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인권

색인 인권

세계 최초의 인권 원형통인 'Cyrus the great cylinder' 인권(人權, human rights)은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와 자격을 의미하는 개념이.

327 처지: BC급 전범, 러시아 혁명, 랠프 애버내시, 독립협회,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동물권, 동성결혼, 동성애, 동성애 혐오, 동성애와 종교, 동아일보,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동학, 라틴 연합, 라시다 만주, 레오폴 2세, 로런스 대 텍사스 사건, 로마 시민권, 로스쿨의 영화들, 루터교, 루홀라 호메이니, 리베카 솔닛, 리고베르타 멘추, 리처드 G. 해처, 리처드 홀러웨이, 리틀록 9인, 말랄라 유사프자이, 말레이시아 사회당, 마녀사냥, 마샤와 다샤 크리보실랴포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먼나라 이웃나라, 모병제, 모피, 목사, 무함마드 6세, 문해, 문화 대혁명, 물병자리의 시대, 미국 독립 혁명,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미국의 역사 (1980-1991), 미얀마의 정치, 민권과 참정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민중, 민중연합당, 백인의 짐, 발트해 국가 이사회, 개입, ...,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반기독교운동, 반둥 회의, 바우자 사마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강의석,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법인, 고독사, 고문, 고종주, 고야마 고, 곽이경, 복음주의,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복지, 복지 국가, 공상적 사회주의, 북한 인권법,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북아일랜드 분쟁, 권리, 권해효,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그쪽이야말로주의, 기본권, 비정규직,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김수환, 대한민국 고속도로의 모터사이클 통행 제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 대한민국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대한민국 헌법 제10조, 대한민국 헌법 제15조,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단체,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행사,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대한성공회, 교황, 구좌파,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국가인권위원회법,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국내문제불간섭원칙, 국회인권상, 국제 공공부문 노동조합 연맹, 국제 노동 기구, 국제 노동조합 연합,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국제 여성의 날, 국제 연대 운동,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 국제사면위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난민, 나라별 법률에 따른 성소수자의 권리,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노동절, 노동조합,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노예제, 노예제 폐지운동, 다문화주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 슬라보예 지젝, 우분투 (사상), 요아힘 가우크, 욕야카르타 원칙, 자유 (동음이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 자연법, 자연권, 자살, 장 지글러, 장병권, 장애인 인권, 임태훈 (인권활동가), 클린트 이스트우드, 폭풍의 언덕, 평등, 평등권, 평화, 흥선대원군, 이란-콘트라 사건, 이강국 (법조인), 이경수 (1947년), 이병주 (소설가), 이승만,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이정희 (1969년), 이종걸 (1979년), 이중배상금지, 이온 일리에스쿠, 이예다, 이억근, 인민혁명당 사건, 인민사원, 인권 영화, 인권운동연대,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연대, 일본국 헌법, 일본의 경찰, 적도 원칙, 적법절차, 제임스 볼드윈, 제주 4·3 사건, 제주국제장애인인권영화제, 전라도 섬노예,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국여성연대, 전체주의, 전태일, 정민석 (동음이의), 정욜, 정채기 (1962년), 정치적 자유, 저스틴 웰비, 조선 영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존 바에즈, 존 스토트, 존엄성, 종로의 기적,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중리 사건, 중세 후기의 교육,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집회의 자유, 징병제, 지문, 지구 헌장, 지우다 아른스, 지하철도 (비밀결사),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천르쥔, 천황제 폐지론, 충청남도, 취약국가지수, 칠레,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친구사이 (단체), 치카노, 캐나다, 케이트 밀럿, 코레타 스콧 킹, 코펜하겐 기준, 코코 샤넬, 유럽 인권 조약, 유럽 연합 회원국, 유럽 연합의 세 개의 기둥, 유럽의 날, 유네스코, 유엔 인권 위원회, 유엔 총회 결의 62/167,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육우당 (활동가), 윤미향, 휴먼 라이츠 워치, 파룬궁, 윌슨주의, 샤를 드 골, 샬롬의 집, 태평양공익인권상, 태양의 후예, 수지 김 사건, 수원 토막 살인 사건, 영류세계화, 오스트레일리아, 오에 겐자부로, 오선화, 오세인 (1976년), 오싱, 형구, 최진실, 양심적 병역 거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행복,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에밀 뒤르켐, 에우데르 카마라, 에이브러햄 링컨,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헬렌 클라크, 여성주의 철학, 역사적 예수,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열정페이, 헌법위원회 (핀란드), 엘살바도르, 키프로스, 사디크 칸, 사회, 사회 계약,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하로프상, 살바도르 아옌데, 삶의 질,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프랑스 5월 혁명,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프랑수아 미테랑, 프란츠 파농,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 프리메이슨, 선택자유주의, 성 차별, 성매매 특별법, 성공회, 성별격리, 성노예, 성재기 (활동가), 성생활, 성소수자, 성소수자 권리운동,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세계 인권 선언, 세계 사법 센터, 세계의사회, 세계시민의식, 세이브 더 칠드런, 서경식, 서울시민인권헌장, 서울퀴어문화축제, 서재필, 서준식, 토머스 제퍼슨, 소록도, 소수 권리, 앤드루 영, 해리엇 터브먼, 야블로코, 알바니아, 알베르 카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이주인권센터, 한지환 (운동가), 한채윤 (1972년),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디잔 대학살, 하느님의 선교, 하마스, 암브로시우스, 아랍의 봄, 아동 권리, 아동 노동,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헨티나의 역사, 아모스서, 아바즈 (시민 단체), 아브라함,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압둘 라시드 도스툼, 악성 댓글, 식민주의 심리학, 식객, 신의 저항군, 신행정론, 시민자유, 후쿠다 다카유키, 왕단, 10월 유신, 1989년 루마니아 혁명, 1989년 혁명, 2014–2017년 베네수엘라 시위, 2014년 신안군 염전 섬노예 사건, 3월 7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77 더) »

BC급 전범

BC급 전범(BC級戦犯)은 연합국에 의해 선포된 국제 군사재판소 조례 및 극동 국제 군사재판 조례의 전쟁 범죄 유형B 항 ‘보통의 전쟁 범죄’ 또는 C항 ‘반인륜 범죄’에 해당하는 전쟁 범죄 또는 전쟁 범죄가 되는 죄목을 추궁 받은 개인의 총칭이.

새로운!!: 인권와 BC급 전범 · 더보기 »

러시아 혁명

시아 혁명()은 1917년 2월(러시아 구력)과 10월 (러시아 구력)에 러시아에서 일어나 세계 최초의 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정권이 수립된 혁명이.

새로운!!: 인권와 러시아 혁명 · 더보기 »

랠프 애버내시

이비드 애버내시(Ralph David Abernathy,, 1926년 3월 11일 ~ 1990년 4월 17일)는 미국의 흑인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랠프 애버내시 · 더보기 »

독립협회

독립협회에 모인 민중들 독립협회(獨立協會)는 1896년 7월 2일 설립된 조선과 대한제국의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독립협회 · 더보기 »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은 독일연방공화국의 헌법이.

새로운!!: 인권와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 더보기 »

동물권

동물권(動物權)은 사람이 아닌 동물 역시 인권에 비견되는 생명권을 지니며 고통을 피하고 학대 당하지 않을 권리 등을 지니고 있다는 견해이.

새로운!!: 인권와 동물권 · 더보기 »

동성결혼

동성결혼(同性 結婚)은 생물학적, 사회적으로 동일한 성별을 가진 두 사람 사이에 법률상, 사회상으로 이루어지는 결혼을 말. 동성결혼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는 평등결혼(Marriage equality 또는 Equal marriage)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인권와 동성결혼 · 더보기 »

동성애

동성애(同性愛)는 생물학적 또는 사회적으로 같은 성별을 지닌 사람들 간의 감정적, 성적 끌림을 뜻. 일반적으로 게이는 남성 동성애자, 레즈비언은 여성 동성애자를 일컫.

새로운!!: 인권와 동성애 · 더보기 »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 호모포비아(Homophobia, 동성애공포)는 동성애나 동성애자에게 갖는 부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말하며, 경멸, 혐오, 편견 등으로 표출될 수 있. 동성애자를 혐오하는 개인 및 집단을 가리켜 동성애 혐오자 (同性愛嫌惡者)또는 호모포빅(Homophobic)이.

새로운!!: 인권와 동성애 혐오 · 더보기 »

동성애와 종교

동성애와 종교간의 관계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으며 종교와 종교내 교단마다, 동성애와 양성애에 따라 다양한 입장이 존재해왔.

새로운!!: 인권와 동성애와 종교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새로운!!: 인권와 동아일보 · 더보기 »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동아일보의 광고 신청 안내 문구. 광고를 싣지 못한 자리는 이 문구를 인쇄했다.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는 1974년 12월 박정희 유신 정권의 언론 탄압으로 동아일보에 광고를 내기로 했었던 회사들이 무더기로 해약하고, 그 결과로 동아일보에서는 광고를 채우지 못한 부분을 백지로 내보내거나 아예 전 지면을 기사로 채워버린 사태를 말. 이 사태로 동아일보 광고가 해약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아일보 계열사인 동아방송에도 사태의 영향력이 퍼져서 이듬해 1월 11일 보도 프로그램 광고가 무더기로 해약되어 방송 광고 없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공개녹화를 포함한 일부 방송 프로그램이 연속으로 폐지되었고 뒤이어 전체 방송 시간마저 단축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었.

새로운!!: 인권와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 더보기 »

동학

동학(東學)은 1860년(철종 11) 최제우가 창건한 신흥 종교이.

새로운!!: 인권와 동학 · 더보기 »

라틴 연합

연합()은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나라들의 국제 기구로, 라틴어와 이의 영향을 받은 세계를 통합하는 주체성의 보호와 공통적인 문화 유산의 연구 및 증진을 목적으.

새로운!!: 인권와 라틴 연합 · 더보기 »

라시다 만주

시다 만주(Rashida Manjoo)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라시다 만주 · 더보기 »

레오폴 2세

오폴 루이 필리프 마리 빅토르 (1835년 4월 9일 ~ 1909년 12월 17일)는 벨기에 왕국의 2대 왕이.

새로운!!: 인권와 레오폴 2세 · 더보기 »

로런스 대 텍사스 사건

스 대 텍사스 사건(Lawrence v. Texas)은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유명 판례이.

새로운!!: 인권와 로런스 대 텍사스 사건 · 더보기 »

로마 시민권

마 시민권(-市民權)은 고대 로마 시민에게 주어진 여러 권리이.

새로운!!: 인권와 로마 시민권 · 더보기 »

로스쿨의 영화들

스쿨의 영화들 (시네마 노트에 쓴 법 이야기)은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교수인 김성돈가 쓴 책으로 법률 주제를 다룬 영화를 소개하는 책이.

새로운!!: 인권와 로스쿨의 영화들 · 더보기 »

루터교

회 또는 루터교는 16세기 마르틴 루터의 사상을 따르는 개신교 교파이.

새로운!!: 인권와 루터교 · 더보기 »

루홀라 호메이니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1900년 9월 22일 ~ 1989년 6월 3일)는 이란의 시아파이며 이란의 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몰아낸 1979년의 이란 이슬람 혁명의 정치 지도자 겸 종교 지도자이.

