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자 (이름)

색인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1061 처지: 능통, 덕흥대원군, 도겸 (삼국지), 도상 (후한), 도황, 동방삭, 동고 서사선, 동공 (전한), 동궐, 동부 (후한), 동습, 동평군, 동진 명제, 동진 강제, 동진 성제, 동진 안제, 동윤, 동탁, 동소, 동안국, 동화 (후한), 루하오둥, 뤄전위, 류덕장, 류방택, 류경 (고려), 류공권, 류스페이, 류희분, 류순, 류성룡, 리서우신 (1892년), 린썬, 맹달, 맹욱, 맹지상, 맹염, 만검, 만분, 만욱, 만창, 만위, 마량, 마가 (전한), 마궁 (전한), 마등, 마일제, 마적건, 마천목, 마초 (촉한), ..., 마융, 마영, 마속, 모개, 모용덕, 모용각, 모용보, 모용희, 모용수, 모용성, 모용황, 명자, 명조, 무도황후, 무마시, 무양 (경조윤), 무사황후, 무원황후, 문빙, 문평군, 문인습, 문종 (월), 묘호, 미방, 민욱 (당나라), 감녕, 감연수, 방덕, 방효유, 방진 (전한), 방상, 방현령, 방통, 배극렴, 배구 (547년), 배잠, 배정지, 배수 (서진), 백리숭, 백문절, 반용, 반장 (동오), 반준, 갑관요, 갑훈, 바진, 바오다이 황제, 간옹, 강로, 박용 (1468년), 강우규, 강일순, 박응순, 박지원 (1737년), 강충 (전한), 강유, 박태한, 강순, 가명, 가후, 견존, 견순, 범륭, 범방, 범방거, 범연수, 범엽, 고려 덕종, 고려 목종, 고려 명종, 고려 문종, 고려 강종, 고려 경종, 고려 고종, 고려 광종, 고려 희종, 고려 인종, 고려 의종, 고려 정종 (10대), 고려 정종 (3대), 고려 충숙왕, 고려 충선왕, 고려 태조, 고려 순종, 고려 숙종, 고려 혜종, 고려 현종, 고려 선종, 고려 성종, 고려 원종, 고간 (후한), 고경, 고구려-위 전쟁, 고담 (동오), 고당융, 고영희 (1849년), 고옹, 고소 (동오), 고후, 보즐, 보천, 보숙승, 곽도, 곽가, 곽회, 곽재우, 곽희 (후한), 곽익, 곽준 (후한), 곽진 (후한), 곽혁, 곽선, 공량유, 복리 (전한), 공광, 복담, 복승, 공승, 공자, 공자진, 공주 (후한), 공융, 공수 (전한), 공영달, 복양흥, 공손도, 공손록, 공손룡 (춘추), 공손찬, 공손하, 공안국, 병길, 병단, 병창, 병현, 병한, 별명, 변영만, 변양, 괴량, 괴월, 광평대군, 광지대선사, 광함, 봉기, 봉신, 관로 (인물), 관부, 관구검, 관녕, 관우, 관흥, 관징량, 권람, 권복 (조선 전기), 권율, 부여융, 부하, 규단, 기대승, 급암, 글염, 비관, 비의, 비시 (촉한), 김병연, 김규진 (서화가), 김용겸, 김이, 김일제, 김익겸, 김저 (1512년), 김조순, 김좌근, 김좌진, 김종수 (1728년), 김종서 (1383년), 김중청, 김진화 (1793년), 김충선, 김유근, 김윤식 (1835년), 김상 (후한), 김호 (1534년), 김사형, 김석신, 김선 (후한), 김서현, 김시묵, 김시민, 김시습, 뜨득 황제, 대명세, 대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원공, 누현, 교망, 교모, 교인, 교현, 구참, 구치관, 구양흡, 구양생, 구양여, 구사맹, 국연 (태복), 두목, 두경, 두보, 두기 (백후), 두기 (공량), 두습, 두순학, 두영, 두여회, 두연년, 두업 (군도), 두서, 둔막여, 남궁옥 (무신), 남연군, 내민, 내염, 나카이 지쿠잔, 나헌, 낙통, 등빙, 등자룡, 등의, 등지, 등처눌, 등성, 등애, 노숙, 노식, 다이지타오, 담사동, 담약수, 당 고조, 당은군 (1562년), 당숙 우, 효령대군, 효혜황후 (전한), 우문헌, 우문사급, 우방, 우번, 우금, 우군칙, 우정국 (전한), 우중문, 우상 (전한), 우사 (동오), 울지공, 울지형, 회원군 (1464년), 요기 (후한), 요장, 요흥, , 자로, 자공, 자산 (춘추), 장도 (후한), 장로 (명나라), 장로 (후한), 장료, 장막 (후한), 장범, 장비, 장구 (숙), 장굉, 장굉 (전한), 장담 (전한), 장우 (신), 장승 (동오), 장흠, 장흠 (후한), 장희백, 장익 (촉한), 장제 (동오), 장제 (조위), 장제 (원강), 장전의, 장존, 장초 (자병), 장충 (전한), 장윤신, 장패, 장휴, 장영 (조선), 장호 (지명), 장예, 장억, 장연 (태위), 장산부, 장송, 장소, 장합, 장웨이궈, 장홍범 (1238년), 장화 (서진), 장완, 재풍, 펑위샹, 임굉, 임정 (891년), 임준, 임춘, 임영대군, 임외, 포욱 (후한), 포승지, 포훈, 평당, 평원대군, 흥선대원군, 이덕형 (1561년), 이미지, 이각 (후한), 이백약, 이강 (전한), 이밀, 이거이, 이범석 (1900년), 이복, 이괄, 이교익, 이승, 이회 (촉한), 이희승, 이이, 이이첨, 이인상, 이인한, 이일, 이응 (후한), 이적 (촉한), 이제마, 이제현, 이전 (후한), 이정국 (1620년), 이조헌, 이종 (전한), 이주세륭, 이천 (고려 문신), 이천보, 이유 (후한), 이순지, 이순신, 이순신 (1553년), 이숙번, 이억기, 이엄, 이풍 (조위), 이선란, 이성 (당나라), 이통 (삼국지), 이항복, 이한철 (화가), 이하전, 이원익, 이후원, 이황, 이완 (1602년), 인평대군, 인흥군 (왕족), 의민태자, 의창군 (이광), 익성군 (1566년), 응거, 응정, 응창, 응첨, 응소, 적맹, 적방진, 적선 (전한), 제갈량, 제갈각, 제갈근, 제갈정, 제갈탄, 제갈풍, 제안대군, 전광명, 전종, 전주 (후한), 전청천, 전예, 전연년, 전풍, 전손사, 전한 무제, 전한 선제, 정 무공, 정 영공, 정 여공, 정 소공, 정도전, 정미수, 정밀, 정보 (삼국지), 정공 (후한), 정병 (동오), 정괄, 정봉, 정관 (전한), 정관잉, 정극영, 정기, 정담수, 정당시, 정욱 (조위), 정이주, 정의 (삼국지), 정지연 (조선), 정창 (전한), 정철, 정충, 정태, 정수영 (1743년), 정혼, 정현 (후한), 정양군 (1442년), 정헌 (전한), 정소동 (조위), 정약용, 정약현, 정후겸, 정홍 (전한), 저우웨이량, 조모, 조목, 조무, 조문명, 조방, 조박, 조병현, 조병식, 조광조, 조기 (빈경), 조비, 조운 (촉한), 조회 (전한), 조인, 조인규, 조흔 (군위), 조전, 조조, 조중회, 조증수, 조진, 조참, 조창 (전한), 조충 (1171년), 조충국, 조충지, 조상 (조위), 조상경 (1681년), 조순 (후한), 조영하, 조온 (후한), 조호 (전한), 조예, 조현 (전한), 조엄 (조위), 조표 (전한), 조선 덕종, 조선 명종, 조선 문조, 조선 문종, 조선 경종,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인종, 조선 정조, 조선 정종, 조선 중종, 조선 철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순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예종, 조선 헌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성하 (1845년), 조소앙, 조아킴 부베, 조앙 (자수), 조앙 (위장), 조홍, 조환, 조확, 좌자, 종리목, 종백봉, 종구, 종회, 종요, 종원, 주더, 주덕위, 주돈이, 주감, 주거 (동오), 주경, 주법상, 주비 (삼국지), 주우 (삼국지), 주재, 주읍, 주이 (동오), 주인 (전한), 주흔, 주준, 주충, 주치 (동오), 주유, 주태, 주수, 주연 (동오), 주삭, 주세걸, 주악, 주환 (후한), 중국인민해방군 대장, 중항언, 준불의, 증국번, 진 목후, 진 문후, 진 여후, 진 헌후, 진림, 진만년, 진무 (후한), 진무성, 진밀, 진경 (전한), 진번 (후한), 진궁, 진규, 진군, 진우, 진힐, 진진 (촉한), 진지 (촉한), 진태, 진수 (전한), 진수 (서진), 진온 (삼국지), 진헌장, 진표 (동오), 진송, 진화 (동오), 채중 (정), 채염, 천궈푸, 천두슈, 천치차이, 천사오보, 초 자오, 충고, 충소, 추근, 축염, 판타인잔, 유덕 (종정), 유방 (조위), 유개 (백예), 유건봉, 유벽강 (종정), 유경기 (양성희후), 유복 (후한), 유계 (동음이의), 유광 (후한), 유기 (동오), 유기 (숙준), 유비, 유대 (연주자사), 유대 (사공장사), 유교 (종정), 유교 (초원왕), 유구 (후한), 유군, 유굉 (종백), 유우 (후한), 유요 (광록훈), 유요 (후한), 유잠, 유장 (삼국지), 유흡, 유이 (조위), 유인 (제무왕), 유일 (후한), 유정 (후한), 유지겸, 유파, 유위 (전한), 유수 (백장), 유숙 (1827년), 유오 (후한), 유언 (삼국지), 유염, 유엽, 유표, 유선 (촉한), 유송 무제, 유송 순제, 유소 (조위), 유훈, 유후, 유홍 (자고), 육개, 육우, 육적, 육엽, 육손, 육항, 윤목 (후한), 윤문거, 윤봉 (후한), 윤봉구, 윤근, 윤근수, 윤대목, 윤두수, 윤잠, 윤이지 (1579년), 윤충 (전한), 윤옹귀, 윤소종, 윤황, 팽양, 팽월, 파연수, 위강 (후한), 위등, 위단, 위자 (후한), 위장 (전한), 위정 (후한), 위진, 위탄, 위현, 위현성, 위연, 위안스카이, 위안커원, 위원 (1794년), 상랑, 상림, 상거, 태사자, 태사향, 숭선군, 순개, 순우장, 순우신, 순욱, 순의, 순천군 (1518년), 순유, 순위 (조위), 순심, 수의 (전한), 숙량흘, 숙중회, 숙순, 숙향, 숙손통, 숙황, 영응대군, 영순군, 영호우, 혁현, 오반, 오규 소라이, 오구수왕, 오용, 오자서, 오의, 오질, 온회, 온순, 호 (이름), 호모반, 호종, 호주 (조위), 호질 (조위), 혜강, 옌자간, 예형, 예안 김씨, 현덕, 현수, 형목, 최림, 최립, 최남선, 최인, 최치원, 최열 (후한), 최염, 최원 (후한), 어세겸, 양병, 양병 (조위), 양부, 양기, 양구하, 양녕대군, 양담, 양운, 양습, 양희 (촉한), 양준 (조위), 양진 (후한), 양창, 양카이후이, 양휘, 양상 (전한), 양수 (후한), 양호 (삼국지), 양행밀, 양허링, 양웅, 여몽, 여거, 여건 (삼국지), 여대 (동오), 여우례, 여포, 역기 (전한), 연령군, 연갱요, 연녕, 염포 (전한), 염숭, 염행, 허광한, 허균, 허욱 (후한), 허저, 허징, 허유, 허상 (전한), 허소, 허항, 허신 (후한), 허훈 (후한), 허화평, 엄흔 (전한), 엄준, 엄팽조, 엄연년 (장손), 쑨커, 쑹자수, 쑹자오런, 쑹쯔량, 풍도 (정치가), 풍야왕, 사림 (전한), 사마랑, 사마륜, 사마망, 사마방, 사마부, 사마의, 사마주, 사마천, 사마휘, 사마사, 사마소, 사요, 사주국, 사섭, 사토 노부히로, 사환, 피휘, 석도, 석숭, 석현 (전한), 석성 (명나라), 선기, 선우황, 설례, 설거정, 설제, 설종, 설총, 설세웅, 설신, 성준 (조선), 성윤, 성사달, 서명선, 서광범, 서인 (전한), 서정 (동오), 서정 (전한), 서유방, 서온, 서양 (전한), 서성, 서서, 서송 (전한), 서소, 서황, 손량, 손랑 (후한), 손건, 손건 (신), 손견, 손보 (전한), 손보 (후한), 손권, 손교, 손등, 손노반, 손운, 손자 (조위), 손의, 손정, 손책, 손휴, 손숙오, 손호, 손소 (공례), 손소 (장서), 손하, 손신, 손환 (계명), 손완, 송기 (전한), 송평, 송익필, 송상현 (1551년), 소망지, 소감 (후한), 소정방, 소칙, 소함, 소신신, 통주 양씨, 통칭명, 항우, 해안군, 야율대석, 야율적로, 한 경시제, 한립, 한백록, 한계희, 한규설, 한기 (조위),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단순, 한당, 한용, 한용운, 한종유, 한융, 한수 (후한), 한호, 한호 (삼국지), 한형, 한형운, 한언, 한연, 한연수 (전한), 한열, 한안국, 한훈 (전한), 안경공 (여말선초), 안경수 (1853년), 안고 (춘추), 안평대군, 안사고, 안원대군, 하묘, 하근, 하응림, 하진, 하상, 하오, 하후돈, 하후무, 하후패, 하후휘, 하후상, 하후혜, 하후현, 하후연, 하후화, 필유, 악진, 학보, 학당 (전한), 학소, 쉬잉쭝, 쉬융창, 신돌석, 신도반, 신도박, 신무, 신기선 (1851년), 신비 (조위), 신평 (후한), 신익성, 신정 (춘추), 신탐, 심배, 시마즈 히사미쓰, 시적, 시호, 원봉 (후한), 원균, 원교 (동진), 원담, 원천군 (1533년), 원유 (삼국지), 원상 (후한), 원술, 원성, 원소 (후한), 원앙 (전한), 원외, 후막진숭, 후경, 후창 (전한), 후한 광무제, 후한 헌제, 홍무제, 홍국영, 홍낙순, 홍담, 홍재룡, 홍양길, 홍석주, 홍세태, 황개, 황보 (전한), 황보밀, 황권, 황효원, 황충, 황패, 황순원, 황현, 외효, 환범, 환계, 환우, 환전 (후한), 환온, 환현 (동진), 화흠, 화흡, 화의군, 화타, 화양홍, 완우, 완얀 우야수, 완원대군, 왕랑, 왕릉 (조위), 왕망, 왕망 (치숙), 왕민 (후한), 왕발, 왕경 (조위), 왕공 (전한), 왕공 (후한), 왕광 (후한), 왕기 (백여), 왕운, 왕장 (자연), 왕장 (중경), 왕장 (유공), 왕평 (전한), 왕일, 왕준 (군공), 왕준 (서진), 왕창 (치빈), 왕초 (전한), 왕충 (후한), 왕상 (희백), 왕상 (중자), 왕상 (휴징), 왕상 (소공), 왕숙, 왕혼, 왕예 (후한), 왕현 (전한), 왕언장, 왕연균, 왕연수, 왕연세, 왕세충, 왕함 (태상), 왕안 (전한), 왕웅 (원백).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11 더) »

능통

능통(淩統, 189년 ~ 217년)은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공적(公績)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여항현(餘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능통 · 더보기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새로운!!: 자 (이름)와 덕흥대원군 · 더보기 »

도겸 (삼국지)

(陶謙, 132년 ~ 194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조(恭祖)이며 단양군 단양현(丹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도겸 (삼국지) · 더보기 »

도상 (후한)

상(度尚, 117년 ~ 166년)은 중국 후한 중기 ~ 후기의 군인이자 관료로, 자는 박평(博平)이며 산양군 호륙현(胡陸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도상 (후한) · 더보기 »

도황

황(陶璜, ? ~ ?)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세영(世英)이며 양주 단양군 말릉현(秣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도황 · 더보기 »

동방삭

230px 동방 삭(東方朔, 기원전 154년 ~ 기원전 92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만천(曼倩)이며 평원군 염차현(厭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방삭 · 더보기 »

