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의금부

색인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목차

  1. 315 처지: 돈녕부, 도사 (동음이의), 독립협회, 동학 농민 운동, 류자광, 목내선,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희 (1614년), 민종현, 민진주, 민진원, 민치록, 민치구, 민암, 방산수, 방원량, 갑술환국, 갑신정변, 박동량, 박만서, 박경양, 박제선, 박종래, 박종경, 박종훈 (1773년), 박준원, 박지원 (1737년), 박윤수, 강순, 박영효, 박영원, 박필균, 박원양,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견지동, 법관양성소, 고령 신씨, 공평동 (서울), 계유정난, 봉석주, 권균, 권대운, 권태전, 귀인 권씨 (덕종), 기삼연, 김만기 (1633년), 김문 (조선), 김낙헌, 김노경, 김요협,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65 더) »

돈녕부

녕부(敦寧府)는 조선 시대의 왕과 왕비의 친인척을 관리하던 관청이.

보다 의금부와 돈녕부

도사 (동음이의)

사는 다음을 일컫는 말이.

보다 의금부와 도사 (동음이의)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보다 의금부와 독립협회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보다 의금부와 동학 농민 운동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보다 의금부와 류자광

목내선

목내선(睦來善, 1617년 ~ 1704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목내선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승호 암살 사건 또는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은 1874년 11월 민승호 일가가 의문의 폭약을 선물로 받고, 이를 개봉하다가 죽은 사건이.

보다 의금부와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희 (1614년)

민희(閔熙, 1614년 ~ 1687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민희 (1614년)

민종현

민종현(閔鍾顯, 1735년 ~ 1798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민종현

민진주

민진주(1646년 ~ 17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인현왕후의 일족으로 본관은 여흥이.

보다 의금부와 민진주

민진원

민진원(閔鎭遠, 1664년 ~ 1736년)은 조선 후기의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이며, 민진후의 남동생, 인현왕후의 작은오빠이.

보다 의금부와 민진원

민치록

민치록(閔致祿, 1799년 ~ 1858년)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자는 원덕, 호는 서하이.

보다 의금부와 민치록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보다 의금부와 민치구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민암

방산수

방산수 이난(方山守 李瀾, 1460년 ~ ?)는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이자 시인으로, 이름은 난(瀾)이며, 세종의 서손자이자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서자였.

보다 의금부와 방산수

방원량

방원량(房元亮)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방원량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보다 의금부와 갑술환국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보다 의금부와 갑신정변

박동량

박동량(朴東亮, 1569년 음력 7월 24일 ~ 16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박동량

박만서

박만서(朴晩緖, 1879년 음력 6월 1일 ~ 1924년 양력 4월 25일)는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박만서

박경양

박경양(朴慶陽, 1864년 양력 8월 6일 ~ 1916년 양력 5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보다 의금부와 박경양

박제선

박제선(朴齊璿, 일본식 이름: 芳村齊璿, 1858년 음력 12월 3일 ~ 1943년 양력 1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박제선

박종래

박종래(朴宗來, 1746년 ~ 1831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박종래

박종경

박종경(朴宗慶, 1765년 ~ 181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박종경

박종훈 (1773년)

박종훈(1773년 ~ 1841년)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박종훈 (1773년)

박준원

박준원(朴準源, 1739년 ~ 1807년)은 조선 시대의 문관이.

보다 의금부와 박준원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보다 의금부와 박지원 (1737년)

박윤수

박윤수(1753년 ~ 182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박윤수

강순

강순(康純, 1390년 ~ 1468년 10월 27일)은 조선 세종, 세조 때의 명장,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강순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보다 의금부와 박영효

박영원

박영원(朴永元, 1791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철종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박영원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보다 의금부와 박필균

박원양

박원양(朴元陽, 1804년 ~ 1884년 12월 17일(1884년 음력 11월 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박영교, 개화파의 핵심인물이자 갑신정변의 주동자인 박영효 형제의 아버지이며 박제당의 아들이다. 1871년 아들 박영효가 철종의 고명딸 영혜옹주와 결혼하면서 여러번 승진하여 도총부 부총관, 공조판서에 올랐다.

보다 의금부와 박원양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Bernard Louis Beaulieu, 1840년 10월 8일 ~ 1866년 3월 7일)는 프랑스인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견지동

동(堅志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 아래에 있.