새로운!!: 인권와 루홀라 호메이니 · 더보기 »

리베카 솔닛

리베카 솔닛(1961년 6월 24일 ~)은 미국의 저술가, 비평가, 역사가, 여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리베카 솔닛 · 더보기 »

리고베르타 멘추

리고베르타 멘추노벨상 딱지 리고베르타 멘추(Rigoberta Menchú Tum, 1959년 1월 9일 ~)는 과테말라 키체 주 치멜 출생의 과테말라인으로, 마야의 후손인 마야-키체 족 혈통이.

새로운!!: 인권와 리고베르타 멘추 · 더보기 »

리처드 G. 해처

리처드 고든 해처(Richard Gordon Hatcher, 1933년 7월 10일 ~)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처음으로 게리의 시장(1968~87)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리처드 G. 해처 · 더보기 »

리처드 홀러웨이

리처드 홀러웨이 주교(1933년 ~)는 스코틀랜드 성공회(The Scottish Episcopal Church)의 주교이.

새로운!!: 인권와 리처드 홀러웨이 · 더보기 »

리틀록 9인

의 보호를 받는 리틀록의 아홉 학생 리틀록 9인(Little Rock Nine)은 1957년 9월 미국 아칸소 주의 주도 리틀록의 공립학교인 센트럴 고등학교에 등교하기 시작한 아홉명의 흑인학생 어니스트 그린(Ernest Green, 1941년~), 엘리자베스 엑포드(Elizabeth Eckford, 1941년~), 제퍼슨 토머스(Jefferson Thomas, 1942년-2010년), 테렌스 로버츠(Terrence Roberts, 1941년~), 카로타 월스 라니어(Carlotta Walls LaNier, 1942년~), 미니진 브라운(Minnijean Brown, 1941년~), 글로리아 레이 칼마크(Gloria Ray Karlmark, 1942년~), 텔마 마더세드(Thelma Mothershed, 1940년~)와 멜바 빌스(Melba Beals, 1941년~)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인권와 리틀록 9인 · 더보기 »

말랄라 유사프자이

말랄라 유사프자이 노벨상 딱지 말랄라 유사프자이(1997년 7월 12일 ~)는 파키스탄의 여성 교육 운동가이며 2015년 기준으로 최연소인 노벨상 수상자이며, 유일하게 미성년자의 나이로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이.

새로운!!: 인권와 말랄라 유사프자이 · 더보기 »

말레이시아 사회당

사회당() 또는 사회주의당은 말레이시아의 사회주의 정당이.

새로운!!: 인권와 말레이시아 사회당 · 더보기 »

마녀사냥

마녀로 판명된 여인을 화형시키는 장면을 묘사한 삽화. 마녀사냥(魔女 -)은 중세 중기부터 근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유럽,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일대에 행해졌던 마녀나 마법 행위에 대한 추궁과 재판에서부터 형벌에 이르는 일련의 행위를 말. '마녀사냥'을 '마녀재판'이라고 일컫.

새로운!!: 인권와 마녀사냥 · 더보기 »

마샤와 다샤 크리보실랴포바

마리야 미하일로브나 "마샤" 크리보실랴포바와 다리야 미하일로브나 "다샤" 크리보실랴포바 자매(1950년 1월 3일 ~ 2003년 4월 17일)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태어난 결합 쌍둥이로 잔혹한 생체 실험과 결합 쌍둥이에 대한 차별의 피해자로 알려진 인물이며, 흔히 두 자매의 애칭인 마샤와 다샤(), 또는 두 자매의 성씨인 크리보실랴포바 자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

새로운!!: 인권와 마샤와 다샤 크리보실랴포바 · 더보기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29년 1월 15일 ~ 1968년 4월 4일)는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인권 운동가, 흑인 해방 운동가, 권리 신장 운동가, 기독교 평화주의자로, 미국내 흑인의 인권 운동을 이끈 개신교 목사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

새로운!!: 인권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더보기 »

먼나라 이웃나라

《먼나라 이웃나라》는 만화가 이원복(李元馥)의 학습만화이.

새로운!!: 인권와 먼나라 이웃나라 · 더보기 »

모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모병제(募兵制)는 강제 징병하지 않고, 본인의 지원에 의한 직업군인들을 모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를 말. 이와 반대되는 제도는 징병제이.

새로운!!: 인권와 모병제 · 더보기 »

모피

모피(毛皮)는 털이 붙어 있는 포유류의 가죽으로써, 옷의 재료로 사용.

새로운!!: 인권와 모피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인권와 목사 · 더보기 »

무함마드 6세

조지 W. 부시 미국 前 대통령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무함마드 6세 (오른쪽) 무함마드 6세(1963년 8월 21일 ~)는 1999년 7월 23일부터 모로코를 다스리고 있는 모로코의 현 국왕이.

새로운!!: 인권와 무함마드 6세 · 더보기 »

문해

책을 읽는 아이들 문해(文解) 또는 문자 해득(文字解得)은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일 또는 그러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 넓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모든 영역이 가능한 상태를 말. 유네스코는 "문해란 다양한 내용에 대한 글과 출판물을 사용하여 정의, 이해, 해석, 창작, 의사 소통, 계산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 정의하였.

새로운!!: 인권와 문해 · 더보기 »

문화 대혁명

1976년 베이징. “(윗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당중앙을 보위하자! (아랫줄) 신선한 피와 생명으로 마오(마오쩌둥) 주석을 보위하자! 문화 대혁명(文化大革命)은 1966년 5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벌어졌던 사회상·문화상·정치상 소란으로, 공식 명칭은 무산계급문화대혁명()이고 약칭은 문혁()이.

새로운!!: 인권와 문화 대혁명 · 더보기 »

물병자리의 시대

물병자리의 시대(Age of Aquarius)는 현재 또는 이윽고 도래할 점성학적 시대를 의미하는 점성술의 기간이.

새로운!!: 인권와 물병자리의 시대 · 더보기 »

미국 독립 혁명

미국 독립 선언에 서명하는 13개 식민지의 대표들 미국 독립 혁명(美國獨立革命)은 18세기 중엽에 13개 식민지가 초대 대통령이 된 조지 워싱턴을 중심으로 프랑스의 원조를 받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미국을 수립한 것을 말. 프랑스 혁명과 함께 양대 민주주의 혁명으로 유명.

새로운!!: 인권와 미국 독립 혁명 · 더보기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약칭 AFSC)는 1917년 미국의 퀘이커 신자들과 반전 운동 민간인 관련 인사들이 결성한 퀘이커 단체로, 사회 정의와 평화, 화합, 사형제 폐지와 인권 보호, 인도주의적 원조를 목적으.

새로운!!: 인권와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 더보기 »

미국의 역사 (1980-1991)

1980년부터 1991년까지 미국의 역사에는 지미 카터 행정부의 마지막 1년과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8년간, 조지 H. W. 부시 행정부의 전기 2년이.

새로운!!: 인권와 미국의 역사 (1980-1991) · 더보기 »

미얀마의 정치

미얀마는 2008년 헌법에 입각하여 정부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공화국으로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

새로운!!: 인권와 미얀마의 정치 · 더보기 »

민권과 참정권

민권(Civil rights)과 참정권(Political rights)은 어떤 개인의 자유를 정부를 비롯한 사회 기관이나 다른 개인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권리들이.

새로운!!: 인권와 민권과 참정권 · 더보기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는 1985년 12월 12일에 양심수를 후원하기 위해 결성된 사회운동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 더보기 »

민중

민중(民衆)은 인민대중의 줄임말로, 일본이나 한국에서 국가나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인권와 민중 · 더보기 »

민중연합당

민중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당시의 로고. 표어는 '''헬조선을 뒤엎는 99%의 희망''' 이다. 민중연합당 (民衆聯合黨) 은 2016년 2월 27일 창당한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 농민 운동, 청년 운동을 표방하는 민족 해방 계열의 진보정당이.

새로운!!: 인권와 민중연합당 · 더보기 »

백인의 짐

〈백인의 짐〉(The White Man's Burden)은 영국 작가 키플링이 1899년 2월에 발표한 시이며, 이 시가 내세우는 서구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인권와 백인의 짐 · 더보기 »

발트해 국가 이사회

발트해 국가 이사회의 로고 발트해 국가 이사회 회원국 발트해 국가 이사회(CBSS)는 북유럽, 발트해 주변에 위치한 국가 간의 지역 협력체이.

새로운!!: 인권와 발트해 국가 이사회 · 더보기 »

개입

입(Intervention)이란 하나 이상의 국가가 국제법상 타국의 국내 문제에 그 의사에 반해 무력적, 정치적, 경제적 압력의 방법으로 자국의 의사를 강요하는 것을 말. 간섭이.

새로운!!: 인권와 개입 · 더보기 »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은 2007년 11월 반도체 노동자의 직업병 피해에 대하여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을 지키기 위해 결성된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 더보기 »

반기독교운동

반기독교운동(反基督敎運動) 또는 안티 기독교 운동은 시민운동의 하나로, 기독교에 반대하는 시민사회운동이.

새로운!!: 인권와 반기독교운동 · 더보기 »

반둥 회의

반둥 회의() 또는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는 인도의 네루 총리,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 중화인민공화국 총리 저우언라이, 이집트 대통령 나세르가 중심이 되어 개최를 목표로 한 회의의 총칭이.

새로운!!: 인권와 반둥 회의 · 더보기 »

바우자 사마지

바우자 사마지 당 또는 대중사회당은 인도 사회에서 심각한 차별을 받는 달리트(불가촉천민이라고함)들의 인권을 위해 만들어진 정당이.

새로운!!: 인권와 바우자 사마지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일본의 자경단이 조선인을 학살하는 사진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간토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 더보기 »

강의석

강의석(姜義錫, 1986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가 출신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강의석 · 더보기 »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경상남도 밀양 지역 고교생 44명이, 밀양 여중생 1명을 집단성폭행 한 역대 가장 충격적인 사건 2004년 1월 중반부터 2004년 11월 말까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등지에서 밀양공업고등학교, 밀양밀성고등학교, 밀양세종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당시 만 18세, 1986년생)이던 밀양시, 창원시 지역 거주 남학생들과 창원의 모 직업전문학교 학생(당시 만 18세, 1986년생) 등 115명에 의해 울산광역시 중구의 모 여중에 다니는 최모 양 자매(당시 14, 13, 울산시 중구)와 그들의 고종사촌인 창원시에 사는 노모 양(당시 16, 창원시 중앙동), 그외 창원시에 거주하는 모 여중생, 여고생 2명 등을 밀양으로 유인, 밀양시내 가곡동의 모 여인숙 등지에서 집단 성폭행, 구타, 공갈협박, 금품갈취해온 강도, 강간, 폭력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밀양 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 더보기 »

법인

법인(法人, Legal Person)이란 자연인 이외의 것으로서 법률에 의하여 권리능력이 인정된 단체 또는 재산을 말. 개인(자연인)들의 생명이나 능력에는 스스로 한도가 있으므로 어느 정도 대규모이며 비교적 영속적인 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는 여러 사람의 협력이나 또는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바쳐진 재산이 필요.

새로운!!: 인권와 법인 · 더보기 »

고독사

독사(孤獨死)는 주로 혼자 사는 사람이 돌발적인 질병 등으로 사망하는 것을 말. 도시화와 문명화로 각종 편의시설의 발달과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 인권, 권리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상승, 이런저런 성격차이 등으로 혼자 생활하는 사람이 급증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하였.

새로운!!: 인권와 고독사 · 더보기 »

고문

양한 고문 도구. 고문(拷問)은 광의로는 피의자에게 정신적 압박이나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을 얻어내는 행위를 말하고, 협의로는 유형력을 사용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어 자백하게 하는 행위를 말. 고문방지운동을 하고 있는 앰네스티에서는 고문을 ' 당사자 또는 제3자로부터 정보나 자백을 얻거나 협박할 목적으로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심대한 고통이나 괴로움을 가한 행위'로 규정.