동고 서사선

서사선(徐思選, 1579년 10월 11일 ~ 1651년 7월 17일)은 조선 중기 의병, 유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고 서사선 · 더보기 »

동공 (전한)

동공(董恭,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맹(君孟)이며, 좌풍익 운양현(雲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공 (전한) · 더보기 »

동궐

동궐(董厥, ? ~ ?)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蜀漢) ~ 서진(西晉)의 정치가이자 무장으로, 자는 공습(龔襲)이며, 형주(荊州) 남양군(南陽郡) 의양현(義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궐 · 더보기 »

동부 (후한)

동부(董扶, ? ~ ?)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무안(茂安)이며 익주 광한군 면죽현(綿竹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부 (후한) · 더보기 »

동습

동습(董襲,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원세(元世) 또는 원대(元代)이며 회계군 여요현(餘姚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습 · 더보기 »

동평군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 1660년 음력 4월 8일 ~ 1701년 음력 11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겸 시인이자 서예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평군 · 더보기 »

동진 명제

숙조 명황제 사마소(晉 肅祖 明皇帝 司馬紹, 299년 ~ 325년)는 중국 동진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진 명제 · 더보기 »

동진 강제

강황제 사마악(晉 康皇帝 司馬岳)은 중국 동진의 제4대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진 강제 · 더보기 »

동진 성제

현종 성황제 사마연(晉 顯宗 成皇帝 司馬衍)은 동진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진 성제 · 더보기 »

동진 안제

안황제 사마덕종(晉 安皇帝 司馬德宗)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동진의 제10대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진 안제 · 더보기 »

동윤

동윤(董允, ? ~ 246년)은 촉한의 관료로, 자는 휴소(休昭)이며 남군 지강현(枝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윤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탁 · 더보기 »

동소

동소(董昭, 156년 ~ 236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의 정치가로, 자는 공인(公仁)이며 연주(兗州) 제음군(濟陰郡) 정도현(定陶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소 · 더보기 »

동안국

동안국(董安國, ? ~ ?)은 전한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안국 · 더보기 »

동화 (후한)

동화(董和,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유재(幼宰)이며 남군 지강현(枝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동화 (후한) · 더보기 »

루하오둥

오둥(陸皓東, 육호동, 본명(本名)은 루중구이(陸中桂, 육중계), 1868년 9월 30일 ~ 1895년 11월 7일)은 중국 청(淸) 왕조 시대 흥중회(興中會) 소속 혁명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루하오둥 · 더보기 »

뤄전위

전위 뤄전위(1866년 8월 8일 ~ 1940년 5월 14일)는 중국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만주국 등지에서 활동한 고고학자, 문헌학자, 금석학자, 골동품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뤄전위 · 더보기 »

류덕장

덕장(柳德章, 1675년 ~ 1756년)은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덕장 · 더보기 »

류방택

방택(柳方澤, 1320년 ~ 1402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관리·천문학자·공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방택 · 더보기 »

류경 (고려)

경(柳璥, 1211년 ~ 1289년)은 고려 중기,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천년(天年) 혹은 장지(藏之)이며,시호는 문정이.본관은 문화(文化)이.1259년 최씨무신정권 62년을 종식시키고 고려왕권을 고종에게 회복시킨 인물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경 (고려) · 더보기 »

류공권

공권(柳公權, 1132년 ~ 1196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공권 · 더보기 »

류스페이

스페이 류스페이(1884년 6월 24일 ~ 1919년 11월 20일)는 중국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초기까지 활동한 혁명가, 유학자,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스페이 · 더보기 »

류희분

희분(柳希奮, 1564년 ~ 1623년)은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희분 · 더보기 »

류순

순(柳洵, 1441년 ~ 1517년)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희명(希明), 호는 노포(老圃), 본관은 문화(文化)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순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류성룡 · 더보기 »

리서우신 (1892년)

리서우신(李守信, 1892년 7월 11일 ~ 1970년 5월 20일)은 몽강국 국가부주석 및 군벌 정치가를 지낸 중화인민공화국의 반공주의자이자 몽골 시민권자 신분의 중화인민공화국 반체제 운동가였으며 예비역 만주국 육군 원수였.

새로운!!: 자 (이름)와 리서우신 (1892년) · 더보기 »

린썬

린썬(林森, 임삼, 1868년 3월 16일 ~ 1943년 8월 1일)은 중국 청나라의 혁명운동가 겸 사회운동가이자 중화민국의 정치가이며 前 중화민국 국가주석이.

새로운!!: 자 (이름)와 린썬 · 더보기 »

맹달

맹달(孟達, ? ~ 22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사례 우부풍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맹달 · 더보기 »

맹욱

맹욱(孟𢒰, 孟郁,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숙달(叔達) 또는 경달(敬達)이며 하남윤 언사현(偃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맹욱 · 더보기 »

맹지상

후촉 고조 맹지상(後蜀高祖 孟知祥, 874년 5월 10일 ~ 934년 5월 24일)은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창건자이자 초대 황제였다. 그는 당초 후당의 장군이었으며, 후당의 개국 황제 장종 이존욱의 큰누나 또는 사촌《신오대사》・《자치통감》・《십국춘추》등과 같은 많은 역사 기록에서는 맹지상의 아내가 이극용의 동생 이극양의 딸로 나타나 있는 반면, 그녀의 묘지에는 이극용과 정간황태후 조씨 소생의 딸로 나타나 있다.과 결혼하였고, 장종의 전촉 원정 이후에는 서천절도사(西川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쓰촨 성 청두 시)를 지냈으나, 장종 사후 장종의 의형이자 후계자인 명종 이사원과 소원해졌다. 나중에는 명종의 추밀사(樞密使) 안중회의 비난이 두려워서, 동천절도사(東川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쓰촨 성 몐양 시) 동장과 결탁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맹・동 연합군은 그들을 진압하려는 후당의 시도를 물리칠 수 있었고, 맹지상은 나중에 동장을 격파하고 동장의 영토까지 자신의 지배하에 편입시켰다. 명종 연간의 남은 기간에 명종의 명목상의 신하가 된 후, 그는 934년 후촉을 세우고 자신의 영지를 독립국으로 선포하였다. 자는 보윤(保胤).

새로운!!: 자 (이름)와 맹지상 · 더보기 »

맹염

맹염(孟琰, ? ~ ?)은 촉한의 군인으로, 자는 휴명(休明)이며 주시군(朱提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맹염 · 더보기 »

만검

만검(滿黔,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교(子橋)이며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만검 · 더보기 »

만분

만분(滿奮, ? ~ ?)은 서진의 관료로, 자는 무추(武秋)이며, 산양군 창읍현(昌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만분 · 더보기 »

만욱

만욱(萬彧, ? ~ 272년)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빈(文彬)이며 단양군 율양현(溧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만욱 · 더보기 »

만창

만창(滿昌, ? ~ ?)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군도(君都)이며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만창 · 더보기 »

만위

만위(滿偉, ? ~ ?)는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형(公衡)이며 산양군 창읍현(昌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만위 · 더보기 »

마량

마량(馬良, 187년 ~ 222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계상(季常)이며 형주 양양군(襄陽郡)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량 · 더보기 »

마가 (전한)

마가(馬嘉,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차군(次君)이며 태산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가 (전한) · 더보기 »

마궁 (전한)

마궁(馬宮, ? ~ ?)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유경(游卿)이며 동해군 척현(戚縣)(지금의 산둥 성 웨이산 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궁 (전한) · 더보기 »

마등

마등(馬騰, ? ~ 212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수성(壽成)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등 · 더보기 »

마일제

마일제(馬日磾, ? ~ 194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옹숙(翁叔)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일제 · 더보기 »

마적건

마적 건(馬適建, ? ~ 기원전 80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자맹(子孟)이며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적건 · 더보기 »

마천목

마천목(馬天牧, 1358년~1431년 3월 14일 (음력 2월 1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천목 · 더보기 »

마초 (촉한)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초 (촉한) · 더보기 »

마융

마융(馬融, 79년 ~ 166년)은 후한 중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계장(季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성환리(成懽里)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융 · 더보기 »

마영

마영(馬英, ? ~ 121년)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문사(文思)이며 태산군 갑현(蓋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영 · 더보기 »

마속

마속(馬謖, 190년 ~ 228년)은 중국 촉한의 장수로 자는 유상(幼常)이며 형주 양양군(襄陽郡)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마속 · 더보기 »

모개

모개(毛玠,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효선(孝先)이며 진류군 평구현(平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개 · 더보기 »

모용덕

연 세종 헌무황제 모용덕(燕 世宗 獻武皇帝 慕容德, 336년 ~ 405년, 재위: 398년 ~ 40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연의 초대 황제로, 자는 현명(玄明)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덕 · 더보기 »

모용각

모용각(慕容恪, 4세기? ~ 36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전연(前燕)의 황족이자 재상으로, 모용황(慕容皝)의 넷째 아들이자 모용준(慕容儁)의 동생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각 · 더보기 »

모용보

연 열종 혜민황제 모용보(燕 烈宗 惠愍皇帝 慕容寶, 355년 ~ 398년, 재위: 396년 ~ 398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의 제2대 황제로, 자는 도우(道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보 · 더보기 »

모용희

연 소문황제 모용희(燕 昭文皇帝 慕容熙, 385년 ~ 407년, 재위: 401년 ~ 407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의 마지막 황제로, 자는 도문(道文)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희 · 더보기 »

모용수

연 세조 성무황제 모용수(燕 世祖 成武皇帝 慕容垂, 326년 ~ 396년, 재위: 384년 ~ 396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의 초대 황제로, 자는 도명(道明)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수 · 더보기 »

모용성

연 중종 소무황제 모용성(燕 中宗 昭武皇帝 慕容盛, 373년 ~ 401년, 재위: 398년 ~ 401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의 제4대 황제로, 자는 도운(道運)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성 · 더보기 »

모용황

연 태조 문명황제 모용황(燕 太祖 文明皇帝 慕容皝, 297년 ~ 348년, 재위: 337년 ~ 348년)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제1대(초대) 황제로, 자는 원진(元眞)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모용황 · 더보기 »

명자

명자() 또는 묘자()는 일본의 가(家; 가계, 가족 따위)의 이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명자 · 더보기 »

명조

명조는 다음과 같은 뜻을 지니고 있.

새로운!!: 자 (이름)와 명조 · 더보기 »

무도황후

무도황후 양씨(武悼皇后 楊氏, 259년 ~ 292년)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의 서진의 황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무도황후 · 더보기 »

무마시

무마 시(巫馬施, 기원전 521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노나라 또는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무마시 · 더보기 »

무양 (경조윤)

무양(武襄,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맹(君孟)이며 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무양 (경조윤) · 더보기 »

무사황후

무사황후 위씨(武思皇后 衛氏, ? ~ 기원전 91년)는 전한 무제의 두 번째 황후로, 자는 자부(子夫)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무사황후 · 더보기 »

무원황후

무원황후 양씨(武元皇后 楊氏, 237년 ~ 274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 진나라의 인물이자 서진의 황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무원황후 · 더보기 »

문빙

문빙(文聘, ? ~ ?)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중업(仲業)이며 형주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문빙 · 더보기 »

문평군

문평군 이종윤(文平君 李從胤, 1428년 ~ 1497년 12월)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문평군 · 더보기 »

문인습

문인 습(聞人襲,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정경(正卿)이며, 패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문인습 · 더보기 »

문종 (월)

문종(文種, ? ~ 기원전 472년?)은 춘추 시대 월나라의 관료로, 자는 자금(子禽)이.

새로운!!: 자 (이름)와 문종 (월)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자 (이름)와 묘호 · 더보기 »

미방

미방(糜芳, 생몰년 미상)은 중국 후한 말기 ~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자방(子方)이며, 서주 동해국 구현(朐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미방 · 더보기 »

민욱 (당나라)

민욱(閔勗, Min Xu,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2년부터 886년까지 호남관찰사(湖南觀察使. 재위 882년 ~ 883년)・흠화군 절도사(재위 883년 ~ 886년)로서 그 본거지였던 담주(潭州. 현 후난 성 창사 시)를 비롯한 지금의 후난 성 일대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886년에 암살당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민욱 (당나라) · 더보기 »

감녕

녕 감녕(甘寧,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흥패(興覇)이며 익주 파군 임강현(臨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감녕 · 더보기 »

감연수

연수(甘延壽, ? ~ 기원전 24년)은 전한 후기의 군인으로, 자는 군황(君況)이며 북지군 욱질현(郁郅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감연수 · 더보기 »

방덕

방덕(龐德,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마등,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영명(令明)이며 양주 남안군 환도현(豲道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방덕 · 더보기 »

방효유

방효유(方孝孺, 원 지정(至正) 17년 (1357년) ~ 명 건문(建文) 4년 (1402년))는 명나라 초기의 학자.

새로운!!: 자 (이름)와 방효유 · 더보기 »

방진 (전한)

방진(龐眞,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치손(穉孫)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방진 (전한) · 더보기 »

방상

방상(方賞,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빈(君賓)이며, 동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방상 · 더보기 »

방현령

방현령 방현령(房玄齡, 578년 ~ 648년)은 당(唐)나라의 재상, 정치가로 능연각 24공신이며, 18학사의 일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방현령 · 더보기 »

방통

방통(龐統, 179년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사원(士元)이며 형주 남군 양양현(襄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방통 · 더보기 »

배극렴

1378년, 배극렴이 합포(현재의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쌓게 한 합포성지 배극렴(裵克廉, 1325년 ~ 1392년 12월 10일(음력 11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 무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배극렴 · 더보기 »

배구 (547년)

배구(裴矩, 547년 ~ 627년)는 중국 수나라의 정치가로, 자(字)는 홍대(弘大)이며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배구 (547년) · 더보기 »

배잠

배잠(裴潛, ? ~ 244년)은 중국 후한 말기,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문행(文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배잠 · 더보기 »

배정지

배정지(裵廷芝, 1259년 ~ 1322년 6월 12일(음력 5월 27일))는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초명은 배공윤(裴公允), 자는 서한(瑞漢), 본관은 대구(大邱)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배정지 · 더보기 »

배수 (서진)

배수(裴秀, 224년 ~ 271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와 서진의 정치가, 지리학자, 지도 제작자.