보다 의금부와 견지동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는 조선 말기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했던 법률 교육 기관이.

보다 의금부와 법관양성소

고령 신씨

령 신씨(高靈 申氏)는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의금부와 고령 신씨

공평동 (서울)

공평동(公平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 아래에 있.

보다 의금부와 공평동 (서울)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보다 의금부와 계유정난

봉석주

봉석주(奉石柱, ? - 1465년 4월 19일)는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장군, 정치인이며, 계유정난과 세조 찬위에 공을 세운 공신이.

보다 의금부와 봉석주

권균

(權鈞, 1464년 ~ 1526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권균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권대운

권태전

전(權泰銓, 1887년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권태전

귀인 권씨 (덕종)

인 권씨(貴人 權氏, ? ~ 1494년 음력 4월 26일)는 조선의 추존왕 덕종(의경세자)의 후궁이.

보다 의금부와 귀인 권씨 (덕종)

기삼연

삼연(奇參衍, 1851년 1월 18일 ~ 1908년 2월 3일(음력 1월 2일))은 자는 경로(景魯), 호는 성재(省齋)이.

보다 의금부와 기삼연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만기 (1633년)

김문 (조선)

문(金汶, ? ~ 144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문 (조선)

김낙헌

낙헌(김락헌)金洛憲, 1874년 양력 7월 28일(음력 6월 15일) ~ 1919년 양력 7월 2일)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다.

보다 의금부와 김낙헌

김노경

경(金魯敬, 1766년 ~ 183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노경

김요협

요협(金堯莢, 1833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관료,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김요협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보다 의금부와 김자점

김재찬

재찬(金載瓚, 1746년 ~ 1827년)은 조선의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김재찬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재순(金在珣, ?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 법관이었.

보다 의금부와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희순

희순(金羲淳, 1757년 ~ 1821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희순

김이재

이재(1767년 ~ 184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안동으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중심 인물이.

보다 의금부와 김이재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김일경 (1662년)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익훈

김제남 (1562년)

제남(金悌男, 1562년 ~ 1613년 6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보다 의금부와 김제남 (1562년)

김제준

제준(金濟俊, 1796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김제준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김조순

김종정

종정(金鍾正, 1722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종정

김춘택

택‎ 김춘택(金春澤, 1670년 ~ 171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외척, 작가이.

보다 의금부와 김춘택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보다 의금부와 김육

김영한 (1857년)

영한(金榮漢, 1857년 음력 6월 14일 ~ 1927년 양력 8월 1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의금부와 김영한 (1857년)

김온순 (1812년)

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온순 (1812년)

김사목

사목(1740년 ~ 182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순조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김사목

김사묵

사묵(金思默, 1856년 4월 9일 ~ 1921년 4월 1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교육인으로, 본관은 (구)안동이.

보다 의금부와 김사묵

김성일 (1538년)

성일 (金誠一, 1538년~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김성일 (1538년)

김성행

성행(金省行, 1696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경종 당시 연잉군을 추대하려 했다가 서덕수 등과 함께 사형당.

보다 의금부와 김성행

김약로

약로(金若魯, 1694년 ~ 1753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약로

김학성 (1807년)

학성(1807년 ~ 18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김학성 (1807년)

김홍륙

홍륙(金鴻陸, ? ~ 1898년)은 조선 말기의 역관이.

보다 의금부와 김홍륙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보다 의금부와 대한제국 고종

구희서 (1861년)

희서(具羲書, 1861년 8월 2일 ~ 1921년 4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능성이며 본적은 한성부 중서(中署) 정선방(貞善坊) 하돈녕계(下敦寧契) 하한동(下漢洞)이.

보다 의금부와 구희서 (1861년)

남공철

공철(南公轍, 1760년 ~ 184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남공철

남용익

용익(1628년 ~ 16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 호는 호곡, 자는 운경이.

보다 의금부와 남용익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남포 (1489년)

남이관

이관(南履灌, 178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남이관

남양 방씨

양 방씨(南陽 房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의금부와 남양 방씨

나진 (1881년)

(羅瑨, 1881년 10월 17일 ~ 1918년 10월 2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으로, 본관은 나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중부 상사동이.

