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숙번

색인 이숙번

이숙번(李叔蕃, 1373년 ~ 1440년)은 고려 말기의 생원이고 조선 초기의 문관, 무관, 정치가이며 조선 태종 이방원의 측근이었.

29 처지: 돈의문, 부원군, 김희라, 김을화, 김주영 (1952년), 대왕 세종, 용의 눈물, 이숙번 묘,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정도전 (드라마), 정몽주, 정사공신 (1398년), 조대림, 조순창, 조영무, 조선 태종, 조선 세종, 조선의 공신, 추동궁 마마, 유창 (여말선초), 육룡이 나르샤, 윤자당, 사직동 (서울), 선동혁, 한국의 반란 목록, 안성 이씨, 홍산 (동음이의), 황희.

돈의문

의문 돈의문(敦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서쪽의 대문이.

새로운!!: 이숙번와 돈의문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이숙번와 부원군 · 더보기 »

김희라

희라(金熙羅, 개명(改名) 前 이름은 김영목(金永穆), 1947년 3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

새로운!!: 이숙번와 김희라 · 더보기 »

김을화

을화(金乙和)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

새로운!!: 이숙번와 김을화 · 더보기 »

김주영 (1952년)

주영(金周映, 1952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숙번와 김주영 (1952년)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숙번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숙번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이숙번 묘

이숙번 묘는 경기도 시흥시 산현동에 있. 2006년 12월 5일 시흥시의 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이숙번와 이숙번 묘 · 더보기 »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 왕위 계승권을 에워싸고 일어난 왕자간의 싸움으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반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방원의 난으로도 불리며, 그밖에 방석의 난, 혹은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戊寅靖社)라고도 불린.

새로운!!: 이숙번와 제1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은 1400년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이방간이 세자 자리를 두고 싸운 것으로 제1차 왕자의 난과 구별하기 위해 제2차 왕자의 난 또는 제2왕자의 난, 방간의 난, 박포의 난 등으로 불린.

새로운!!: 이숙번와 제2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숙번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이숙번와 정몽주 · 더보기 »

정사공신 (1398년)

정사공신(定社功臣)은 1398년에 제1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이.

새로운!!: 이숙번와 정사공신 (1398년) · 더보기 »

조대림

조대림(趙大臨, 1387년 ~ 1430년)은 조선 초기의 부마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대림 · 더보기 »

조순창

조순창(1980년 11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순창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이숙번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83년 3월 31일부터 1983년 7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이숙번와 추동궁 마마 · 더보기 »

유창 (여말선초)

유창(劉敞, ? ~ 142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초명은 유경(劉敬), 본관은 강릉(江陵)이.

새로운!!: 이숙번와 유창 (여말선초) · 더보기 »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SBS에서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3월 22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숙번와 육룡이 나르샤 · 더보기 »

윤자당

윤자당(尹子當, ? ~ 1422년 7월)은 고려 말기의 선비이고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칠원(漆原)이.

새로운!!: 이숙번와 윤자당 · 더보기 »

사직동 (서울)

사직동(社稷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새로운!!: 이숙번와 사직동 (서울) · 더보기 »

선동혁

선동혁(宣東爀, 본명(本名)은 선문몽, 1955년 10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숙번와 선동혁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이숙번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안성 이씨

안성 이씨(安城 李氏)는 경기도 안성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숙번와 안성 이씨 · 더보기 »

홍산 (동음이의)

홍산이라는 언사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이숙번와 홍산 (동음이의)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이숙번와 황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운정 이숙번, 홍산 이숙번.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