새로운!!: 인권와 고문 · 더보기 »

고종주

종주(高宗柱, 1948년 3월 8일~, 경남 남해)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인권와 고종주 · 더보기 »

고야마 고

야마 고(小山 剛, 1960 년 4 월 18 일 ~)는 일본의 법학자.

새로운!!: 인권와 고야마 고 · 더보기 »

곽이경

곽이경(1979년 ~)은 대한민국의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이자 노동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곽이경 · 더보기 »

복음주의

복음주의(福音主義)는 기독교에서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형성된 전통적인 종교개혁 세력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시작되었.

새로운!!: 인권와 복음주의 · 더보기 »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은 대한민국 최초로 공익활동을 본업으로 삼은 공익변호사단체인 공익변호사모임 공감에서 출발한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 더보기 »

복지

복지(福祉)는 좋은 건강, 윤택한 생활, 안락한 환경들이 어우러져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상태를 말. 사회복지학에서는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것을 뜻. 구빈 정책, 노동자 권익 보호와 같은 특정 집단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국민 일반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을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로 삼는 국가를 복지국.

새로운!!: 인권와 복지 · 더보기 »

복지 국가

복지국가(福祉國家)는 국민의 공공복리와 행복의 증진을 주요한 기능으로 하는 국가를 말.

새로운!!: 인권와 복지 국가 · 더보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空想的社會主義) 또는 이상적 사회주의는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 사상을 가리키는 표현이.즉, 마르크스에 의해 논리를 갖춘 사회주의인 마르크스주의(과학적 사회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에 존재하던 원류 사회주의를 일컫.

새로운!!: 인권와 공상적 사회주의 · 더보기 »

북한 인권법

북한 인권법(北韓人權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개선을 위한 목적의 법률을 말. 법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개선을 촉구하며 탈북 난민의 지위를 인정하고 국제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내용이 주를 이. 대한민국에서는 한나라당이 발의한 것으로 통일부에 북한인권자문위원회를 두고 북한인권기본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며 외교통상부에 북한인권대외직명대사를 임명하는 등의 내용으로 2005년 8월부터 17대 국회에서 처음 발의된 이후 18대에서도 임기만료폐기되었고 19대 국회에서도 여전히 계류 중이.

새로운!!: 인권와 북한 인권법 · 더보기 »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1999년 12월 10일 세계인권선언일을 맞이하여 북한의 민주주의와 인권 실현을 목표로 창립한 북한인권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북한민주화네트워크 · 더보기 »

북아일랜드 분쟁

북아일랜드 분쟁()은 아일랜드 공화국이 영국 연합왕국에서 독립할 당시 얼스터의 일부 지방은 영국에 남음으로써 비롯된 일련의 민족주의 분쟁을 말. 분쟁이 일어난 무대는 북아일랜드 뿐 아니라 아일랜드 공화국, 영국, 유럽 대륙 본토에까지 이르.

새로운!!: 인권와 북아일랜드 분쟁 · 더보기 »

권리

리(權利)는 인간과 집단이 국가, 사회, 단체 활동을 함에 있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새로운!!: 인권와 권리 · 더보기 »

권해효

효(權海驍, 1965년 11월 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권해효 · 더보기 »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부천서 성고문 사건(富川署性拷問事件)은 당시 부천경찰서(지금의 부천소사경찰서)의 경장이던 문귀동(文貴童)이 조사과정에서 22세이던 대학생 권인숙을 성적으로 추행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 더보기 »

그쪽이야말로주의

쪽이야말로주의 (Whataboutism)는 소련에서 서구 세계와 대적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쓰인 선전 기법의 일종이.

새로운!!: 인권와 그쪽이야말로주의 · 더보기 »

기본권

본권(基本權)은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 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본적인 권리이.

새로운!!: 인권와 기본권 · 더보기 »

비정규직

비정규직(非正規職)은 고용인이 특정한 기간 내에 고용주를 떠나기로 되어 있는 상태를 말. 대한민국 고용노동부의 정의에 의하면 계약직, 일용직,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뜻.

새로운!!: 인권와 비정규직 · 더보기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역 입구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동에 있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인권와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김수환 · 더보기 »

대한민국 고속도로의 모터사이클 통행 제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

민국 고속도로의 모터사이클 통행 제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고속국도)와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고속국도가 아닌 도로 중에서 도로관리청에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한 도로)에서 시행되는 통행 제한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 고속도로의 모터사이클 통행 제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 · 더보기 »

대한민국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대한민국 대통령 직속의 민주화운동 관련 의문사 규명을 위해 설치된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제10조

민국 헌법 제10조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 헌법 제10조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제15조

민국 헌법 제15조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 헌법 제15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민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 제2장에 따라 규정되어 있. 국제전화 나라 번호(국가번호)는 82.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단체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 단체 또는 성소수자 권리 구제 단체에 대한 글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단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행사

민국의 성소수자 행사로는 아래와 같은 행사 등이 있.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행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민국의 성소수자 역사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하지만, 고문헌과 사료 등을 통해 과거 역사에 여러 성소수자 사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

새로운!!: 인권와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역사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성공회(大韓聖公會)는 대한민국의 독립된 성공회 교회이.

새로운!!: 인권와 대한성공회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인권와 교황 · 더보기 »

구좌파

좌파(舊左派, Old Left)는 좌파 사상 및 운동에서, 성정치나 인권, 반권위주의 등을 중시하는 신좌파에 비하여 계급투쟁, 노동자 조직화를 중시하는 조류를 말. 신좌파가 출현한 1960년대 이전의 모든 좌파는 구좌파였.

새로운!!: 인권와 구좌파 · 더보기 »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에는 국민(인간,인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와 행해야 할 의무를 헌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나라별로 대동소이.

새로운!!: 인권와 국민의 권리와 의무 · 더보기 »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tional Action Plan: NAP)는 2007년부터 5년간 대한민국 정부가 개선할 각 분야의 주요 인권 개선안을 담은 계획이.

새로운!!: 인권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 더보기 »

국가인권위원회법

국가인권위원회법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법률이.

새로운!!: 인권와 국가인권위원회법 · 더보기 »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

불길에 치솟는 독일 국회의사당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은 나치 독일 정권의 수립 과정에서 발생한 핵심 사건으로 1933년 2월 27일 오후 9시 14분에 발생.

새로운!!: 인권와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 · 더보기 »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NIS Development Committee for clarifying the past) 또는 약칭으로 진실위원회(NISDC)는 제3공화국 이후 중앙정보부, 안기부, 국가정보원 차원에서 행해졌던 인권 침해, 각종 범죄 행위를 진실규명하던 단체로 2004년 11월부터 2007년 11월 참여정부 기간 중 존속하였.

새로운!!: 인권와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 · 더보기 »

국내문제불간섭원칙

국내문제불간섭원칙(國內問題不干涉原則,Nonintervention)은 한 국가는 타국의 국내문제에 대하여 간섭(개입, intervention)하면 안된다는 국제관습법이.

새로운!!: 인권와 국내문제불간섭원칙 · 더보기 »

국회인권상

국회인권상은 대한민국 제15대 국회 때에 설립되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국내·외의 인권문제를 다루어 온 국회인권포럼이 2006년에 제정한 상이.

새로운!!: 인권와 국회인권상 · 더보기 »

국제 공공부문 노동조합 연맹

국제 공공부문 노동조합 연맹(PSI)은 공공 부문 노동조합의 세계 연맹체이.

새로운!!: 인권와 국제 공공부문 노동조합 연맹 · 더보기 »

국제 노동 기구

국제 노동 기구(國際勞動機構,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는 노동 문제를 다루는 유엔의 전문기구로서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 1969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

새로운!!: 인권와 국제 노동 기구 · 더보기 »

국제 노동조합 연합

국제 노동조합 연합(國際勞動組合聯合,, ITUC), (CSI)은 세계 최대 노동조합 단체로, 2006년 11월 1일 국제 자유 노동조합 연합(ICFTU)과 세계 노동 연맹(WCL)을 합병하여 결성되었.

새로운!!: 인권와 국제 노동조합 연합 · 더보기 »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 위원회(國際赤十字委員會,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스위스의 민간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국제 적십자 위원회 · 더보기 »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적십자와 적신월 앰블럼. "운동"의 상징이 운동의 이름을 결정지었다. 앙리 뒤낭. 《솔페리노의 회상》의 저자.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國際赤十字·赤新月運動)은 전쟁, 자연 재해 등에서의 희생자들과 기아 선상의 난민들을 돌보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된 인도주의 단체이며, 중립, 평등, 독립, 자발적 섬김, 일관성과 보편성의 실천을 원칙으.

새로운!!: 인권와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 · 더보기 »

국제 여성의 날

세계 여성의 날(世界 女性의 날) 또는 국제 여성의 날(國際 女性의 날, International Women's Day, (國際婦女節))은 여성의 정치·경제·사회적 업적을 범세계적으로 기리는 날이.

새로운!!: 인권와 국제 여성의 날 · 더보기 »

국제 연대 운동

국제 연대 운동(ISM)은 비폭력, 직접행동의 방법과 원칙으로 이스라엘인의 인종분리정책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인이 이끄는 운동이.

새로운!!: 인권와 국제 연대 운동 · 더보기 »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and Biphobia, IDAHOT 또는 IDAHOBiT) 또는 아이다홋데이는 매년 5월 17일에 열리는 행사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반대하는 날이.

새로운!!: 인권와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 더보기 »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IPI)는 언론 매체 자유를 위한 범 세계적인 조직으로 편집자, 언론 매체 관리자와 선도 언론인의 국제 협력.

새로운!!: 인권와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 · 더보기 »

국제사면위원회

국제앰네스티 지부가 있는 국가 (2005년 기준)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국제 비정부 기구로 "중대한 인권 학대를 종식 및 예방하며 권리를 침해받는 사람들의 편에 서서 정의를 요구하고자 행동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고 있.

새로운!!: 인권와 국제사면위원회 · 더보기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공화국(RSA)은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에 자리한 공화국이.

새로운!!: 인권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 더보기 »

난민

전쟁기간 중에, 보스니아 중부에 위치한 Travnik에 도착한 난민들 아프리카 기니의 난민 캠프 난민(難民, refugee) 또는 망명자(亡命者)는 박해, 전쟁, 테러, 극도의 빈곤, 기근, 자연재해를 피해 다른 나라로 망명한 사. 난민의 개념을 살펴본다면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와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지역 협약들에서 확대되어, 전쟁이나 기타 폭력에 의해 원래 살던 땅을 떠나게 된 사람들을 지칭하게 되었.

새로운!!: 인권와 난민 · 더보기 »

나라별 법률에 따른 성소수자의 권리

'''기권''': (46개국) 고용 및 승진 등에서의 성적 지향에 대한 차별을 금지한 국가들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LGBT)를 포함한 성소수자의 권리는 각 나라와 지역별로 온전하게 보장받거나, 크게 제약을 받. 동성 결혼이 법제화된 국가가 있는 반면, 동성애 행위만으로도 사형을 처하는 국가가 존재.

새로운!!: 인권와 나라별 법률에 따른 성소수자의 권리 · 더보기 »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은 1901년 부터 수여되고 있는 노벨상의 나라별 수상자 및 단체의 목록이.