보다 의금부와 나진 (1881년)

장도 (1876년)

장도(張燾, 음력 1876년 윤 5월 7일/양력 1876년 6월 28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의금부와 장도 (1876년)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보다 의금부와 장택상

장순손

장순손(張順孫, 1453년『연려실기술』 ~ 1534년 9월 11일)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자활(自活), 본관은 인동(仁同)이.

보다 의금부와 장순손

임계영

임계영(任啓英, 1528년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규합해 큰 공을 세웠.

보다 의금부와 임계영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보다 의금부와 임오군란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보다 의금부와 임해군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평산군부인 평산신씨(平山郡夫人 平山申氏, 1770년 6월 13일 ~ 1801년 3월 17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은언군의 장남이자 조선 정조의 양자인 상계군의 부인이.

보다 의금부와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보다 의금부와 흥녕군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보다 의금부와 흥인군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보다 의금부와 흥선대원군

이만수 (1752년)

이만수(李晩秀, 1752년 ~ 1820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만수 (1752년)

이명직 (문신)

이명직(李命稙, 1865년 1월 11일~1915년 9월 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명직 (문신)

이명식

이명식(1720년 ~ 180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명식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건창

이경재 (1800년)

이경재(1800년 ~ 187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흥선대원군의 측근이었.

보다 의금부와 이경재 (1800년)

이경유

이경유(李慶裕, 1562년 8월 26일-1620년 11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자(字)는 자수(子綬) 또는 중유(仲裕)이.

보다 의금부와 이경유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범석 (1900년)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보다 의금부와 이복남

이병정

이병정(1742년 ~18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대신이며, 본관은 전주이.

보다 의금부와 이병정

이병식 (1785년)

이병식(李秉植, 1785년-185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추존 장조의 장남 은언군의 손자 종실 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에게 출계한 덕안군 이재덕(德安君 李載悳)의 생조부이.

보다 의금부와 이병식 (1785년)

이광좌

이광좌(李光佐, 1674년 ~ 174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광좌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보다 의금부와 이극돈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보다 의금부와 이규완

이기한 (1630년)

이기한(李起漢, 1630년 - 169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종실 진계부정 이윤경(晋溪副正 李潤慶)의 장남이.

보다 의금부와 이기한 (1630년)

이교문

이교문 (李敎文, 1846년 4월 21일 ~ 1914년 2월 12일)은 조선시대 말기의 성리학자이자 대한제국기의 항일 의병장이.

보다 의금부와 이교문

이용의

이용의(李溶儀, 1874년 양력 10월 29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이용의

이용태 (1854년)

이용태(李容泰, 1854년 양력 7월 13일 ~ 1922년 양력 7월 26일)는 동학농민운동 때 안핵사로 파견되었던 조선의 관료로, 본관은 전주이.

보다 의금부와 이용태 (1854년)

이우정 (1635년)

이우정(李宇鼎, 1635년 ~ 1692년)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보다 의금부와 이우정 (1635년)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보다 의금부와 이승만

이승응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 1836년 7월 21일 ~ 1909년 10월 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및 문신, 대한제국 황족으로, 장조의 서5남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의 양 손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승응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승훈 (1756년)

이회정 (1818년)

이회정(李會正, 1818년 9월 23일 ~ 1883년 5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의금부판사, 한성부 판윤 등을 역임.

보다 의금부와 이회정 (1818년)

이재간

이재간(李在簡, 1733년 ~ 1789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재간

이재근 (1857년)

인양군 이재근(仁陽君 李載覲, 1857년 9월 21일 ~ 1896년 12월 6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장조의 서3남 은전군(恩全君)의 증손이.

보다 의금부와 이재근 (1857년)

이재협

이재협(1731~1790)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영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이재협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보다 의금부와 이재선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보다 의금부와 이재선 추대 사건

이희갑 (조선)

이희갑(1764년 ~ 184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이.

보다 의금부와 이희갑 (조선)

이인명

이인명(李寅命, 1819년 ~ 188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이인명

이인엽

이인엽(1656년 ~ 171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경주이.

보다 의금부와 이인엽

이의잠

이의잠(李宜潛, 1576년-16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의잠

이의현

이의현(李宜顯, 1669년 ~ 174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의현

이존수

이존수(1772년 ~ 182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이.

