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을사조약

색인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276 처지: 러일 전쟁, 더럼 W. 스티븐스, 덕수궁, 독도의 역사,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매국노, 만국평화회의, 마북동, 메이지 천황, 목장지도, 목사, 미국의 대외 관계, 민병석,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종묵, 민종식, 민영기 (정치인), 민영익, 민영찬, 민영환, 민원식, 방한민, 배정자, 백관수, 반하경,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간도 문제, 간도 협약, 박기양, 강우규, 박장호, 박제순, 박제선, 박정양, 박중양, 박지양 (일진회), 박영효, 가쓰라-태프트 밀약,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의 역사, 고문 정치, 고금면, 고희동, 고종 양위 사건, 고종 암약설, 곽종석, 광제호,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북관대첩비, 권 (성씨), ..., 권동진, 권중현, 불평등 조약, 부쿠레슈티 조약 (1918년), 기유각서, 기산도, 김명준 (1870년), 김가진, 김복한, 김병로, 김봉선 유품, 김구, 김재홍 (승려), 김인전, 김종선, 김창숙, 김윤정 (1869년), 김상한, 김영섭 (목회자), 김학진, 대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 대한민국,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토론회,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대한적십자사,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국가, 대한제국의 황실, 국민신보, 남궁억, 남궁염, 나철, 나수연, 노백린, 노응규, 우덕순, 자제단, 자위단, 장교동 한규설 가옥, 장흥 임씨, 장준하, 장지연, 편강렬, 임병찬, 임창모, 임성구, 포츠머스 조약, 이동녕, 이갑 (1877년), 이강년 (1858년), 이건승, 이건창, 이건하, 이경희 (1880년), 이범진 (1852년), 이광수 (1873년), 이봉의, 이근명 (1840년), 이근택, 이규완, 이교문, 이남규 (1855년), 이달용, 이용익, 이용직, 이용원 (1832년), 이승만, 이승훈 (1864년), 이승화 (1876년), 이회영, 이재명 (1887년), 이재극, 이희간, 이인영 (1868년), 이은찬 (1878년), 이종건 (1843년), 이종학 (1870년), 이종훈 (1858년), 이준 (1859년), 이준 열사 기념관, 이준용 (1870년), 이준형 (1875년), 이진룡, 이지용, 이창훈 (조선귀족), 이상동, 이상영, 이상설, 이탈리아 왕국, 이현우 (경찰), 이세영 (1869년),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이항직, 이한응, 이하영, 이시영 (1868년), 이시영 (1882년), 이완용, 인천광역시의 역사, 일본 제국, 일본내막기,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 일본의 역사, 일제 강점기, 일진회, 음력 10월 21일, 의병, 을사, 을사오적, 제1차 한일 협약, 전동장, 전주한옥마을, 전수용, 정미칠적,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병세 (1827년), 조양문, 조선군 (일본군),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적 일본군인,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완구, 주권, 중명전, 차경석,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 친로파, 코믹월드, 유길준, 유승흠 (1876년), 윤치오, 윤치호, 윤치성, 윤치소, 윤택영, 윤영구 (1868년), 윤필오, 윤시병, 윤웅렬, 태종무열왕, 순국선열의 날, 영일 동맹, 오라동,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의 대외 관계, 오적 암살단, 옥관빈, 호러스 뉴턴 알렌, 호머 헐버트, 현은, 현영운, 최익현, 최정덕, 최석하, 어니스트 베델, 양무호, 양기탁, 헤이그 특사 사건, 역사 연표, 연성법, 헌병보조원, 헌정연구회, 허형, 엄인섭, 삼흥학교, 프랑스, 프랑스의 대외 관계, 서울 진공 작전 (1910년), 서재우 (1868년), 서재영 (1867년), 서재필, 서창보, 손탁호텔, 송병선, 송진우 (1890년), 통감, 통감부, 애국계몽운동, 애국부인전, 한미 관계, 한불 관계, 한규설, 한국,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역사, 한국사 연표, 한용운, 한일 병합 조약, 한일 관계, 한일 우정의 해 2005, 한일신협약, 한중 관계, 한영 관계, 안중근, 안창호, 하라다 다마키, 하세가와 요시미치, 하야시 곤스케, 아관파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아시아의 역사, 앙투아네트 손탁, 식민지 근대화론, 신돌석, 신규식, 신흥무관학교, 신응희, 신채호, 신석린, 심순택, 시일야방성대곡, 홍만식, 황성신문, 왜성대, 11월 17일, 11월 20일, 1900년대, 1905년, 2005년 11월, 2008년 2월, 20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26 더) »

러일 전쟁

일 전쟁()은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러일 전쟁 · 더보기 »

더럼 W. 스티븐스

스티븐스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Durham White Stevens, 1851년 2월 1일 ~1908년 3월 25일)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한국식 이름은 수지분(須知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더럼 W. 스티븐스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덕수궁 · 더보기 »

독도의 역사

이 문서에서는 독도의 역사에.