새로운!!: 인권와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노동절

1990년 동독의 노동절 100주년을 기념하는 우표 1920년 일본의 제1회 노동절 노동절(勞動節) 또는 메이 데이()는 노동자의 권익과 복지를 향상하고 안정된 삶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한 날이.

새로운!!: 인권와 노동절 · 더보기 »

노동조합

1912년 미국, 로렌스 섬유 파업 당시 군인들에게 둘러싸인 시위자들. 노동조합(勞動組合)은 노동자들이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만든 노동자의 사회단체를 말. 줄여서 노조(勞組, Union).

새로운!!: 인권와 노동조합 · 더보기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경부선 철도교(2008년 11월 촬영). 당시 탄환의 흔적이 남아 있다 노근리 노근리 사례(老斤里事例)은 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의 침공을 막고 있던 미국 1 기병 사단 7 기병 연대 예하 부대가 1950년 7월 25일 ~ 7월 29일 사이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 경부선 철로와 쌍굴다리에서 폭격과 기관총 발사를 시작하여, 민간인 피난민 속에 북괴군들이 잠입했다고 보고받고 처리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더보기 »

노예제

오늘날의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에서 노예를 끌고가는 아랍인 노예주들 노예제(奴隷制)란 선사시대 이후 인간이 다른 인간을 재산, 가축처럼 취급하는 것을 말하며, 그렇게 재산, 가축처럼 취급되는 인간을 노예(奴隷, slave).

새로운!!: 인권와 노예제 · 더보기 »

노예제 폐지운동

예제 폐지운동(奴隸制廢止運動, Abolitionism)은 19세기에 서유럽과 미국에서 노예 제도의 폐지를 목적으로 전개된 인도주의적 개혁 운동이.

새로운!!: 인권와 노예제 폐지운동 · 더보기 »

다문화주의

문화주의(多文化主義)는 문화적 다양성을 장려하는 생각이나 정책을 말. 다문화주의의 이념은 1970년대에 서구 민주주의 사회에서 전면적으로 등장.

새로운!!: 인권와 다문화주의 · 더보기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에 차우셰스쿠(IPA:,, 1918년 1월 26일 ~ 1989년 12월 25일)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더보기 »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은 스웨덴 외교부 산하 기구로서 대외무상협력을 주관하는 스웨덴의 기타공공기관이.

새로운!!: 인권와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 · 더보기 »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예 지젝(1949년 3월 21일 ~)은 유고슬라비아 출생의 대륙철학자이자 헤겔, 마르크스,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에 기반한 비판이론가이.

새로운!!: 인권와 슬라보예 지젝 · 더보기 »

우분투 (사상)

우분투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는 넬슨 만델라 우분투(ubuntu)는 사람들간의 관계와 헌신에 중점을 둔 윤리 사상이.

새로운!!: 인권와 우분투 (사상) · 더보기 »

요아힘 가우크

요아힘 가우크(1940년 1월 24일 ~)는 2012년 3월부터 집권중인 독일의 현 대통령으로, 독일의 정치인, 종교인, 인권운동.

새로운!!: 인권와 요아힘 가우크 · 더보기 »

욕야카르타 원칙

욕야카르타 원칙(Yogyakarta Principles)은 욕야카르타에서 발표된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 관련 인권선언이.

새로운!!: 인권와 욕야카르타 원칙 · 더보기 »

자유 (동음이의)

자유 또는 리버럴(Liberal)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인권와 자유 (동음이의) · 더보기 »

자유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自由民主主義) 또는 정치적 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결합된 정치원리 및 공화제 입헌 정부형태이.

새로운!!: 인권와 자유민주주의 · 더보기 »

자유주의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는 자유 사상을 최상의 정치·사회적 가치로 삼는 역사적 전통이며, 사회철학적 관점이자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인권와 자유주의 · 더보기 »

자연법

자연법(自然法)은 인위적인 법률과 그 가치에 대칭되는 것으로 자연히 존재하는 언제, 어디서나 유효한 보편적 불변적 법칙이.

새로운!!: 인권와 자연법 · 더보기 »

자연권

자연권(自然權)은 자연법상의 인간의 천부인권(天賦人權)을 말. 태어나면서부터 당연히 주어지는, 법률이나 믿음보다 앞선 보편적 선험적 권리이.

새로운!!: 인권와 자연권 · 더보기 »

자살

오파트라의 자살 십만 명당 자살률 자살(自殺)은 여러 가지 죽음의 형태 중 하나로, 스스로 삶을 중단시키는 행위이.

새로운!!: 인권와 자살 · 더보기 »

장 지글러

PAGENAMEBASE, 2011년. 장 지글러(1934년-)는 스위스의 사회학자이.

새로운!!: 인권와 장 지글러 · 더보기 »

장병권

장병권(1976년 3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가 출신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이자 시민 운동가, 칼럼니스트이.

새로운!!: 인권와 장병권 · 더보기 »

장애인 인권

장애인 인권(障碍人 人權)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대우를 받기 위한, 인권의 확장된 개념이.

새로운!!: 인권와 장애인 인권 · 더보기 »

임태훈 (인권활동가)

임태훈(林泰勳, 1975년 10월 9일~)은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이.

새로운!!: 인권와 임태훈 (인권활동가) · 더보기 »

클린트 이스트우드

린트 이스트우드(1930년 5월 31일 ~)는 미국의 영화 배우,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이자 작곡가, 정치가이.

새로운!!: 인권와 클린트 이스트우드 · 더보기 »

폭풍의 언덕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은 영국의 작가 에밀리 브론테의 유일한 소설이자 유작인 소설이.

새로운!!: 인권와 폭풍의 언덕 · 더보기 »

평등

평등 평등(平等)은 인간의 존엄, 권리, 인격, 가치, 행복의 추구 등에 있어 차별이 없이 같은 상태를 말. 평등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사용하는 사람의 사상과 철학에 따라 중층적 의미를.

새로운!!: 인권와 평등 · 더보기 »

평등권

평등권(平等權)은 헌법에 규정된 인간의 불가침적 천부인권(天賦人權)으로 국가와 사회집단으로부터 불평등한 대우를 받지않고 상향적 평등과 역할을 적극적으로 요구할 수있는 권리이.

새로운!!: 인권와 평등권 · 더보기 »

평화

올리브 가지를 문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다. 평화(平和)는 좁은 의미로는 '전쟁을 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현대 평화학에서는 평화를 '분쟁과 다툼이 없이 서로 이해하고, 우호적이며, 조화를 이루는 상태'로 이. 인류가 목표로 하는 가장 완전(完全)한 상태이.

새로운!!: 인권와 평화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인권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란-콘트라 사건

이건 대통령 (중앙)이 백악관 캐비닛 룸에서 타워 커미션 보고서를 받고 있다. 존 타워는 왼쪽, 에드먼드 머스키가 오른쪽. 1987년에 찍음 이란-콘트라 사건()은 1987년 미국의 레이건 정부가 스스로 적성 국가라 부르던 이란에 대해 무기를 불법적으로 판매하고 그 이익으로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정부에 대한 반군인 콘트라 반군을 지원한 정치 스캔들이.

새로운!!: 인권와 이란-콘트라 사건 · 더보기 »

이강국 (법조인)

이강국(李康國, 1945년 9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제4대 헌법재판소장을 지낸 법조인이.

새로운!!: 인권와 이강국 (법조인) · 더보기 »

이경수 (1947년)

이경수(1947년 ~)는 대한민국의 시민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이경수 (1947년) · 더보기 »

이병주 (소설가)

이병주(李炳注, 1921년 3월 16일 ~ 1992년 4월 3일)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며 소설가이.

새로운!!: 인권와 이병주 (소설가)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인권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1999년 9월 12일부터 2005년 6월 26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된 총 100부작의 역사 다큐멘터리이.

새로운!!: 인권와 이제는 말할 수 있다 · 더보기 »

이정희 (1969년)

이정희(李正姬, 1969년 12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이.

새로운!!: 인권와 이정희 (1969년) · 더보기 »

이종걸 (1979년)

이종걸(1978년 ~)은 대한민국의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자 뮤지컬 배우, 칼럼니스트이.

새로운!!: 인권와 이종걸 (1979년) · 더보기 »

이중배상금지

이중배상금지란 군인,군무원과 경찰공무원이 직무 중 죽거나 다쳐도 국가에 손해배상을 할 수 없고 법정보상금만 받는 제. 민간인과 일반공무원은 보상금도 받고 국가에 대해 손해배상도 따로 청구할 수 있으나 군인,군무원과 경찰은 할 수 없.1964년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이 참전 이후 사상자와 그에 대한 배상금이 급증하자 박정희 정권은 배상청구권을 제한하는 입법안을 국회로 넘겼고, 1967년 2월 6일자로 구 국가배상법과 국가배상금 청구절차법을 폐지한 이후 단일법으로 제정하는 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같은 해 4월 3일자로 시행되었.

새로운!!: 인권와 이중배상금지 · 더보기 »

이온 일리에스쿠

이온 일리에스쿠(1930년 3월 3일 ~)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이온 일리에스쿠 · 더보기 »

이예다

이예다(1991년 ~).

새로운!!: 인권와 이예다 · 더보기 »

이억근

이억근(李億根, 1893년 5월 24일 ~ 1944년 12월 22일)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이억근 · 더보기 »

인민혁명당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人民革命黨 事件) 또는 인혁당 사건(人革黨 事件)은 중앙정보부의 조작에 의해 유신반대 성향이 있는 도예종 등의 인물들이 기소되어 선고 18시간 만에 사형이 집행된 날조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인민혁명당 사건 · 더보기 »

인민사원

인민사원(人民寺院, Peoples Temple)은 1978년 11월 18일 가이아나 존스타운에서 일어난 집단 자살로 널리 알려진 종교 집단이.

새로운!!: 인권와 인민사원 · 더보기 »

인권 영화

인권 영화(人權 映畵)는 인권을 증진하고 인권 현안을 알리려는 주제의식을 갖고 인권에 관련된 내용을 담은 영화이.

새로운!!: 인권와 인권 영화 · 더보기 »

인권운동연대

인권운동연대는 대구광역시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 단체이자 시민사회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인권운동연대 · 더보기 »

인권운동사랑방

right 인권운동사랑방은 인권을 존중하며 옹호할 목적으로 1993년 2월에 조직된 대한민국의 인권운동 활동가들의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인권운동사랑방 · 더보기 »

인권연대

인권연대(人權連帶) 또는 인권실천시민연대는 대한민국의 인권운동단체이자 시민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인권연대 · 더보기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日本國憲法)은 일본의 헌법이.

새로운!!: 인권와 일본국 헌법 · 더보기 »

일본의 경찰

일본의 경찰 상징표. 일본 경찰()은 일본 경찰법 2조 1항에 정해진대로 일본에서 개인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임하며, 범죄의 예방, 진압 및 수사, 피의자 체포, 교통의 단속 외 공공의 안전과 질서 유지를 책무로 하는 행정의 작용을 말. 일상적인 용어로는 이러한 활동을 하는 조직, 또는 공무원을 가리.

새로운!!: 인권와 일본의 경찰 · 더보기 »

적도 원칙

적도 원칙(Equator Principles, EPs)은 1,000만 달러 이상의 개발 프로젝트가 환경파괴를 일으키거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인권을 침해할 경우 투자대금을 대지 않겠다는 금융회사들의 자발적 협약이.

새로운!!: 인권와 적도 원칙 · 더보기 »

적법절차

적법절차(適法節次, due process of law)는 개인의 권리보호를 위해 정해진 일련의 법적 절차를 말. 적법 절차에서 적(適)은 적정한(due)이란 뜻이고 절차는 권리의 실질적인 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택하여야 할 수단적, 기술적 방법을 말. 적법에서의 법은 불문법을.

