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이응준 (군인)

색인 이응준 (군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목차

  1. 41 처지: 미아리 전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군, 고랑포 전투, 고정훈 (정치인), 곽의영, 김명순 (1896년), 김석원,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통치 기구, 대한민국 체신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차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국내경비부, 남조선국방경비대, 장도영, 이갑 (1877년), 이응준, 이응준 (군인), 이종찬 (1916년), 이현 (1950년), 이형근,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창동 전투, 채병덕,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유관희 (1891년), 유승렬 (1893년), 육군사관학교 (일본), 상산 이씨, 염창섭 (1890년), 성우회, 송호성, 하동 전투, 신태영 (1891년), 시흥-안양-수원 전투, 원용덕, 홍사익.

미아리 전투

미아리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북한군의 기습적인 전면 남침으로 38도 분계선에 연한 전 전선이 무너지자, 육군본부는 38도 분계선으로부터 45km에 불과한 수도 서울에 대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자 이응준(李應俊) 소장이 이끄는 국군 제5사단과 유재흥(劉載興) 준장이 이끄는 제7사단이 미아리고개에서 치른 최후의 서울 방어 전투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미아리 전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군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 군은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군

고랑포 전투

랑포 전투(高浪浦戰鬪)는 한국 전쟁 초기 고랑포-청단 간의 사부 38도 분계선 지역에서 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사단장 대령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이 1950년 6월 25일 미명에 사단장 소장 최광이 이끄는 북한군 제1사단과 사단장 소장 방호산이 이끄는 제6사단으로부터 개성과 고랑포 지역에서 동시에 기습공격을 받아 치른 전투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고랑포 전투

고정훈 (정치인)

정훈(高貞勳, 1920년 4월 22일 ~ 1988년 11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언론인 겸 기업가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고정훈 (정치인)

곽의영

곽의영(郭義榮, 1911년 5월 28일 ~ 1992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 정치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곽의영

김명순 (1896년)

명순 (1930년대) 김명순(金明淳, 1896년 1월 20일 ~ 1951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시인이며, 언론인, 영화배우, 연극배우였.

보다 이응준 (군인)와 김명순 (1896년)

김석원

석원(金錫源, 일본식 이름: 金山錫源(가네야마 샤쿠겐), 1893년 9월 29일 ~ 1978년 8월 6일)은 일본군 장교를 지낸 대한민국 국군의 육군 군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김석원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통치 기구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통치 기구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통치 기구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통치 기구

대한민국 체신부

신부(遞信部)는 우편, 우편 환금, 우편 저금, 전기 통신, 국민 생명 보험, 우편 연금, 우편물 출항세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 체신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科學技術情報通信部 長官)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국무위원으로 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차관

국방부 차관(國防部 次官)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정무직공무원으로 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의 국방부 차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차장(陸軍參謀次長)은 대한민국 육군을 대표하는 직위의 하나로 육군참모총장을 보좌.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육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본부 의장에 이어 의전 서열 2위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합동참모의장(合同參謀議長)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장으로 보. 대한민국 국군 현역 군인 중 의전 서열 1위 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

국내경비부

통위부 청사 앞에 선 조선 경비대. 국내경비부(國內警備部) 또는 통위부(統衛部)는 1946년 3월 미 군정청 산하에 설립된 남한의 군사 담당부서로 대한민국 국방부의 전신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국내경비부

남조선국방경비대

조선국방경비대(南朝鮮國防警備隊)는 대한민국 국군의 전신으로서 1946년 1월 15일에 미군정이 1개 연대 병력으로 창설하였.

보다 이응준 (군인)와 남조선국방경비대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장도영

이갑 (1877년)

이갑(李甲, 1877년 음력 5월 12일 ~ 1917년 양력 6월 13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의 육군 장교 및 항일 무관(抗日 武官)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항일 독립운동가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갑 (1877년)

이응준

이응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응준

이응준 (군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응준 (군인)

이종찬 (1916년)

이종찬(李鐘贊, 1916년 3월 10일 ~ 1983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일본군 장교 출신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종찬 (1916년)

이현 (1950년)

이현(李玄, 본명: 이헌,, 미국 거주 시절 영어 이름은 빈스 리(Vince Lee), 1950년 9월 7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기업가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현 (1950년)

이형근

이형근(李亨根,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이형근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제3보병사단(第三步兵師團, The 3rd Infantry Division)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역사가 오래된 보병 사단 중 하나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제3보병사단 (대한민국)

창동 전투

창동 전투는 한국 전쟁 발발 초기에 북한군의 기습적인 전면 남침으로 38도 분계선에 연한 전 전선이 무너지자, 육군 본부가 38도선으로부터 45km에 불과한 수도 서울에 대한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에 이응준(李應俊) 소장이 이끄는 국군 제5사단과 유재흥(劉載興) 소장이 이끄는 제7사단이 당시 서울특별시 시계(市界)지역이었던 미아리, 창동 지역에서 치른 전투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창동 전투

채병덕

병덕(蔡秉德, 일본식 이름: 大島秉徳 오시마 헤이도쿠, 1916년 4월 17일 ~ 1950년 7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채병덕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95人名單)은 2007년 12월 6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중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95명에 관한 명단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유관희 (1891년)

유관희(柳寬熙, 1891년 6월 11일 ~ 1963년 1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교육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유관희 (1891년)

유승렬 (1893년)

유승렬(劉升烈, 1893년 3월 9일 ~ 1968년 5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유승렬 (1893년)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

보다 이응준 (군인)와 육군사관학교 (일본)

상산 이씨

상산 이씨(商山 李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상산 이씨

염창섭 (1890년)

염창섭(廉昌燮,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교육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염창섭 (1890년)

성우회

성우회(星友會)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역 장성들이 조직한 단체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성우회

송호성

송호성(1889년 ~ 1959년 3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송호성

하동 전투

동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진주 전투와 함께 채병덕이 이끄는 영남지구 편성관구 사령부가 미 제 24사단의 일부병력과 협동하여, 호남의 남안선을 거쳐 하동의 우회침공하는 북한군 제 6사단을 요격하여, 진주를 잃기까지의 7일간의 지연전을 일컫.

보다 이응준 (군인)와 하동 전투

신태영 (1891년)

신태영(申泰英, 일본식 이름: 平山輔英 히라야마 타스쿠에이, 1891년 2월 1일 ~ 1959년 4월 8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대한민국 육군 장성 및 정치인이며 본관은 평산이.

보다 이응준 (군인)와 신태영 (1891년)

시흥-안양-수원 전투

시흥-안양-수원 전투는 한국 전쟁 발발 초기 1950년 6월 28일에 한강 이북의 서울이 북한군에게 함락되자 한강 이남으로 철수한 국군이 한강을 대치선으로 두고 강북의 북한군과 대치하여 공방의 혈전을 벌인 혈전으로 7월 3일에 이 방어선이 무너지면서 7월 4일에 국군이 수원까지 내어놓.

보다 이응준 (군인)와 시흥-안양-수원 전투

원용덕

원용덕(元容德, 1908년 ~ 1968년 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겸 내과 의사 및 정치가로 제1공화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

보다 이응준 (군인)와 원용덕

홍사익

홍사익과 그 가족 홍사익(洪思翊, 1887년 2월 2일 ~ 1946년 9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일본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육군 중장을.

보다 이응준 (군인)와 홍사익

또한 가야마 다케토시, 추정 이응준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