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이색

색인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목차

  1. 158 처지: 덕안대군, 동학사, 류방선, 류성룡, 무진피화, 문익점, 미륵원지, 방순, 백문보, 백이정, 백악산 (고려), 개국 (드라마), 박돈지, 박은 (1370년), 박지일 (배우), 박상충, 가정목은선생문집판,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고려 창왕, 고려의 문화, 고려의 공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변계량, 변중량, 변안렬, 권람, 권근, 권우 (1363년),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부벽루, 기산면 (서천군), 기황후, 길재, 김 (성씨), 김굉필, 김장생, 김일손, 김전, 김종직, 김종수 (배우), 김진양, 김충한,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대풍수, 교하 노씨, 두문동칠십이인, 두품, 둔촌잡영,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8 더) »

덕안대군

덕안대군(德安大君, 생몰년 미상)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로, 성은 이(李), 이름은 방연(芳衍)이.

보다 이색와 덕안대군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보다 이색와 동학사

류방선

방선(柳方善, 1388년 ~ 1443년)은 조선의 학자이.

보다 이색와 류방선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보다 이색와 류성룡

무진피화

무진피화(戊辰被禍)는 1388년(우왕 14) 무진년 정월 우왕의 명을 받은 최영, 이성계 등이 임견미, 염흥방 등을 숙청한 사건이.

보다 이색와 무진피화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보다 이색와 문익점

미륵원지

미륵원지(彌勒院址)는 대전광역시 동구 마산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생활유적이.

보다 이색와 미륵원지

방순

방순(方恂 또는 方旬)은 고려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이색와 방순

백문보

백문보(白文寶, 1303년 ~ 1374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백문보

백이정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이색와 백이정

백악산 (고려)

백악산(白岳山)은 고려 시대 왕의 행궁(行宮)이 있던 곳이.

보다 이색와 백악산 (고려)

개국 (드라마)

국은 1983년 1월 2일에서 1983년 12월 18일까지 방송한 KBS1 대하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개국 (드라마)

박돈지

박돈지(朴惇之, 1342년 1월 6일 ~ 1422년 9월 2일『박돈지 묘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박계양(趙啓陽), 자는 계신(季信)이.

보다 이색와 박돈지

박은 (1370년)

박은(朴訔, 1370년 ~ 1422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박은 (1370년)

박지일 (배우)

박지일(朴智一 1960년 9월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이색와 박지일 (배우)

박상충

박상충(朴尙衷, 1332년 ~ 1375년)은 고려(高麗)의 문신(文臣)이자 학자(學者)이.

보다 이색와 박상충

가정목은선생문집판

정목은선생문집판(稼亭牧隱先生文集板)은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문헌서원 장판각에 보존되어 있는 목판이.

보다 이색와 가정목은선생문집판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보다 이색와 고려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보다 이색와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보다 이색와 고려 우왕

고려 창왕

창왕(昌王, 1380년 9월 6일 (음력 8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3대 국왕(재위: 1388년 ~ 1389년)이다.

보다 이색와 고려 창왕

고려의 문화

의 문화는 신라 말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전기에 꽃피운 호족 문화, 무신 정권기의 은거한 선비들의 시가 문화, 후기의 성리학적 문화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문화로 구성되어 있. 한편 고려 전반에 걸쳐 귀족 문화의 성격을 띠었.

보다 이색와 고려의 문화

고려의 공신

의 공신은 고려에 대한 공으로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관직이.

보다 이색와 고려의 공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태고사 법당 바로 옆에 위치한 원증국사의 탑비이.

보다 이색와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변계량

변계량(卞季良, 1369년~143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이.

보다 이색와 변계량

변중량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변중량

변안렬

변안렬(邉安烈, 1334년 4월 ~ 1390년 2월 1일(음력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인(詩人)이.

보다 이색와 변안렬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보다 이색와 권람

권근

(權近, 1352년~140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신이.