새로운!!: 인권와 적법절차 · 더보기 »

제임스 볼드윈

제임스 아서 볼드윈(James Arthur Baldwin, 1924년 8월 2일 ~ 1987년 12월 1일)은 미국의 흑인 작가이.

새로운!!: 인권와 제임스 볼드윈 · 더보기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제주 4·3 사건 · 더보기 »

제주국제장애인인권영화제

제주국제장애인인권영화제 (International Disabled People's Human Rights Film Festival In Jeju, DHFF)는 2000년 처음 개최된 대한민국 최초의 장애인 인권을 주제로 한 비경쟁 영화제.

새로운!!: 인권와 제주국제장애인인권영화제 · 더보기 »

전라도 섬노예

전라도 섬노예는 전라도의 도서 지역에서 오랜 기간 광범위하게 벌어지는 인신매매를 통한 노동 착취나 강제 성매매 등의 인권 유린이.

새로운!!: 인권와 전라도 섬노예 · 더보기 »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全國民主靑年學生總聯盟事件), 줄여서 민청학련 사건(民靑學聯事件)은 1974년 4월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시국 사건을 말.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하 민청학련)의 관련자 180여 명이 불온세력의 조종을 받아 국가를 전복시키고 공산정권 수립을 추진했다는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 · 더보기 »

전국여성연대

전국여성연대는 2006년 4월 25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의 인권 단체이자 여성 인권 운동, 시민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전국여성연대 · 더보기 »

전체주의

전체주의()는 국가나 집단의 전체를 개인보다도 우위에 두고, 개인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며, 극우와 권위적 극좌의 정치 성향에서 공통분모로 나타나는 성향이.

새로운!!: 인권와 전체주의 · 더보기 »

전태일

전태일(全泰壹, 1948년 9월 28일(음력 8월 26일) ~ 1970년 1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봉제 노동자이자 노동운동가, 인권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전태일 · 더보기 »

정민석 (동음이의)

정민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인권와 정민석 (동음이의) · 더보기 »

정욜

정욜(1978년 10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 시민 운동가이자 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인권와 정욜 · 더보기 »

정채기 (1962년)

정채기(鄭菜基, 1962년 - 2013년)는 대한민국의 교육학자이자 남성학자, 심리학자, 대학교수이며 시민사회운동가, 남성주의 운동가, 언론인, 번역가이.

새로운!!: 인권와 정채기 (1962년) · 더보기 »

정치적 자유

정치적 자유(政治的自由) 는 세계 역사와 정치 사상의 핵심 개념이며, 민주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인권와 정치적 자유 · 더보기 »

저스틴 웰비

저스틴 포털 웰비()는 영국 성공회의 주교로서, 2017년 현재 세계성공회공동체의 큰어른인 캔터베리 대주교에 있. 복음주의 성향으로 알려져 있고, 2015년 이주노동자의 인권을 위해서 일하는 사회선교기관인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남양주 샬롬의 집을 방문하여, 사회적 약자들인 이주노동자들을 축복하고 함께 감사성찬례를.

새로운!!: 인권와 저스틴 웰비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인권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 '''제출:''' 2014년 2월 7일 '''장소:''' 스위스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 (http://seoul.ohchr.org/EN/_layouts/15/WopiFrame.aspx?sourcedoc.

새로운!!: 인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이 문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기술한 문서이.

새로운!!: 인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더보기 »

존 바에즈

존 챈도스 바에즈(Joan Chandos Baez, 1941년 1월 9일 ~)는 미국의 가수이며, 인권 운동가이며 반전 평화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존 바에즈 · 더보기 »

존 스토트

존 스토트 존 로버트 웜즐리 스토트(Rev. John Robert Walmsley Stott, 1921년 ~2011년 7월 28일 오후 3시 15분 경)는 성공회 사제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기독교 복음주의 운동의 거장이.

새로운!!: 인권와 존 스토트 · 더보기 »

존엄성

위새.

새로운!!: 인권와 존엄성 · 더보기 »

종로의 기적

《종로의 기적》은 이혁상이 감독하고 2011년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대한민국 최초의 커밍아웃한 게이가 출연하는 영화.

새로운!!: 인권와 종로의 기적 · 더보기 »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은 종교의 자유라는 인권의 실현, 정교분리의 가이드라인 정립, 또 시민사회 연대활동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연구기관이.

새로운!!: 인권와 종교자유정책연구원 · 더보기 »

중리 사건

녹색으로 칠한 부분이 사건이 발생한 중리 시(현 중리 구) 중리 사건()은 1977년 중화민국 타오위안 현 중리 시에서 벌어진 선거 부정사건이자 중화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중리 사건 · 더보기 »

중세 후기의 교육

중세 후기의 도시의 출현은 교육활동 변환의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중세 대학 출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후기의 교육은 10세기 경부터 14세기 경의 르네상스기 까지 서부 유럽에서 있었던 교육활동을 의미.

새로운!!: 인권와 중세 후기의 교육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인권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중화인민공화국은 기본적으로 중국 공산당 일당의 독재정치이며, 군대도 또 정부는 아니고 공산당에 속.그 때문에 공산당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인권은 일반적으로 억제되고 있는 것이 많. 근년, 급속한 경제의 발전에 의해서 국민이 인권의 보호를 요구해 각지에서 분쟁이 발생하고 있.또 경제대국으로서의 최저한의 행동을 요구하는 여러 나라와의 사이에도 마찰이 생기고 있.

새로운!!: 인권와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서는 자국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민감한 위키백과의 문서를 차단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위키백과 전체를 차단하였으나 지금은 일부 문서만 차단되고 있.

새로운!!: 인권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차단된 위키백과의 문서들 · 더보기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비아드 콘스탄티네스 제 감사후르디아(1939년 3월 31일 ~ 1993년 12월 31일)은 소비에트 연방과 조지아의 정치인, 반체제 인사, 과학자, 작가이며 후기-소비에트 시대에 조지아의 첫 번째 민주주의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이 되었.

새로운!!: 인권와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 더보기 »

집회의 자유

현과 언론의 자유집회와 결사의 자유종교의 자유 집회의 자유(集會의 自由)는 인권으로서의 자유권의 일종이며, 어느 특정한 의제에 찬성하는 집단이 정부 등의 제한을 받지 않고 특정한 장소에 모이는 자유를 가리.

새로운!!: 인권와 집회의 자유 · 더보기 »

징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징병제(徵兵制)는,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를 방위할 병역 의무를 강제로 부여하는 제도이.

새로운!!: 인권와 징병제 · 더보기 »

지문

손가락의 피부에 있는 '''지문''' 지문(指紋)은 손가락 끝 피부에 있는 땀샘의 입구가 융기한 선(융선)에 따라 만들어지는 모양 또는 이 융선의 형태를 만드는 모양이 물체의 표면에 부착된 후 만들어진 자취를 말.

새로운!!: 인권와 지문 · 더보기 »

지구 헌장

장(Earth Charter)은 공정하고 지속 가능하며 평화로운 21세기 인류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수적인 윤리와 규범이 담겨진 국제 선언문이.

새로운!!: 인권와 지구 헌장 · 더보기 »

지우다 아른스

우다 아른스 지우다 아른스 네우망(1934년 8월 25일 ~ 2010년 1월 12일)은 브라질의 여성 의료인·사회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지우다 아른스 · 더보기 »

지하철도 (비밀결사)

해리엇 터브먼 (H. B. 린슬래이 촬영), 1870년 무렵. 지하 철도의 활동가였던 터브먼은 13번의 여행을 통해 70여 명의 탈출을 도왔다.Larson, p. xvii. 지하철도(地下鐵道)는 19세기 미국에서 활동하였던 노예 해방을 위한 비공식 네트워크이.

새로운!!: 인권와 지하철도 (비밀결사) · 더보기 »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는 2004년 설립된 ‘청소년인권연구포럼 아수나로’를 모태로, 2006년 2월 18일 출범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청소년 인권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 더보기 »

천르쥔

르쥔(陳日君, 1931년 1월 13일 ~)은 중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추기경이며, 천주교 홍콩교구 제6대 교구장이.

새로운!!: 인권와 천르쥔 · 더보기 »

천황제 폐지론

황제폐지론()은 일본에서 천황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새로운!!: 인권와 천황제 폐지론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인권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취약국가지수

정보 없음 / 의존 영토 취약국가지수(脆弱國家指數, Fragile States Index, FSI, 과거 명칭: 실패국가지수(失敗國家指數, Failed States Index))는 미국의 싱크탱크인 평화기금회와 미국의 잡지인 《포린 폴리시》가 2005년 이후로 한 해에 한 차례씩 출간하는 보고서이.

새로운!!: 인권와 취약국가지수 · 더보기 »

칠레

공화국(), 줄여서 칠레()는 태평양과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긴 영토를 가진 나라이.

새로운!!: 인권와 칠레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Carl Friedrich Rudolf Smend, 1882년 1월 15일 ~ 1975년 7월 5일)는 히틀러 시대의 독일 헌법학자이.

새로운!!: 인권와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 더보기 »

친구사이 (단체)

사이는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 운동, 권익 보호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친구사이 (단체) · 더보기 »

치카노

(Chicano) 또는 치카나(Chicana)는 미국에 거주하는 멕시코계 사람들 중 특정 정치 의식을 가지고 정체성을 공유하는 이들을 일컫는 표현이.

새로운!!: 인권와 치카노 · 더보기 »

캐나다

()는 북아메리카 북부의 연방 국가이.

새로운!!: 인권와 캐나다 · 더보기 »

케이트 밀럿

서린 머리 케이트 밀럿(Katherine Murray "Kate" Millett, 1934년 9월 14일 ~ 2017년 9월 6일) 또는 케이트 밀렛은 미국의 여성주의 작가이자 활동가,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인권와 케이트 밀럿 · 더보기 »

코레타 스콧 킹

리타 스캇 킹(Coretta Scott King, 1927년 4월 27일 ~ 2006년 1월 30일)은 마틴 루서 킹 2세의 부인이며, 인권운동자,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코레타 스콧 킹 · 더보기 »

코펜하겐 기준

준(Copenhagen criteria)은 유럽 연합 가입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새로운!!: 인권와 코펜하겐 기준 · 더보기 »

코코 샤넬

브리엘 샤넬(본명:, 1883년 8월 19일 ~ 1971년 1월 10일)은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사업가이.

새로운!!: 인권와 코코 샤넬 · 더보기 »

유럽 인권 조약

유럽 인권 조약 승인 국가 유럽 인권 조약(─人權條約,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ECHR) 또는 유럽 인권 보호 조약은 유럽의 인권과 본질적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 조약이.

새로운!!: 인권와 유럽 인권 조약 · 더보기 »

유럽 연합 회원국

유럽 연합 회원국은 1957년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시초로 하여 유럽 연합(EU)에 가입한 국가들을 가리.

새로운!!: 인권와 유럽 연합 회원국 · 더보기 »

유럽 연합의 세 개의 기둥

유럽 연합(EU)의 세 개의 기둥이란, EU가 설립된 마스트리히트 조약의 중요한 정책 분야를 3개로 분류한 것에 각각을 담당하는 EU의 구조를 기둥으로 비유한 것이.

새로운!!: 인권와 유럽 연합의 세 개의 기둥 · 더보기 »

유럽의 날

브뤼셀에서 있었던 유럽의 날 기념 행사 유럽의 날은 유럽 위원회가 1964년 이후로 1949년 5월 5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행사이.