새로운!!: 자 (이름)와 배수 (서진) · 더보기 »

백리숭

백리 숭(百里嵩,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경산(景山)이며 진류군 봉구현(封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백리숭 · 더보기 »

백문절

백문절(白文節, ? ~ 1282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백문절 · 더보기 »

반용

반용(班勇, 생몰년 미상)은 중국 후한의 관리로, 반초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반용 · 더보기 »

반장 (동오)

반장(潘璋, ? ~ 234년)은 후한 말기 ~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문규(文珪)이며, 연주 동군 발간현(發干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반장 (동오) · 더보기 »

반준

반준(潘濬, ? ~ 239년)은 중국 후한 말 ~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승명(承明)이며 형주 무릉군 한수현(漢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반준 · 더보기 »

갑관요

갑관요(蓋寬饒, ? ~ 기원전 60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차공(次公)이며 위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갑관요 · 더보기 »

갑훈

갑훈(蓋勳, 140년 ~ 190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고(元固)이며 양주 돈황군 광지현(廣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갑훈 · 더보기 »

바진

바진(1904년 ~ 2005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작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바진 · 더보기 »

바오다이 황제

바오다이(保大, 1913년 10월 22일 ~ 1997년 7월 31일)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제13대 황제(재위: 1925년 11월 13일(정식 즉위는 1926년 1월 8일) ~ 1945년 3월 11일)이자 베트남 제국의 황제(재위: 1945년 3월 11일 ~ 1945년 8월 23일)이고 베트남국(베트남 공화국)의 국장(재임: 1949년 6월 13일 ~ 1955년 4월 30일)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바오다이 황제 · 더보기 »

간옹

옹(簡雍, ? ~ ?)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헌화(憲和)이며 유주 탁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간옹 · 더보기 »

강로

강로(姜㳣, 1809년 ~ 1887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자 (이름)와 강로 · 더보기 »

박용 (1468년)

박용(朴墉, 1468년 ~ 1524년 음력 6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박용 (1468년) · 더보기 »

강우규

강우규(姜宇奎, 1855년 4월 20일 ~ 1920년 1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의사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강우규 · 더보기 »

강일순

강일순(姜一淳, 1871년 11월 1일(음력 9월 19일) ~ 1909년 8월 9일(음력 6월 24일))은 증산교의 교조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강일순 · 더보기 »

박응순

박응순(朴應順, 1526년 6월 11일 ~ 1580년 11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박응순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충 (전한)

강충(江充, ? ~ 기원전 9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차천(次倩)이며 조국 한단현(邯鄲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강충 (전한) · 더보기 »

강유

강유 강유(姜維, 202년 ~ 264년)는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백약(伯約)이며 옹주 천수군 기현(冀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강유 · 더보기 »

박태한

박태한(朴泰漢, 1664년 ~ 1698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박태한 · 더보기 »

강순

강순(康純, 1390년 ~ 1468년 10월 27일)은 조선 세종, 세조 때의 명장,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강순 · 더보기 »

가명

명(假名)은 본명 대신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된 이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가명 · 더보기 »

가후

후 가후(賈詡, 147년 ~ 223년)는 중국 후한 말 ~ 조위의 정치가로, 자는 문화(文和)이며 양주 무위군 고장현(姑臧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가후 · 더보기 »

견존

존(甄尊,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공(少公)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견존 · 더보기 »

견순

순(甄舜,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절(子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견순 · 더보기 »

범륭

범륭(范隆,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위공(偉公)이며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범륭 · 더보기 »

범방

범방(范滂, 137년 ~ 169년)은 중국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맹박(孟博)이며 여남군 정강현(征羌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범방 · 더보기 »

범방거

범방거(范方渠,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중옹(中翁)이며 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범방거 · 더보기 »

범연수

범연수(范延壽, ? ~ 기원전 19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로(子路)이며 여남군 안성현(安成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범연수 · 더보기 »

범엽

범엽(范曄, 398년 ~ 445년)은, 중국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 시대 남조(南朝) 송(宋)의 정치가이자 문장가, 역사가로서 《후한서(後漢書)》의 저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범엽 · 더보기 »

고려 덕종

덕종(德宗, 1016년 6월 9일 (음력 5월 2일) ~ 1034년 10월 31일 (음력 9월 17일))은 고려 제9대 국왕(재위: 1031년 ~ 1034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덕종 · 더보기 »

고려 목종

목종(穆宗, 980년 7월 5일 (음력 5월 20일) ~ 1009년 3월 2일 (음력 2월 3일))은 고려 제7대 국왕(재위: 997년~1009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목종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명종 · 더보기 »

고려 문종

문종(文宗, 1019년 12월 29일 (음력 12월 1일) ~ 1083년 9월 2일 (음력 7월 18일)은 고려 제11대 황제(재위 1046년 ~ 1083년)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황제(剛定明大章聖仁孝皇帝)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므로 특별히 인효성황제(仁孝聖皇帝)이라고도 부른다. 문종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서산(書算)을 정리하도록 명하였으며, 그의 치세기간 중 이자연과 최충을 통해 문치 정책을 펼쳤다. 현종(顯宗)과 원혜왕후 김씨(金氏)의 셋째 아들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문종 · 더보기 »

고려 강종

강종(康宗, 1152년 5월 10일 (음력 4월 5일) ~ 1213년 8월 26일 (음력 8월 9일)은 고려의 제22대 국왕(재위: 1211년 ~ 1213년)이다. 휘는 오(祦), 자는 대화(大華), 묘호는 강종(康宗), 시호는 명헌원효대왕(明憲元孝大王)이다. 명종과 광정왕후 김씨(金氏)의 맏아들이다. 부왕 명종이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될 때 태자에서 폐위되었다가 1211년(희종 6년) 최충헌에 의해 옹립된다. 그의 서녀 정화택주(靜和宅主)는 최충헌(崔忠獻)의 첩이 되었다.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박영규, 웅진씽크빅, 2004) 387페이지 1211년부터 1213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강종 · 더보기 »

고려 경종

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 (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 (음력 7월 11일))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경종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고종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희종

희종(熙宗, 1181년 6월 21일 (음력 5월 8일) ~ 1237년 8월 31일 (음력 8월 10일)은 고려 제21대 국왕(재위: 1204년 ~ 1211년)이다. 휘는 영(韺), 자는 불피(不陂), 묘호는 희종(熙宗), 본래 묘호는 정종(貞宗)이며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이다. 1204년부터 121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희종 · 더보기 »

고려 인종

인종(仁宗, 1109년 10월 29일 (음력 10월 4일) ~ 1146년 4월 10일 (음력 2월 28일)은 고려 제17대 국왕(재위: 1122년 ~ 1146년)이다. 휘는 해(楷), 자는 인표(仁表), 묘호는 인종(仁宗), 시호는 극안공효대왕(克安恭孝大王). 예종과 순덕왕후(順德王后) 이씨(李氏)의 맏아들이다. 1122년부터 1146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122년부터 1126년까지 외조부 이자겸(李資謙)이 섭정(攝政)을 하였고 이자겸을 축출한 1126년부터 1146년 붕어할 때까지 친정(親政)을 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인종 · 더보기 »

고려 의종

의종(毅宗, 1127년 5월 23일 (음력 4월 11일) ~ 1173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고려사』 권19, 「세가」19, 명종 3년(1173) 10월 1일(경신)))은 고려 제18대 국왕(재위: 1146년 ~ 1170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의종 · 더보기 »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정종 (10대) · 더보기 »

고려 정종 (3대)

정종(定宗, 923년~949년 4월 13일(음력 3월 13일)은 고려 제3대 황제(재위: 945년 10월 23일~949년 4월 13일)이다. 휘는 요(堯), 자는 의천(義天), 묘호는 정종(定宗), 시호는 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이다. 정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사이의 아들이며, 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 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 박씨로 박영규와 견훤의 딸인 국대부인 견씨 사이의 딸들이다. 왕식렴의 도움으로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규의 난을 진압한 뒤에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정통성 문제로 집권기반이 취약하였다. 서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였으나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정종 (3대) · 더보기 »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충숙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순종

순종(順宗, 1047년 12월 28일 (음력 12월 9일) ~ 1083년 12월 5일 (음력 10월 23일))은 고려 제12대 국왕(재위: 1083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순종 · 더보기 »

고려 숙종

숙종(肅宗, 1054년 9월 2일 (음력 7월 28일) ~ 1105년 11월 10일 (음력 10월 2일)은 고려 제15대 국왕(재위: 1095년 ~ 1105년)이다. 초명은 희(熙), 휘는 옹(顒), 자는 천상(天常), 시호는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순종과 선종의 동복아우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숙종 · 더보기 »

고려 혜종

혜종(惠宗, 912년~945년 10월 23일 (음력 9월 15일))은 고려(高麗) 제2대 군주(재위:943년~945년)이다. 자(字)는 승건(承乾), 휘(暉)는 무(武), 묘호(廟號)는 혜종(惠宗), 시호(諡號)는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이다.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오다련(吳多憐)의 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며, 비(妃)는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인 의화왕후(義和王后)이다. 외가의 가세가 미약하여 지위의 위협을 받게 되자 부왕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고려(高麗) 건국 직후 그를 바로 정윤(正尹)으로 삼은 뒤에 921년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하였다. 재위 3년만에 사망하였으나 사망원인은 불명확하다.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적통을 이어받아 왕위에 오른 혜종(惠宗)의 위상은 남다른 바가 있으니 고려사(高麗史) 태묘악장(太廟樂章)에서 혜종(惠宗)은 어느 왕들보다 칭송을 받게 된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혜종 · 더보기 »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태조의 아들 안종(安宗)과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의 아들이다. 안종 왕욱과 경종의 계비 헌정왕후의 사통으로 출생하여 암살 위기를 모면하고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5촌 조카이자 이종사촌 형인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후 거란의 두 차례 침입으로 피난을 다녀오기도 했다. 1009년 2월부터 1031년 6월까지 재위하는 동안 1009년 2월부터 이듬해 1010년 11월까지 강조(康兆)가 섭정하였고 1010년 11월부터 1031년 6월 붕어할 때까지 친정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현종 · 더보기 »

고려 선종

선종(宣宗, 1049년 10월 9일 (음력 9월 10일) ~ 1094년 6월 17일 (음력 5월 2일)은 고려 제13대 국왕(재위: 1083년 ~ 1094년)이다. 휘는 운(運), 초명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자는 계천(繼天),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이다. 문종과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의 아들이다. 국원공에 책봉되었다가 친형 순종이 3개월만에 요절하여 왕위를 계승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선종 · 더보기 »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성종 · 더보기 »

고려 원종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휘는 정(禎), 자는 일신(日新), 원나라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에서 마지막으로 묘호를 사용한 왕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짐"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새로운!!: 자 (이름)와 고려 원종 · 더보기 »

고간 (후한)

(高幹, ? ~ 206년 음력 3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군인으로, 자는 원재(元才)이며 진류군 어현(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간 (후한) · 더보기 »

고경

경(高熲, 542년경 ~ 607년)은 중국 수나라의 재상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경 · 더보기 »

고구려-위 전쟁

-위 전쟁은 242년, 244년, 245년, 259년에 고구려와 위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구려-위 전쟁 · 더보기 »

고담 (동오)

(顧譚, ? ~ ?)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묵(子默)이며 양주(揚州)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담 (동오) · 더보기 »

고당융

당 융(高堂隆, ? ~ 237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승평(升平)이며 연주(兗州) 태산군(泰山郡)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당융 · 더보기 »

고영희 (1849년)

영희(高永喜, 184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일) ~ 1916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영희 (1849년) · 더보기 »

고옹

옹(顧雍, 168년 ~ 243년 11월허숭(許嵩), 《건강실록(建康實錄)》)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원탄(元歎)이며,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옹 · 더보기 »

고소 (동오)

소(顧邵, ? ~ ?)는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효칙(孝則)이며 양주(揚州)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소 (동오) · 더보기 »

고후

후(高詡, ? ~ 37년)는 전한 말기 ~ 후한 초기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계회(季回)이며 평원군 반현(般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고후 · 더보기 »

보즐

보즐(步騭, ? ~ 24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동오의 정치가로, 자는 자산(子山)이며 임회군 회음현(淮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보즐 · 더보기 »

보천

보천(步闡, ? ~ 272년)은 중국 삼국시대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중사(仲思)이며 임회군 회음현(淮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보천 · 더보기 »

보숙승

보숙 승(步叔乘, ?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거(子車)이며 제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보숙승 · 더보기 »

곽도

곽도(郭圖, ? ~ 205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칙(公則)이며 예주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도 · 더보기 »

곽가

곽가 곽가(郭嘉, 170년 ~ 207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봉효(奉孝)이며, 예주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가 · 더보기 »

곽회

곽회(郭淮, ? ~ 255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이자 정치가로, 자는 백제(伯濟)이며 태원군(太原郡) 양곡현(陽曲峴)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회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재우 · 더보기 »

곽희 (후한)

곽희(郭禧, ? ~ 179년 음력 5월)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방(君房)이며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희 (후한) · 더보기 »

곽익

곽익(霍弋, ? ~ 27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 그리고 서진의 정치가 · 무장으로, 자는 소선(紹先)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익 · 더보기 »

곽준 (후한)

곽준(霍峻, 177년 ~ 216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중막(仲邈)이며 형주 남군 지강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준 (후한) · 더보기 »

곽진 (후한)

곽진(郭鎭, ? ~ 129년)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환종(桓鐘)이며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진 (후한) · 더보기 »

곽혁

곽혁(郭奕, ? ~ 228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익(伯益)이며, 예주(豫州) 영천군(潁川郡)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혁 · 더보기 »

곽선

곽선(霍嬗, ? ~ 기원전 110년)은 전한 중기의 제후로, 자는 자후(子侯)이며 대사마 곽거병의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곽선 · 더보기 »

공량유

공량 유(公良孺, ? ~ ?)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정(子正)이며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량유 · 더보기 »

복리 (전한)

복리(伏理, ? ~ ?)는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유군(斿君)이며 낭야군 동무현(東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복리 (전한) · 더보기 »

공광

공광(孔光, 기원전 65년 ~ 기원후 5년)은 전한 말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자는 자하(子夏)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광 · 더보기 »

복담

복담(伏湛, ? ~ 37년)은 전한 말기 ~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혜공(惠公)이며 낭야국 동무현(東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복담 · 더보기 »

복승

왕유가 그린 복승의 초상 복승(伏勝범엽(范曄), 《후한서》(後漢書) 권23 복후송채풍조모위열전(伏侯宋蔡馮趙牟韋列傳), ? ~ ?)은 진나라 ~ 전한 초의 학자로, 자는 자천(子賤)이며 제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복승 · 더보기 »

공승

공승(龔勝, 기원전 68년 ~ 기원후 11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빈(君賓)이며 초국 팽성현(彭城縣) 염리(廉里)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승 · 더보기 »

공자

공자() 또는 공부자(기원전 551년 ~ 기원전 479년)는 유교의 시조(始祖)인 고대 중국 춘추시대의 정치가사상가교육자이고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유교 > 공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자 · 더보기 »

공자진

공자진(龔自珍, 1792년 ~ 1841년, 저장성(浙江省) 인화 현(仁和縣) 출생)은 중국 청나라 후기의 학자, 사상가,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자진 · 더보기 »

공주 (후한)

공주(孔伷, ? ~ 190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공서(公緖)이며, 연주(兗州) 진류군(陳留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주 (후한) · 더보기 »

공융

공융(孔融, 153년 ~ 208년 9월 26일(음력 8월 29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거(文擧)이며 예주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융 · 더보기 »

공수 (전한)

공수(龔遂, ? ~ 기원전 62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경(少卿)이며 산양군 남평양현(南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수 (전한) · 더보기 »

공영달

공영달(孔穎達: 574~648, 허베이 성 출생)은 당나라의 유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영달 · 더보기 »

복양흥

복양 흥(濮陽興, ? ~ 264년)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원(子元)이며 연주 진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복양흥 · 더보기 »

공손도

공손 도(公孫度, ? ~ 204년) 또는 공손 탁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승제(升濟)이며 유주 요동군 양평현(襄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손도 · 더보기 »

공손록

공손 록(公孫祿, ? ~ ?)은 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중자(中子)이며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손록 · 더보기 »

공손룡 (춘추)

공손 룡(公孫龍, 기원전 498년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석(子石)이며 초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손룡 (춘추) · 더보기 »

공손찬

공손찬(公孫瓚, ? ~ 199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백규(伯圭, 伯珪)이며 유주 요서군 영지현(令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손찬 · 더보기 »

공손하

공손 하(公孫賀, ? ~ 기원전 91년 음력 4월)는 전한 중기의 군인이자 관료로, 자는 자숙(子叔)이며 북지군 의거현(義渠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손하 · 더보기 »

공안국

공안국(孔安國, ? ~ ?)은 전한 초기의 학자로, 자는 자국(子國)이며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공안국 · 더보기 »

병길

병길(丙吉, ? ~ 기원전 55년)은 전한 중기 ~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경(少卿)이며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병길 · 더보기 »

병단

병단(邴丹, ? ~ ?)은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만용(曼容)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병단 · 더보기 »

병창

병창(丙昌, ? ~ 2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장교(長矯)이며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병창 · 더보기 »

병현

병현(丙顯,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옹맹(翁孟)이며,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병현 · 더보기 »

병한

병한(邴漢,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유군(游君)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병한 · 더보기 »

별명

별명(別名)은 사람이나 사물의 실제 이름 대신 쓰이는 이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별명 · 더보기 »

변영만

변영만(卞榮晩, 1889년 7월 20일(음력 6월 23일) ~ 1954년)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법조인, 한학자, 영문학자, 시인, 문필가,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변영만 · 더보기 »

변양

변양(邊讓,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문사로, 자는 문례(文禮)며 연주 진류군 준의현(浚儀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변양 · 더보기 »

괴량

량(蒯良, ? ~ ?)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유(子柔)이며, 형주(荊州) 남군(南郡) 중로현(中盧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괴량 · 더보기 »

괴월

월(蒯越, ?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표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이도(異度)이며 형주 남군 중려현(中廬縣)사마표, 《전략》(戰略); 배송지 주석, 《삼국지》6권 위서 제6 유표에서 인용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괴월 · 더보기 »

광평대군

광평대군 이여(廣平大君 李璵, 1425년 5월 2일 ~ 1444년 12월 7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로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의 다섯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광평대군 · 더보기 »

광지대선사

광지대선사 지인(廣智大禪師 之印, 1102년 음력 6월 26일 ~ 1158년 음력 8월 12일)은 고려의 왕자이자 승려로, 예종의 서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광지대선사 · 더보기 »

광함

광함(匡咸,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동해군 증현(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광함 · 더보기 »

봉기

봉기(逢紀, ? ~ 202년 9월)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원도(元圖)왕찬(王粲), 《영웅기(英雄記)》 이며 형주(荊州) 남양군(南陽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봉기 · 더보기 »