보다 이색와 권근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보다 이색와 권우 (1363년)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불조삼경(佛祖三經)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보다 이색와 불조삼경 (보물 제1224-2호)

부벽루

부벽루(浮碧樓)는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 모란봉 동쪽 깎아지른 청류벽 위에 서 있는 정자이.

보다 이색와 부벽루

기산면 (서천군)

산면(麒山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의 면이.

보다 이색와 기산면 (서천군)

기황후

황후(奇皇后, 1315년 ~ 1369년)는 원나라 혜종의 세 번째 제1카툰이.

보다 이색와 기황후

길재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

보다 이색와 길재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보다 이색와 김 (성씨)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보다 이색와 김굉필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보다 이색와 김장생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보다 이색와 김일손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보다 이색와 김전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보다 이색와 김종직

김종수 (배우)

종수(1964년 11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이색와 김종수 (배우)

김진양

양(金震陽)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김진양

김충한

충한(金沖漢)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김충한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책이.

보다 이색와 대혜보각선사서 (보물)

대풍수

《대풍수》(大風水)는 2012년 10월 10일부터 2013년 2월 7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대기획 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대풍수

교하 노씨

씨(交河 盧氏)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색와 교하 노씨

두문동칠십이인

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 또는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은 고려 멸망 직후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절개를 지켰다고 전하는 72인의 유신(遺臣)들을 가리.

보다 이색와 두문동칠십이인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보다 이색와 두품

둔촌잡영

《둔촌잡영》(遁村雜詠)은 조선 태종 10년(1410년)에 고려말 학자 둔촌 이집의 문집을 목판본 2권 1책으로 간행한 것이.

보다 이색와 둔촌잡영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보다 이색와 남곤

남재

재(南在, 1351년 ~ 1419년)는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지, 호는 귀정, 본관은 의령이.

보다 이색와 남재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보다 이색와 남은

나주 김씨

주 김씨(羅州 金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색와 나주 김씨

노숭

숭(盧嵩, 1337년 ~ 141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노숭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용의 눈물

장하

장하(張夏, 생몰년 미상)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었.

보다 이색와 장하

이만유 장군 유물

이만유 장군 유물(李萬宥 將軍 遺物)은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에 있는 유물이.

보다 이색와 이만유 장군 유물

이명직 (목사)

이명직(李明稙, 일본식 이름: 마키노 메이쇼쿠, 1890년 12월 2일 ~ 1973년)은 1890년 경성부 죽첨정 삼정목에서 아버지 이승원(李承源)과 어머니 박계원(朴啓源)사이에서 2남중 장남으로 출생한 한국의 성결교 목사이.

보다 이색와 이명직 (목사)

이명직 (문신)

이명직(李命稙, 1865년 1월 11일~1915년 9월 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이.

보다 이색와 이명직 (문신)

이개

이개(李塏, 1417년 ~ 1456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이자 관리이며,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하였.

보다 이색와 이개

이곡

이곡(李穀, 1298년 8월 25일(음력 7월 18일)~ 1351년 1월 28일(음력 1월 1일))은 고려 말기의 문인이자 관료로 이색의 아버지이.

보다 이색와 이곡

이계전

이계전(李季甸, 1404년 ~ 145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이계전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보다 이색와 이극돈

이금서

이금서(李金書)는 고려초 문신으로, 호는 남계(南溪), 본관은 경주(慶州)이.

보다 이색와 이금서

이달존

이달존(李達尊, 1313년 ~ 1340년 7월 24일(음력 6월 29일))은 고려시대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

보다 이색와 이달존

이자 (1480년)

이자(李耔, 1480년 ~ 1533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차야, 호는 음애와 몽옹, 계옹이며 시호는 문의, 본관은 한산이.

보다 이색와 이자 (1480년)

이재인 (조선)

이재인(李在仁,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이색와 이재인 (조선)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보다 이색와 이제현

이종학 (1361년)

이종학(李種學, 1361년 ~ 1392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이.