새로운!!: 인권와 유럽의 날 · 더보기 »

유네스코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는 유네스코(UNESCO)로도 더 널리 알려져 있는 1945년 창설된 유엔의 전문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유네스코 · 더보기 »

유엔 인권 위원회

유엔 인권 위원회 또는 국제 연합 인권 위원회(國際聯合人權委員會,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산하의 위원회로 세계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목. 현재는 활동이 종료되었으며, 유엔 인권 이사회(UNHRC)로 개편, 발전되어 2006년 새로 설립되었.

새로운!!: 인권와 유엔 인권 위원회 · 더보기 »

유엔 총회 결의 62/167

유엔 총회 결의 62/16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을 주제로 2007년 12월 18일 제62차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유엔 총회 결의이.

새로운!!: 인권와 유엔 총회 결의 62/167 · 더보기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는 2011년 2월 2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으로 리비아 사태에 대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무력 행사에 대한 비난과 이에 대한 국제 공조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번 회의에서 사상 최초로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를 만장일치로 통과한 국가에 대해서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를 국제 형사 재판소로 회부하는 것에 동의하였.

새로운!!: 인권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70호 · 더보기 »

육우당 (활동가)

육우당(六友堂, 본명: 윤현석(尹賢碩), 1984년 8월 7일 ~ 2003년 4월 26일)은 대한민국의 학생 운동가 출신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 시민운동가이자 시조 시인, 작가, 평론가이.

새로운!!: 인권와 육우당 (활동가) · 더보기 »

윤미향

윤미향(1964년 10월 23일, 경상남도 남해군 ~)은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윤미향 · 더보기 »

휴먼 라이츠 워치

휴먼 라이츠 워치 (HRW)는 인권 변호 및 연구를 하는 비영리 기구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휴먼 라이츠 워치 · 더보기 »

파룬궁

궁을 연마하는 캐나다 시민들 파룬궁() 또는 파룬다파()는 진선인(眞·善·忍, 진실·선량·인내)을 핵심 사상으로 삼는 중국의 심신수련법이.

새로운!!: 인권와 파룬궁 · 더보기 »

윌슨주의

윌슨주의()은 미국의 제28대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이 제창한 외교적 정책, 이념적 접근을 뜻. 윌슨주의는 현재까지 미국의 국제적 경찰국가의 역할을 충실히 해오는데 많은 정당성을 부여해왔.

새로운!!: 인권와 윌슨주의 · 더보기 »

샤를 드 골

샤를 앙드레 조제프 마리 드 골(1890년 11월 22일 ~ 1970년 11월 9일)은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운동가,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인권와 샤를 드 골 · 더보기 »

샬롬의 집

샬롬의 집은 이주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해 일하는 성공회 사회선교기관으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에 속해 있. 현재 남양주 샬롬의 집(남양주시 외국인복지센터, 관장:이정호 골롬바 신부), 파주이주노동자센터 샬롬의 집이 있.

새로운!!: 인권와 샬롬의 집 · 더보기 »

태평양공익인권상

평양공익인권상은 법무법인 태평양의 공익재단인 재단법인 동천이 법조실무 및 법률학연구를 통해 인권옹호와 법률문화증진에 공로가 있거나 공익·인권분야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펼쳐 공익과 인권향상에 기여한 사람 또는 단체'를 선정해 업적을 치하하고 격려하기 위해 만든 상이.

새로운!!: 인권와 태평양공익인권상 · 더보기 »

태양의 후예

《태양의 후예》는 2016년 2월 24일부터 2016년 4월 14일까지 방영된 KBS 공사창립 43주년 특별기획이자 한국방송 89주년 드라마로, 김은숙과 김원석이 공동 집필하고 KBS 드라마 제작국의 이응복과 백상훈이 공동 연출을 맡았.

새로운!!: 인권와 태양의 후예 · 더보기 »

수지 김 사건

수지 김 사건은 대한민국 기업체의 홍콩 주재원이었던 윤태식(尹泰植)이 1987년 1월 부인 김옥분(金玉分, 일명 수지 김)을 홍콩에서 살해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수지 김 사건 · 더보기 »

수원 토막 살인 사건

수원 토막 살인 사건(水原-殺人事件)은 2012년 4월 1일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동에서 중국인 남성 우위안춘(1970년 11월 ~)이 휴대 전화 부품 공장에서 일하고 퇴근하는 한국인 여성 회사원 곽 모씨(당시 28세)을 집으로 납치하여 목 졸라 살해한 뒤 시신을 토막 낸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수원 토막 살인 사건 · 더보기 »

영류세계화

영류세계화 (另類世界化)는 신자유주의와는 다른 정치면·경제면·사회 체제면에서의 인권, 민주주의, 평화, 사회정의의 구축 등의 세계화를 모색·추진하는 모든 운동의 총칭.

새로운!!: 인권와 영류세계화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호주는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나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그리고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 세계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

새로운!!: 인권와 오스트레일리아 · 더보기 »

오에 겐자부로

오에 겐자부로(1935년 1월 31일 ~)는 일본의 작가로,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의 일본 전후세대를 대표한다. 시코쿠 에히메현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18세의 나이 때에 프랑스 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도쿄로 갔다. 학생 시절이었던 1957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동시대 프랑스와 미국 문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도쿄 대학 불문과 재학 당시 사르트르 소설에 심취했으며 이란 작품으로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했다. 초기에는 전후파 작가답게 전쟁 체험과 그 후유증을 소재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응시하는 사회비판적인 작품을 많이 썼다. 그러나 결혼 후 장애가 있는 아들이 태어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 속에서 어렵게 키운 경험을 소재로 개인적인 체험을 써서 전후세대의 인권 문제를 파헤쳤다는 찬사를 들었다. 이 외에도 핵 시대의 지구와 우주와의 관계를 그린 미래소설도 썼다. 그는 1994년 12월 8일 가와바타 야스나리(1968년 수상) 이후 26년 만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기념 연설문, 《애매한 일본의 나》를 통해 그는 스웨덴의 아동문학작품 《닐스의 모험》을 읽으며 꿈꿨던 어린 시절 196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일본적인 신비주의에 대한 회의, 전자공학이나 자동차 생산 기술로 유명한 조국 일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한국의 김지하나 중국 작가들에 대한 정치적 탄압, 와타나베 가즈오에게서 배운 휴머니즘 정신을 말하였다. 이 연설문은 노벨상 위원회가 책으로 출판하였다. 가족으로는 아들이자 장애인 음악가인 오에 히카리와 부인이 있다. 오에 겐자부로가 아들 히카리를 작곡가로 키운 이야기는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인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재연극으로 소개된 바 있다.

새로운!!: 인권와 오에 겐자부로 · 더보기 »

오선화

오선화(1956년 9월 15일 ~)는 일본의 작가, 평론가, 교육자이.

새로운!!: 인권와 오선화 · 더보기 »

오세인 (1976년)

오세인(1976년 ~ 1998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였.

새로운!!: 인권와 오세인 (1976년) · 더보기 »

오싱

《오싱》()은 일본의 방송 작가인 하시다 스가코가 쓴 역사 소설이.

새로운!!: 인권와 오싱 · 더보기 »

형구

형구(刑具)는 형벌을 집행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

새로운!!: 인권와 형구 · 더보기 »

최진실

실(崔眞實, 1968년 12월 24일 ~ 2008년 10월 2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인권와 최진실 · 더보기 »

양심적 병역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자(良心的兵役拒否者), 혹은 전투행위만 거부하는 양심적 집총 거부자(良心的執銃拒否者)는 병역의 의무가 부과된 시민이 폭력과 살인에 반대하는 평화주의신념에 따라 병역 또는 그보다 국한된 집총(執銃)을 거부하는 사람을 말.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 혹은 신념에 따른 병역 거부.

새로운!!: 인권와 양심적 병역 거부 · 더보기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약칭 행성인,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는 한국의 성소수자 인. 1997년 9월 9일 학생 성소수자 인권 단체인 '가칭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건설준비위원회'가 발족하고 1997년 11월 2일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으로 정식 출범.

새로운!!: 인권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더보기 »

행복

스마일상은 잘 알려진 행복의 상징이다. 행복(幸福)은 희망을 그리는 상태에서의 좋은 감정으로 심리적인 상태 및 이성적 경지 또는 자신이 원하는 욕구와 욕망이 충족되어 만족하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안심해 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인권와 행복 · 더보기 »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자크 루이 다비드가 1817년에 그린 시에예스의 초상.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Emmanuel Joseph Sieyès, 1748년 5월 3일 ~ 1836년 6월 20일)은 프랑스의 정치가이.

새로운!!: 인권와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 더보기 »

에밀 뒤르켐

에밀 뒤르켐 다비드 에밀 뒤르켐(David Émile Durkheim,, 1858년 4월 15일 ~ 1917년 11월 15일, 학계나 가문에서 Durkheim을 뒤르카임이라 발음함)은 프랑스의 사회학자이며 사회학과 인류학이 형성되는 데 크게 기여.

새로운!!: 인권와 에밀 뒤르켐 · 더보기 »

에우데르 카마라

동 에우데르 페소아 카마라(1909년 2월 7일-1999년 8월 27일)또는 돔 헬더 까마라는 브라질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주교이자 해방신학자이.

새로운!!: 인권와 에우데르 카마라 · 더보기 »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1809년 2월 12일~1865년 4월 15일)은 1861년 3월부터 암살된 1865년 4월까지 미국의 16번째 대통령으로 재직.

새로운!!: 인권와 에이브러햄 링컨 · 더보기 »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호세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José Efraín Ríos Montt, 1926년 6월 16일 ~ 2018년 4월 1일)는 전직 과테말라의 정치인, 군인이자 국회의장입.

새로운!!: 인권와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 더보기 »

헬렌 클라크

헬렌 엘리자베스 클라크(ONZ, 1950년 2월 26일 -)는 뉴질랜드의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헬렌 클라크 · 더보기 »

여성주의 철학

여성주의 철학은 여성주의 관점을 갖는 철학이.

새로운!!: 인권와 여성주의 철학 · 더보기 »

역사적 예수

독교의 예수 이미지 역사적 예수(Historical Jesus, 歷史的 -)는 1세기 팔레스타인에서 살았던 나사렛의 예수에 대한 역사비평 방법(critical historical methods)을 사용한 연구주제이.

새로운!!: 인권와 역사적 예수 · 더보기 »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漣川豫備軍訓鍊場爆發事故)는 1993년 6월 10일 대한민국 육군 155mm 포 사격장(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소재)에서 수도군단 제967포병대대가 당월 동원예비군 포사격 훈련을 하던 중 폭발사고가 일어나 현역 장병, 예비군 피훈련자 등 20명이 사망한 사고를 말. 이 사고로 6월 15일 권영해 국방부장관은 해당 여단장 김정웅 준장을 보직해임하고, 967대대장 배두용 중령, 통제단장 윤점복 중령, 당시 훈련장 통제관인 김인남 대위 등을 구속하였.

새로운!!: 인권와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건 · 더보기 »

열정페이

열정페이(熱情Pay)는 "하고 싶은 일을 하게 해 줬다는 구실로 청년 구직자에게 보수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대기업 인턴이나 방송, 예·체능계에서 많이.