새로운!!: 을사조약와 독도의 역사 · 더보기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을사조약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더보기 »

매국노

매국노(賣國奴)는 승식 행위를 한 자를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매국노 · 더보기 »

만국평화회의

1899년 제1차 헤이그 회의 1907년 제2차 헤이그 회의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 또는 헤이그 회담(Hague Conventions)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899년, 1907년에 2차례 열린 국제 평화 회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만국평화회의 · 더보기 »

마북동

마북동(麻北洞)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마북동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메이지 천황 · 더보기 »

목장지도

목장지도(牧場地圖)는 조선 현종 4년(1663년) 당시의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였던 허목이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보완해 편찬한 목장에 관한 지도책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목장지도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목사 · 더보기 »

미국의 대외 관계

미국의 대외 관계에서는 미국과 다른 나라들 간의 관계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미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 더보기 »

민종묵

민종묵(閔種默, 1835년 양력 2월 14일 ~ 1916년 양력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종묵 · 더보기 »

민종식

민종식(閔宗植, 1861 ~ 1917)은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종식 · 더보기 »

민영기 (정치인)

민영기(閔泳綺, 1858년 음력 8월 1일 ~ 1927년 양력 1월 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한일합방에 협조한 대가로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영기 (정치인)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영익 · 더보기 »

민영찬

민영찬(閔泳瓚, 1874년 12월 3일 ~ 1948년 11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영찬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영환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민원식 · 더보기 »

방한민

방한민(方漢旻, 1900년 ~ 1968년)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언론인이자, 대한민국의 교육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방한민 · 더보기 »

배정자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田山貞子(다야마 사다코), 1870년 2월 23일1870년 2월 27일 설도 있다. ~ 1952년 2월 27일)는 조선의 비구니이자 일본 제국의 조선 정보원, 외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배정자 · 더보기 »

백관수

백관수(白寬洙, 1889년 1월 28일 고창 ~ 1951년 10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백관수 · 더보기 »

반하경

반하경(潘夏慶, ? ~ 1910년)은 조선 말기 · 대한제국의 항일 열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반하경 · 더보기 »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는 서울대학교 아동학과 교수이자, 작가인 유안진의 장편 소설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더보기 »

간도 문제

문제(間島問題)는 만주에 있는 간도 지방의 영토귀속권(領土歸屬權)을 가지고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서로 분쟁한 사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간도 문제 · 더보기 »

간도 협약

협약(間島協約)은 일본제국이 1905년 제2차 한일 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불법적으로 강탈한 상황에서 1909년 9월 4일 청나라와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간도 협약 · 더보기 »

박기양

박기양(朴箕陽, 1856년 ~ 1932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기양 · 더보기 »

강우규

강우규(姜宇奎, 1855년 4월 20일 ~ 1920년 1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강우규 · 더보기 »

박장호

박장호(朴長浩, 1859년 ~ 1921년)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장호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제순 · 더보기 »

박제선

박제선(朴齊璿, 일본식 이름: 芳村齊璿, 1858년 음력 12월 3일 ~ 1943년 양력 1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제선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지양 (일진회)

박지양(朴之陽,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지양 (일진회)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박영효 · 더보기 »

가쓰라-태프트 밀약

쓰라-태프트 밀약(桂・タフト密約) 또는 가쓰라-태프트 협정()은 러일 전쟁 직후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과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문제를 놓고 1905년 7월 29일 당시 미국 육군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서 회담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화 기록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가쓰라-태프트 밀약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려대학교 · 더보기 »

고려대학교의 역사

본관 대한제국 광무 9년인 1905년에 이용익 등에 의해 한국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으로 개교한 보성전문학교는 1946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어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로 개칭되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려대학교의 역사 · 더보기 »

고문 정치

문정치(顧問政治)란, 고문을 통해 간접통치하는 통치유형을 말. 1904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은 제1차 한일 협약을.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문 정치 · 더보기 »

고금면

면(古今面)은 전라남도 완도군에 속하며, 고금도의 행정 명칭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금면 · 더보기 »

고희동

희동(高羲東, 1886년 3월 11일 ~ 1965년 10월 22일)은 대한제국 시기부터 동양화를 공부한 동양화가이자 한국인 최초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희동 · 더보기 »

고종 양위 사건

종 양위 사건(高宗讓位事件)은 1907년 7월 20일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는 일본의 강압에 못이겨 제위를 순종에게 위임했다가 바로 양위한 사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종 양위 사건 · 더보기 »

고종 암약설

종 암약설(高宗暗弱說)은 조선 후기의 군주 고종이 암우(暗愚)하고 유약했다는 이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고종 암약설 · 더보기 »

곽종석

곽종석(郭鍾錫, 1846년 ~ 1919년)은 조선말의 주자학자·독립투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곽종석 · 더보기 »

광제호

광제호(廣濟號)는 대한제국의 두 번째의 군함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광제호 · 더보기 »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는 개화기인 대한제국 시기에 관립으로 설립된 외국어 학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관립한성외국어학교 · 더보기 »

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는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김책시 임명동)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북관대첩비 · 더보기 »

권 (성씨)

(權)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권 (성씨)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권동진 · 더보기 »

권중현

중현(權重顯, 1854년 11월 27일(음력 10월 8일) ~ 1934년 3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권중현 · 더보기 »

불평등 조약

불평등 조약(不平等條約)은 조약을 맺은 두 나라 사이에서 한 나라에게 불리한 조건을 지게 맺어진 조약을 가리.

