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천 (1376년)

색인 이천 (1376년)

이천(李蕆, 1376년 ~ 1451년 11월 30일(음력 11월 8일))은 조선 세종 대에 활약한 무관(武官)이자 행정가, 과학자(科學者)이.

22 처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김도현 (배우), 대왕 세종, 장영실, 장영실 (드라마), 이 달의 문화 인물, 이천, 이순지, 일성정시의, 전현, 정초 (조선), 조선 세종, 파저강 전투, 오원균, 예안 이씨, 최윤덕, 사군,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앙부일구, 신호 (15세기), 1441년, 63156 이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은 대한민국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역사상 위대한 과학기술인을 헌액한 명예의 전당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 더보기 »

김도현 (배우)

현(1977년 12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김도현 (배우)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장영실 · 더보기 »

장영실 (드라마)

《장영실》은 KBS 1TV에서 2016년 1월 2일부터 2016년 3월 26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장영실 (드라마)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천

이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이천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이순지 · 더보기 »

일성정시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1437년 5월 19일(조선 세종 19년 음력 4월 15일)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세종이 이천, 정인지, 정초에게 명하여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고안하여 낮과 밤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게 하여 장영실 등이 만든 주야간 시계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일성정시의 · 더보기 »

전현

전현(全賢, 1967년 8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전현 · 더보기 »

정초 (조선)

정초(鄭招, ? ~ 143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정초 (조선)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파저강 전투

저강 전투(婆猪江戰鬪)는 조선 세종 시기 1433년 최윤덕 등 북방 장수들이 오랫동안 조선을 괴롭히던 여진족들을 정벌하기 위해 여진족들의 근거지 파저강 유역을 소탕한 전투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파저강 전투 · 더보기 »

오원균

오원균(吳元均, 1946년 12월 20일 ~ 2015년 10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대전 지방 중등교원과 서대전고등학교 교장을 거쳐 대전 우송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이후 대전실업전문대학 전임강사와 배재대학교 겸임교수와 우송대학교 교수를 지낸 대학 교수 겸 저술가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오원균 · 더보기 »

예안 이씨

예안 이씨(禮安 李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예안 이씨 · 더보기 »

최윤덕

윤덕(崔閏德, 1376년 ~ 144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최윤덕 · 더보기 »

사군

흰색 부분이 사군이다. 4군(四郡)은 조선 세종 때 서북 방면의 여진족을 막기 위해 압록강 상류에 설치한 국방상의 요지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사군 · 더보기 »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천 (1376년)와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 더보기 »

앙부일구

앙부일구(仰釜日晷)는 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사용된 해시계로, 과학·역사·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앙부일구 · 더보기 »

신호 (15세기)

신호(申浩, ? ~ 1432년 7월 13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신호 (15세기) · 더보기 »

14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천 (1376년)와 1441년 · 더보기 »

63156 이천

63156 이천(63156 Yicheon, 2000 XQ44)은 한국 천문학자인 전영범과 이병철이 2000년 12월 5일, 보현산천문대에서 발견한 소행성이.

새로운!!: 이천 (1376년)와 63156 이천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불곡 이천, 이천 (조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