보다 의금부와 이존수

이중환

이중환(李重煥, 1691년 1월 23일(음력 1690년 12월 25일)~1756년 2월 1일(음력 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사상가, 철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중환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보다 의금부와 이준용 (1870년)

이즙 (1503년)

이즙(李楫, 1503년 - 1580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이즙 (1503년)

이집 (1664년)

이집(李㙫, 1664년 ~ 1733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집 (1664년)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보다 의금부와 이지방 (1466년)

이창의

이창의(1704년~177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이창의

이철득

이철득(李鐵得, 1780년 ~ ?)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조선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였.

보다 의금부와 이철득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보다 의금부와 이윤용 (1854년)

이휘지

이휘지(1715년 ~ 1785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우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이휘지

이휘선

이휘선(李徽善, 1865년(철종 16)∼?)은 구한말의 관료, 법관이.

보다 의금부와 이휘선

이상진 (1614년)

이상진(李尙眞, 1614년 ~ 169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상진 (1614년)

이상황

이상황(1763년 ~ 184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헌종 때 영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이상황

이태영 (1744년)

이태영(李泰永, 1744년 10월 9일 ~ 1803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보다 의금부와 이태영 (1744년)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순신 (1553년)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이수형 (1435년)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언적

이연상

이연상(1715~178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 이건명의 증손으로, 본관은 전주이.

보다 의금부와 이연상

이헌구 (1784년)

이헌구(1784년 ~ 1858년)는 조선의 문신이며,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해서 대촉,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전라도관찰사,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사헌부대사헌, 형조판서, 예조판서, 평안도관찰사, 병조판서, 우참찬,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지돈녕부사, 우의정, 좌의정, 판중추부사를.

보다 의금부와 이헌구 (1784년)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산해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 인의 서자였.

보다 의금부와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세백

이세백(李世白, 163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세백

이세화

이세화(李世華, 1630년 ~ 170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이세화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하전

이학규

이학규(李鶴圭, 1852년 1월 8일 ~ ?)는 조선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홍주이며, 관료 이석희의 아버지이.

보다 의금부와 이학규

이학수 (1780년)

이학수(1780년 ~?)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으로 문과 급제 후 관직이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검교대교, 우승지, 홍문관부제학, 사간원대사간, 이조참판, 경상도관찰사, 도총관,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예조판서, 평안도관찰사, 판의금부사, 이조판서, 수원유수, 공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녕부사에 이르.

보다 의금부와 이학수 (1780년)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보다 의금부와 이원경 (1827년)

이원국 (1861년)

이원국(李源國, 1861년 1월 1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이원국 (1861년)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보다 의금부와 이원정 (1622년)

이홍술

이홍술(李弘述, 1647년 - 1722년 5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정치인이며, 자는 사선(士善)이.

보다 의금부와 이홍술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이완용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보다 의금부와 은전군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보다 의금부와 은언군

전병훈

전병훈(全秉薰, 1857년 - 1927년)은 구한말의 사상가이.

보다 의금부와 전병훈

전봉준

전봉준(全琫準, 1854년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은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 지도자였.

보다 의금부와 전봉준

전장운

전장운(全長雲, 1811년 ~ 1866년 3월 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전장운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보다 의금부와 전주시의 역사

정만석

정만석(1758년 ~ 183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우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정만석

정발 (1553년)

정발(鄭撥, 1553년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발 (1553년)

정범조 (1833년)

정범조(鄭範朝, 1833년 ~ 1898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범조 (1833년)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정보 (조선)

정기세

정기세(鄭基世, 1814년 ~ 1884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기세

정난정

정난정(鄭蘭貞, ? ~ 1565년 11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며 명종의 넷째 외삼촌이자 재상인 윤원형의 애첩이자 그의 둘째 부인이.

보다 의금부와 정난정

정우량

정우량(鄭羽良, 1692년 ~ 1754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우량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보다 의금부와 정인홍

정지화

정지화(1613년 ~ 168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정지화

정창순

정창순(鄭昌順, 1727년 ~?)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창순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정창손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보다 의금부와 정철

정치화

정치화(鄭致和, 1609년 ~ 1677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치화

정유길

정유길(鄭惟吉, 1515년 11월 30일 ~ 1588년 9월 2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선조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정유길

정유성

정유성(1596년 ~ 1664년)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유성

정상순

정상순(鄭尙淳, 1723년 ~ 1786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정상순

정석오

정석오(1692년 ~ 174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영조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정석오

정홍순

정홍순(1720년 ~ 178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정조 때 우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정홍순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조려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보다 의금부와 조문명

조병현

조병현(趙秉鉉, 1791년 ~ 184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양(豊壤)이.