새로운!!: 을사조약와 불평등 조약 · 더보기 »

부쿠레슈티 조약 (1918년)

프랑스 측이 그린 부쿠레슈티 강화 조약 포스터이다. 그림에서는 독일황제 빌헬름 2세가 루마니아라고 하는 여성을 칼로 들이대고 있고, 러시아라고 하는 남자는 그녀가 평화 조약을 맺는 동안 빌헬름 2세에게 흉부가 짓밟혀져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즉, 독일이 루마니아에게 조약을 맺으라고 강요한 것이다. 부쿠레슈티 강화 조약은 1918년 5월 7일, 루마니아의 부프테아에서 맺어진 루마니아와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오스만 제국 간에 맺어진 조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부쿠레슈티 조약 (1918년) · 더보기 »

기유각서

유각서(己酉覺書)는 융희 3년(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기유각서 · 더보기 »

기산도

산도(奇山度, 1869년∼1926년)는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기산도 · 더보기 »

김명준 (1870년)

명준(金明濬, 일본식 이름: 金田明, 1870년 양력 10월 26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명준 (1870년)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가진 · 더보기 »

김복한

복한(金福漢, 1860년 7월 24일 ~ 1924년 3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유학자, 구한말의 의병장으로 자는 원오(元五), 호는 지산(志山),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복한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병로 · 더보기 »

김봉선 유품

봉선 유품(金鳳善 遺品)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에 있는, 대한제국 때 활약했던 김봉선(1856∼1909)이 남긴 문서와 국가의 중대한 의식이 있을 때 입던 대례복을 비롯한 여러 유물들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봉선 유품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구 · 더보기 »

김재홍 (승려)

재홍(金在弘, 일본식 이름: 金光智海, 1885년 ~ 1969년 7월 25일)은 한국의 승려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재홍 (승려) · 더보기 »

김인전

인전(1876년 10월 7일 ~ 1923년 5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목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인전 · 더보기 »

김종선

종선(金鍾善, 1898년 전남 ~ 1950년 10월 1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종선 · 더보기 »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창숙 · 더보기 »

김윤정 (1869년)

윤정, 1925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윤정 (1869년) · 더보기 »

김상한

상한(金商翰, 1848년 ~ 1917년 10월)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상한 · 더보기 »

김영섭 (목회자)

영섭(金永燮, 일본식 이름: 金光永燮 가네미쓰 나가미쓰, 1888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영섭 (목회자) · 더보기 »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김학진 · 더보기 »

대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

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大朝鮮駐箚美國華盛頓公使館)은 미국 워싱턴 DC 북서부 로건 서클 15번지에 위치한 대한제국의 공사관 건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민국 건국절 논쟁은 대한민국의 건국기념일을 정하자는 데서, 건국일이 언제인지에 대한 논쟁을 말하는 것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토론회

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TV 후보 토론회는 2017년 4월 19일부터 2017년 5월 2일까지 진행되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토론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大韓民國 政府 發表 親日反民族行爲者 名單)은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적십자사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국가

제국 애국가(大韓帝國 愛國歌)는 대한제국의 국가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제국의 국가 · 더보기 »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대한제국의 황실 · 더보기 »

국민신보

《국민신보》(國民新報)는 대한제국 말기에 발행된 신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국민신보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남궁억 · 더보기 »

남궁염

궁염 남궁염(南宮炎, 1888년 3월 17일 ~ 1961년 11월 29일, 미국명 데이비드 남궁(David Y. Namkoong))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겸 외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남궁염 · 더보기 »

나철

(羅喆, 1863년 12월 2일 ~ 1916년 음력 8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종교의 창시자이고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로, 본명은 나두영(羅斗永), 개명은 나인영(羅寅永)이며 아호는 홍암(弘巖)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나철 · 더보기 »

나수연

수연(羅壽淵, 1861년 음력 10월 20일~1926년 양력 6월 16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개화파 무관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나수연 · 더보기 »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노백린 · 더보기 »

노응규

응규(盧應奎, 1849년 3월 15일 ~ 1907년 1월 4일)는 조선말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노응규 · 더보기 »

우덕순

우덕순(禹德淳) 또는 우연준(禹連俊) (1880년 ~ 1950년 9월 26일)은 충북 제천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의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우덕순 · 더보기 »

