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감

색인 이감

이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20 처지: 문정왕후 (조선), 방산수, 경주 이씨, 기대항, 우계 이씨, 임권, 이량 (1519년), 이명남, 이경항 (1601년), 이광식 묘역, 이용 (1533년), 이인남, 이상우 (1648년), 이성헌 (1534년), 이서우 (1633년), 이원빈, 이황, 윤두수, 허엽, 심전.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이감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방산수

방산수 이난(方山守 李瀾, 1460년 ~ ?)는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이자 시인으로, 이름은 난(瀾)이며, 세종의 서손자이자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서자였.

새로운!!: 이감와 방산수 · 더보기 »

경주 이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감와 경주 이씨 · 더보기 »

기대항

항(奇大恒, 1519년 ~ 156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감와 기대항 · 더보기 »

우계 이씨

우계 이씨(羽溪 李氏)는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감와 우계 이씨 · 더보기 »

임권

임권(任權, 1486년 ~ 155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감와 임권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이감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명남

이명남(李命男, 1556년 - 1619년 9월 2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감와 이명남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이감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광식 묘역

이광식 묘역은 조선중기의 무신, 군인인 이광식의 일가 묘역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산83-2번지 철곡부락 산 중턱에 소재해 있. 본래 이광식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원지리 철곡(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산83-2번지)에 안장한 것을 시작으로 그의 증손자 이명남, 또다른 증손자인 이복남의 가묘, 5대손 이서우의 묘소를 안장하였.

새로운!!: 이감와 이광식 묘역 · 더보기 »

이용 (1533년)

이용(李庸+戈, 1533년 - 159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선(彦善), 다른 이름은 이규(李戣)이.

새로운!!: 이감와 이용 (1533년) · 더보기 »

이인남

이인남(李仁男,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이감와 이인남 · 더보기 »

이상우 (1648년)

이상우(李商雨, 1648년 7월 26일 ~ 1742년 8월 22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자(字)는 성택(聖澤) 또는 설지(說之),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이감와 이상우 (1648년) · 더보기 »

이성헌 (1534년)

이성헌(李成憲, 1534년 2월 22일 - 1601년 5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감와 이성헌 (1534년)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이감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원빈

이원빈(李元賓, 1608년 4월 12일 - 1679년 5월 2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감와 이원빈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이감와 이황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감와 윤두수 · 더보기 »

허엽

엽(許曄, 1517년 12월 29일 ~ 1580년 2월 4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로, 자는 태휘(太輝), 호는 초당(草堂), 본관은 양천(陽川)이.

새로운!!: 이감와 허엽 · 더보기 »

심전

심전(沈銓, 1496년∼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이감와 심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