보다 의금부와 조병현

조자지

조자지(趙自知, ? ~ ?)는 조선시대의 문인, 시인, 은일사이며, 청담파 문인이.

보다 의금부와 조자지

조진관

조진관(趙鎭寬, 1739년 ~ 1808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조진관

조창원

조창원 (趙昌遠, 1583년 ~ 164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보다 의금부와 조창원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보다 의금부와 조상경 (1681년)

조상우 (1640년)

조상우(1640년 ~ 17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우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조상우 (1640년)

조상진

조상진(趙尙鎭, 1740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조상진

조현명

조현명(趙顯命, 1690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조현명

조사석

조사석(趙師錫, 1632년 ∼ 169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조사석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의금부와 조선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보다 의금부와 조선 효종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보다 의금부와 조선 정종

조선의 정치

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자 즉시 중외(中外)의 신료와 군사와 백성에게 교서를 내려 즉위한 사실을 알리는 가운데서, 국호를 종전대로 ‘고려’라 칭하고, 의복과 장식, 그리고 법률제도도 고려의 전통을 따를 것을 선언하였.

보다 의금부와 조선의 정치

조선의 통치 기구

이 문서는 조선의 통치 기구 및 통치 제도를.

보다 의금부와 조선의 통치 기구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보다 의금부와 좌찬성

종1품

종1품은 정1품 다음으로 높은 품계이며, 품계 서열은 2위이.

보다 의금부와 종1품

채수영의 난

수영의 난(蔡壽永-亂)은 1817년(순조 17) 3월 전라도 장수 출신인 채수영과 안유겸(安有謙) 등이 사람을 모아 순조를 폐위하고 은언군의 아들 이철득을 추대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된 사건이.

보다 의금부와 채수영의 난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의금부와 충주 박씨

유명천

유명천(1633년 ~ 17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남인의 핵심인물이었.

보다 의금부와 유명천

유명현

유명현(1643년 ~ 170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유명현

유감동

유감동(兪甘同,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기생, 무희, 시인으로, 양반 출신 부녀자였으나 남편에게 버림받은 뒤 기녀로 생활하며 여러 남성과 연애, 세종대왕 때 남자 40여 명과 간통한 죄로 처벌 받은 여자이.

보다 의금부와 유감동

유학주

유학주(兪鶴柱,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부회장과 평의장을.

보다 의금부와 유학주

윤덕준

윤덕준(1658년 ~ 171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덕준

윤동섬

윤동섬(尹東暹, 1710년 ~ 1795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동섬

윤경순 (1855년)

윤경순(尹景純, 1855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상인, 무신, 혁명가이.

보다 의금부와 윤경순 (1855년)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보다 의금부와 윤경완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보다 의금부와 윤근수

윤급

상화 윤급(尹汲, 1697년 음력 2월 30일 ~ 1770년 음력 5월 19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급

윤급 초상

윤급 초상(尹汲 肖像)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보다 의금부와 윤급 초상

윤득우

윤득우(尹得雨, 1719년 2월 9일 - 1774년 8월 7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윤득우

윤의제

윤의제(尹義濟, 1640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윤의제

윤제동

윤제동(尹悌東,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윤제동

윤지선

윤지선(1627년 ~ 170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윤지선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윤휴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휘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보다 의금부와 윤호 (1424년)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보다 의금부와 윤사로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보다 의금부와 윤선도

윤성보 (1861년)

윤성보(尹性普, 1861년 12월 29일 ~ 1917년 3월)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보다 의금부와 윤성보 (1861년)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세겸

윤하영 (1867년)

윤하영(尹夏榮, 1867~1915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하영 (1867년)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보다 의금부와 윤필상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보다 의금부와 윤원형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보다 의금부와 윤웅렬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보다 의금부와 상산군부인 송씨

순라군

순라군(巡邏軍)또는 졸경군(卒更軍), 순군(巡軍) 은 조선시대에 범죄나 화재를 막기 위해서 밤에 궁궐과 도성 안팎을 순찰하던 군인이.

보다 의금부와 순라군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권씨(淑儀 權氏, ? ~ 1519년 이후)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보다 의금부와 숙의 권씨 (단종)

숙의 허씨

숙의 허씨(淑儀 許氏, ? ~ 1623년 이후)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이.