자제단

3.1 운동 진압 자제단 발족 신문 기사 자제단을 조직한 박중양 자제단(自制團) 또는 자제회(自制會)는 1919년 4월 6일부터 12월까지 활동한 일제 강점기 조선인 시민단체 또는 자치적 단체로 3·1 만세 운동을 자제 내지는 진압, 시위 참여자를 설득, 귀가시키기 위해 만든 조직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자제단 · 더보기 »

자위단

자위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을사조약와 자위단 · 더보기 »

장교동 한규설 가옥

장교동 한규설 가옥(長橋洞韓圭卨家屋)은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병조판서·한성판윤을 지냈고, 독립협회에 참여하였으며, 광무 9년 의정부 참정으로 일제의 을사조약 체결을 끝까지 반대한 한규설의 집으로, 본래 중구 장교동에 있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장교동 한규설 가옥 · 더보기 »

장흥 임씨

장흥 임씨(長興 任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장흥 임씨 · 더보기 »

장준하

장준하(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장준하 · 더보기 »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장지연 · 더보기 »

편강렬

의성단원들의 무죄 석방 보도, 구속된 의성단장 형의 강제 퇴거명령에 경찰에 협박장을 보낸 의성단, 독립운동 3단체의 통합 편강렬(片康烈, 1892년 ~ 1928년)은 한국의 항일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편강렬 · 더보기 »

임병찬

임병찬(林炳瓚, 1851년 2월 5일 ~ 1916년 5월 23일)은 최익현과 함께 거병했던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임병찬 · 더보기 »

임창모

임창모(林昌模, ? ~ 1909년 10월 12일)는 대한제국 시기의 의병장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임창모 · 더보기 »

임성구

임성구 임성구(林聖九, 1887년 ~ 1921년 11월 20일)는 한국 신파극 운동을 처음 시작한 인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임성구 · 더보기 »

포츠머스 조약

머스 조약(Treaty of Portsmouth)은 1905년 9월 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의 대통령의 중재로 미국 뉴햄프셔 주에 있는 군항 도시 포츠머스에서 일본 제국의 전권외상 고무라 주타로와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 세르게이 비테 간에 맺은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포츠머스 조약 · 더보기 »

이동녕

이동녕(李東寧, 1869년 2월 17일 ~ 1940년 3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언론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동녕 · 더보기 »

이갑 (1877년)

이갑(李甲, 1877년 음력 5월 12일 ~ 1917년 양력 6월 13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의 육군 장교 및 항일 무관(抗日 武官)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항일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갑 (1877년) · 더보기 »

이강년 (1858년)

이강년(李康秊, 1859년 2월 2일(1858년 음력 12월 30일) ~ 1908년 10월 13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강년 (1858년) · 더보기 »

이건승

경재(耕齋) 이건승(李建昇, 1858∼1924).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건승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건하

이건하(李乾夏, 1835년 음력 4월 27일 ~ 1913년 양력 11월 7일)는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건하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범진 (1852년)

이범진(李範晋, 1852년 9월 3일 ~ 1911년 1월 26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이며 순국지사로 자(字)는 성삼(聖三)이며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17대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범진 (1852년) · 더보기 »

이광수 (1873년)

이광수(李光秀, 1873년 ~ 1953년)는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광수 (1873년)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근명 (1840년)

이근명(李根命, 1840년 양력 1월 21일 ~ 1916년 양력 6월 11일)은 조선의 의정대신이며 일본 제국으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근명 (1840년) · 더보기 »

이근택

이근택(李根澤, 1865년 9월 30일(음력 8월 11일) ~ 1919년 12월 16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근택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규완 · 더보기 »

이교문

이교문 (李敎文, 1846년 4월 21일 ~ 1914년 2월 12일)은 조선시대 말기의 성리학자이자 대한제국기의 항일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교문 · 더보기 »

이남규 (1855년)

이남규(李南珪, 1855년 11월 3일 ~ 1907년 8월 19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로, 자는 원팔(元八), 호는 산좌(汕佐), 수당(修堂)이며 본관은 한산(韓山), 충청남도 예산군 출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남규 (1855년)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달용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용익 · 더보기 »

이용직

이용직(李容稙, 1852년 ~ 1932년 4월 3일)은 문장가로 유명하던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용직 · 더보기 »

이용원 (1832년)

이용원(李容元, 1832년 음력 9월 30일~1911년 양력 8월 16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용원 (1832년)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승훈 (1864년)

이승훈 이승훈 (李昇薰, 1864년 3월 25일(음력 2월 18일) ~ 1930년 5월 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승훈 (1864년) · 더보기 »

이승화 (1876년)

이승화(李承和 1876년 8월 2일 ~ 1937년)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승화 (1876년)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재명 (1887년)

이재명(李在明, 1887년 ~ 1910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재명 (1887년) · 더보기 »

이재극

이재극(李載克, 1864년 11월 6일 ~ 1931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왕족,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재극 · 더보기 »

