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색인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유형문화재 중에서 인천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46 처지: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 강화 보문사 석실, 강화 적석사 사적비,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강화 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 강화 솔정리 고씨가옥, 강화향교, 건칠여래좌상, 관음좌상,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인천 유형문화재 제75호), 분오리돈대, 부평도호부청사, 부평향교, 김재로 영정,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교동향교, 구 인천 일본 18은행 지점, 구 인천 일본 제일 은행 지점, 구 일본 58은행 지점, 구제물포구락부, 논현포대, 용궁사, 용흥궁, 인천 백련정사 칠성도, 인천 용궁사 수월관음도, 인천 송암미술관 시왕도, 인천도호부청사, 인천문학초등학교, 인천부평초등학교, 인천창영초등학교, 인천향교, 정우량 영정, 창영초등학교 구 교사, 충렬사 (강화군), 팔미도, 팔미도 등대, 택지돈대,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연미정, 삼암돈대, 선문염송설화 권1-30, 성공회 내동성당, 심즙 신도비, 후애돈대, 홍예문.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江華 普門寺 磨崖觀音菩薩坐像)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보문사에 있는, 바위에 새긴 관음보살 좌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보문사 마애관음보살좌상 · 더보기 »

강화 보문사 석실

보문사 석실(普門寺 石室)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보문사에 있는 석굴사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보문사 석실 · 더보기 »

강화 적석사 사적비

강화 적석사 사적비((江華 積石寺 事蹟碑)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고촌리, 적석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다. 2001년 4월 2일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적석사 사적비 · 더보기 »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江華 傳燈寺 大雄寶殿 須彌壇)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수미단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수미단 · 더보기 »

강화 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

강화 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 약사전에 있는 석불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전등사 약사전 석불좌상 · 더보기 »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江華 온수리 聖公會 司祭館)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 · 더보기 »

강화 솔정리 고씨가옥

강화 솔정리 고씨가옥(江華 率丁里 高氏家屋)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송해면 솔정리에 있는 가옥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 솔정리 고씨가옥 · 더보기 »

강화향교

강화향교(江華鄕校)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강화향교 · 더보기 »

건칠여래좌상

여래좌상(乾漆如來坐像)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 있는 불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건칠여래좌상 · 더보기 »

관음좌상

음좌상(觀音坐像)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관음좌상 · 더보기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인천 유형문화재 제75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은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흥륜사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인천 유형문화재 제75호) · 더보기 »

분오리돈대

분오리돈대(分五里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분오리돈대 · 더보기 »

부평도호부청사

부평도호부청사(富平都護府廳舍)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인천부평초등학교에 있는 관아건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부평도호부청사 · 더보기 »

부평향교

부평향교(富平鄕校)는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향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부평향교 · 더보기 »

김재로 영정

재로 영정(金在魯 影幀)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던 조선시대 김재로의 영정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김재로 영정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성공회 온수리성당(溫水里聖堂)은 1906년에 건립된 대한성공회의 한옥 성당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대한성공회 온수리성당 · 더보기 »

교동향교

동향교(喬桐鄕校)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교동향교 · 더보기 »

구 인천 일본 18은행 지점

인천일본18은행지점(舊仁川日本一八銀行支店)은 인천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있는 1890년 10월에 개점하였던 일본 은행이며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50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구 인천 일본 18은행 지점 · 더보기 »

구 인천 일본 제일 은행 지점

인천 일본 제일 은행 지점(舊仁川日本第一銀行支店)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일본 제일 은행의 지점으로 쓰이던 건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구 인천 일본 제일 은행 지점 · 더보기 »

구 일본 58은행 지점

일본 58은행 지점(舊日本第五八銀行支店)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일본 제58은행의 인천 지점으로 쓰이던 건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구 일본 58은행 지점 · 더보기 »

구제물포구락부

제물포구락부(舊濟物浦俱樂部)는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에 있는 1901년 인천에 거주하던 외국인의 사교장으로 지어진 건물이며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7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구제물포구락부 · 더보기 »

논현포대

현포대(論峴砲臺)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포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논현포대 · 더보기 »

용궁사

용궁사(龍宮寺)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 백운산 동북쪽에 소재한 사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용궁사 · 더보기 »

용흥궁

용흥궁(龍興宮)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용흥궁 · 더보기 »

인천 백련정사 칠성도

인천 백련정사 칠성도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백련정사에 있는 불화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 백련정사 칠성도 · 더보기 »

인천 용궁사 수월관음도

인천 용궁사 수월관음도(仁川 龍宮寺 水月觀音圖)는 1880년에 축연(竺演)과 종현(宗現)이 조성한 수월관음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 용궁사 수월관음도 · 더보기 »

인천 송암미술관 시왕도

시왕도(十王圖)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송암미술관에 있는 시왕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 송암미술관 시왕도 · 더보기 »

인천도호부청사

인천도호부청사(仁川都護府廳舍)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조선시대 지방 관청 건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도호부청사 · 더보기 »

인천문학초등학교

인천문학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문학초등학교 · 더보기 »

인천부평초등학교

인천부평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부평초등학교 · 더보기 »

인천창영초등학교

인천창영초등학교는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창영초등학교 · 더보기 »

인천향교

인천향교(仁川鄕校)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조선시대 향교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인천향교 · 더보기 »

정우량 영정

정우량 영정(鄭羽良 影幀)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정우량 영정 · 더보기 »

창영초등학교 구 교사

창영초등학교 구 교사(昌榮國校 舊 校舍)는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창영초등학교)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창영초등학교 구 교사 · 더보기 »

충렬사 (강화군)

충렬사(忠烈祠)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에 있는 사우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충렬사 (강화군) · 더보기 »

팔미도

미도(八尾島)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 위치한 면적 75,670 m²의 무인도로, 인천항에서 약 15.7 km, 무의도에서 약 900 m 떨어져 있.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팔미도 · 더보기 »

팔미도 등대

미도 등대(八尾島 燈臺)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팔미도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등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팔미도 등대 · 더보기 »

택지돈대

택지돈대(宅只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택지돈대 · 더보기 »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영화초등학교 본관동(永化初等學校 本館棟)은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 영화초등학교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영화초등학교 본관동 · 더보기 »

연미정

연미정(燕尾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누정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연미정 · 더보기 »

삼암돈대

삼암돈대(三岩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삼암돈대 · 더보기 »

선문염송설화 권1-30

선문염송설화 권1-30(禪門拈頌說話 券一-三十)은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법명사에 있는 불경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선문염송설화 권1-30 · 더보기 »

성공회 내동성당

성공회 내동성당(內洞聖堂) 또는 대한성공회 내동교회는 1891년 9월 30일에 지어진성당 안에 있는 인천 성공회(인천 최초의 성공회) 비석 한국 최초의 성공회 교회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성공회 내동성당 · 더보기 »

심즙 신도비

심즙 신도비(沈楫 神道碑)는 인천광역시 서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신도비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심즙 신도비 · 더보기 »

후애돈대

후애돈대(後崖墩臺)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돈대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후애돈대 · 더보기 »

홍예문

홍예문(虹霓門)은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의 1908년에 화강암으로 축조된 아치형 터널이며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49호이.

새로운!!: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와 홍예문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호 ~ 제100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