봉신

봉신(逢信,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자(少子)이며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봉신 · 더보기 »

관로 (인물)

(管輅, 209년 ~ 256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점술가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평원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로 (인물) · 더보기 »

관부

부(灌夫, ? ~ 기원전 131년)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중유(仲孺)이며 영천군 영음현(潁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부 · 더보기 »

관구검

(毌丘儉, ? ~ 255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군인으로, 자는 중공(仲恭)이며 하동군 문희현(聞喜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구검 · 더보기 »

관녕

녕(管寧, 158년 ~ 241년)은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인물로 자는 유안(幼安)이며 청주 북해국 주허현(朱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녕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우 · 더보기 »

관흥

흥(關興, ? ~ ?)은 중국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안국(安國)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흥 · 더보기 »

관징량

징량(關景良, 관경량, 1869년 3월 23일 ~ 1945년 12월 16일)은 홍콩의 외과 의사 겸 반청반제(反淸反帝) 흥중회 소속 혁명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관징량 · 더보기 »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권람 · 더보기 »

권복 (조선 전기)

복(權復, ? ~ 1435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권복 (조선 전기) · 더보기 »

권율

율(權慄, 1537년 ~ 159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권율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부여융 · 더보기 »

부하

부하(傅嘏, 209년 ~ 255년)는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난석(蘭石)이며 북지군 이양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부하 · 더보기 »

규단

(洼丹, 기원전 29년 ~ 기원후 41년)은 전한 말 ~ 후한 초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옥(子玉)이며 남양군 육양현(育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규단 · 더보기 »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기대승 · 더보기 »

급암

급암(汲黯, ? ~ ?)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장유(長儒)이며, 복양현(濮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급암 · 더보기 »

글염

염(曁艶, ? ~ 224년)은 중국 삼국 시대 오(吳)의 정치가로, 자는 자휴(子休)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글염 · 더보기 »

비관

비관(費觀, ? ~ ?)은 중국 후한 말에서 촉한의 무장으로, 자는 빈백(賓伯)이며, 형주 강하군 맹현(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비관 · 더보기 »

비의

비의(費禕, ? ~ 253년 음력 1월 1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문위(文偉)이며 형주(荊州) 강하군(江夏郡) 맹현(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비의 · 더보기 »

비시 (촉한)

비시(費詩,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거(公擧)이며 익주 건위군 남안현(南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비시 (촉한) · 더보기 »

김병연

병연(金炳淵, 1807년(순조 7년) ~ 1863년(철종 14년))은 조선 후기의 풍자 시인이자 방랑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병연 · 더보기 »

김규진 (서화가)

(金奎鎭, 1868년~1933년)은 대한제국와 일제 강점기의 서예가,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규진 (서화가) · 더보기 »

김용겸

용겸(金用謙, 1702년 ~ 1789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용겸 · 더보기 »

김이

이(金怡, 1265년 ~ 1327년)는 고려의 문신, 행정관,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이 · 더보기 »

김일제

일제(金日磾, 기원전 134년 ~ 기원전 86년 음력 8월)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옹숙(翁叔)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일제 · 더보기 »

김익겸

익겸(金益兼, 1614년 ~ 1636년 12월)은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이자 정치운동가(政治運動家)이며 사회운동가(社會運動家)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익겸 · 더보기 »

김저 (1512년)

저(金儲, 1512년 ~ 1547년)는 조선(朝鮮)의 문관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저 (1512년) · 더보기 »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조순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좌진

좌진(金佐鎭, 1889년 12월 16일 ~ 1930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독립운동가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김좌진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종서 (1383년)

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이다.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김종서 (1383년) · 더보기 »

김중청

중청(金中淸, 1567년 12월 20일~162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중청 · 더보기 »

김진화 (1793년)

화(金鎭華, 1793년 ~ 1850년)는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시인(詩人)으로 활약한 순조·헌종 임금 때의 청백리(淸白吏)이자 명목민관(名牧民官)이었고 본관은 의성(義城)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진화 (1793년) · 더보기 »

김충선

충선(金忠善,, 1571년 1월 28일(음력 1월 3일)~ 1642년 10월 23일(음력 9월 30일))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귀화한 항왜 장수로, 귀화한 후에는 자를 선지(善之), 호는 모하당(慕夏堂)으로 지었.

새로운!!: 자 (이름)와 김충선 · 더보기 »

김유근

유근(金逌根, 1785년 3월 ~ 1840년 7월)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시인, 화가, 문신으로 예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령부사를.

새로운!!: 자 (이름)와 김유근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김상 (후한)

상(金尙,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휴(元休)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상 (후한) · 더보기 »

김호 (1534년)

호(金虎, 1534년 (중종 29년) ~ 1592년 (선조 25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호 (1534년) · 더보기 »

김사형

사형(金士衡, 1341년 ~ 1407년)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사형 · 더보기 »

김석신

석신(金碩臣, 1758년 ~ ?)은 조선 시대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석신 · 더보기 »

김선 (후한)

선(金旋, ? ~ 209년)은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원기(元機)이며 사례 경조윤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선 (후한)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서현 · 더보기 »

김시묵

시묵(金時默, 1722년 ~ 1772년 음력 7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시묵 · 더보기 »

김시민

시민(金時敏, 1554년 ~ 1592년 11월 21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시민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김시습 · 더보기 »

뜨득 황제

사덕제(민망(明命) 10년 8월 25일(1829년 9월 22일) ~ 뜨득(嗣德) 36년 6월 6일(1883년 7월 9일))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 4대 군주(재위: 1847년 - 1883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뜨득 황제 · 더보기 »

대명세

명세(戴名世, 1653년 ~ 1713년)는 청나라 때의 학자로 안휘성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대명세 · 더보기 »

대섭

섭(戴涉, ? ~ 44년)은 중국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숙평(叔平)이며, 기주 청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대섭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자 (이름)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원공

원공 왕효(大原公 王侾, 1093년 ~ 1161년 5월 6일(음력 4월 10일))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대원공 · 더보기 »

누현

현(樓玄, ? ~ 275년)은 중국 삼국시대 동오 말기의 관료로, 자는 승선(承先)이며 패국 기현(蘄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누현 · 더보기 »

교망

망(蟜望,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왕군(王君)이며 동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교망 · 더보기 »

교모

모(橋瑁, ? ~ 190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위(元偉)이며 양국(梁國) 수양현(睢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교모 · 더보기 »

교인

인(橋仁, ? ~ ?)은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계경(季卿)이며 양국 수양현(睢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교인 · 더보기 »

교현

현(橋玄, 109년 ~ 183년)은 후한 중기 ~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조(公祖)이며 양국 수양현(睢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교현 · 더보기 »

구참

(苟參,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위신(威神)이며 하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참 · 더보기 »

구치관

(具致寬, 1406년 ~ 1470년(성종 1년) 9월 1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치관 · 더보기 »

구양흡

양 흡(歐陽歙, ? ~ 39년)은 중국 신나라 ~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정사(正思)이며 천승군 천승현(千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양흡 · 더보기 »

구양생

양 생(歐陽生, ? ~ ?)은 전한의 학자로, 자는 화백(和伯)이며 천승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양생 · 더보기 »

구양여

양 여(歐陽餘, ? ~ 기원전 38년)는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장빈(長賓)이며 천승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양여 · 더보기 »

구사맹

사맹(具思孟, 1531년 ~ 1604년 음력 4월 1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구사맹 · 더보기 »

국연 (태복)

국연(國淵,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니(子尼)이며 청주 낙안국 익현(益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국연 (태복) · 더보기 »

두목

목 두목(杜牧, 정원 19년(803년)~대중 6년(852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목 · 더보기 »

두경

경(杜瓊, ? ~ 250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관료이자 학자로, 자는 백유(伯瑜)이며 촉군 성도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경 · 더보기 »

두보

보(712년 ~ 770년)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보 · 더보기 »

두기 (백후)

(杜畿,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백후(伯侯)이며 사례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기 (백후) · 더보기 »

두기 (공량)

(杜夔,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악사로 자는 공량(公良)이며 사례 하남윤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기 (공량) · 더보기 »

두습

습(杜襲, ? ~ ?)은 중국 후한, 조위의 관료로, 자는 자서(子緖)며 영천군 정릉현(定陵縣) - 현재의 허난 성 셰 현 -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습 · 더보기 »

두순학

순학(杜荀鶴, 846년 - 904년(907년?))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순학 · 더보기 »

두영

영(竇嬰, ? ~ 기원전 131년)은 중국 전한 중기의 외척이자 관료로, 자는 왕손(王孫)이며 신도군 관진현(灌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영 · 더보기 »

두여회

여회 두여회(杜如晦, 585년 ~ 630년)는 당 초기의 명재상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여회 · 더보기 »

두연년

연년(杜延年, ? ~ 기원전 52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유공(幼公)이며 남양군 두연현(杜衍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연년 · 더보기 »

두업 (군도)

업(杜業, ? ~ 1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도(君都)이며 남양군 두연현(杜衍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업 (군도) · 더보기 »

두서

서(杜恕, 198년 ~ 252년)는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무백(務伯)이며 사례(司隷) 경조윤(京兆尹)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두서 · 더보기 »

둔막여

막여(屯莫如, ? ~ ?)는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소로(少路)이며 태산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둔막여 · 더보기 »

남궁옥 (무신)

궁 옥(南宮 鈺, 1803년 ~ ?)은 조선의 무신(武臣)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남궁옥 (무신)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남연군 · 더보기 »

내민

민(來敏,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경달(敬達)이며 형주 남양군 신야현(新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내민 · 더보기 »

내염

염(來豔, ? ~ 178년 음력 9월)은 중국 후한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내염 · 더보기 »

나카이 지쿠잔

이 지쿠잔(1730년 6월 29일 ~ 1804년 3월 16일)은 에도 시대 중기의 유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나카이 지쿠잔 · 더보기 »

나헌

(羅憲, 218년 ~ 270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 ~ 서진의 장수로, 자(字)는 영칙(英則)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나헌 · 더보기 »

낙통

낙통(駱統, 193년 ~ 228년)은 중국 후한 말 ~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장수이자 정치가로, 자는 공서(公緖)이며, 양주 회계군 오상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낙통 · 더보기 »

등빙

등빙(鄧馮,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후(君侯)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빙 · 더보기 »

등자룡

등자룡(鄧子龍, 1531년 ~ 1598년 12월 16일)은 명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자룡 · 더보기 »

등의

등의(鄧義, ? ~ ?)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화(子華)이며 하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의 · 더보기 »

등지

등지(鄧芝, 178년 ~ 251년)는 중국 삼국시대의 촉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지 · 더보기 »

등처눌

등처눌(鄧處訥, ? ~ 89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3년부터 894년까지 절도사의 신분으로서 무안군(武安軍, 본거지는 지금의 후난 성 창사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등처눌 · 더보기 »

등성

등성(鄧盛, 생몰년 미상)은 후한 후기부터 말기까지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성 · 더보기 »

등애

등애. 등애(鄧艾, 197년 ~ 264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이며, 자는 사재(士載)로, 의양군(義陽郡) 극양현(棘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등애 · 더보기 »

노숙

숙 노숙(魯肅, 172년 ~ 217년)은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자는 자경(子敬)이며 서주 임회군 동성현(東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노숙 · 더보기 »

노식

식(盧植,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유주 탁군 탁현(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노식 · 더보기 »

다이지타오

이지타오(戴季陶, 1890년 11월 26일 ~ 1949년 2월 21일)는 중화민국의 군인, 혁명가, 정치가,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다이지타오 · 더보기 »

담사동

200px 담사동(호:장비(壯飛), 자:복생(復生), 1865년 ~ 1898년)은 중국 청말의 사상가이자 정치개혁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담사동 · 더보기 »

담약수

약수 담약수(湛若水, 1466년~1560년)는 중국 명나라의 유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담약수 · 더보기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唐 高祖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당 고조 · 더보기 »

당은군 (1562년)

당은군 이인령(唐恩君 李引齡, 1562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당은군 (1562년) · 더보기 »

당숙 우

당숙 우(唐叔虞)는 서주 초기의 왕족으로, 주 무왕의 3남이며, 초대 진후.

새로운!!: 자 (이름)와 당숙 우 · 더보기 »

효령대군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년 1월 6일 (음력 1395년 12월 11일) ~ 1486년 6월 12일(음력 5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왕족,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효령대군 · 더보기 »

효혜황후 (전한)

효혜황후 장씨(孝惠皇后 張氏, ? ~ 기원전 163년)는 전한 혜제의 황후로 이름은 장언(張嫣), 자는 계란(季蘭), 맹영(孟媖), 여영(麗英)이.

새로운!!: 자 (이름)와 효혜황후 (전한) · 더보기 »

우문헌

우문헌(宇文憲, 544년 ~ 578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주(北周)의 황족이며, 자는 비하돌(毗賀突)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문헌 · 더보기 »

우문사급

우문사급(宇文士及, ? ~ 642년)은 당나라(唐)의 정치가이자 무장이며, 자는 인인(仁人)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문사급 · 더보기 »

우방

우방(虞放, ? ~ 169년)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중(子仲)이며 진류군 동혼현(東昏縣) 출신인데 그는 후한 황조 시대에 재상을 지낸 상급 관료였.

새로운!!: 자 (이름)와 우방 · 더보기 »

우번

우번(虞翻, ? ~ ?)은 중국 후한 말기 ~ 동오의 관료로, 자는 중상(仲翔)이며 양주 회계군 여요현(餘姚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번 · 더보기 »

우금

우금(于禁, ? ~ 22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칙(文則)이며 연주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금 · 더보기 »

우군칙

우군칙(禹君則, 1776년 ~ 1812년 음력 4월)은 조선 순조 시대의 풍수복설가, 농민 반란 주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군칙 · 더보기 »

우정국 (전한)

우정국(于定國, ? ~ 기원전 40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만천(曼倩)이며 동해군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정국 (전한) · 더보기 »

우중문

우중문(于仲文, 545년 - 613년)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중문 · 더보기 »

우상 (전한)

우상(牛商,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夏)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우상 (전한) · 더보기 »

우사 (동오)

우사(虞汜, 216년? ~ 271년?)는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로, 회계군 여요현 사람이며 우번의 넷째 아들로 형제 중 가장 유명.

새로운!!: 자 (이름)와 우사 (동오) · 더보기 »

울지공

울지공 울지공(尉遲恭, 585년 ~ 658년) 또는 위지공은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무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울지공 · 더보기 »

울지형

울지형(尉遲逈, 516년 ~ 580년) 또는 위지형은 서위(西魏)·북주(北周)의 장군이며, 자는 보거라(薄居羅)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울지형 · 더보기 »

회원군 (1464년)

회원군 이쟁(會原君 李錚, 1464년 ~ 1493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회원군 (1464년) · 더보기 »

요기 (후한)

요기(銚期, ? ~ 34년)는 후한 초기의 군인으로, 자는 차황(次況)이며 영천군 겹현(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요기 (후한) · 더보기 »

요장

조 무소황제 요장(秦 太祖 武昭皇帝 姚萇, 331년 ~ 393년, 재위:384년 ~ 39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후진의 초대 황제로, 자는 경무(景茂)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요장 · 더보기 »

요흥

조 문환황제 요흥(秦 高祖 文桓皇帝 姚興, 366년 ~ 416년, 재위:394년 ~ 41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의 제2대 황제로, 자는 자략(子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요흥 · 더보기 »

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자 (이름)와 자 · 더보기 »

자로

중유(仲由, 기원전 542년 ~ 기원전 480년)는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로(子路) 또는 계로(季路)이며 변(卞)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자로 · 더보기 »

자공

목 사(端木賜, 기원전 520년 ~ 기원전 456년?)은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공(子貢, 子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자공 · 더보기 »

자산 (춘추)

자산(子産, ? ~ 기원전 522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정치가로, 성은 희(姬), 씨는 국(國), 이름은 교(僑)이며 '자산'은 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자산 (춘추) · 더보기 »

장도 (후한)

장도(張導, ? ~ 196년 이전)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경명(景明)역도원, 《수경주(水經注)》 이며 하내군 수무현(脩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도 (후한) · 더보기 »

장로 (명나라)

장로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인 노자기우도(老子騎牛圖) 장로(張路, 1464년 ~ 1538년)는 명나라 후기의 풍경화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로 (명나라) · 더보기 »

장로 (후한)

장로(張魯, ? ~ 216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인물로, 오두미도(五斗米道)의 제3대 장천사(張天師).

