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인

색인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86 처지: 동학 농민 운동, 류홍 (1899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배은희 (1888년), 백린, 백관수, 반민족행위처벌법, 박순천, 박헌영,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권동진, 권승렬, 김병로, 김구, 김두종 (의학자), 김용무, 김용관, 김창제, 김상덕 (1891년), 김약수, 대구광역시 출신 목록,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제국 고종, 대왕 세종, 우금치 전투, 장면,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대검찰청, 흥사단, 이갑성, 이경희 (1880년), 이근행 (당나라), 이규완, 이승우 (법조인), 이회창, ..., 이인, 이인 (동음이의), 이정영, 이윤영 (1890년), 이행검 (1225년), 이시영 (1882년), 제1공화국 (드라마), 조만식, 조병옥, 조광섭, 조선 효종, 조선어학회 사건, 윤보선, 윤재욱, 윤치영, 윤치호, 파랑새는 있다 (1997년 드라마), 오제도, 오세창, 오화영, 최흥종, 여운형, 허헌, 사회 운동,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 송진우 (1890년), 송필만, 소선규, 한규복 (1881년), 한국민주당, 한용운, 안재홍, 아름다운 시절 (영화),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6월 1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 더)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이인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류홍 (1899년)

홍(柳鴻, 1899년 ~ 1988년 12월 8일)은 대한민국의 제2·4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이인와 류홍 (1899년) · 더보기 »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약칭:민족정기의원모임)은 대한민국 국회 의원들 가운데 친일파 청산 및 독립 정신 선양,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 반대, 현대사의 재조명 등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2001년 조직한 단체이.

새로운!!: 이인와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 더보기 »

배은희 (1888년)

배은희(裵恩希, 1888년 1월 15일 ~ 1981년 9월)는 장로교 목회자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배은희 (1888년) · 더보기 »

백린

암흑 속에서 스스로 불타오르는 백린. 백린(白燐), 또는 황린(黃燐, yellow phosphorus), 사인(四燐, Tetraphosphorus, P4), 흰인은 인의 동소체로 연막, 예광탄, 조명탄, 특히 소이탄의 원료로 쓰인.

새로운!!: 이인와 백린 · 더보기 »

백관수

백관수(白寬洙, 1889년 1월 28일 고창 ~ 1951년 10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백관수 · 더보기 »

반민족행위처벌법

반민특위 활동 보도 기사 (1949년 1월 11일자 조선일보 보도) 반민족행위처벌법(反民族行爲處罰法)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협력하며 반민족적 행위로 민족에게 해를 끼친 자를 처벌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이.

새로운!!: 이인와 반민족행위처벌법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박순천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이인와 박헌영 · 더보기 »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독립장(獨立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이인와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권동진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맨 오른쪽 테이블에 선 이가 권동진) 권동진(權東鎭, 1861년 12월 15일 ~ 1947년 3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권동진 · 더보기 »

권승렬

승렬(權承烈, 1895년 5월 14일 ~ 1980년 9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행정관료이.

새로운!!: 이인와 권승렬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새로운!!: 이인와 김병로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김구 · 더보기 »

김두종 (의학자)

종(金斗鐘, 1896년 3월 2일 ~ 1988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내과(內科) 및 임상병리과 전문의(專門醫)이자 의학자(醫學者) 겸 의사학자(醫史學者)이며 의서지학자(醫書誌學者) 및 의학박사(醫學博士)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군의관 중령이.

새로운!!: 이인와 김두종 (의학자) · 더보기 »

김용무

용무(金用茂, 1891년 ~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김용무 · 더보기 »

김용관

용관(金容瓘, 1897년 3월 21일-1967년)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공학자, 민족운동.

새로운!!: 이인와 김용관 · 더보기 »

김창제

창제(金昶濟, 1880년 - 1957년)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YMCA 운동가, 기독교 교육자, 사회사업가, 문필가이.

새로운!!: 이인와 김창제 · 더보기 »

김상덕 (1891년)

상덕(金尙德, 1891년 ~ 1956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김상덕 (1891년) · 더보기 »

김약수

약수(金若水, 1890년 10월 21일 ~ 1964년 1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김약수 · 더보기 »

대구광역시 출신 목록

이 목록은 대구 출신인 사람을 본 문서에 정리한 것이.

새로운!!: 이인와 대구광역시 출신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는 1950년 5월 30일 실시되었.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3대 국회 의원 목록(임기: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3대 국회의원 선거일: 1954년 5월 20일.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임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제5대 국회는 4·19 혁명의 결과로 수립된 제2공화국에서 민의원과 참의원의 양원제가 실시되어 구성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국회는 해산되었고, 이어 제3공화국이 수립된 1963년에 제6대 국회가 새로 구성되었.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5대 국회의원 선거일: 1960년 7월 29일.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法務部 長官)은 법무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국무위원으로 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총장(檢察總長, Prosecutor General)은 검찰청을 대표하는 직위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국의 보수정당(大韓民國의 保守政黨)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보수주의적 반공주의세력이 만든 정당으로, 대체적으로 강경우파 및 반공주의, 국가주의, 민족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정당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역대 주요 정당들을 주로 다루고 있.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주당계 정당, 진보정당 등에서 확인할 수 있.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한국민당 (1948년)

국민당은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1948년 11월 13일 신익희, 윤치영 등에 의해 친이승만계 정당으로 창당되었.