보다 이색와 이종학 (1361년)

이지번

이지번(李之蕃, 1508년 ∼ 1575년 12월 1일)는 조선 명종 때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한산, 자는 형백, 호는 성암(省菴)이.

보다 이색와 이지번

이윤영 (1714년)

이윤영(李胤永, 1714년 ∼ 17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시인·문인·서화가이.

보다 이색와 이윤영 (1714년)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보다 이색와 이상재

이상정 (1710년)

이상정(李象靖, 1710년~1781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 지향형 문신이.

보다 이색와 이상정 (1710년)

이태영 (1744년)

이태영(李泰永, 1744년 10월 9일 ~ 1803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교관이.

보다 이색와 이태영 (1744년)

이색 초상

이색초상(李穡肖像)은 고려말 삼은 가운데 1인이었던 목은 이색의 초상화이.

보다 이색와 이색 초상

이색 신도비

이색 신도비(李穡 神道碑)는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보다 이색와 이색 신도비

이색초상-목은영당본

이색초상-목은영당본(李穡肖像-牧隱影堂本)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 목은 이색(1328∼1396) 선생의 초상화이.

보다 이색와 이색초상-목은영당본

이색초상-영모영당본

이색초상-영모영당본(李穡肖像-永慕影堂本)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목은 이색(1328∼1396) 선생의 초상화이.

보다 이색와 이색초상-영모영당본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보다 이색와 이언적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보다 이색와 이산해

이석지

이석지(李釋之, ? ~ ?)는 본관은 영천으로 두문동 72현으로써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킨 인물이.

보다 이색와 이석지

이암 (고려)

이암(李嵒, 1297년 ~ 1364년)은 고려 말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이암 (고려)

이심원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이색와 이심원

인천안목

《인천안목》(人天眼目)은 남송 때 선종의 청안조사 지소가 선문오가의 각종 조사들의 유고, 잔게, 칭제, 수시 등과 5종의 강요를 수집하고 그 특징을 밝힌 불분권 3책이.

보다 이색와 인천안목

전무송

전무송(全茂松, 1941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이색와 전무송

전인택

전인택(전인)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이색와 전인택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보다 이색와 전성군 (1545년)

정도복 (고려)

정도복(鄭道復)은 고려시대 말기, 조선초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정도복 (고려)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보다 이색와 정도전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정도전 (드라마)

정릉 (조선 환조)

정릉(定陵)은 조선의 추존왕 환조의 능이.

보다 이색와 정릉 (조선 환조)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보다 이색와 정몽주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이색와 정보 (조선)

정이오

정이오(鄭以吾, 1347년 ~ 1434년)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보다 이색와 정이오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보다 이색와 정인지

정순공주

정순공주(貞順公主, 1385년 ~ 1460년 음력 8월 25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종(太祖)과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

보다 이색와 정순공주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보다 이색와 정여창 (1450년)

정신부주

정신부주 왕씨(貞信府主 王氏, ? ~ 1319년 음력 4월 14일《고려사》권34〈세가〉권34 - 충숙왕 6년 4월 - 정신부주 왕씨가 죽다) 또는 정화궁주(貞和宮主), 정화원비(貞和院妃)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왕비이.

보다 이색와 정신부주

조민수

조민수(曺敏修, ? ~ 1391년 1월 27일(음력 1390년 12월 22일))는 고려 말의 무신, 군인, 정치가로, 본관은 창녕(昌寧)이.

보다 이색와 조민수

조박

조박(趙璞, 1356년 ~ 140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조박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보다 이색와 조광조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朝鮮前期-文學)은 조선시대 초기의 아악의 정비와 훈민정음 창제의 영향으로 악장, 시조, 가사 문학이 발달하였.

보다 이색와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보다 이색와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보다 이색와 조선 태종

직지 (드라마)

《직지》는 2005년 12월 3일에 MBC 창사 44주년 HD 특집 드라마로 방영한 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직지 (드라마)

직지심체요절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은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1372년에 초록한 불교 서적이.