새로운!!: 자 (이름)와 장로 (후한) · 더보기 »

장료

장료(張遼, 169년? ~ 22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원(文遠)이며 병주 안문군 마읍현(馬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료 · 더보기 »

장막 (후한)

장막(張邈, ? ~ 195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맹탁(孟卓)이며 연주 동평국 수장현(壽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막 (후한) · 더보기 »

장범

장범(張範, ? ~ 21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 자는 공의(公儀)이며, 하내군 수무현(脩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범 · 더보기 »

장비

장비(? ~ 221년 음력 6월)는 후한 말기 ~ 촉한의 군인으로, 자는 익덕(益德)이며 탁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비 · 더보기 »

장구 (숙)

장구(張歐,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숙(叔)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구 (숙) · 더보기 »

장굉

장굉(張紘, 153년 ~ 21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웅 손권(孫權)의 모사이며, 자는 자강(子綱)이고 광릉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굉 · 더보기 »

장굉 (전한)

장굉(張宏, ? ~ 23년)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夏)이며 하내군 지현(軹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굉 (전한) · 더보기 »

장담 (전한)

장담(張譚,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숙(仲叔)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담 (전한) · 더보기 »

장우 (신)

장우(莊尤, ? ~ 23년)는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백석(伯石)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우 (신) · 더보기 »

장승 (동오)

장승(張承, 178년~244년)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관료로 자는 중사(仲嗣)이며 서주 팽성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승 (동오) · 더보기 »

장흠

장흠(蔣欽,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字)는 공혁(公奕)이며 양주(揚州) 구강군(九江郡) 수춘현(壽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흠 · 더보기 »

장흠 (후한)

장흠(張歆,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경양(敬讓)이며 하내군 수무현(脩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흠 (후한) · 더보기 »

장희백

장희백(臧僖伯, ? ~ 기원전 718년)은 중국 동주의 제후국 노나라의 공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희백 · 더보기 »

장익 (촉한)

장익(張翼, ? ~ 264년)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나라의 장수로, 자는 백공(伯恭)이며 건위군 무양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익 (촉한) · 더보기 »

장제 (동오)

장제(張悌, ? ~ 280년)는 동오 말기의 관료로, 자는 거선(巨先)이며 양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제 (동오) · 더보기 »

장제 (조위)

장제(蔣濟, ?~249년 4월 19일)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신하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제 (조위) · 더보기 »

장제 (원강)

장제(張濟, ? ~ 184년?)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원강(元江)이며 여남군 세양현(細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제 (원강) · 더보기 »

장전의

장전의(852년《구오대사》, 권63. ~ 926년 4월 29일《자치통감》, 권274.)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후에 당나라를 계승한 오대십국 시대 후량과 후당에서 고관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전의 · 더보기 »

장존

장존(張存, ? ~ ?)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처인(處仁)이며 형주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존 · 더보기 »

장초 (자병)

장초(張超, ? ~ ?)는 후한 말기의 문장가로, 자는 자병(子並)이며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초 (자병) · 더보기 »

장충 (전한)

장충(張忠, ? ~ 기원전 23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공(子贛)이며 거록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충 (전한) · 더보기 »

장윤신

장윤신(張允伸, Zhang Yunshen, 785년《구당서》, 권 180 - 열전(列傳) 제130 ~ 872년 3월 8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2)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약했던 무장으로, 노룡군 절도사(盧龍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베이 성 베이징 시)로서 당시 조정으로부터 사실상 독립 상태나 다름없었던 노룡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장윤신 · 더보기 »

장패

장패(臧覇, ? ~ ?)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선고(宣高)이며, 연주 태산군 화현(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패 · 더보기 »

장휴

장휴(張休, ? ~ ?)는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로, 자는 숙사(叔嗣)이며 팽성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휴 · 더보기 »

장영 (조선)

장영(張銢, 1622년 ~ 17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영 (조선) · 더보기 »

장호 (지명)

장호(張顥, ? ~ ?)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지명(智明)이며 상산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호 (지명) · 더보기 »

장예

장예(張裔, 167년 ~ 230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촉한의 관료로, 자는 군사(君嗣)이며 익주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예 · 더보기 »

장억

장억(張嶷, ? ~ 254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백기(伯岐)며 익주 파군 남충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억 · 더보기 »

장연 (태위)

장연(張延, ? ~ 186년 음력 10월)은 후한 후기 ~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위(公威)이며 하내군 수무현(脩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연 (태위) · 더보기 »

장산부

장산부(張山拊, ? ~ ?)는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장빈(長賓)이며 우부풍(右扶風)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산부 · 더보기 »

장송

장송(張松, ? ~ 213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교(子喬)상거, 《화양국지》 권12 양익영삼주선한이래사녀목록(梁益寧三州先漢以來士女目錄) 이며 익주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송 · 더보기 »

장소

장소 장소(張昭, 156년 ~ 236년)는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문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소 · 더보기 »

장합

장합 장합(張郃, ?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준예(儁乂)이며 기주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합 · 더보기 »

장웨이궈

장웨이궈(蔣緯國, 1916년 10월 6일 ~ 1997년 9월 22일)는 중화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웨이궈 · 더보기 »

장홍범 (1238년)

장홍범(1238년 - 1280년 2월 11일)은 원나라의 군인으로 자는 중주(仲疇)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홍범 (1238년) · 더보기 »

장화 (서진)

장화(張華, 232년 ~ 300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 서진의 정치가로, 자는 무선(茂先)이며, 범양(范陽) 방성(方城)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화 (서진) · 더보기 »

장완

장완 장완(蔣琬, ? ~ 246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염(公琰)이며 형주 영릉군 상향현(湘鄕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장완 · 더보기 »

재풍

순친왕 재풍(醇親王 載灃, 1883년 2월 12일 ~ 1951년 2월 3일)은 청나라의 황족이자 순현친왕 혁현(醇賢親王 奕譞)의 다섯째 아들(서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재풍 · 더보기 »

펑위샹

펑위샹(1882년 9월 26일 ~ 1948년 9월 1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감리교 신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펑위샹 · 더보기 »

임굉

임굉(任宏,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위공(偉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임굉 · 더보기 »

임정 (891년)

임정(林鼎, 891년《십국춘추》,. ~ 944년 2월 25일)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십국 오월의 관료로, 오월의 2대 국왕 문목왕 전원관(본명 전전관)・3대 국왕 충헌왕 전홍좌 부자의 2대에 걸쳐 승상을.

새로운!!: 자 (이름)와 임정 (891년) · 더보기 »

임준

임준(任峻, ? ~ 20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달(伯達)이며 사례 하남윤 중모현(中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임준 · 더보기 »

임춘

임춘(林椿, 생몰연대 미상)은 고려 인종 때의 문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임춘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임외

임외(任隗, ? ~ 92년)는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중화(仲和)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임외 · 더보기 »

포욱 (후한)

욱(鮑昱, ? ~ 81년)은 중국 후한의 재상이.

새로운!!: 자 (이름)와 포욱 (후한) · 더보기 »

포승지

승지(暴勝之, ? ~ 기원전 91년)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공자(公子)이며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포승지 · 더보기 »

포훈

훈(鮑勛 또는 鮑勳, ? ~ 226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숙업(叔業)이며, 태산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포훈 · 더보기 »

평당

평당(平當, ? ~ 기원전 4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사(子思)이며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평당 · 더보기 »

평원대군

평원대군 이임(平原大君 李琳, 1427년 11월 18일 ~ 1445년 1월 16일)은 조선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소생의 일곱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평원대군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자 (이름)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덕형 (1561년)

이덕형(李德馨, 1561년 ~ 161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정치인으로 동인(東人)과 남인(南人)의 일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덕형 (1561년) · 더보기 »

이미지

이미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자 (이름)와 이미지 · 더보기 »

이각 (후한)

이각과 곽사 이각(李傕,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치연(稚然) 이며 북지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각 (후한)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자 (이름)와 이백약 · 더보기 »

이강 (전한)

이강(李彊, 李強,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군(中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강 (전한) · 더보기 »

이밀

이밀(582년 ~ 619년)은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정치가이자 유력 군웅의 한 사람으로, 수 양제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반란군의 수령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이밀 · 더보기 »

이거이

이거이(李居易, 1348년 ~ 1412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거이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복

이복(李福, ? ~ ?)은 중국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손덕(孫德)이며 익주 광한군 부현(涪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복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괄 · 더보기 »

이교익

이교익(李敎翼, 1807년 ~ ?)은 조선 말기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교익 · 더보기 »

이승

이승(李勝, ? ~ 249년)은 중국 조위의 관료이자 조상의 심복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승 · 더보기 »

이회 (촉한)

이회(李恢, ? ~ 231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장수이며, 자는 덕앙(德昻)이며 건녕군 유원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회 (촉한) · 더보기 »

이희승

이희승(李熙昇, 1896년 6월 9일(음력 4월 29일) ~ 1989년 11월 27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시인, 수필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희승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이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인상

이인상(李麟祥, 1710년 ∼ 1760년)은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인상 · 더보기 »

이인한

이인한(李仁罕, 872년 ~ 934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대장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인한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일 · 더보기 »

이응 (후한)

이응(李膺, 110년 ~ 169년 11월 25일(음력 10월 19일))은 중국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원례(元禮)이며 영천군 양성현(襄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응 (후한) · 더보기 »

이적 (촉한)

이적(伊籍, ? ~ ?)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문신으로, 자는 기백(機伯)이며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적 (촉한) · 더보기 »

이제마

이제마(李濟馬, 1837년 4월 23일 ~ 1900년 11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한의학자(漢醫學者), 문관(文官), 무관(武官), 시인(詩人)이며, 조선 왕족의 방계 혈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제마 · 더보기 »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제현 · 더보기 »

이전 (후한)

이전(李典,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만성(曼成)이며, 연주(兗州) 산양군(山陽郡) 거야현(鋸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전 (후한) · 더보기 »

이정국 (1620년)

이정국(李定國, 1620년 7월 11일 ~ 1662년 7월 21일)은 중국 명나라 태생의 농민군 혁명 가담자이자 남명 제국 제후급 장군 겸 정치가이며 서나라 창건자 장헌충(張獻忠)의 제자(弟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정국 (1620년) · 더보기 »

이조헌

이조헌(李祖憲, 1796년(정조 20년) ~ ?)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조헌 · 더보기 »

이종 (전한)

이종(李種, ? ~ 기원전 83년) 또는 이충(李种), 이중(李仲) 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계주(季主)이며 하남군 낙양현(雒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종 (전한) · 더보기 »

이주세륭

이주세륭(爾朱世隆, 500년 ~ 532년)은 북위(北魏)의 무장이며, 자는 영종(榮宗)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주세륭 · 더보기 »

이천 (고려 문신)

이천(李蒨, ? ~ 1349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군실(君實), 호는 국당(菊堂), 본관은 경주(慶州).

새로운!!: 자 (이름)와 이천 (고려 문신) · 더보기 »

이천보

이천보(李天輔, 1698년 ~ 1761년)는 조선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천보 · 더보기 »

이유 (후한)

이유(李儒, 136년 이전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우(文優)이며 사례 좌풍익 합양현(郃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유 (후한)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순지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숙번

이숙번(李叔蕃, 1373년 ~ 1440년)은 고려 말기의 생원이고 조선 초기의 문관, 무관, 정치가이며 조선 태종 이방원의 측근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이숙번 · 더보기 »

이억기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억기 · 더보기 »

이엄

이엄(李嚴, ?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엄 · 더보기 »

이풍 (조위)

이풍(李豊, ? ~ 254년)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안국(安國)이며, 풍익군 사람왕침 등, 《위서》 (진수, 《삼국지》 권9 제하후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 이. 훗날 자를 선국(宣國)으.

새로운!!: 자 (이름)와 이풍 (조위) · 더보기 »

이선란

이선란(1810-1882)는 청나라의 수학자.

새로운!!: 자 (이름)와 이선란 · 더보기 »

이성 (당나라)

이성(李成, 919년~967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성 (당나라) · 더보기 »

이통 (삼국지)

이통(李通, 168년 ~ 20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군인으로 자는 문달(文達)이며 형주 강하군 평춘현(平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통 (삼국지) · 더보기 »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항복 · 더보기 »

이한철 (화가)

이한철(李漢喆, 1808년 ~ ?)은 조선 말기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한철 (화가)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하전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원익 · 더보기 »

이후원

이후원(李厚源, 1598년 ~ 166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후원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이황 · 더보기 »

이완 (1602년)

이완(李浣, 1602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이완 (1602년)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인흥군 (왕족)

인흥군 이영(仁興君 李瑛, 1604년 ~ 1651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선조의 12번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인흥군 (왕족)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창군 (이광)

의창군 이광(義昌君 李珖, 1589년 ~ 1645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제14대 임금 선조의 서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의창군 (이광) · 더보기 »

익성군 (1566년)

익성군 이향령(益城君 李享齡, 1566년 3월 24일~ 1614년 7월 1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익성군 (1566년) · 더보기 »

응거

응거(應璩)는 조위 후기의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응거 · 더보기 »

응정

응정(應貞)은 서진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응정 · 더보기 »

응창

응창(應瑒, 2세기 ~ 217년)은 후한 말기의 관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응창 · 더보기 »

응첨

응첨(應詹, 279년 ~ 331년)은 진나라 전기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응첨 · 더보기 »

응소

응소(應劭, ? ~ 204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원(仲瑗) 이며 예주 여남군 남돈현(南頓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응소 · 더보기 »

적맹

적맹(翟萌,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유중(幼中)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적맹 · 더보기 »

적방진

적방진(翟方進, ? ~ 기원전 7년 음력 2월)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위(子威)이며 여남군 상채현(上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적방진 · 더보기 »

적선 (전한)

적선(翟宣, ? ~ 7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소백(少伯)이며 여남군 상채현(上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적선 (전한) · 더보기 »

제갈량

제갈 량(諸葛亮, 181년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모신으로 자는 공명(孔明)이며 서주 낭야국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량 · 더보기 »

제갈각

주유▷노숙▷여몽▷육손▷주연▷제갈각▷손준▷손침▷주적▷육항 제갈각(諸葛恪, 203년 ~ 253년)은 중국 삼국시대 동오(東吳)의 권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각 · 더보기 »

제갈근

제갈 근(諸葛瑾, 174년 ~ 24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유(子瑜)이며 서주 낭야국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근 · 더보기 »

제갈정

제갈 정(諸葛靚,? ~ ?)은 중국 삼국시대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중사(仲思)이며 낭야군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정 · 더보기 »

제갈탄

제갈 탄(諸葛誕, ? ~ 25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정치가로, 자는 공휴(公休)이며 서주 낭야국 양도현(陽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탄 · 더보기 »

제갈풍

제갈 풍(諸葛豊,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계(少季)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갈풍 · 더보기 »

제안대군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 1466년 2월 13일 ~ 1525년 12월 14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제안대군 · 더보기 »

전광명

전광명(田廣明, ? ~ 기원전 7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자공(子公)이며 경조윤 정현(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광명 · 더보기 »

전종

전종(全琮, 196년 ~ 247년 또는 198년 ~ 249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황(子璜)이며 양주(揚州) 오군 전당현(錢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종 · 더보기 »

전주 (후한)

전주(田疇, 169년 ~ 214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로, 자는 자태(子泰)이며 유주 우북평군 무종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주 (후한) · 더보기 »

전청천

전청천(田聽天,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청천 · 더보기 »

전예

전예(田豫, 171년? ~ 252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군인으로, 자는 국양(國讓)이며 유주 어양군 옹노현(雍奴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예 · 더보기 »

전연년

전연년(田延年, ? ~ 기원전 72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자빈(子賓)이며 좌풍익 양릉현(陽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연년 · 더보기 »

전풍

전풍(田豊, ? ~ 200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호(元皓)이며 거록군 혹은 발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풍 · 더보기 »

전손사

전손 사(顓孫師, 기원전 503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장(子張)이며 진(陳)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손사 · 더보기 »

전한 무제

세종 효무황제 유철(漢 世宗 孝武皇帝 劉徹, 기원전 156년 7월 3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한 무제 · 더보기 »

전한 선제

중종 효선황제 유순(漢 中宗 孝宣皇帝 劉詢, 기원전 91년 ~ 기원전 49년)은 전한의 제 10대 황제(재위: 기원전 73년 ~ 기원전 49년)로, 자는 차경(次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전한 선제 · 더보기 »

정 무공

정 무공(鄭 武公, ? ~ 기원전 744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제2대 백작(재위: 기원전 771년 ~ 기원전 744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 무공 · 더보기 »

정 영공

정 영공(鄭 靈公, ? ~ 기원전 605년, 재위 기원전 605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 영공 · 더보기 »

정 여공

정 여공(鄭 厲公, ? ~ 기원전 673년, 재위 기원전 701년 ~ 기원전 697년, 기원전 680년 ~ 기원전 673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임금으로, 휘는 돌(突), 자는 자원(子元)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 여공 · 더보기 »

정 소공

정 소공(鄭 昭公, ? ~ 기원전 695년, 재위 기원전 701년, 기원전 696년 ~ 기원전 695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제4대 임금으로, 휘는 홀(忽)이고, 자는 만백(曼伯)이며, 정 장공과 정비 등만(鄧曼)의 장자.