보다 의금부와 숙의 허씨

오경린 (1846년)

오경린(吳景麟, 1869년 음력 9월 1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보다 의금부와 오경린 (1846년)

오재순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오재순

오시복

오시복(1637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남인의 핵심 인물이었.

보다 의금부와 오시복

예양정

예양정 이재규(禮陽正 李載規, 1877년 4월 8일 ~ ?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3남 은전군(恩全君)의 증손이.

보다 의금부와 예양정

최강칠우

《최강칠우》는 2008년 6월 17일부터 2008년 8월 19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월화드라마이.

보다 의금부와 최강칠우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보다 의금부와 최익현

최석항

석항(崔錫恒, 1654년 ~ 17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최석항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보다 의금부와 최한기

어우동

어우동(朴於宇同, 1430년경(?) ~ 1480년 10월 18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이자 시인, 서예가, 작가, 기생, 무희였.

보다 의금부와 어우동

어유소

어유소(1434년 ~ 1489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유(子遊)이며, 본관은 충주이.

보다 의금부와 어유소

양정 (조선)

양정 (楊汀, ? ~ 1466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보다 의금부와 양정 (조선)

여성제

여성제(呂聖齊, 1625년 ~ 1691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여성제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보다 의금부와 허목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보다 의금부와 허균

허교

영정 허교(許喬, 1567년 8월 21일 ~ 1632년 12월 2일)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허교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허적

허종 (1434년)

종(許琮, 1434년 ~ 1494년 음력 2월 14일)은 조선의 문신, 정치가, 시인이.

보다 의금부와 허종 (1434년)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허준

허위 (1854년)

위(許蔿, 1854년 4월 1일 ~ 1908년 10월 21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며 구한말의 의병장이.

보다 의금부와 허위 (1854년)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의금부와 풍양 조씨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보다 의금부와 삼복의 옥

삼척 심씨

삼척 심씨(三陟 沈氏)는 강원도 삼척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의금부와 삼척 심씨

피에르앙리 도리

에르앙리 도리(Pierre-Henri Dorie, 1839년 9월 23일 ~ 1866년 3월 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피에르앙리 도리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성삼문

서덕수

서덕수(徐德修, 1694년 - ?)는 조선 후기의 정치인으로,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 서씨의 조카이자, 그의 오빠 서명백의 아들이.

보다 의금부와 서덕수

서매수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서매수

서명균

서명균(徐命均, 1680년 ~ 1745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서명균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보다 의금부와 서광범

서기순 (1791년)

서기순(1791~1854)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순조 때 문과에 급제해서 이조참의, 성균관대사성, 승지를 거쳐 다시 이조참판이 되고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

보다 의금부와 서기순 (1791년)

서당보

서당보(1806년 ~ 1883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고종 때 영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서당보

서재창

서재창(徐載昌, 1866년 10월 29일 ~ 188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 정치인, 개화사상가로 서재필의 동생이.

보다 의금부와 서재창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보다 의금부와 서재필

서정수

서정수(? ~ 1804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대구로 정조의 신임을 받은 문관이었.

보다 의금부와 서정수

서준보

서준보(徐俊輔, 1770년 ~ 1856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서준보

서영보

서영보(徐榮輔, 1759년 ~ 1816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서영보

송근수

송근수(宋近洙, 1818년 ~ 1903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송근수

송용태

송용태(宋龍台, 1952년 9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뮤지컬 배우, 연극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성우, 인간문화재이.

보다 의금부와 송용태

송인명

송인명(宋寅明, 1689 ~ 1746)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송인명

송상기

송상기(宋相琦, 1657년 ~ 1723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송상기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송시열

송환기

송환기(宋煥箕, 1728년 ~ 1807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송환기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보다 의금부와 함태영

해우당

영주 해우당고택(榮州 海愚堂古宅)은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의 무섬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고택이.

보다 의금부와 해우당

한동리 (법조인)

동리(韓東履, 1863년 3월 26일 ~ 1943년 6월 2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 겸 관료로, 본관은 청주, 본적은 한성부 중서(中署) 관인방(寬仁坊) 대사동계(大寺洞契) 사동(寺洞)이며 경기도 광주부(廣州府, 현재의 경기도 광주시) 출신이.