이희간

이희간(李喜侃, 일본식 이름: 梅田二郞(우메다 지로), 1875년 1월 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겸 공작원으로 본적은 평안남도 순천군 순천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희간 · 더보기 »

이인영 (1868년)

이인영(李麟榮, 1868년 9월 23일~1909년 9월 20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인영 (1868년) · 더보기 »

이은찬 (1878년)

이은찬(문숙공, 李殷瓚, 1878년 ~ 1909년)은 13도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진공작전을 기획한 대한제국의 의병장이며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은찬 (1878년) · 더보기 »

이종건 (1843년)

이종건(李鍾健, 1843년 ~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종건 (1843년) · 더보기 »

이종학 (1870년)

이종학(李鍾學, 1870년 1월 5일 ~ 1907년 7월 3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대의 항일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종학 (1870년) · 더보기 »

이종훈 (1858년)

이종훈(李鍾勳, 1858년 2월 9일 ~ 1932년 5월 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종훈 (1858년) · 더보기 »

이준 (1859년)

이준(李儁, 1859년 12월 18일 ~ 1907년 7월 14일)은 구한말의 검사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준 (1859년) · 더보기 »

이준 열사 기념관

이준 열사 기념관(Yi Jun Peace Museum)은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밀사로 만국평화회의에 파견된 이준이 일본과 영국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907년 7월 14일 병사한 곳을 기념하여 지은 기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준 열사 기념관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준형 (1875년)

이준형(李濬衡, 1875년 4월 21일 ~ 1942년 10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준형 (1875년) · 더보기 »

이진룡

이진룡(李鎭龍, 1879년 ~ 1918년)은 한말과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로, 황해도 평산(현재의 황해북도 평산군) 출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진룡 · 더보기 »

이지용

이지용(李址鎔, 1870년 10월 23일 ~ 1928년 6월 2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지용 · 더보기 »

이창훈 (조선귀족)

이창훈(李昌薰, 1890년 9월 11일 ~ 1947년 4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원선(元善), 호는 소덕(小悳).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창훈 (조선귀족) · 더보기 »

이상동

이상동(李相東 1865년 11월 4일 ~ 1951년 11월 29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상동 · 더보기 »

이상영

이상영(李商永, 1850년 7월 13일 ~ ?)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상영 · 더보기 »

이상설

이상설(李相卨,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 ~ 1917년 양력 3월 2일)은 조선(대한제국)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상설 · 더보기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부터 1946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에 존재한 나라이며, 전신은 사르데냐 왕국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탈리아 왕국 · 더보기 »

이현우 (경찰)

이현우(李鉉雨)(1894-1923)는 친일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현우 (경찰) · 더보기 »

이세영 (1869년)

이세영(李世永, 1870년 ~ 1941년)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세영 (1869년)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얼빈역 1번 플랫폼에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곳 하얼빈역 1번 플랫폼에서 안중근의 저격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쓰러진 곳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이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의거 사건을 말.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 더보기 »

이항직

이항직(李恒稙, 1882년 음력 4월 10일~1960년 양력 7월 18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항직 · 더보기 »

이한응

이한응(李漢應, 1874년 9월 21일 ~ 1905년 5월 12일)은 본관은 전의예안 이씨(全義)후손 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순국 열사(殉國 烈士)로 자는 경천(敬天)이며 호는 국은(菊隱)이고 李漢膺(이한응)이라는 일명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한응 · 더보기 »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하영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시영 (1882년)

이시영(李始榮, 1882년 1월 10일 ~ 1919년 7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시영 (1882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이완용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내막기

《일본내막기》(日本內幕記)는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1941년 7월에 출간한 저작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본내막기 · 더보기 »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은 일본의 철도가 시작될 때, 케이프 궤간을 채용한 것에 대해 일본국유철도가 표준궤로 궤간을 변경하려고 한 운동을 말.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은 공공 서비스(public service)의 경제학과 국가적인 정책, 날이 갈수록 진보하는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 논쟁이며 일본에서는 현재 교통, 통신, 방송 등의 분야에서 이러한 논쟁이 발생할 때마다 "궤간 변경(改軌)의 전철은 밟지 않도록"(改軌の轍は踏まぬよう)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 · 더보기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日本-歷史)는 일본과 일본인이 현재까지 걸어온 모든 역사적 과정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본의 역사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일진회 · 더보기 »

음력 10월 21일

음력 10월 21일은 음력 10월의 21번째 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음력 10월 21일 · 더보기 »

의병

1907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무장한 의병 의병(義兵)은 주로 한국사에서 정의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민병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의병 · 더보기 »

을사

을사(乙巳)는 60간지 중 42번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을사 · 더보기 »

을사오적

을사오적(乙巳五賊)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의 체결을 찬성했던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의 다섯 명을 비판적으로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을사오적 · 더보기 »

제1차 한일 협약

제1차 한일 협약(第一次韓日協約)은 러일 전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04년 8월 22일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협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제1차 한일 협약 · 더보기 »

