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능화

색인 이능화

이능화(李能和, 조선 고종(高宗) 6년(1869년 ~ 1943년 4월 12일)는 한국의 역사학자·민속학자이다.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상현(尙玄)·무능거사(無能居士)이다.

20 처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교육/학술, 고종실록, 관립한성외국어학교, 기생, 김기수 (국악인), 김구하,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문화, 녹파잡기, 조선무속고, 조선사 편수회,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친일파 708인 명단 - 사회, 문화, 예술계, 윤치호, 오주연문장전산고, 소격서, 한글,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식민사관, 원화 (신라).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교육/학술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 교육/학술은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교육/학술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이능화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교육/학술 · 더보기 »

고종실록

《고종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실록》(高宗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實錄), 간단히 《고종실록》(高宗實錄)은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실록이.

새로운!!: 이능화와 고종실록 · 더보기 »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는 개화기인 대한제국 시기에 관립으로 설립된 외국어 학교이.

새로운!!: 이능화와 관립한성외국어학교 · 더보기 »

기생

전모를 쓴 기생 그림 기생 기생(妓生) 혹은 기녀(妓女)는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이.

새로운!!: 이능화와 기생 · 더보기 »

김기수 (국악인)

수(金琪洙, 일본식 이름:光山哲三, 1917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1일)는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의 대금 연주자이자 신국악 작곡의 선두자이.

새로운!!: 이능화와 김기수 (국악인) · 더보기 »

김구하

(金九河, 1872년 양력 5월 7일 ~ 1965년 양력 10월 3일)는 한국의 승려이.

새로운!!: 이능화와 김구하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문화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문화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문화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이능화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문화 · 더보기 »

녹파잡기

《녹파잡기》(綠波雜記)는, 조선(朝鮮) 후기의 문인 한재락이 지은 평양 기생들에 대한 기록이.

새로운!!: 이능화와 녹파잡기 · 더보기 »

조선무속고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는, 한국의 민속학자 이능화(李能和)가 저술한 한국의 무속에 관한 연구서(겸 자료모음집)이.

새로운!!: 이능화와 조선무속고 · 더보기 »

조선사 편수회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조선사의 편찬을 목적으로 설립된 조선총독부의 총독 직할 기관이.

새로운!!: 이능화와 조선사 편수회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705人名單)은 2009년 11월 2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이명박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705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이능화와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사회, 문화, 예술계

일파 708인 명단 - 사회, 문화, 예술계는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집중 심의 대상자로 여성, 문화-예술, 언론, 종교계 관련자 16명의 명단이.

새로운!!: 이능화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사회, 문화, 예술계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이능화와 윤치호 · 더보기 »

오주연문장전산고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는 조선 후기 헌종 때, 이규경이 우리나라ㆍ중국(中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 고금(古今)의 사물에 대하여 고증하고 해설한 책이.

새로운!!: 이능화와 오주연문장전산고 · 더보기 »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이능화와 소격서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이능화와 한글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이능화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이능화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이능화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원화 (신라)

원화(源花)는 일반적으로 화랑의 전신으로 알려져 있. 삼국 간 항쟁이 커지면서 진흥왕 37년(576년)에 청조년 단체를 개편해 원화를 만들었.

새로운!!: 이능화와 원화 (신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