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극돈

색인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35 처지: 류자광, 무오사화, 변희봉, 광주 이씨, 광원군, 권람, 귀인 권씨 (덕종), 김굉필, 김일손, 김종직, 남포 (1489년), 이덕형 (1561년), 이극감, 이극배, 이극균, 이이첨, 이정립, 이조, 이준경, 이세좌, 이원정 (1622년), 익평공, 정분, 조선 연산군, 조선의 공신, 윤필상, 파한집, 사봉, 설중매, 성종실록, 한성부판윤, 신수근, 심정 (1471년), 훈구파, 왕과 비.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이극돈와 류자광 · 더보기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이극돈와 무오사화 · 더보기 »

변희봉

변희봉(1942년 6월 8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 출신 배우이.

새로운!!: 이극돈와 변희봉 · 더보기 »

광주 이씨

광주 이씨(廣州 李氏)는 경기도 광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극돈와 광주 이씨 · 더보기 »

광원군

광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극돈와 광원군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권람 · 더보기 »

귀인 권씨 (덕종)

인 권씨(貴人 權氏, ? ~ 1494년 음력 4월 26일)는 조선의 추존왕 덕종(의경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이극돈와 귀인 권씨 (덕종)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이극돈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김종직 · 더보기 »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남포 (1489년) · 더보기 »

이덕형 (1561년)

이덕형(李德馨, 1561년 ~ 161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정치인으로 동인(東人)과 남인(南人)의 일원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덕형 (1561년) · 더보기 »

이극감

이극감(李克堪, 1427년 ~ 1465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극감 · 더보기 »

이극배

이극배(李克培, 1422년 ~ 1495년 10월)는 조선 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며 시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극배 · 더보기 »

이극균

이극균(李克均,1437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극균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정립

이정립(李廷立, 1556 ~ 1595)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정립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조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세좌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세좌 · 더보기 »

이원정 (1622년)

이원정(李元禎, 1622년 - 1680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작가, 서예가, 시인이.

새로운!!: 이극돈와 이원정 (1622년) · 더보기 »

익평공

익평공(翼平公)은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이극돈와 익평공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정분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이극돈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이극돈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이극돈와 윤필상 · 더보기 »

파한집

《파한집》(破閑集)은, 고려 명종 때의 문인 이인로(李仁老)의 설화문학집(說話文學集)이.

새로운!!: 이극돈와 파한집 · 더보기 »

사봉

사봉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이극돈와 사봉 · 더보기 »

설중매

《설중매》(雪中梅)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1984년 1월 9일부터 1985년 2월 26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이극돈와 설중매 · 더보기 »

성종실록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또는 《성종실록》(成宗實錄)은 1469년 음력 11월부터 149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성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이극돈와 성종실록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이극돈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이극돈와 신수근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이극돈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이극돈와 훈구파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이극돈와 왕과 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광원군 이극돈, 익평공 이극돈, 사봉 이극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