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이규경

색인 이규경

이규경(李圭景, 1788년 ~ 185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

목차

  1. 23 처지: 무왕 (백제), 미역, 민화, 고추, 고추장, 비차, 김석문, 대원군 (드라마), 국화차, 이낙훈,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조선무속고, 진이왕, 지구전후도, 유밀과, 숭례문, 영산회상 (음악), 오주연문장전산고, 최주, 최한기, 한국 철학, 한국음악, 실학.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보다 이규경와 무왕 (백제)

미역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이.

보다 이규경와 미역

민화

민화(民畵)는 과거에 실용(생활공간의 장식이나 민속적인 관습에 따름)을 목적으로 무명인에 의하여 그려졌던 대중적인 실용화를 말. 참고 민화장이란 용어는 민화를 잘 그리는 사람을 말.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1889년∼1961년)로, 그는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

보다 이규경와 민화

고추

()는 가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나무이.

보다 이규경와 고추

고추장

시판되는 고추장 고추장(-醬)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찹쌀과 메주등을 섞어 만드는 한국의 전통음식이.

보다 이규경와 고추장

비차

비차(飛車) 또는 비거(飛車)는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 당시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지는 무동력 비행기이.

보다 이규경와 비차

김석문

석문(金錫文, 1658년(효종 9년) ~ 1735년(영조 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이.

보다 이규경와 김석문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보다 이규경와 대원군 (드라마)

국화차

국화차(菊花茶)는 의 꽃을 우려 만든 전통차이.

보다 이규경와 국화차

이낙훈

이낙훈(李樂薰, 1936년 3월 27일, 서울특별시 ~ 1998년 10월 7일)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탤런트, 국회의원이.

보다 이규경와 이낙훈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이 문서는 조선 후기, 특히 19세기 전반의 개혁 사상에 대해 설명한 글이.

보다 이규경와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조선무속고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는, 한국의 민속학자 이능화(李能和)가 저술한 한국의 무속에 관한 연구서(겸 자료모음집)이.

보다 이규경와 조선무속고

진이왕

이왕(辰爾王: ? ~ ?)은 7세기 초의 백제의 왕족으로, 무왕을 법왕의 친생자로 보지 않는 견해에서 무왕의 생부로 거론되는 인물 중 하나이.

보다 이규경와 진이왕

지구전후도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혹은 〈지구도〉(地球圖)는 1834년(순조 34년)에 실학자인 혜강 최한기가 제작한 지도로서 그의 절친한 친구인 고산자 김정호는 판각을 담당하였.

보다 이규경와 지구전후도

유밀과

뭇잎 모양으로 만든 약과 유밀과는 밀가루 반죽을 빚어 말린 뒤 기름에 튀겨 만든 한과이.

보다 이규경와 유밀과

숭례문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

보다 이규경와 숭례문

영산회상 (음악)

〈영산회상〉(靈山會相)은 주로 조선 후기에 연주하는 10여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

보다 이규경와 영산회상 (음악)

오주연문장전산고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는 조선 후기 헌종 때, 이규경이 우리나라ㆍ중국(中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 고금(古今)의 사물에 대하여 고증하고 해설한 책이.

보다 이규경와 오주연문장전산고

최주

주(崔炷·1934∼2001)는 대한민국의 금속공학자이며 대학교수이.

보다 이규경와 최주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보다 이규경와 최한기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보다 이규경와 한국 철학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보다 이규경와 한국음악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보다 이규경와 실학

또한 오주 이규경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