보다 의금부와 한동리 (법조인)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보다 의금부와 한명회

한계원

원(1814년 ~ 1882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한계원

한광회

광회(韓光會, 1715년 ~?)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한광회

한용귀

용귀(1747년 ~ 1828년)은 조선 후기의 영의정이.

보다 의금부와 한용귀

한충 (조선)

충(韓忠, 1486년 ~ 15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한충 (조선)

한성별곡

《한성별곡-정》(漢城別曲-正, Conspiracy in the Court)은 대한민국의 KBS 2TV에서 2007년 7월 9일부터 2007년 7월 31일까지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에 방영한 사극 드라마이.

보다 의금부와 한성별곡

한성재판소

성재판소(漢城裁判所)는 대한제국의 사법 기관이.

보다 의금부와 한성재판소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한확

안철수 (조선)

안철수(安喆壽, 생몰년 미상)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 관료이.

보다 의금부와 안철수 (조선)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하위지

신경희 (1561년)

신경희(申景禧, 1561(명종 16) ∼ 1615(광해군 7)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다. 신경희의 옥사로 사형당했다. 신잡의 아들이자 신립의 조카이며, 신경진, 신경인의 사촌 형이다. 해공 신익희에게는 12대 방조가 된다. 본관은 평산.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1615년(광해군 7) 정원군의 차남 능창군을 왕위에 옹립하려 했다는 혐의로 의금부에서 국문을 받던 중 장살되었다.

보다 의금부와 신경희 (1561년)

신대우

신대우(申大羽, 1735년~180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양명학자이.

보다 의금부와 신대우

신회

신회(申晦, 1706년 ~ ?)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신회

신익상

신익상(申翼相, 1634년 ~ 169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신익상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의금부와 신응희

신응조

신응조(1804년 ~ 189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보다 의금부와 신응조

신축민란

제주 관덕정. 당시 봉기를 지휘했던 이재수가 이곳 광장에서 천주교도를 처형하였다. 신축민란(辛丑民亂), 제주 신축교난, 제주 교난, 또는 이재수의 난은 구한말 봉세관(捧稅官)의 조세 수탈과 프랑스 선교사를 앞세운 천주교회의 폐단에 맞선 민중 항쟁이.

보다 의금부와 신축민란

신호 (15세기)

신호(申浩, ? ~ 1432년 7월 13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

보다 의금부와 신호 (15세기)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보다 의금부와 심능악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기원

심우승

심우승(沈友勝, 1551년 ~ 16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공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우승

심재

심재(1624년 ~ 16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재

심이택 (1832년)

심이택(沈履澤, 1832년 ~ 18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이고, 형조판서 심의면(沈宜冕)의 아들이.

보다 의금부와 심이택 (1832년)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보다 의금부와 심의면

심정 (1418년)

심정(沈泟, ? ~ 1418년)은 조선의 무신이자 척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정 (1418년)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보다 의금부와 심정 (1471년)

심상규

심상규(沈象奎, 1766년 ~ 1838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상규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순택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보다 의금부와 심온

심언경

심언경(沈彦慶, 1479년 ~ 1556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언경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보다 의금부와 심연원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심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Simon Marie Antoine Just Ranfer de Bretenieres, 1838년 2월 28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보다 의금부와 원균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보다 의금부와 원두표

홍명하

홍명하(洪命夏, 1608년 ~ 1668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홍명하

홍종응

홍종응(1783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홍종응

홍종억

홍종억(洪鍾檍, 1850년 음력 11월 12일 ~ 1919년 양력 10월 22일)은 대한제국 말기 의병 재판에 참가한 법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보다 의금부와 홍종억

홍중보

홍중보(洪重普, 1612년 ~ 1671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홍중보

홍진

홍진(洪震/洪鎭,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 1946년 9월 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1926년 7월부터 1926년 12월까지 제5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을.

보다 의금부와 홍진

홍수헌

홍수헌(1640년 ~ 17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양이며, 노론의 핵심 인물로, 김창집, 이이명, 이유, 이여와 친분이 두터웠.

보다 의금부와 홍수헌

홍석주

홍석주(洪奭周, 1774년 ~ 1842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홍석주

황승원

황승원(黃昇源, 1732년 ~ 180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의금부와 황승원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보다 의금부와 황사영 백서

또한 판의금부사로 알려져 있다.