새로운!!: 인권와 열정페이 · 더보기 »

헌법위원회 (핀란드)

평민원 건물에서 진행된 헌법위원회 회동. 왼쪽 끝이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위원장, 시계방향으로 라베 악셀 브레데 아프 엘리매, 에른스트 에스틀란데르, 게오르그 구스타프 로센크비스트, 아르투르 올리베르 부오리마, 산테리 알키오, 안티 유틸라이넨, 유호 페카 코코, 에로 에르코, 테클라 훌틴(가려서 안 보임), 페카 페나넨, 엘리아스 투키아, 빌헬미 말미바라, 발데마르 베르그로트, 온니 란타살로, 유호 에르키 안틸라, 라우리 잉그만. 탁자에 끼지 못하고 따로 앉아 있는 사람은 서기관인 햘마르 카흘레인. 헌법위원회()는 핀란드 의회 산하 위원회 중. 헌법 및 헌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입법에 관한 사무를 담당.

새로운!!: 인권와 헌법위원회 (핀란드) · 더보기 »

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 공화국()는 중앙아메리카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산살바도르이.

새로운!!: 인권와 엘살바도르 · 더보기 »

키프로스

스 공화국(), 줄여서 키프로스()는 지중해 동부에 있는 섬나라로, 북쪽에는 터키, 동쪽에는 시리아 · 레바논 및 이스라엘, 서쪽에는 그리스, 남쪽에는 이집트가 있. 키프로스는 지중해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며, 해마다 240만여 명의 관광객이 찾는 인기 관광지이.

새로운!!: 인권와 키프로스 · 더보기 »

사디크 칸

사디크 아만 칸 (1970년 10월 8일 ~)은 영국의 정치인으로, 2005년부터 2016년까지 투팅 지역구 전 국회의원, 2016년 5월부터는 런던 시장을 맡고 있. 노동당 당원으로 당내 소프트 좌파 (soft left) 계열에 속하며 이념적으로는 사회민주주의 성향으로 분. 런던에서 파키스탄 이민자 노동층 가족으로 태어난 칸은 노스런던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수여받았.

새로운!!: 인권와 사디크 칸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인권와 사회 · 더보기 »

사회 계약

사회 계약(社會契約論)은 철학, 정치학, 사회학에서 시민과 국가 사이의 책임과 권리에 관해 국가 내부에서 통용되는 암묵적 동의로, 또는 좀 더 폭넓게는 그룹과 그 구성원 사이, 또는 개개인들 사이의 계약이라는 개념으로도 쓰인.

새로운!!: 인권와 사회 계약 · 더보기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의 치아파스 주의 기반을 둔 무장 혁명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 더보기 »

사하로프상

사하로프상(~賞, Sakharov Prize)은 유럽 의회가 인권과 자유 수호에 커다란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으로, 1988년 12월 소련의 핵물리학자이자 반체제 인사인 안드레이 사하로프를 기념하기 위해 제정하였.

새로운!!: 인권와 사하로프상 · 더보기 »

살바도르 아옌데

살바도르 기예르모 아옌데 고센스(1908년 7월 26일 ~ 1973년 9월 11일)는 칠레의 소아과 의사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인권와 살바도르 아옌데 · 더보기 »

삶의 질

삶의 질()은 사람들의 복지나 행복의 정도를 말. 생활 수준과는 달리,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는 없. 앞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 '삶의 질'이라는 개념에는 물질적인 측면(건강, 식사, 고통의 부재 등)과 정신적인 측면(스트레스나 걱정이 없고 즐거움 등)이 있. 사람마다 어떤 것들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만족을 느끼는지가 다르므로, 특정한 사람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새로운!!: 인권와 삶의 질 · 더보기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스 나이팅게일(1820년 5월 12일 ~ 1910년 8월 13일)은 영국의 간호사, 작가, 통계학자이.

새로운!!: 인권와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더보기 »

프랑스 5월 혁명

68 혁명(May 68), 또는 프랑스 5월 혁명은 프랑스 샤를 드 골 정부의 실정과 사회의 모순으로 인한 저항운동과 총파업 투쟁을 뜻. 이 혁명은 교육 체계와 사회문화라는 측면에서 "구시대"를 뒤바꿀 수 있는 기회로 보였.

새로운!!: 인권와 프랑스 5월 혁명 · 더보기 »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랑스 혁명 전후에 활약한 주요 인물을 정치적 입장 등을 참고로 하여 분류하였.

새로운!!: 인권와 프랑스 혁명 관련 인물 목록 · 더보기 »

프랑수아 미테랑

랑수아 모리스 아드리앵 마리 미테랑(François Maurice Adrien Marie Mitterrand,, 1916년 10월 26일 - 1996년 1월 8일)는 프랑스 공화국의 21대 대통령이.

새로운!!: 인권와 프랑수아 미테랑 · 더보기 »

프란츠 파농

농(Frantz Fanon, 1925년 7월 20일 ~ 1961년 12월 6일)은 프랑스의 정신과 의사 및 작가이.

새로운!!: 인권와 프란츠 파농 · 더보기 »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

무댜 아난타 투르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프라무디아 아난타 토르, 1925년 2월 6일 ~ 2006년 4월 30일)는 소설, 수필, 역사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집필 활동을 펼친 인도네시아의 작가이.

새로운!!: 인권와 프라무댜 아난타 투르 · 더보기 »

프리메이슨

리메이슨의 심볼 가운데 하나. 컴퍼스와 자는 일찍이 이 조직이 석공 길드였단 것을 말해준다. 오름새 삼각형(컴퍼스)와 하향 삼각형(직각자)이 결합해 형성된 다윗의 별은 남자와 여자, 하늘과 땅, 정신과 물질, 빛과 어둠 등 세계의 이원성의 융화를 표현하고 있다. 중앙의 ‘G’는 히브리어로 하나라는 뜻의 기멜(Gimel)로 우리는 하나라는 뜻이며 또는 지고적 존재, 곧 신(GOD)과 기하학(geometry)을 의미한다. 또한 프리메이슨을 상징하는 건축도구는 각각 인간의 미덕과 대응해 컴퍼스는 진리, 직각자는 도덕, 흙손은 결속과 우애, 몽둥이는 지식이나 지혜를 상징하고 있다. 프리메이슨리("자유 석공 모임"이라는 뜻)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발생한 인도주의적 박애주의를 지향하는 우애단체(fraternity: 친목단체) 혹은 취미 클럽이.

새로운!!: 인권와 프리메이슨 · 더보기 »

선택자유주의

선택자유주의는 기본적으로 말하는 자유주의로 어떤 일에 대해, 어떤 일에 대한 결정에 대해 법률이나 특정한 규율, 규칙등에 얽매이지 않고 본인들의 의사 결정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고자하는 최소한의 자유를 보장해달라는 자유주의 사상을 말.

새로운!!: 인권와 선택자유주의 · 더보기 »

성 차별

1914년 런던에서 연행되는 여성참정권론자 단체 회원. 여성참정권론자 단체는 여성의 투표할 권리를 주장하는 운동을 펼쳤다. 성 차별(性差別)은 성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인권와 성 차별 · 더보기 »

성매매 특별법

성매매 특별법은 2004년 3월 22일에 성매매를 방지하고, 성매매피해자 및 성을 파는 행위를 한 사람의 보호와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에서 제정된 법이.

새로운!!: 인권와 성매매 특별법 · 더보기 »

성공회

성공회(聖公會,,Episcopal Church) 또는 세계성공회공동체(Anglican Communion)는 전 세계 165여 개국, 38개의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성공회(관구)로 이루어진 기독교 교파이며, 신자는 약 1억명으로 추산.

새로운!!: 인권와 성공회 · 더보기 »

성별격리

화장실의 분리는 성별격리의 대표적인 예이다. 성별격리(性別隔離, sex segregation)는 사람을 생물학적 성별에 따라 물리적, 법적, 문화적으로 나누는 것이.

새로운!!: 인권와 성별격리 · 더보기 »

성노예

성노예(性奴隸)는 성적 착취를 위한 목적으로 부리는 인간 노예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인권와 성노예 · 더보기 »

성재기 (활동가)

성재기(成在基, 1967년 9월 11일 (음력 8월 8일) ~ 2013년 7월 26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시민운동가, 남성인권운동가이며 양성평등연대(구 남성연대)의 창립자였.

새로운!!: 인권와 성재기 (활동가) · 더보기 »

성생활

유진 드 브라스 작품 〈바람둥이〉- 유화 판넬 고대 이집트 출산의 신 부조 성생활(性生活)은 남녀 사이에 성적인 관계를 가지는 생활 상태로, 서로의 느낌을 말과 성적인 행동을 통하여 애정을 나누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 성욕과 성행위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며 본능적 행위이.

새로운!!: 인권와 성생활 · 더보기 »

성소수자

성소수자(性少數者)는 사회적 다수인 이성애자, 시스젠더와 비교되는 성적 지향이나 성정체성, 신체 등을 지닌 이들을 말. 성소수자는 동성애자뿐만 아니라 양성애자와 트랜스젠더, 간성, 젠더퀴어, 제3의 성 등 을. 성소수자는 매우 포괄적인 용어이지만, 워낙 다양한 성소수자 집단이 존재하는 관계로 그와 유사하게 사용하거나 하위 집단을 일컫는 다양한 용어와 신조어들이 존재.

새로운!!: 인권와 성소수자 · 더보기 »

성소수자 권리운동

성소수자 권리운동(性少數者權利運動)은 성소수자의 사회적 수용을 목표로 공유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행동을 의미.

새로운!!: 인권와 성소수자 권리운동 · 더보기 »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무지개행동 로고 무지개행동은 2007년 11월 5일 결성된 대한민국 성소수자 단체들의 연맹.

새로운!!: 인권와 성소수자 차별반대 무지개행동 · 더보기 »

세계 인권 선언

엘리너 루스벨트와 세계 인권 선언(1949년) 세계 인권 선언(世界人權宣言,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은 1948년 12월 10일 유엔 총회에서 당시 가입국 58개 국가 중 50개 국가가 찬성하여 채택된 인권에 관한 세계 선언문이.

새로운!!: 인권와 세계 인권 선언 · 더보기 »

세계 사법 센터

세계 사법 센터(GJC)는 인권법을 시행하고 집행함으로써 양성 평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적인 인권 단체이며 인도주의적인 법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세계 사법 센터 · 더보기 »

세계의사회

세계의사회(WMA)는 각국의 의사 중앙 단체를 회원으로 하는 독립된 국제 비정부 기구로서 전 세계 의사들을 대표하는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세계의사회 · 더보기 »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의식()은 대표적으로 특정 국가의 시민으로서 그들의 정체성 위에 글로벌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위치시키는 사람으로 정의.

새로운!!: 인권와 세계시민의식 · 더보기 »

세이브 더 칠드런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은 전 세계의 빈곤아동을 돕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인권와 세이브 더 칠드런 · 더보기 »

서경식

서경식(徐京植, 1951년 ~)은 재일 조선인 저술가이자 작가이.

새로운!!: 인권와 서경식 · 더보기 »

서울시민인권헌장

서울시민인권헌장은 서울시민이 차별받지 않고 누릴 인권을 규정할 선언문이.

새로운!!: 인권와 서울시민인권헌장 · 더보기 »

서울퀴어문화축제

민국의 서울퀴어문화축제(Seoul Queer Culture Festival, SQCF)는 2000년 이래로 서울에서 매년 6월에서 9월 사이 여름에 열리는 성소수자 축제이.

새로운!!: 인권와 서울퀴어문화축제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인권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준식

서준식(徐俊植, 1948년 ~)은 일본 출생의 대한민국 진보 인권운동가이자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인권와 서준식 · 더보기 »

토머스 제퍼슨

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년 4월 13일 ~ 1826년 7월 4일)토머스 제퍼슨의 출생일은 신력인 그레고리력에서 기초한 것이.