새로운!!: 자 (이름)와 정 소공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미수

정미수(鄭眉壽, 1456년 ~ 1512년 음력 4월 15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미수 · 더보기 »

정밀

정밀(丁謐, ? ~ 249년)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새로운!!: 자 (이름)와 정밀 · 더보기 »

정보 (삼국지)

정보(程普, ?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덕모(德謨)이며 유주 우북평군 토은현(土垠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보 (삼국지) · 더보기 »

정공 (후한)

정공(丁恭, ? ~ ?)은 후한 초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연(子然)이며 연주 산양군 동민현(東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공 (후한) · 더보기 »

정병 (동오)

정병(程秉, ? - 242년 전)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덕추(德樞)며 예주 여남군 남돈현(南頓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병 (동오) · 더보기 »

정괄

정괄(鄭佸, 1435년 ~ 1495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괄 · 더보기 »

정봉

정봉 (승연) 정봉(丁奉, ? ~ 271년)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장수이며 자는 승연(承淵)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봉 · 더보기 »

정관 (전한)

정관(丁寬, ? ~ ?)은 전한 전기의 학자이자 군인으로, 자는 자양(子襄)이며 양나라 산양군 하구현(瑕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관 (전한) · 더보기 »

정관잉

정관잉(鄭觀應, 정관응, 아명(兒名)은 鄭官應, 1842년 7월 24일 ~ 1922년 5월 27일)은 중국 청(淸) 왕조와 중화민국(中華民國)의 교육가, 교육개혁운동가, 교육계몽운동가, 문필가, 저술가, 교육사상가, 교육이론가, 실업가, 자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관잉 · 더보기 »

정극영

정극영(鄭克永, 1067년 ~ 1127년)은 고려의 문신으로, 본관은 김포(金浦), 초명은 정극공(鄭克恭), 자는 사고(師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극영 · 더보기 »

정기

정기(程畿, ? ~ 22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계연(季然)이며 익주 파서군 낭중현(閬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기 · 더보기 »

정담수

정담수(鄭聃壽, 1550년 ~ 1604년)는 조선(朝鮮)의 무관(武官)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담수 · 더보기 »

정당시

정당시(鄭當時,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장(莊)이며 진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당시 · 더보기 »

정욱 (조위)

정욱(程昱, 141년 ~ 220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중덕(仲德)이며 연주 동군 동아현(東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욱 (조위) · 더보기 »

정이주

정이주(鄭以周, 1530년 ~ 1583년)는 조선의 문관(文官) 겸 정치가(政治家)이며 시인(詩人) 겸 서예가(書藝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이주 · 더보기 »

정의 (삼국지)

정의(丁儀, ? ~ 220년)는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문신으로 자는 정례(正禮)이며 예주 패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의 (삼국지) · 더보기 »

정지연 (조선)

정지연(鄭芝衍, 1525년 ~ 1583년 음력 8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지연 (조선) · 더보기 »

정창 (전한)

정창(鄭昌,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차경(次卿)이며 태산군 강현(康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창 (전한)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철 · 더보기 »

정충

정충(鄭沖, ? ~ 274년)은 중국 삼국 시대 사람으로, 자는 문화(文和)며 사주(司州) 형양군(滎陽郡) 개봉현(開封縣) - 동한의 행정구역 기준으로는 사례(司隷) 하남윤(河南尹) 개봉현(開封縣) -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충 · 더보기 »

정태

정태(鄭泰,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업(公業)이며 하남윤 개봉현(開封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태 · 더보기 »

정수영 (1743년)

정수영(鄭遂榮, 1743년 ~ 1831년)은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수영 (1743년) · 더보기 »

정혼

정혼(鄭渾, ? ~ ?)은 후한 말기 ~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문공(文公)이며 하남윤 개봉현(開封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혼 · 더보기 »

정현 (후한)

정현(鄭玄, 127년 ~ 200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학자로, 자는 강성(康成)이며 북해국 고밀현(高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현 (후한) · 더보기 »

정양군 (1442년)

정양군 이순(定陽君 李淳, 1442년 ~ 1492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자 평원대군 이임(平原大君 李琳)의 양자(養子)이며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의 양부(養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양군 (1442년) · 더보기 »

정헌 (전한)

정헌(丁憲,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이자 외척으로, 자는 자위(子尉)이며 산양군 하구현(瑕丘縣)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헌 (전한) · 더보기 »

정소동 (조위)

정소동(鄭小同, 196년? ~ ?)은 조위의 관료로, 자는 자진(子眞)이며 북해국 고밀현(高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소동 (조위)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정약용 · 더보기 »

정약현

정약현(丁若鉉, 1751년 ~ 1821년)은 조선 후기의 인물로, 자는 태현(太玄), 호는 부연(鬴淵)이며 본관은 나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약현 · 더보기 »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후겸 · 더보기 »

정홍 (전한)

정홍(鄭弘, ? ~ 기원전 37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치경(稺卿)이며 태산군 강현(康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정홍 (전한) · 더보기 »

저우웨이량

저우웨이량(1911 – 1995)는 중국 태생의 대수기하학자.

새로운!!: 자 (이름)와 저우웨이량 · 더보기 »

조모

위 폐황제 조모(魏 廢皇帝 曹髦, 241년 ~ 260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제 4대 황제(재위: 254년~260년)로, 자는 언사(彦士)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모 · 더보기 »

조목

조목(趙穆, 1524년 ~ 160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목 · 더보기 »

조무

조무(祖茂, ? ~ ?)는 중국 후한 말 손견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무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문명 · 더보기 »

조방

소릉여공 조방(晉 邵陵厲公 曹芳, 231년 ~ 274년)은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제3대 황제로, 자는 난경(蘭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방 · 더보기 »

조박

조박(趙璞, 1356년 ~ 140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박 · 더보기 »

조병현

조병현(趙秉鉉, 1791년 ~ 184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양(豊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병현 · 더보기 »

조병식

조병식(趙秉式, 1832년 ~ 190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병식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기 (빈경)

조기(趙岐, ? ~ 201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학자로, 자는 빈경(邠卿)이며 사례 경조윤 장릉현(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기 (빈경) · 더보기 »

조비

위 고조 문황제 조비(魏 高祖 文皇帝 曹丕, 187년 ~ 226년 6월 29일(음력 5월 17일))는 조위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환(子桓)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비 · 더보기 »

조운 (촉한)

조운(趙雲, ? ~ 229년 11월)은 중국 후한 말 ~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으로, 자는 자룡(子龍)이며 기주 상산군 진정현(眞定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운 (촉한) · 더보기 »

조회 (전한)

조회(趙恢,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향(君向)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회 (전한) · 더보기 »

조인

조인(曹仁, 168년 ~ 223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효(子孝)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인 · 더보기 »

조인규

조인규(趙仁規, 1237년 ~ 1308년)은 고려의 문신 겸 시인이며 문하시중을 지낸 대신(大臣)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인규 · 더보기 »

조흔 (군위)

조흔(趙訢, ? ~ ?)은 전한 말기의 외척으로, 자는 군위(君偉)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흔 (군위) · 더보기 »

조전

조전(趙戩, ? ~ ?)은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숙무(叔茂)이며, 경조윤 장릉현(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전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조 · 더보기 »

조중회

조중회(趙重晦; 1711년 ~ 1782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중회 · 더보기 »

조증수

조증수(趙增壽, ? ~ ?)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치공(穉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증수 · 더보기 »

조진

조진(曹眞, ? ~ 23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황족이자 장수로 자는 자단(子丹)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진 · 더보기 »

조참

조참(曹參, ? - 기원전 190년)은 전한의 군인이자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백(敬伯)이며 사수군 패현(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참 · 더보기 »

조창 (전한)

조창(趙昌,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중(君仲)이며, 탁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창 (전한) · 더보기 »

조충 (1171년)

조충(趙沖, 1171년 ~1220년)은 고려의 군인·문신·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충 (1171년) · 더보기 »

조충국

조충국(趙充國, 기원전 137년 ~ 기원전 52년)은 전한 중기 ~ 후기의 군인으로, 자는 옹손(翁孫)이며 농서군 상규현(上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충국 · 더보기 »

조충지

조충지(429년 ~ 500년)는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자는 문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충지 · 더보기 »

조상 (조위)

조상(曹爽, ? ~ 249년)은 중국 조위의 대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상 (조위) · 더보기 »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상경 (1681년) · 더보기 »

조순 (후한)

조순(曹純, ? ~ 210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수로 자는 자화(子和)이며 조인의 이부동생이자 조조의 육촌 형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순 (후한)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영하 · 더보기 »

조온 (후한)

조온(趙溫, 137년 ~ 20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유(子柔)이며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온 (후한) · 더보기 »

조호 (전한)

조호(趙護,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夏)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호 (전한) · 더보기 »

조예

위 열조 명황제 조예(魏 烈祖 明皇帝 曹叡, 205년 ~ 239년 2월 21일(음력 1월 1일))는 조위의 2대 황제로, 자는 원중(元仲)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예 · 더보기 »

조현 (전한)

조현(趙玄,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평(少平)이며 동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현 (전한) · 더보기 »

조엄 (조위)

조엄(趙儼, 171년 ~ 245년진수: 《삼국지》 권4 삼소제기)은 중국 후한 말,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연(伯然)이며 예주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엄 (조위) · 더보기 »

조표 (전한)

조표(趙彪, ? ~ 기원전 10년)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대백(大伯)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표 (전한)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예종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예종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성하 (1845년)

조성하(趙成夏, 1845년 3월 ~ 1881년 7월)는 조선의 문신, 척신, 정치가, 시인,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성하 (1845년)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소앙 · 더보기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1656년 1월 18일 ~ 1730년 6월 28일)는 프랑스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로 자는 명원(明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아킴 부베 · 더보기 »

조앙 (자수)

조앙(曹昻, 생년 미상 ~ 197년)은 조조의 장남으로, 자는 자수(子脩)이며 시호는 풍민왕(豊愍王)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앙 (자수) · 더보기 »

조앙 (위장)

조앙(趙昂,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위장(偉章어환(魚豢), 《위략(魏略)》, 偉璋황보밀(皇甫謐), 《열녀전(列女傳)》)이며 옹주(雍州) 천수군(天水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앙 (위장) · 더보기 »

조홍

조홍(曹洪, ? ~ 232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렴(子廉)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홍 · 더보기 »

조환

위 원황제 조환(魏 元皇帝 曹奐, 246년 ~ 302년)은 조위의 마지막 황제로, 자는 경명(景明)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환 · 더보기 »

조확

조확(曹確, Cao Que,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의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조확 · 더보기 »

좌자

좌자 좌자(左慈, ? ~ ?)는 중국 후한 말의 도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좌자 · 더보기 »

종리목

종리 목(鍾離牧, ? ~ ?)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회계군 산음현(山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리목 · 더보기 »

종백봉

종백 봉(宗伯鳳, ? ~ ?)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군방(君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백봉 · 더보기 »

종구

종구(宗俱, ? ~ 173년)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백려(伯儷)이며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구 · 더보기 »

종회

종회(鍾會, 225년 ~ 264년 1월 18일)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사계(士季)이며 예주 영천군 장사현(長社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회 · 더보기 »

종요

종요 종요(鍾繇, 151년 ~ 230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로 자는 원상(元常)이며 예주 영천군 장사현(長社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요 · 더보기 »

종원

종원(鍾元,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영군(寧君)이며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종원 · 더보기 »

주더

주더(1886년 12월 11일 ~ 1976년 7월 6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 중국공산당 지도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더 · 더보기 »

주덕위

주덕위(周德威, Zhou Dewei, ? ~ 919년 1월 29일《자치통감》, 권270.)는 중국 오대십국 시대 전기 진나라(후당의 전신)의 대장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주덕위 · 더보기 »

주돈이

주돈이(周敦頤: 1017년 ~ 1073년) 또는 주염계(周濂溪)는 중국 북송(960-1127)의 유교 사상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돈이 · 더보기 »

주감

주감(周堪, ? ~ ?)은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소경(少卿)이며 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감 · 더보기 »

주거 (동오)

주거(朱據, 194년? 195년? ~ 250년? 251년?)는 중국 삼국 시대 오(吳)의 무장으로, 자는 자범(子範)이며, 양주(楊州) 오군(吳郡)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거 (동오) · 더보기 »

주경

주경(周景, ? ~ 168년)은 중국 후한의 재상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경 · 더보기 »

주법상

주법상(556년 ~ 614년)은 남진, 북주, 수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덕매(德邁)이며 여남군 안성현(安成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법상 · 더보기 »

주비 (삼국지)

주비(周毖, ? ~ 190년) 혹은 주필(周珌)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원(仲遠)이며 무위군 또는 한양군(漢陽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비 (삼국지) · 더보기 »

주우 (삼국지)

주우(周喁, ? ~ ?)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인명(仁明)이며 양주(揚州) 회계군(會稽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우 (삼국지) · 더보기 »

주재

주재(朱才, ? - ?)는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무장으로, 주치의 아들이며, 자 (이름)는 군업(君業)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재 · 더보기 »

주읍

주읍(朱邑, ? ~ 기원전 62년? 61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경(仲卿)이며 여강군 서현(舒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읍 · 더보기 »

주이 (동오)

주이(朱異, 미상 ~ 258년)는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장수이자 정치가로, 자는 계문(季文)이며, 오군 오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이 (동오) · 더보기 »

주인 (전한)

주인(周仁, ? ~ ?)은 전한 초기 ~ 중기의 관료로, 자는 문(文)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인 (전한) · 더보기 »

주흔

주흔(周昕, ? ~ 196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흔 · 더보기 »

주준

주준(朱儁, ? ~ 195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위(公偉)이며 양주 회계군 상우현(上虞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준 · 더보기 »

주충

주충(周忠,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가모(嘉謀)이며 여강군 서현(舒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충 · 더보기 »

주치 (동오)

주치(朱治, 156년 ~ 224년)은 중국 후한 말기 ~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군리(君理)며 단양군 고장현(故鄣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치 (동오) · 더보기 »

주유

주유(周瑜, 175년 ~ 210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공근(公瑾)이며 여강군 서현(舒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유 · 더보기 »

주태

주태(周泰, ? ~ 황무 연간)는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유평(幼平)이며 양주 구강군 하채현(下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태 · 더보기 »

주수

주수(朱壽, ? ~ 기원전 76년)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소락(少樂)이며 회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수 · 더보기 »

주연 (동오)

주연(朱然, 182년 ~ 249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기 ~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의봉(義封)이며 단양군 고장현(故鄣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연 (동오) · 더보기 »

주삭

주삭(朱鑠, ? ~ ?)은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언재(彦才)이며 초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삭 · 더보기 »

주세걸

주세걸(자 한경(), 호 송정(), 1249~1314)은 중국 원나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세걸 · 더보기 »

주악

주악(周岳, ? ~ 893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무안군 절도사(武安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난 성 창사 시)로서 886년부터 893년까지 무안군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주악 · 더보기 »

주환 (후한)

주환(周奐, ? ~ 192년 음력 6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명(文明)이며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주환 (후한) · 더보기 »

중국인민해방군 대장

중국인민해방군 대장(中國人民解放軍大將)는 1955년부터 1965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 존재하였던 군인 계급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중국인민해방군 대장 · 더보기 »

중항언

중항 언(中行偃, ? - 기원전 554년 2월 20일)은 중국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정치가로, 씨는 순(荀) 혹은 중항(中行)이라 순언(荀偃)이라고도 하며, 시호는 헌(獻)으로 중항헌자(中行獻子).