보다 이색와 직지심체요절

진극원

극원(陳克元, 1534년 음력 6월 10일 ~ 1595년 음력 8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 학자이.

보다 이색와 진극원

진양 오방산 조선조 팔각형 고분군

양 오방산 조선조 팔각형 고분군(晋陽 梧芳山 朝鮮朝 八角形 古墳群)은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오방에 있는 조선시대의 고분군이.

보다 이색와 진양 오방산 조선조 팔각형 고분군

청주 신항서원

청주 신항서원(淸州 莘巷書院)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서원이.

보다 이색와 청주 신항서원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83년 3월 31일부터 1983년 7월 1일까지 방영되었.

보다 이색와 추동궁 마마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SBS에서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3월 22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육룡이 나르샤

윤이·이초의 옥사

윤이 이초 사건 또는 윤이 이초의 옥사는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고려의 무신 윤이(尹彛)·이초(李初)가 명나라에 찾아가 주원장에게 이성계가 명나라를 치려 한다고 무고한 사건이.

보다 이색와 윤이·이초의 옥사

윤소종

윤소종(尹紹宗, 1345년 ~ 1393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보다 이색와 윤소종

패엽사

엽사(貝葉寺)는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사찰이.

보다 이색와 패엽사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보다 이색와 위화도 회군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는 고려 우왕 12년(1386년)에 진각국사 천희(千熙, 1307년~1382년)를 추모하기 위하여 수원 광교산 창성사 경내에 건립한 탑비.

보다 이색와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영덕군

영덕군(盈德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군이.

보다 이색와 영덕군

영명사 (평양)

일제시대때 찍은 영명사. 영명사는 유서깊은 사찰이었다. 영명사(永明寺)는 평양 금수산에 있던 불교 사찰이.

보다 이색와 영명사 (평양)

영원 오씨

녕원 오씨(寧遠 吳氏)는 평안남도 녕원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색와 영원 오씨

오사충

오사충(吳思忠, 1327년~1406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보다 이색와 오사충

오성열

오성열(1965 년 1월 17일 ~ 2011년 10월 1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이색와 오성열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玉川府院君 趙元吉 墓 및 墓表)는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에 있는, 고려 말의 문신 조원길(趙元吉)의 묘와 묘표이.

보다 이색와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보다 이색와 최영

양만춘

양만춘(梁萬春/楊萬春, ? ~ ?)은 고구려 말의 군인이.

보다 이색와 양만춘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는 고려시대의 석비이.

보다 이색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는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 사찰에 있는 고려시대의 비석이.

보다 이색와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염제신

염제신(廉悌臣, 1304년 10월 30일 ~ 1382년 3월 18일)은 고려 후기 문신이.

보다 이색와 염제신

허백당집

《허백당집》(虛白堂集)은 성현의 문집이.

보다 이색와 허백당집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보다 이색와 사림파

산대잡극

산대잡극(山臺雜劇)은 고려 말기에 비롯된 잡기(雜技)의.

보다 이색와 산대잡극

삼은

여말삼은(麗末三隱) 또는 고려삼은(高麗三隱)은 고려의 세 충신을 말하며, 흔히 삼은이라 부른.

보다 이색와 삼은

석교동 (대전)

석교동(石橋洞)은 대전광역시 중구에 속한 행정동 및 법정동이.

보다 이색와 석교동 (대전)

설장수

설장수(偰長壽, 1341년∼1399년 11월 5일(음력 10월 19일))은, 여말선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설장수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보다 이색와 성리학

성주 이씨

성주 이씨(星州 李氏)는 경상북도 성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색와 성주 이씨

성호사설

《성호사설》(星湖僿說)은 실학자인 성호 이익(李瀷)의 문답집을 엮은 저술이.