전동장

전동장(典洞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5-18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무신 윤웅렬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계몽사상가, 교육인인 좌옹 윤치호가 살던 대저택을 말. 전동장과는 별도로 안국동의 윤보선 사저는 안동장이라고 불. 1860년경부터 1905년까지 윤웅렬이 거주했고, 1905년부터 1945년까지는 좌옹 윤치호가 거주하던 저택으로 본래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 매입한 자택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전동장 · 더보기 »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 전경 전주한옥마을 은행나무 거리 전경 전주한옥마을 한옥 풍경 전주한옥마을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의 풍남동과 교동 일원에 있는 면적 296,330m2의 한옥마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전주한옥마을 · 더보기 »

전수용

전수용(全垂鏞, 1879년 12월 1일(음력 10월 18일) ~ 1910년 8월 22일(음력 7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전수용 · 더보기 »

정미칠적

정미칠적(丁未七賊)은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 체결 2년 후인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제3차 한일협약 또는 정미7조약) 조인에 찬성한 내각 대신 일곱 친일파를 가리.

새로운!!: 을사조약와 정미칠적 · 더보기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병세 (1827년)

조병세(趙秉世, 1827년 ~ 1905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순국열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병세 (1827년) · 더보기 »

조양문

조양문(朝陽門)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위치한 홍주읍성의 4대문 중 하나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양문 · 더보기 »

조선군 (일본군)

일본 제국 조선군(朝鮮軍) 또는 조선 주둔 일본군(朝鮮 駐屯 日本軍)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이 조선 지역을 수비하기 위한 일환으로 주둔군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선군 (일본군)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적 일본군인

육군특별지원병령(1938년 칙령 제95호)를 게재한 1938년 2월 26일의 조선총독부 관보 조선적 일본군인(朝鮮籍日本軍人) 또는 조선인 일본병() 또는 조선계 일본군인(朝鮮係日本軍人)은 일본 제국 육해군에 소속되어 군무원으로 복무한 조선인 군인, 포로 감시원 등 군인에 가까운 임무를 수행한 군속 등이며, 그 중에서도 적극적인 협력자를 가리켜서는 조선인 BC급 전범(朝鮮人BC級戰犯)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선적 일본군인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이며, 조선총독부 관사(朝鮮總督府官舍)는 조선총독부와 유관 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 더보기 »

조완구

조완구(趙琬九, 1881년 4월 18일(음력 3월 20일) ~ 1954년 10월 27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조완구 · 더보기 »

주권

주권(主權)의 개념에 대해서는 정치학자들마다 다양한 정의가 존재.

새로운!!: 을사조약와 주권 · 더보기 »

중명전

중명전(重明殿)은 덕수궁에 딸린 서양식 전각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중명전 · 더보기 »

차경석

경석(車京石, 1880년 ~ 1936년)는 보천교 교주로 종교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차경석 · 더보기 »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은 화가는 물론 제작경위와 제작시기가 확실하고 회화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현재 알려진 최익현의 관복본 초상화 중 제작시기가 가장 올라가는 사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 · 더보기 »

친로파

조선말기 극동으로 진출하는 러시아 제국세력을 업고 일본과 청나라 세력에 대항하여 정권을 잡았던 정파를 말.

새로운!!: 을사조약와 친로파 · 더보기 »

코믹월드

2013년 개최 당시 코스프레 모습 코믹월드()는 일본의 만화 관련 업체인 S.E.TECHNO가 주최하는 아마추어 만화 행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코믹월드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승흠 (1876년)

유승흠(柳承欽, 1876년 11월 21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인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유승흠 (1876년)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치성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치소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영구 (1868년)

윤영구(尹寗求, 1868년 ~ ?)는 대한제국말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영구 (1868년) · 더보기 »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필오 · 더보기 »

윤시병

윤시병(尹始炳, 1851년 2월 1일(음력 1월 1일) ~ 1932년 2월 5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개화파 인물로, 초기 일진회 조직을 주.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시병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윤웅렬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순국선열의 날

순국선열의 날은 11월 17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순국선열의 날 · 더보기 »

영일 동맹

영일 동맹(英日同盟)은 1902년 1월 30일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하여 이해를 함께하던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과 일본(일본 제국) 양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영일 동맹 · 더보기 »

오라동

오라동(吾羅洞)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행정동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오라동 · 더보기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속했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국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더보기 »

오스트리아의 대외 관계

오스트리아의 대외.

새로운!!: 을사조약와 오스트리아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오적 암살단

오적 암살단(五賊暗殺團)이란 을사늑약을 체결하는데 일본에게 도움을 준 친일파 박제순(朴齊純), 이지용(李址鎔), 이근택(李根澤), 이완용(李完用), 권중현(權重顯) 다섯을 암살하려고 했던 이철,나철, 홍필주, 오기호, 강원상을 일컫.

