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규경

색인 이규경

이규경(李圭景, 1788년 ~ 1856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

23 처지: 무왕 (백제), 미역, 민화, 고추, 고추장, 비차, 김석문, 대원군 (드라마), 국화차, 이낙훈,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조선무속고, 진이왕, 지구전후도, 유밀과, 숭례문, 영산회상 (음악), 오주연문장전산고, 최주, 최한기, 한국 철학, 한국음악, 실학.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새로운!!: 이규경와 무왕 (백제) · 더보기 »

미역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이.

새로운!!: 이규경와 미역 · 더보기 »

민화

민화(民畵)는 과거에 실용(생활공간의 장식이나 민속적인 관습에 따름)을 목적으로 무명인에 의하여 그려졌던 대중적인 실용화를 말. 참고 민화장이란 용어는 민화를 잘 그리는 사람을 말.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1889년∼1961년)로, 그는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

새로운!!: 이규경와 민화 · 더보기 »

고추

()는 가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나무이.

새로운!!: 이규경와 고추 · 더보기 »

고추장

시판되는 고추장 고추장(-醬)은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찹쌀과 메주등을 섞어 만드는 한국의 전통음식이.

새로운!!: 이규경와 고추장 · 더보기 »

비차

비차(飛車) 또는 비거(飛車)는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 당시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지는 무동력 비행기이.

새로운!!: 이규경와 비차 · 더보기 »

김석문

석문(金錫文, 1658년(효종 9년) ~ 1735년(영조 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이규경와 김석문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이규경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국화차

국화차(菊花茶)는 의 꽃을 우려 만든 전통차이.

새로운!!: 이규경와 국화차 · 더보기 »

이낙훈

이낙훈(李樂薰, 1936년 3월 27일, 서울특별시 ~ 1998년 10월 7일)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탤런트, 국회의원이.

새로운!!: 이규경와 이낙훈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이 문서는 조선 후기, 특히 19세기 전반의 개혁 사상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이규경와 조선 후기의 개혁 사상 · 더보기 »

조선무속고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는, 한국의 민속학자 이능화(李能和)가 저술한 한국의 무속에 관한 연구서(겸 자료모음집)이.

새로운!!: 이규경와 조선무속고 · 더보기 »

진이왕

이왕(辰爾王: ? ~ ?)은 7세기 초의 백제의 왕족으로, 무왕을 법왕의 친생자로 보지 않는 견해에서 무왕의 생부로 거론되는 인물 중 하나이.

새로운!!: 이규경와 진이왕 · 더보기 »

지구전후도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혹은 〈지구도〉(地球圖)는 1834년(순조 34년)에 실학자인 혜강 최한기가 제작한 지도로서 그의 절친한 친구인 고산자 김정호는 판각을 담당하였.

새로운!!: 이규경와 지구전후도 · 더보기 »

유밀과

뭇잎 모양으로 만든 약과 유밀과는 밀가루 반죽을 빚어 말린 뒤 기름에 튀겨 만든 한과이.

새로운!!: 이규경와 유밀과 · 더보기 »

숭례문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

새로운!!: 이규경와 숭례문 · 더보기 »

영산회상 (음악)

〈영산회상〉(靈山會相)은 주로 조선 후기에 연주하는 10여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

새로운!!: 이규경와 영산회상 (음악) · 더보기 »

오주연문장전산고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는 조선 후기 헌종 때, 이규경이 우리나라ㆍ중국(中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 고금(古今)의 사물에 대하여 고증하고 해설한 책이.

새로운!!: 이규경와 오주연문장전산고 · 더보기 »

최주

주(崔炷·1934∼2001)는 대한민국의 금속공학자이며 대학교수이.

새로운!!: 이규경와 최주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이규경와 최한기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이규경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이규경와 한국음악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이규경와 실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오주 이규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