보다 이색와 성호사설

성사달

성사달(成士達, ? ~ 1380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성원달(成元達), 자는 겸선(兼善), 호는 역암(易菴)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보다 이색와 성사달

성석린

성석린(成石璘, 1338년~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서예가이.

보다 이색와 성석린

성석용

성석용(成石瑢, 1352년 ~ 1403년 4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성석용

서천 문헌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고려 말의 학자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을 배향하기 위해 만든 조선시대의 서원이.

보다 이색와 서천 문헌서원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보다 이색와 송시열

한강 (고려)

강(韓康, 1228년 ~ 1303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한경(韓璟)이.

보다 이색와 한강 (고려)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보다 이색와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줄타기

민국 전주시에서 벌어진 줄타기 무대 모습 줄타기는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이.

보다 이색와 한국의 줄타기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보다 이색와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보다 이색와 한국의 연극

한산 이씨

산 이씨(韓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색와 한산 이씨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하륜

하윤원

윤원(河允源, 1322년 ~ 1376년)은 고려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양(晉陽).

보다 이색와 하윤원

하연 (1376년)

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보다 이색와 하연 (1376년)

신덕린

신덕린(申德隣, 1330년 ~ 1402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서예가·화가이.

보다 이색와 신덕린

신돈

신돈(辛旽, 1322년 ~ 1371년 8월 21일 (음력 1371년 7월 11일))은 고려 말의 승려 출신 정치가이.

보다 이색와 신돈

신돈 (드라마)

《신돈》(辛旽)은 문화방송에서 2005년 9월 24일부터 2006년 5월 7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신돈 (드라마)

신륵사

신륵사(神勒寺)는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 때 창건되었다고 여.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신륵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반적으로 한국의 절은 산 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반하여 신륵사는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

보다 이색와 신륵사

신의 (드라마)

《신의》는 2012년 8월 13일부터 2012년 10월 30일까지 방송된 SBS의 24부작 월화드라마이.

보다 이색와 신의 (드라마)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보다 이색와 신숙주

TV 문화속으로

TV 문화속으로는 매주 토요일 아침 10시 30분에 부산 KBS 1TV 및 울산 KBS 1TV로 각각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보다 이색와 TV 문화속으로

또한 목은 이색, 이 색, 한산백 이색로 알려져 있다.

, 남곤, 남재, 남은, 나주 김씨, 노숭, 용의 눈물, 장하, 이만유 장군 유물, 이명직 (목사), 이명직 (문신), 이개, 이곡, 이계전, 이극돈, 이금서, 이달존, 이자 (1480년), 이재인 (조선), 이제현, 이종학 (1361년), 이지번, 이윤영 (1714년), 이상재, 이상정 (1710년), 이태영 (1744년), 이색 초상, 이색 신도비, 이색초상-목은영당본, 이색초상-영모영당본, 이언적, 이산해, 이석지, 이암 (고려), 이심원, 인천안목, 전무송, 전인택, 전성군 (1545년), 정도복 (고려), 정도전, 정도전 (드라마), 정릉 (조선 환조), 정몽주, 정보 (조선), 정이오, 정인지, 정순공주, 정여창 (1450년), 정신부주, 조민수, 조박, 조광조,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직지 (드라마), 직지심체요절, 진극원, 진양 오방산 조선조 팔각형 고분군, 청주 신항서원, 추동궁 마마, 육룡이 나르샤, 윤이·이초의 옥사, 윤소종, 패엽사, 위화도 회군,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영덕군, 영명사 (평양), 영원 오씨, 오사충, 오성열,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최영, 양만춘,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염제신, 허백당집, 사림파, 산대잡극, 삼은, 석교동 (대전), 설장수, 성리학, 성주 이씨, 성호사설, 성사달, 성석린, 성석용, 서천 문헌서원, 송시열, 한강 (고려),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줄타기,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연극, 한산 이씨, 하륜, 하윤원, 하연 (1376년), 신덕린, 신돈, 신돈 (드라마), 신륵사, 신의 (드라마), 신숙주, TV 문화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