새로운!!: 자 (이름)와 중항언 · 더보기 »

준불의

준불의(雋不疑,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만천(曼倩)이며 발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준불의 · 더보기 »

증국번

증국번 증국번(1811년 11월 26일 ~ 1872년 3월 12일)은 중국 청대 말기의 정치가·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증국번 · 더보기 »

진 목후

목후(晉穆侯)는 중국 서주 시대 진나라 제9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 목후 · 더보기 »

진 문후

문후(晉文侯, ? ~ 기원전 746년, 재위 기원전 780년 ~ 기원전 746년)는 중국 서주 시대, 춘추 시대 진나라의 제11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 문후 · 더보기 »

진 여후

여후(晉厲侯)는 중국 서주 시대 진나라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 여후 · 더보기 »

진 헌후

후(晉獻侯)는 중국 서주 시대 진나라 제8대 임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 헌후 · 더보기 »

진림

림(陳琳, ? ~ 217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문장가로, 자는 공장(孔璋)이며 광릉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림 · 더보기 »

진만년

만년(陳萬年, ? ~ 기원전 44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유공(幼公)이며 패군 상현(相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만년 · 더보기 »

진무 (후한)

무(陳武, ?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무장으로 자는 자열(子烈)이며 양주(揚州) 여강군 송자현(松滋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무 (후한) · 더보기 »

진무성

무성(陳武晟, 1566년 ~ ?)은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무성 · 더보기 »

진밀

밀(秦宓, ? ~ 226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자래(子勑)이며 익주(益州) 광한군(廣漢郡) 면죽현(綿竹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밀 · 더보기 »

진경 (전한)

경(陳慶,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경(君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경 (전한) · 더보기 »

진번 (후한)

번(陳蕃, ? ~ 168년 10월 25일(음력 9월 7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중거(仲舉)이며 여남군(汝南郡) 평여현(平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번 (후한) · 더보기 »

진궁

궁(陳宮, ? ~ 198년 음력 12월)은 중국 후한 말 여포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공대(公臺)이며 연주 동군 무양현(武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궁 · 더보기 »

진규

(陳珪,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한유(漢瑜)이며 서주 하비국 회포현(淮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규 · 더보기 »

진군

(陳羣, ? ~ 236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장문(長文)이며 예주 영천군 허현(許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군 · 더보기 »

진우

우(陳瑀,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공위(公瑋) 이며 서주 하비국 회포현(淮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우 · 더보기 »

진힐

힐(秦頡, ? ~ 186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초기(初起)습착치, 《양양기구기》 권4 이며 형주 남군 약현(鄀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힐 · 더보기 »

진진 (촉한)

(陳震, ? ~ 235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촉한의 관료로, 자는 효기(孝起)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진 (촉한) · 더보기 »

진지 (촉한)

(陳祗, ? ~ 258년)는 촉한의 관료로, 자는 봉종(奉宗) 이며 예주 여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지 (촉한) · 더보기 »

진태

(陳泰, ? ~ 260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자는 현백(玄伯)이며, 영천군 허창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태 · 더보기 »

진수 (전한)

수(陳遂, ? ~ 기원전 45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자(長子)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수 (전한) · 더보기 »

진수 (서진)

수(陳壽, 233년 ~ 297년)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 ~ 서진의 관료로, 자는 승조(承祚)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안한현(安漢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수 (서진) · 더보기 »

진온 (삼국지)

온(陳溫, ? ~ 192년) 혹은 진의(陳禕)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원제(元悌)이며 예주 여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온 (삼국지) · 더보기 »

진헌장

장의 옛집 진헌장(자:공보(公甫), 시호:문공(文恭), 1428년 ~ 1500년)은 중국 명나라 사조(思潮)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한 사상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헌장 · 더보기 »

진표 (동오)

(陳表, 204년 ~ 237년)는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로, 자는 문오(文奧)이며 여강군 송자현(松滋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표 (동오) · 더보기 »

진송

송(秦松, ? - ?)은 중국 후한 말 손책 휘하의 모사로 자는 문표(文表)이며 서주 광릉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진송 · 더보기 »

진화 (동오)

화(陳化, ? - ?)는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태상을 역임.

새로운!!: 자 (이름)와 진화 (동오) · 더보기 »

채중 (정)

중(祭仲, 기원전 743년 ~ 기원전 682년)은 춘추시대 정나라의 중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채중 (정) · 더보기 »

채염

염 채염(蔡琰, 177년 ~ 239년)은 중국 후한말의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채염 · 더보기 »

천궈푸

(陳果夫, 진과부, 본명은 천쭈타오(陳組燾, 진조도), 1892년 10월 5일 ~ 1951년 8월 25일)는 중화민국의 군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천궈푸 · 더보기 »

천두슈

슈 천두슈(1879년 10월 8일 ~ 1942년 5월 27일)는 중국의 혁명적 사회주의자이자 언론인, 혁명가,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천두슈 · 더보기 »

천치차이

이(陳其采, 진기채, 1880년 10월 21일 ~ 1954년 8월 7일)는 중화민국의 군인, 혁명가이며 타이완의 정치가, 은행가, 재정가, 실업가, 기업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천치차이 · 더보기 »

천사오보

사오보(陳少白, 진소백, 본명(本名)은 천사오먼(陳紹聞, 진소문), 1869년 7월 20일 ~ 1934년 12월 23일)는 청나라의 혁명운동가 겸 작가이며 중화민국의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천사오보 · 더보기 »

초 자오

자오(楚 訾敖, ? ~ 기원전 529년)는 중국 초나라의 제27대 군주(재위: 기원전 529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초 자오 · 더보기 »

충고

충고(种暠, 103년 ~ 163년 음력 2월)는 후한 중기 ~ 말기의 관료로, 자는 경백(景伯)범엽(范曄), 《후한서》(後漢書) 권56 장왕충진열전(張王种陳列傳)이며 하남윤 낙양현(雒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충고 · 더보기 »

충소

충소(种劭, ? ~ 194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신보(申甫)이며 하남윤 낙양현(雒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충소 · 더보기 »

추근

(1875년 11월 8일 ~ 1907년 7월 15일)은 청나라 광서제 때의 혁명가이자, 여성운동가, 시인으로 본명은 규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추근 · 더보기 »

축염

축염(祝恬, ? ~ 160년 음력 6월)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백휴(伯休)응소, 《풍속통의》(風俗通義) 권7 궁통(窮通)이며 중산국 노노현(盧奴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축염 · 더보기 »

판타인잔

리에서 촬영한 사진 판타인잔(1796년 11월 11일 - 1867년 8월 4일)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 말기의 정치인, 유학자, 외교관, 군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판타인잔 · 더보기 »

유덕 (종정)

유덕(劉德, ? ~ 기원전 57년)은 전한 후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노숙(路叔)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덕 (종정) · 더보기 »

유방 (조위)

유방(劉放)은 조위의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방 (조위) · 더보기 »

유개 (백예)

유개(劉愷, ? ~ 124년)는 후한 중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백예(伯豫)이며 팽성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개 (백예) · 더보기 »

유건봉

유건봉(劉建鋒, ? ~ 89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94년부터 896년 사망할 때까지 무안군(武安軍, 본거지는 지금의 후난 성 창사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유건봉 · 더보기 »

유벽강 (종정)

유벽강(劉辟強, 기원전 164년 ~ 기원전 85년)은 전한 중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소경(少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벽강 (종정) · 더보기 »

유경기 (양성희후)

유경기(劉慶忌, ? ~ 기원전 26년)는 전한의 후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영군(寧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경기 (양성희후) · 더보기 »

유복 (후한)

유복(劉馥, ? ~ 208년)은 후한 말기의 정. 붕괴된 양주의 정치를 회복하여, 죽은 후에도 조조 정권은 유복의 유산에 힘입어 강동 손씨 세력(후의 동오가 되는)의 양주 침입을 저. 본관은 패국 상현이며, 자는 원영(元穎)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복 (후한) · 더보기 »

유계 (동음이의)

유계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자 (이름)와 유계 (동음이의) · 더보기 »

유광 (후한)

유광(劉光,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중료(仲遼)이며 패국 소현(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광 (후한) · 더보기 »

유기 (동오)

유기(劉基, 184년 ~ 23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경여(敬輿)이며 청주 동래군 모평현(牟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기 (동오) · 더보기 »

유기 (숙준)

유기(劉崎, ? ~ ?)는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숙준(叔峻)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기 (숙준) · 더보기 »

유비

소열황제 유비(漢昭烈皇帝劉備, 161년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5월 15일(음력 4월 6일)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비 · 더보기 »

유대 (연주자사)

유대(劉岱, ? ~ 192년 음력 4월)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산(公山)이며 동래군 모평현(牟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대 (연주자사) · 더보기 »

유대 (사공장사)

유대(劉岱,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산(公山)이며 패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대 (사공장사) · 더보기 »

유교 (종정)

유교(劉交, ? ~ ?)는 전한 말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유군(游君)이며 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교 (종정) · 더보기 »

유교 (초원왕)

원왕 유교(楚元王 劉交, ? ~ 기원전 179년)는 전한 초기의 황족이자 제후왕으로, 자는 유(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교 (초원왕) · 더보기 »

유구 (후한)

유구(劉矩, ? ~ ?)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숙방(叔方)이며 패국 소현(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구 (후한) · 더보기 »

유군

유군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자 (이름)와 유군 · 더보기 »

유굉 (종백)

유굉(劉宏, ? ~ ?) 또는 유용(劉容)은 전한 말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자려(子麗)이며 발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굉 (종백) · 더보기 »

유우 (후한)

유우(劉虞, ? ~ 193년)는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백안(伯安)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우 (후한) · 더보기 »

유요 (광록훈)

유요(劉曜, ? ~ ?)는 후한의 관료로, 자는 계니(季尼)이며 동평국 무염현(無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요 (광록훈) · 더보기 »

유요 (후한)

유요(劉繇, 157년 ~ 198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정예(正禮)이며 청주 동래군 모평현(牟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요 (후한) · 더보기 »

유잠

유잠(劉岑, ? ~ 5년)은 전한 말기의 황족이자 관료로, 자는 자장(子張)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잠 · 더보기 »

유장 (삼국지)

유장(劉璋,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웅으로, 자는 계옥(季玉)이며 강하군 경릉현(竟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장 (삼국지) · 더보기 »

유흡

유흡(劉歙, ? ~ 34년)은 신나라 ~ 후한 초기의 인물로, 자는 경손(經孫)이며 남양군(南陽郡)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흡 · 더보기 »

유이 (조위)

유이(劉廙, 180년 ~ 221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사(恭嗣)이며 형주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이 (조위) · 더보기 »

유인 (제무왕)

유인(劉縯, ? ~ 23년)은 중국 신나라의 유력한 반란 지도자로, 자는 백승(伯昇)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인 (제무왕) · 더보기 »

유일 (후한)

유일(劉逸, ? ~ ?)은 중국 후한의 정치가로, 자는 대과(大過) 또는 대형(大迥)이며 형주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일 (후한) · 더보기 »

유정 (후한)

유정(劉楨, 생년 미상 ~ 217년)은 후한 말기의 저술가로, 자는 공간(公幹)이며 연주 동평국 영양현(寧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정 (후한) · 더보기 »

유지겸

유지겸(劉知謙, ? ~ 894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남한의 창시자인 유은·유엄 형제의 아버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지겸 · 더보기 »

유파

유파(劉巴, 186년 ~ 22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나라의 문신으로 자는 자초(子初)이며, 영릉군 증양현(蒸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파 · 더보기 »

유위 (전한)

유위(劉威, ? ~ 기원전 18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연(子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위 (전한) · 더보기 »

유수 (백장)

유수(劉壽, ? ~ ?)는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장(伯長)이며 장사군 임상현(臨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수 (백장) · 더보기 »

유숙 (1827년)

유숙(劉淑, 1827년∼1873년)은 조선 말기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숙 (1827년) · 더보기 »

유오 (후한)

유오(劉囂, ? ~ ?)는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녕(重寧)이며 형주 장사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오 (후한) · 더보기 »

유언 (삼국지)

유언(劉焉, ? ~ 19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군랑(君郞)이며 형주 강하군 경릉현(竟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언 (삼국지) · 더보기 »

유염

유염(劉琰, ? ~ 234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삼국 시대 촉한의 관료로, 자는 위석(威碩)이며 예주 노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염 · 더보기 »

유엽

유엽(劉曄, ? ~ 234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양(子揚)이며 양주(楊州) 회남군(淮南郡) 성덕현(成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엽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표 · 더보기 »

유선 (촉한)

효회제 유선(孝懷帝 劉禪, 207년 ~ 271년)은 촉한의 제2대 황제(재위: 223년 ~ 263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선 (촉한) · 더보기 »

유송 무제

유송 고조 무제 유유 송 고조 무황제 유유(宋 高祖 武皇帝 劉裕, 363년 ~ 42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초대 황제로, 자는 덕여(德輿)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송 무제 · 더보기 »

유송 순제

송 순황제 유준(宋 順皇帝 劉準, 467년 ~ 47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마지막 황제(재위: 477년 ~ 479년)로, 자는 중모(仲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송 순제 · 더보기 »

유소 (조위)

유소(劉劭, ? - ?)는 중국 후한 ~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재(孔才)이며 광평군(廣平郡) 한단현(邯鄲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소 (조위) · 더보기 »

유훈

유훈(劉勳, ? ~ ?)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대(子臺)이며 서주 낭야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훈 · 더보기 »

유후

유후(劉昫, 887년 ~ 946년)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 후진의 역사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후 · 더보기 »

유홍 (자고)

유홍(劉弘,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고(子高)응소, 《한관의》(漢官儀) 이며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유홍 (자고) · 더보기 »

육개

육개(陸凱, 198년 ~ 269년)은 동오의 관료로, 자는 경풍(敬風)이고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개 · 더보기 »

육우

시안 시에 있는 육우의 조각상 육우(陸羽, 733년 ~ 804년)는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며, 자는 홍점(鴻漸), 호는 상저옹(桑苧翁)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우 · 더보기 »

육적

육적(陸績, 188년 ~ 219년)은 중국 후한 말의 관료이자 학자로, 자는 공기(公紀)이며,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적 · 더보기 »

육엽

육엽(陸曄, 261년 ~ 334년)은 중국 서진의 관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엽 · 더보기 »

육손

육손 육손(陸遜, 183년 ~ 245년 2월)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언(伯言)이며 양주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손 · 더보기 »

육항

육항(陸抗, 226년 ~ 274년)은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유절(幼節)이며, 오군 오현(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육항 · 더보기 »

윤목 (후한)

윤목(尹睦, ? ~ 93년)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백사(伯師)이며 하남윤 공현(鞏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목 (후한) · 더보기 »

윤문거

윤문거(尹文擧, 1606년 ~ 1672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문거 · 더보기 »

윤봉 (후한)

윤봉(尹奉,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차증(次曾)어환: 《위략》이며 한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봉 (후한)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봉구 · 더보기 »

윤근

윤근(尹勤,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숙량(叔梁)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근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대목

윤대목(尹大目, ? ~ ?)은 조위의 군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대목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두수 · 더보기 »

윤잠

윤잠(尹岑, ? ~ 기원전 10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河)이며 하동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잠 · 더보기 »

윤이지 (1579년)

윤이지(尹履之, 1579년 ~ 1668년)는 조선의 문신(文臣)이며 본관은 해평(海平)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이지 (1579년) · 더보기 »

윤충 (전한)

윤충(尹忠, ? ~ 기원전 29년 음력 10월)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빈(子賓)이며 위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충 (전한) · 더보기 »

윤옹귀

윤옹귀(尹翁歸, ? ~ 기원전 62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황(子兄)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옹귀 · 더보기 »

윤소종

윤소종(尹紹宗, 1345년 ~ 1393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소종 · 더보기 »

윤황

윤황(尹煌, 1572년 ~ 163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윤황 · 더보기 »

팽양

팽양(彭羕, 180년 ~ 216년 또는 181년 ~ 217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영년(永年)이며 익주 광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팽양 · 더보기 »

팽월

팽월(彭越, ? ~ 기원전 196년)은 중국 진나라 말기, 전한 시대의 인물로, 초한전쟁에서 한 고조를 도와 전한 왕조를 세우는데 기여한 개국공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팽월 · 더보기 »

파연수

연수(繁延壽, ? ~ 기원전 33년 음력 2월), 또는 이연수(李延壽)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혜(子惠)이며 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파연수 · 더보기 »

위강 (후한)

위강(韋康, ? ~ 212년/213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원장(元將)이며 사례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강 (후한) · 더보기 »

위등

위등(衛登, ? ~ ?)은 전한 중기의 제후로, 자는 숙승(叔昇)이며 하동군 평양현(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등 · 더보기 »

위단

위단(韋端,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휴보(休甫) 또는 보휴(甫休)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단 · 더보기 »

위자 (후한)

위자(衛玆, ? ~ 190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인물로, 자는 자허(子許) 이며 연주 진류군 양읍현(襄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자 (후한) · 더보기 »

위장 (전한)

위장(魏章,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양(子讓)이며 동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장 (전한) · 더보기 »

위정 (후한)

위정(衛旌, ? - ?)은 중국 후한 말, 삼국 시대 동오의 정치가로, 자는 자기(子旗)장발 저, 《오록》 (오서 보즐전에 배주로 인용된 부분)며 서주 광릉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정 (후한) · 더보기 »

위진

위진(衛臻, ? ~ ?)은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진(公振)이며 연주 진류군 양읍현(襄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진 · 더보기 »

위탄

위탄(韋誕,179년 ~ 253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이자 서예가로, 자는 중장(仲將)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탄 · 더보기 »

위현

위현(衛玄, 541년 ~ 617년) 혹은 위문승(衛文昇)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현 · 더보기 »

위현성

위현성(韋玄成, ? ~ 기원전 36년)은 전한 후기의 정치가로, 자는 소옹(少翁)이며 노국 추현(鄒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현성 · 더보기 »

위연

위연(魏延, ? ~ 234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문장(文長)이며 형주 의양군(義陽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연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위안커원

위안커원(袁克文, 1889년 ~ 1931년)은 중화민국의 샹치(중국 장기) 및 마작(麻雀) 유단자였.