, 김자점, 김재찬,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희순, 김이재, 김일경 (1662년), 김익훈, 김제남 (1562년), 김제준, 김조순, 김종정, 김춘택, 김육, 김영한 (1857년), 김온순 (1812년), 김사목, 김사묵, 김성일 (1538년), 김성행, 김약로, 김학성 (1807년), 김홍륙, 대한제국 고종, 구희서 (1861년), 남공철, 남용익, 남포 (1489년), 남이관, 남양 방씨, 나진 (1881년), 장도 (1876년), 장택상, 장순손, 임계영, 임오군란, 임해군, 평산군부인 신씨 (상계군), 흥녕군, 흥인군, 흥선대원군, 이만수 (1752년), 이명직 (문신), 이명식, 이건창, 이경재 (1800년), 이경유, 이범석 (1900년), 이복남, 이병정, 이병식 (1785년), 이광좌, 이극돈, 이규완, 이기한 (1630년), 이교문, 이용의, 이용태 (1854년), 이우정 (1635년), 이승만, 이승응, 이승훈 (1756년), 이회정 (1818년), 이재간, 이재근 (1857년), 이재협, 이재선, 이재선 추대 사건, 이희갑 (조선), 이인명, 이인엽, 이의잠, 이의현, 이존수, 이중환, 이준용 (1870년), 이즙 (1503년), 이집 (1664년), 이지방 (1466년), 이창의, 이철득, 이윤용 (1854년), 이휘지, 이휘선, 이상진 (1614년), 이상황, 이태영 (1744년), 이순신 (1553년), 이수형 (1435년), 이언적, 이연상, 이헌구 (1784년), 이산해,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세백, 이세화, 이하전, 이학규, 이학수 (1780년), 이원경 (1827년), 이원국 (1861년), 이원정 (1622년), 이홍술, 이완용, 은전군, 은언군, 전병훈, 전봉준, 전장운, 전주시의 역사, 정만석, 정발 (1553년), 정범조 (1833년), 정보 (조선), 정기세, 정난정, 정우량, 정인홍, 정지화, 정창순, 정창손, 정철, 정치화, 정유길, 정유성, 정상순, 정석오, 정홍순, 조려, 조문명, 조병현, 조자지, 조진관, 조창원, 조상경 (1681년), 조상우 (1640년), 조상진, 조현명, 조사석, 조선, 조선 효종, 조선 정종, 조선의 정치, 조선의 통치 기구, 좌찬성, 종1품, 채수영의 난, 충주 박씨, 유명천, 유명현, 유감동, 유학주, 윤덕준, 윤동섬, 윤경순 (1855년), 윤경완, 윤근수, 윤급, 윤급 초상, 윤득우, 윤의제, 윤제동, 윤지선, 윤휴, 윤휘, 윤호 (1424년), 윤사로, 윤선도, 윤성보 (1861년), 윤세겸, 윤하영 (1867년), 윤필상, 윤원형, 윤웅렬, 상산군부인 송씨, 순라군, 숙의 권씨 (단종), 숙의 허씨, 오경린 (1846년), 오재순, 오시복, 예양정, 최강칠우, 최익현, 최석항, 최한기, 어우동, 어유소, 양정 (조선), 여성제, 허목, 허균, 허교, 허적, 허종 (1434년), 허준, 허위 (1854년), 풍양 조씨, 삼복의 옥, 삼척 심씨, 피에르앙리 도리, 성삼문, 서덕수, 서매수, 서명균, 서광범, 서기순 (1791년), 서당보, 서재창, 서재필, 서정수, 서준보, 서영보, 송근수, 송용태, 송인명, 송상기, 송시열, 송환기, 함태영, 해우당, 한동리 (법조인), 한명회, 한계원, 한광회, 한용귀, 한충 (조선), 한성별곡, 한성재판소, 한확, 안철수 (조선), 하위지, 신경희 (1561년), 신대우, 신회, 신익상, 신응희, 신응조, 신축민란, 신호 (15세기), 심능악, 심기원, 심우승, 심재, 심이택 (1832년), 심의면, 심정 (1418년), 심정 (1471년), 심상규, 심순택, 심온, 심언경, 심연원, 심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원균, 원두표, 홍명하, 홍종응, 홍종억, 홍중보, 홍진, 홍수헌, 홍석주, 황승원, 황사영 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