새로운!!: 인권와 토머스 제퍼슨 · 더보기 »

소록도

소록도에서 바라본 녹동 소록도(Sorokdo, 小鹿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인권와 소록도 · 더보기 »

소수 권리

소수 권리 (少數權利, 사회적 소수자 내지 소수파의 권리라고도 한다)라는 표현은 두 개의 다른 개념의 구현화이.

새로운!!: 인권와 소수 권리 · 더보기 »

앤드루 영

앤드루 잭슨 영 (Andrew Jackson Young, 1932년 3월 12일~)은 미국의 목사, 인권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인권와 앤드루 영 · 더보기 »

해리엇 터브먼

리엇 터브먼(본명 아라민타 로스(Araminta Ross), 1822년 ~ 1913년 3월 10일)은 노예 해방 운동을 실천한 인권운동가이자 남북 전쟁 당시 활동했던 노예 폐지론자, 스파이.

새로운!!: 인권와 해리엇 터브먼 · 더보기 »

야블로코

시아 통일민주당 "야블로코"()는 러시아의 사회자유주의 정당이.

새로운!!: 인권와 야블로코 · 더보기 »

알바니아

알바니아 (알바니아어: Shqipëri/Shqipëria; 슈치퍼리/슈치퍼리아), 공식적으로는 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共和國, 알바니아어: Republika e Shqipërisë; 레푸블리카 에 슈치퍼리스)은 동남유럽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인권와 알바니아 · 더보기 »

알베르 카뮈

알베르 카뮈(Albert Camus,, 1913년 11월 7일 ~ 1960년 1월 4일)는 프랑스의 피에 누아르 작가, 저널리스트 그리고 철학자이.

새로운!!: 인권와 알베르 카뮈 · 더보기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국기독교교회협의회(韓國基督敎敎會協議會)는 한국교회의 연합정신을 구현하고 에큐메니컬 운동을 위하여 창설된 기독교 협의체를 말. 1924년 9월 24일 당시 장로교와 감리교의 선교연합 구축을 위하여 결성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제의 간섭으로 활동하지 못하였다가 1946년 재발족하였.

새로운!!: 인권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더보기 »

한국이주인권센터

국이주인권센터(Korea Migrant Human Rights Center)는 한국 내 이주민들의 인권보호를 위한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한국이주인권센터 · 더보기 »

한지환 (운동가)

환(韓志煥, 1984년 10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인권 운동가이자 남성주의 운동가이며, 평론가, 젠더 연구가이.

새로운!!: 인권와 한지환 (운동가) · 더보기 »

한채윤 (1972년)

윤(1972년 ~)은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시민운동가, 출판인이자 작가, 성 상담가이.

새로운!!: 인권와 한채윤 (1972년) · 더보기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드미트리예비치 사하로프(1921년 5월 21일 ~ 1989년 12월 14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유명한 핵물리학자, 반체제 활동가, 인권 활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안드레이 사하로프 · 더보기 »

안디잔 대학살

안디잔 대학살()은 2005년 우즈베키스탄의 안디잔에서 있었던 대학살 사건이었.

새로운!!: 인권와 안디잔 대학살 · 더보기 »

하느님의 선교

의 선교()또는 하나님의 선교는 선교의 목적이 비 기독교 신자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에서 소외받으며 억압과 착취로 고통받는 민중들에게 관심을 갖고 봉사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선교이.

새로운!!: 인권와 하느님의 선교 · 더보기 »

하마스

마스(Hamas)는 이슬람 저항 운동 단체이.

새로운!!: 인권와 하마스 · 더보기 »

암브로시우스

암브로시우스(340년?~397년 4월 4일) 또는 성 암브로스(Ambrose)는 4세기에 활동한 서방 교회의 4대 교부 중 한 사람으로서 법률가이자 밀라노의 주교이.

새로운!!: 인권와 암브로시우스 · 더보기 »

아랍의 봄

아랍의 봄()은 전례가 없는 시위 운동 및 혁명의 물결로, 2010년 12월 이래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난 반정부 시위들이.

새로운!!: 인권와 아랍의 봄 · 더보기 »

아동 권리

아동 권리(兒童權利)는 아동이 가진 인권이며, 아동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보호와 관리에 대한 배려이.

새로운!!: 인권와 아동 권리 · 더보기 »

아동 노동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뉴베리의 몰로한 공장에서 일하는 어린 방적공, 1908년 12월. 아동 노동(兒童勞動) 또는 어린이 노동은 5∼17살의 빈곤층 미성년자의 노동을 가리.

새로운!!: 인권와 아동 노동 · 더보기 »

아레사 프랭클린

아레사 프랭클린(1942년 3월 25일 ~)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이.

새로운!!: 인권와 아레사 프랭클린 · 더보기 »

아르헨티나의 역사

아르헨티나의 역사는 콜롬버스 이전기 또는 역사 초기(1516 이전), 식민지 시기(1516 - 1810), 독립전쟁과 후기 식민지 시기(1810 - 1880), 1880년 이후부에노스 아이레스 카빌도. 독립 선언으로 이어지는 1864년의 결의 장면 의 현대 역사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

새로운!!: 인권와 아르헨티나의 역사 · 더보기 »

아모스서

아모스는 구약성경의 일부이.

새로운!!: 인권와 아모스서 · 더보기 »

아바즈 (시민 단체)

아바즈(Avaaz)는 2007년도에 설립된 글로벌 시민 단체로 기후변화, 인권, 동물의 권리, 부패, 빈곤 및 분쟁 관련 이슈에 대한 활동을 촉구하고 있. 아바즈의 강령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세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세상 사이의 격차 줄이기"이.

새로운!!: 인권와 아바즈 (시민 단체) · 더보기 »

아브라함

아들 이삭을 죽이려는 아브라함 아브라함(BC2166?~BC1991?)은 유대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스라엘인과 아랍인은 모두 그를 선조로 주장.

새로운!!: 인권와 아브라함 · 더보기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아우구스토 호세 라몬 피노체트 우가르테(1915년 11월 25일 - 2006년 12월 10일)피노체트는 자신의 이름 'Pinochet'에서 't'를 발음하지 않. 유튜브 동영상을 참조할 것. https://www.youtube.com/watch?v.

새로운!!: 인권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더보기 »

압둘 라시드 도스툼

압둘 라시드 도스툼(Abdul Rashid Dostum 또는 Abdurrashid Dostum, 다리어와,, 1954년 ~) 장군은 아프가니스탄 국방차관을 지낸 적이 있는 우즈벡족 군벌이자, 아프가니스탄 민족 이슬람 운동(National Islamic Movement Afghanistan)의 지도자이.

새로운!!: 인권와 압둘 라시드 도스툼 · 더보기 »

악성 댓글

악성 댓글(惡性댓글) 또는 악성 리플(惡性reply, 간단히 악플)은 사이버 범죄의 일종으로 인터넷상에서 상대방이 올린 글에 대한 비방이나 험담을 하는 악의적인 댓글을 말. 악성 댓글은 언어폭력으로, 근거를 갖춘 부정적 평가와는 구별해야.

새로운!!: 인권와 악성 댓글 · 더보기 »

식민주의 심리학

식민주의 심리학의 문제 의식은 프란츠 파농의 검은 얼굴 하얀 가면으로 인해 제기된 것이.

새로운!!: 인권와 식민주의 심리학 · 더보기 »

식객

《식객》(食客)은 만화가 허영만 화백의 작품으로, 갖가지 음식 및 요리 재료를 주제로 한 만화이.

새로운!!: 인권와 식객 · 더보기 »

신의 저항군

신의 저항군(神의 抵抗軍, Lord's Resistance Army; LRA) 또는 주의 저항군(主의 抵抗軍)은 우간다 북부 및 남수단에서 활동하는 기독교 근본주의 군사집단으로, 일종의 신흥종교 내지 사이비종교의 성격을 띠고 있. 수괴는 조지프 코니이.

새로운!!: 인권와 신의 저항군 · 더보기 »

신행정론

신행정론 또는 신행정학(New Public Administration)은 1960년대 말 일단의 미국의 젊은 행정학자들이 기존 행정학의 학문 방법과 개념, 연구의 적실성(適實性) 등을 비판하면서 일으킨 새로운 학문 지향을 말. 이들은 행정에 있어서의 실증주의와 행동주의를 반대하고 적실성과 실천성을 갖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고 주장.

새로운!!: 인권와 신행정론 · 더보기 »

시민자유

시민자유(市民自由)는 기본적인 인권의 하나이며, 국가에서 제한하거나 강제되지 않고 자유롭게 일을 하며, 생각하고,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말. 봉건제, 절대군주제 국가들이 붕괴하면서 과거 영국 권리장전·미국 독립 선언·프랑스 인권 선언에서 기본적 자유의 보호를 위한 협약과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이 법적으로 보장되어 오늘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 내용은 인간의 자유에 해당하는 모든 것을 이르러 그 목록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인간의 자유적 행동을 위해원칙에 따라 모든 면에서 보장한다는 내용이.

새로운!!: 인권와 시민자유 · 더보기 »

후쿠다 다카유키

후쿠다 다카유키()는 1999년 4월 14일에 만 18세 1개월의 나이로, 일본 히카리 시의 주택에 침입해 만 23세의 주부와 그녀의 11개월 된 딸을 살해한 일본의 사형수이.

새로운!!: 인권와 후쿠다 다카유키 · 더보기 »

왕단

왕단 왕단의 서명 왕단(王丹, 1969년 2월 26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은 중국의 반체제 인사 겸 인권 운동가이.

새로운!!: 인권와 왕단 · 더보기 »

10월 유신

10월 유신(十月維新)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大統領特別宣言)을 발표한 것을 말. 박정희는 이 선언에서 4가지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이러한 비상조치 아래 위헌적 절차에 의한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 제3공화국 헌법을 파괴했는데, 이때의 헌법을 유신 헌법(維新憲法)이라 하며, 유신 헌법이 발효된 기간을 유신 체제(維新體制), 유신 독재(維新獨裁)라고 부른.

새로운!!: 인권와 10월 유신 · 더보기 »

1989년 루마니아 혁명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은 1989년 12월에 루마니아에서 발생한 민중 혁명을 말. 루마니아 민주 혁명 또는 루마니아 정변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인권와 1989년 루마니아 혁명 · 더보기 »

1989년 혁명

1989년 혁명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 초까지 발생한 혁명의 물결의 일부로 동유럽과 기타 지역의 공산정권을 붕괴시키게 된 결과를 낳았.

새로운!!: 인권와 1989년 혁명 · 더보기 »

2014–2017년 베네수엘라 시위

2014년 베네수엘라 시위 (2014 Venezuela protests, 12F. Infobae 혹은 The Exit로 칭함)는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에 대한 시민들의 시위 행력을 일컫.

새로운!!: 인권와 2014–2017년 베네수엘라 시위 · 더보기 »

2014년 신안군 염전 섬노예 사건

200px 2014년 신안군 염전 섬노예 사건(新安郡 鹽田 奴隷 事件)은 2014년 1월 28일 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하태동리의 한 염전에서 임금 체납과 감금으로 혹사당하던 장애인 2명이 경찰에 구출된 사건이.

새로운!!: 인권와 2014년 신안군 염전 섬노예 사건 · 더보기 »

3월 7일

3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6번째(윤년일 경우 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인권와 3월 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인권적 접근, 사람의 권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