4월 2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정순붕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취석정

석정(醉石亭)은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광산인 노계 김경희가 명종 1년(1546년)에 세운 정자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취석정 · 더보기 »

윤백원

윤백원(尹百源, 1528 - 1589)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백원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임 · 더보기 »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지임 · 더보기 »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여필 · 더보기 »

윤원로

윤원로(尹元老, ? ~ 1547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원로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윤원형 · 더보기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여인천하 (드라마)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을사사화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허자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사림파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을사사화와 사화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운 (1497년)

성운(成運, 1497년 2월 17일(음력 1월 16일)∼1579년 6월 19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문신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성운 (1497년)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성혼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을사사화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필암서원 문적 일괄

암서원 문적 일괄(筆巖書院 文籍 一括)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서류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필암서원 문적 일괄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을사사화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심연원 · 더보기 »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심통원 · 더보기 »

훈몽재 유지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는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2길 83에 있는 하서 김인후의 교육에 관련된 유적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훈몽재 유지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을사사화와 훈구파 · 더보기 »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5년 1월 5일(음력 1454년 12월 18일) ~ 1489년 1월 22일(음력 1488년 12월 21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시인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월산대군 · 더보기 »

홍언필

홍언필(洪彦弼, 1476년 ~ 154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미, 호는 묵재, 시호는 문희,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홍언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을사사화와 1545년 · 더보기 »

16세기

16세기는 1501년부터 1600년까지이.

새로운!!: 을사사화와 16세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