새로운!!: 이인와 대한국민당 (1948년)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이인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인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우금치 전투

우금치 전투(牛禁峙戰鬪)는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어난 대전투로 이 전투에서 농민군이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농민군 해산과 진압의 원인이 되었.

새로운!!: 이인와 우금치 전투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장면 · 더보기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다스리던 기간이었.

새로운!!: 이인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더보기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대검찰청

미군정청 대검찰청 혹은 남조선과도정부 대검찰청은 1946년 8월 10일에 설치된 한국의 검찰기관으로, 미군정청 대법원 산하에 있던 대법원 검사국을 청으로 승격시킨 것이.

새로운!!: 이인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대검찰청 · 더보기 »

흥사단

흥사단 창립자 도산 안창호 흥사단(興士團)은 1913년 5월 13일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운동단체이.

새로운!!: 이인와 흥사단 · 더보기 »

이갑성

이갑성(李甲成, 일본식 이름: 이와모토 마사이치(岩本正一), 1889년 10월 23일 ~ 1981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이인와 이갑성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이인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근행 (당나라)

이근행(李謹行, ? ~ 682년)은 당나라의 장수로 고구려, 신라와의 전쟁 기록에 자주 등장하며 그 외의 북방 유목 민족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

새로운!!: 이인와 이근행 (당나라)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이인와 이규완 · 더보기 »

이승우 (법조인)

이승우(李升雨, 일본식 이름: 梧村升雨, 1889년 8월 ~ 1955년 8월 27일)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일제 강점기의 변호사이.

새로운!!: 이인와 이승우 (법조인) · 더보기 »

이회창

이회창(李會昌, 1935년 6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이회창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이인 · 더보기 »

이인 (동음이의)

이인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이인와 이인 (동음이의) · 더보기 »

이정영

이정영(李正英, 1616년 ~ 168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가, 조각가이.

새로운!!: 이인와 이정영 · 더보기 »

이윤영 (1890년)

이윤영(李允榮,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고, 대한민국의 목회자, 정치가이.

새로운!!: 이인와 이윤영 (1890년) · 더보기 »

이행검 (1225년)

이행검(李行儉, 1225년 ~ 1310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이인와 이행검 (1225년) · 더보기 »

이시영 (1882년)

이시영(李始榮, 1882년 1월 10일 ~ 1919년 7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인와 이시영 (1882년)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새로운!!: 이인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조만식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새로운!!: 이인와 조병옥 · 더보기 »

조광섭

조광섭(趙光燮, 1901년 ~ 1970년 6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이인와 조광섭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이인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어학회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朝鮮語學會事件)은 일본 제국이 1942년에 한글을 연구하는 학회인 조선어학회의 회원 및 관련인물들을 강제 연행, 재판에 회부한 사건이.

새로운!!: 이인와 조선어학회 사건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윤보선 · 더보기 »

윤재욱

윤재욱(尹在旭, 1910년 안성 ~ 1996년 6월 2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윤재욱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이인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이인와 윤치호 · 더보기 »

파랑새는 있다 (1997년 드라마)

《파랑새는 있다》는 1997년 4월 26일부터 1997년 11월 30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주말연속극이.

새로운!!: 이인와 파랑새는 있다 (1997년 드라마) · 더보기 »

오제도

오제도(吳制道, 1917년 11월 15일 ~ 2001년 7월 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오제도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이인와 오세창 · 더보기 »

오화영

오화영(吳華英, 1880년 4월 5일 ~ 1960년 9월 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오화영 · 더보기 »

최흥종

흥종(崔興琮, 1880년 5월 4일~1966년 5월 14일)은 기독교 목회자, 독립운동가, 교육가, 한센병환자 구호사업가이.

새로운!!: 이인와 최흥종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이인와 여운형 · 더보기 »

허헌

(許憲, 1885년 7월 22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가이.

새로운!!: 이인와 허헌 · 더보기 »

사회 운동

사회 운동(社會運動) 또는 시민 운동(市民運動)은 기존의 사회 구조와 제도를 변화·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중과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조직적이고 집합적이며 연속적인 다양한 행동을 의미.

새로운!!: 이인와 사회 운동 · 더보기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인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인와 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이인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송필만

송필만(宋必滿, 1890년 진천 ~ 1978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법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인와 송필만 · 더보기 »

소선규

소선규(蘇宣奎, 1903년 11월 30일 ~ 1968년 8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이.

새로운!!: 이인와 소선규 · 더보기 »

한규복 (1881년)

복 한규복(韓圭復, 일본식 이름: 井垣圭復, 1881년 7월 7일 ~ 1967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통역관, 화가, 서예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서예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이인와 한규복 (1881년)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이인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이인와 한용운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이인와 안재홍 · 더보기 »

아름다운 시절 (영화)

아름다운 시절은 1998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이인와 아름다운 시절 (영화) · 더보기 »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49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군정법령 제175호 규정에 의해 1월 13일, 3월 30일, 6월 10일, 7월 23일에 치러졌.

새로운!!: 이인와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더보기 »

6월 14일

6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5번째(윤년일 경우 1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인와 6월 1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애산, 애산 이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