새로운!!: 을사조약와 오적 암살단 · 더보기 »

옥관빈

옥관빈(玉觀彬, 1887년? 1891년? - 1933년 8월 1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기업인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옥관빈 · 더보기 »

호러스 뉴턴 알렌

호러스 뉴턴 앨런(Horace Newton Allen, 1858년 4월 23일 ~ 1932년 12월 11일)은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 선교사로, 한국어 이름은 안련(安連)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호러스 뉴턴 알렌 · 더보기 »

호머 헐버트

호머 베절릴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1863년 1월 26일 ~ 1949년 8월 5일)는 미국의 감리교회 선교사이자, 육영공원 교수로 근무하여 영어를 가르쳤던 교육인으로 대한제국의 항일운동을 적극 지원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호머 헐버트 · 더보기 »

현은

현은(玄檃, 1860년 음력 9월 30일 ~ 1934년 양력 11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현은 · 더보기 »

현영운

현영운(玄暎運, 아명(兒名)은 현영운(玄映運), 1868년 음력 6월 11일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관료 겸 군인으로, 본관은 연주(延州)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현영운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최익현 · 더보기 »

최정덕

정덕(崔廷德, 1865년 ~ ?)은 일진회 회원을 지낸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최정덕 · 더보기 »

최석하

석하(崔錫夏, 1866년 11월 20일 ~ 1929년 8월 27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관료로 본적은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최석하 · 더보기 »

어니스트 베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대한제국 성명(姓名): 裵說(배설), 1872년 11월 3일 ~ 1909년 5월 1일)은 1904년에서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인 언론인, 신문기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어니스트 베델 · 더보기 »

양무호

양무호(揚武號)는 대한제국의 첫 번째 근대식 군함이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양무호 · 더보기 »

양기탁

양기탁(梁起鐸, 문화어:량기탁, 1871년 4월 2일 ~ 1938년 4월 1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양기탁 · 더보기 »

헤이그 특사 사건

이준, 이상설, 이위종 헤이그 특사 사건(- 特使 事件)은 1907년 고종이 당시 개신교 감리교회의 지원을 받아 비밀리에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특사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파견하려 하였던 사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헤이그 특사 사건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을사조약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성법

연성법(soft law)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준법률문서(quasi-legal instrument)들을 지칭.

새로운!!: 을사조약와 연성법 · 더보기 »

헌병보조원

병보조원 (憲兵補助員)이란, 일본 제국이 1907년~1945년 해방이 되기까지 한민족을 탄압할 목적으로 만든 제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헌병보조원 · 더보기 »

헌정연구회

정연구회(憲政硏究會)는 1905년 5월 이준·양한묵·윤효정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애국계몽운동 단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헌정연구회 · 더보기 »

허형

형(許蘅, 1843 ~ 1922)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허형 · 더보기 »

엄인섭

엄인섭(嚴仁燮, 1875년 ~ 1936년)은 일제강점기 시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일제 밀정으로 악명이 높았.

새로운!!: 을사조약와 엄인섭 · 더보기 »

삼흥학교

삼흥학교(三興學校)는 1906년 경 안중근이 평안남도 진남포에 세운 학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삼흥학교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랑스의 대외 관계

랑스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프랑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서울 진공 작전 (1910년)

서울 진공 작전은 1908년 1월 전국 각지에서 모인 의병들이 13도창의군을 결성하여 일으킨 한성 탈환 작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서울 진공 작전 (1910년) · 더보기 »

서재우 (1868년)

서재우(徐載雨, 1868년 9월 5일 ~ 1929년 1월 24일)는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겸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서재우 (1868년) · 더보기 »

서재영 (1867년)

서재영(徐載榮, 1867년 10월 15일 ~ 1922년 2월 24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서재영 (1867년)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창보

서창보(徐彰輔, ? ~ ?)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친일단체인 국민동지찬성회 부회장을.

새로운!!: 을사조약와 서창보 · 더보기 »

손탁호텔

손탁호텔()은 대한제국 한성부 정동(오늘날의 서울의 정동)에 1902년에 세워진 서양식 호텔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손탁호텔 · 더보기 »

송병선

송병선(宋秉璿 1836년 ∼ 1905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송병선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통감

통감은 조선 통감부의 수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통감 · 더보기 »

통감부

통감기(統監旗) 한국통감부 청사 통감부(統監府)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통감부 · 더보기 »

애국계몽운동

애국계몽운동(愛國啓蒙運動)은 대한제국 말기에 교육과 산업 등을 통해 국민의 실력을 키워 침탈당한 권리를 되찾고 독립을 보전해 가고자한 한 사회 운동을 말. 자주 독립을 목표로 활동하던 독립협회가 이권 침탈을 노리는 국가들의 견제로 1898년 해산.

새로운!!: 을사조약와 애국계몽운동 · 더보기 »

애국부인전

애국부인전은 장지연이 ‘슝양산인’이라는 필명으로 1907년에 번역하여 발표한 소설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애국부인전 · 더보기 »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미 관계 · 더보기 »

한불 관계

국과 프랑스의 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상임이사국, 주요 8개국 정상회의(G8, Group of 8) 회원국, 세계 제6위 경제 대국,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통합의 주도국으로서 한국 안보·경제 외교의 주요 협력 파트너 역할을 하고 있. 프랑스는 유럽연합 국가 중 한국의 제5위 교역국이자 제4위 투자국의 위치에 있. 한불관계의 시작점은 조선 시대 후기로 거슬러 올. 조선 후기에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신자들을 조선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대와 조선군이 격돌하는 사건 - 병인양요 - 이 일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불 관계 · 더보기 »

한규설

설 한규설(韓圭卨, 1856년~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규설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국사 연표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일 우정의 해 2005

1965년에 대한민국과 일본의 국교 정상화 40주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여, 2003년 6월, 대한민국의 노무현 대통령과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간의 정상회담에서 공동선언문을 통해 2005년을 한일 우정의 해 2005로 지정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일 우정의 해 2005 · 더보기 »

한일신협약

일신협약(韓日新協約)은 1907(융희 1)년 7월 24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늑약) 조약(늑약)이 체결된 해가 정미년이었기 때문에 정미7늑약(丁未七勒約)이라고 부르며 제1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등과 구분하기 위해 제3차 한일 협약(第三次韓日協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일신협약 · 더보기 »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중 관계 · 더보기 »

한영 관계

영 관계는 대한민국(및 조선과 대한제국)과 영국 간의 외교 등의 관계를 말. 영국은 한국 전쟁에 임하여 참전 16개국 중의 하나로서 군사·경제지원 등을 통해서 한국에 대한 공헌이 지대했을 뿐 아니라, 유엔을 비롯한 기타 많은 국제기구에서의 활동을 통해서 한국의 지위향상·보전 및 우호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계속한 나라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한영 관계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안중근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안창호 · 더보기 »

하라다 다마키

마키(1946년 ~)는 일본의 역사학자.

새로운!!: 을사조약와 하라다 다마키 · 더보기 »

하세가와 요시미치

세가와 요시미치(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하세가와 요시미치 · 더보기 »

하야시 곤스케

야시 곤스케 하야시 곤스케(1860년 3월 23일 ~ 1939년 6월 27일)는 일본의 외교관, 남작(男爵)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하야시 곤스케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Afanasy Ivanovich Seredin-Sabatin, 1860년 ~ 1921년)은 1890년부터 1904년까지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일했던 러시아 출신의 건축 기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을사조약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앙투아네트 손탁

앙투아네트 손탁(1854년 ~ 1922년)는 대한제국과 러시아 제국에서 활약한 독일인 통역사이며, 손탁호텔의 지배인으로 잘 알려져 있. 한국어 이름은 손탁(孫澤)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앙투아네트 손탁 · 더보기 »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植民地近代化論)은 일본 제국 쇼와 천황의 한국 식민 지배가 결과적으로 한국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식민지 근대화론 · 더보기 »

신돌석

신돌석(申乭石, 본명(本名)은 신태호(申泰浩), 일명은 신돌석(申乭錫), 1878년 11월 26일(음력 11월 3일) ~ 1908년 12월 11일(음력 11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돌석 · 더보기 »

신규식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신규식(申圭植, 1880년 2월 22일(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규식 · 더보기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는 1911년 서간도(길림성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으로,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흥무관학교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응희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채호 · 더보기 »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을사조약와 신석린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심순택 · 더보기 »

시일야방성대곡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 2면 사설란에 실린 '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은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의 제목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시일야방성대곡 · 더보기 »

홍만식

홍만식(洪萬植, 1842년 ~ 1905년)은 조선 말기의 애국 지사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홍만식 · 더보기 »

황성신문

《황성신문》 창간호 황성신문(皇城新聞)은 남궁억, 나수연 등이 중심이 되어 1898년(광무(光武) 2년) 9월 5일 《대한황성신문》의 판권을 인수받아 창간한 일간 신문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황성신문 · 더보기 »

왜성대

왜성대(倭城臺)는 조선시대의 지명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과 회현동 1가에 걸쳐 있던 지역을 가리.

새로운!!: 을사조약와 왜성대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을사조약와 11월 17일 · 더보기 »

11월 20일

1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4번째(윤년일 경우 3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을사조약와 11월 20일 · 더보기 »

1900년대

1900년대는 1900년부터 190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을사조약와 1900년대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1905년 · 더보기 »

2005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을사조약와 2005년 11월 · 더보기 »

2008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을사조약와 2008년 2월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을사조약와 20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을사 5조약, 을사 보호 조약, 을사 늑약, 을사 조약, 을사 오조약, 을사5조약, 을사보호조약, 을사늑약, 을사오조약, 제2 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협약, 제이 차 한일 협약, 제이차 한일 협약, 한일 협상 조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