새로운!!: 자 (이름)와 위안커원 · 더보기 »

위원 (1794년)

《해국도지》 위원(호:양도(良圖), 자:묵심(默深), 1794년 ~ 1857년)은 중국 청대 후기의 사상가이자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위원 (1794년) · 더보기 »

상랑

상랑(向朗, 167년 이전 ~ 247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거달(巨達)이며 형주(荊州) 양양군(襄陽郡)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상랑 · 더보기 »

상림

상림(常林,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백괴(伯槐)이며 사례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상림 · 더보기 »

상거

상거(常璩, 291년 ~ 361년)는 중국 성한, 동진의 관리이자 역사가로, 《화양국지》의 편찬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상거 · 더보기 »

태사자

사 자(太史 慈, 166년 ~ 206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자의(子義)이며 청주 동래군 황현(黃縣)(지금의 옌타이 시 룽커우 시)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태사자 · 더보기 »

태사향

사 향(太史享, ? ~ ?)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수로 자는 원복(元復)이.

새로운!!: 자 (이름)와 태사향 · 더보기 »

숭선군

숭선군 이징(崇善君 李澂, 1639년 음력 10월 17일 ~ 1690년 음력 1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숭선군 · 더보기 »

순개

순개(荀愷, ? ~ ?)는 중국 삼국 시대 조위 ~ 서진의 관료로, 자는 무백(茂伯)순백자(荀伯子), 《순씨가전(荀氏家傳)》, 소자(小字)는 호자(虎子)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潁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개 · 더보기 »

순우장

순우 장(淳于長, ? ~ 기원전 8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홍(子鴻)이며 위군 원성현(元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우장 · 더보기 »

순우신

순우 신(淳于信,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군(中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우신 · 더보기 »

순욱

순욱(荀彧, 163년 ~ 212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문약(文若)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穎陰縣) - 지금의 허난 성 쉬창 시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욱 · 더보기 »

순의

순의(荀顗, ? ~ 274년)는 중국 조위, 서진의 관료로, 자는 경천(景倩)이며 영천군 영음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의 · 더보기 »

순천군 (1518년)

순천군 이관(順川君 李琯, 1518년 ~ 1577년 10월)은 조선 중종· 인종· 명종· 선조 때의 왕족 종실 겸 성리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천군 (1518년) · 더보기 »

순유

순유(荀攸, 157년 ~ 214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달(公達)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潁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유 · 더보기 »

순위 (조위)

순위(荀緯, 182년 ~ 223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공고(公高)이며 하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위 (조위) · 더보기 »

순심

순심(荀諶,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우약(友若)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穎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순심 · 더보기 »

수의 (전한)

수의(遂義,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공(子贛)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수의 (전한) · 더보기 »

숙량흘

숙량흘(叔梁紇: ? ~ 기원전 548년)은 춘추시대 노나라의 군인으로, 성은 자(子), 씨는 공(孔), 이름은 흘(紇)이고, 숙량(叔梁)은 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량흘 · 더보기 »

숙중회

숙중 회(叔仲會, 기원전 501년 ~ ?)는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기(子期)이며, 노나라 또는 진(晉)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중회 · 더보기 »

숙순

이혁보국군왕(已革輔國郡王, 1816년 11월 26일 ~ 1861년 9월 10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귀족, 호족, 무관, 정치가(동치제의 섭정)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순 · 더보기 »

숙향

숙향(叔向, ? ~ ?)은 중국 춘추 시대 진나라(晉)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향 · 더보기 »

숙손통

숙손 통(叔孫通, ? ~ ?) 또는 숙손 하(叔孫何)는 진나라 ~ 전한 초기의 관료로, 설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손통 · 더보기 »

숙황

숙황(玊況, ? ~ 51년 음력 4월)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문백(文伯)이며 경조윤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숙황 · 더보기 »

영응대군

영응대군 이염(永膺大君 李琰, 1434년 5월 23일/음력 4월 15일 ~ 1467년 2월 2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영응대군 · 더보기 »

영순군

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 1444년 6월 ~ 1470년 3월 28일)는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영순군 · 더보기 »

영호우

영호 우(令狐 遇, 199년? ~ 249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영호우 · 더보기 »

혁현

순현친왕 혁현(醇賢親王 奕譞, 1840년 10월 16일 ~ 1891년 1월 1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이고 청나라 제8대 황제 도광제(道光帝)의 서자(庶子)이며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咸豊帝)의 이복 동생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혁현 · 더보기 »

오반

오반(吳班, ? ~ ?)은 중국 후한 말기, 삼국 시대 촉나라의 무장으로, 자는 원웅(元雄)이며 진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반 · 더보기 »

오규 소라이

《선철상전(先哲像傳)》에 실려 있는 오규 소라이의 초상화 오규 소라이(1666년 3월 21일 ~ 1728년 2월 28일)는 에도(江戶) 중기의 유학자(儒學者)·사상가·문헌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규 소라이 · 더보기 »

오구수왕

오구수왕(吾丘壽王, ? ~ ?)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자공(子贛)이며 조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구수왕 · 더보기 »

오용

성 오용 오용(吳用)은 중국의 사대기서(四大奇書) 중 하나인 《수호전》(水滸傳)의 등장하는 인물로, 108성 중 3위이자 천강성(天罡星)의 천기성(天機星)에 해당.

새로운!!: 자 (이름)와 오용 · 더보기 »

오자서

오자서 조각상 오자서 조각상 오자서(伍子胥, ? ~ 기원전 485년)는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서(子胥)는 자이며, 이름은 운(員)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자서 · 더보기 »

오의

오의(吳懿) 또는 오일(吳壹, ? ~ 23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자는 자원(子遠)이며 연주 진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의 · 더보기 »

오질

오질(吳質, 177년 ~ 230년)은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계중(季重)이며 연주 제음군 견성현(鄄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오질 · 더보기 »

온회

온회(溫恢, ? ~ ?)는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만기(曼基)이며 태원군 기현(祁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온회 · 더보기 »

온순

온순(溫順,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교(子敎)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온순 · 더보기 »

호 (이름)

호(號)는 유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에서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람의 별칭이나 필명 또는 별호(別號)나 아호(雅號) 등을 가리.

새로운!!: 자 (이름)와 호 (이름) · 더보기 »

호모반

호모 반(胡母班, ? ~ 190년 음력 6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계피(季皮)이며 연주 태산군 봉고현(奉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호모반 · 더보기 »

호종

호종(胡綜, 185년 ~ 243년)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정치가·문장가·장군으로, 자는 위칙(偉則)이며 여남군 고시현(固始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호종 · 더보기 »

호주 (조위)

호주(浩周, ? ~ ?)는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이(孔異)이며 상당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호주 (조위) · 더보기 »

호질 (조위)

호질(胡質,? ~ 250년)은 삼국 시대 조위(曹魏)의 관료로, 자는 문덕(文德)이며 초국(楚國) 수춘현(壽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호질 (조위) · 더보기 »

혜강

혜강(嵇康, 223년~262년)은 조위의 철학자이자 작가 · 시인으로, 자는 숙야(叔夜)이며 초군(譙郡) 즐현(銍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혜강 · 더보기 »

옌자간

옌자간(엄가감,, 1905년 10월 23일 ~ 1993년 12월 24일)은 중화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옌자간 · 더보기 »

예형

예형(禰衡, 173년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정평(正平)이며 청주 평원군 반현(般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예형 · 더보기 »

예안 김씨

예안 김씨(禮安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자 (이름)와 예안 김씨 · 더보기 »

현덕

현덕(玄德, 1909년 2월 15일 ~ ?)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시인, 아동문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현덕 · 더보기 »

현수

현수는 다음과 같은 뜻을.

새로운!!: 자 (이름)와 현수 · 더보기 »

형목

형목(邢穆, ? ~ 73년 음력 5월)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수공(綏公)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형목 · 더보기 »

최림

림(崔林, ? - 244년 12월진수, 《삼국지》 권4 제왕기)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덕유(德儒)이며 기주 청하국 동무성현(東武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림 · 더보기 »

최립

립(崔岦, 1539년 5월 20일(음력 5월 3일)~ 1612년 8월 9일(음력 7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 겸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립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남선 · 더보기 »

최인

인(崔駰, ? ~ 92년)은 후한 초기의 학자로, 자는 정백(亭伯)이며 탁군 안평현(安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인 · 더보기 »

최치원

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라 말기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치원 · 더보기 »

최열 (후한)

열(崔烈, ? ~ 192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위고(威考) 이며 유주 탁군 안평현(安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열 (후한) · 더보기 »

최염

염(崔琰, 167년? ~ 216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계규(季珪)이며 청하국 동무성현(東武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염 · 더보기 »

최원 (후한)

원(崔瑗, 77년 ~ 142년)은 후한 중기의 문장가로, 자는 자옥(子玉)이며 탁군 안평현(安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최원 (후한) · 더보기 »

어세겸

어세겸(魚世謙, 1430년 ~ 150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어세겸 · 더보기 »

양병

양병(楊秉, 92년 ~ 165년)은 후한 중기 ~ 후기의 관료로, 자는 숙절(叔節)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병 · 더보기 »

양병 (조위)

양병(楊炳, ? ~ ?)은 조위의 관료로, 자는 문종(文宗) 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병 (조위) · 더보기 »

양부

양부(楊阜,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의산(義山)이며 옹주(雍州) 천수군(天水郡) 기현(冀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부 · 더보기 »

양기

양기(梁冀, ? ~ 159년)는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탁(伯卓)이며 안정군(安定郡) 오지현(烏枝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기 · 더보기 »

양구하

양구 하(梁丘賀, ? ~ 기원전 48년?)는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장옹(長翁)이며 낭야군 제현(諸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구하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담

양담(楊譚, ?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옹군(翁君)사마천, 《사기》 권20 건원이래후자연표이며 경조윤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담 · 더보기 »

양운

양운(楊惲, ? ~ 기원전 54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유(子幼)이며 경조윤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운 · 더보기 »

양습

양습(梁習, ? ~ 230년)은 중국 삼국시대의 위나라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습 · 더보기 »

양희 (촉한)

양희(楊戱, ? ~ 261년)는 중국 촉한의 관료로, 자는 문연(文然)이며 건위군 무양현(武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희 (촉한) · 더보기 »

양준 (조위)

양준(楊俊, ? ~ 222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계재(季才)이며 하내군 획가현(獲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준 (조위) · 더보기 »

양진 (후한)

양진(楊震, 54년 ~ 124년)은 후한 초기 ~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기(伯起)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진 (후한) · 더보기 »

양창

양창(楊敞, ? ~ 기원전 74년 음력 8월)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평(君平)이며 경조윤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창 · 더보기 »

양카이후이

양카이후이(楊開慧, 양개혜, 1901년 11월 6일 ~ 1930년 11월 14일)는 중화민국의 공산주의자로 초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원수를 마오쩌둥(毛澤東)의 2번째 부인이며 중화민국 베이핑 대학교 교수를 지낸 양창지(楊昌濟)의 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카이후이 · 더보기 »

양휘

양휘(자 겸광(1238~1298)는 남송의 수학자이다. 마방진과 이항 정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파스칼의 삼각형이 등장하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문헌을 집필하였다.

새로운!!: 자 (이름)와 양휘 · 더보기 »

양상 (전한)

양상(梁相,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夏)이며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상 (전한) · 더보기 »

양수 (후한)

양수 양수(楊脩, 175년 ~ 219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덕조(德祖)이며 홍농군 화음현(華陰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수 (후한) · 더보기 »

양호 (삼국지)

양호(羊祜, 221년 ~ 278년)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 진나라의 장수로 자는 숙자(叔子)이며, 연주(兗州) 태산군(泰山郡) 남성현(南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호 (삼국지) · 더보기 »

양행밀

양행밀(楊行密, Yang Xingmi, 852년《십국춘추(十國春秋)》, ~ 905년 12월 24일《자치통감》, 권 265)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이자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본거지는 지금의 장쑤 성 양저우 시)로, 5대 10국 시대의 오나라의 창건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행밀 · 더보기 »

양허링

양허링(楊鶴齡, 양학령, 1868년 7월 20일 ~ 1934년 8월 29일)은 마카오의 반청반제(反淸反帝) 흥중회 혁명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허링 · 더보기 »

양웅

양웅 양웅(揚雄, 楊雄, 기원전 53년 ~ 기원후 18년)은 중국 전한 말기의 사상가이며 문장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양웅 · 더보기 »

여몽

여몽(呂蒙, 178년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자명(子明)이며 예주 여남군 부피현(富陂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몽 · 더보기 »

여거

여거(呂據, ? ~ 256년 10월 8일)는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로, 자는 세의(世議)이며, 예주 여남군 세양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거 · 더보기 »

여건 (삼국지)

여건(呂虔, ? ~ ?)은 중국 후한 말 ~ 위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자는 자각(子恪)이며 연주 임성군(任城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건 (삼국지) · 더보기 »

여대 (동오)

여대(呂岱, 161년 ~ 256년)는 후한 말기 ~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정공(定公)이며 광릉군 해릉현(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대 (동오) · 더보기 »

여우례

여우례(尤列, 우열, 우렬, 1864년 12월 29일 ~ 1936년 12월 12일)은 청나라의 혁명운동가이며 중화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우례 · 더보기 »

여포

여포(呂布, ? ~ 198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봉선(奉先)이며 병주 오원군 구원현(九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여포 · 더보기 »

역기 (전한)

역기(酈寄, ? ~ ?)는 전한 초기의 군인으로, 자는 황(況, 兄)이며 진류군 고양현(高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역기 (전한)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연령군 · 더보기 »

연갱요

연갱요(1679년 ~ 1726년 1월 13일)는 청나라 옹정제 시대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연갱요 · 더보기 »

연녕

연녕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자 (이름)와 연녕 · 더보기 »

염포 (전한)

염포(廉褒, ? ~ ?)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상(子上)이며 농서군 양무현(襄武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염포 (전한) · 더보기 »

염숭

염숭(閻崇, ? ~ 기원전 7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군란(君蘭)이며 거록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염숭 · 더보기 »

염행

염행(閻行, ? ~ ?)은 중국 후한 말 한수 휘하의 무장으로 자는 언명(彦明)이며 양주 금성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염행 · 더보기 »

허광한

광한(許廣漢, ? ~ 기원전 61년)은 전한의 환관이자 외척으로, 자는 백(伯)이며 창읍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광한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균 · 더보기 »

허욱 (후한)

욱(許𢒰,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계일(季軼)응소, 《한관의》 이며 회계군 양선현(陽羨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욱 (후한) · 더보기 »

허저

저(許褚, ? ~ ?)는 후한 ~ 위나라의 무장으로 자는 중강(仲康)이며 예주 초국(譙國)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저 · 더보기 »

허징

징(許澂, 1549년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새로운!!: 자 (이름)와 허징 · 더보기 »

허유

유(許攸, ? ~ 204년)는 중국 후한 말 원소 휘하의 모사로 자는 자원(子遠)《위략(魏略)》 이며 형주 남양군《삼국지(三國志)》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유 · 더보기 »

허상 (전한)

상(許商, ? ~ ?)은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장백(長伯)이며 경조윤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상 (전한) · 더보기 »

허소

소(許劭, 150년 ~ 195년)는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자장(子將)이며 여남군(汝南郡) 평여현(平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소 · 더보기 »

허항

항(許沆, 1758년 ~ 1812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항 · 더보기 »

허신 (후한)

신(許愼, ? ~ ?)은 후한 중기의 학자로, 자는 숙중(叔重)이며, 예주 여남군 소릉현(召陵縣) (현재의 하남성 뤄허 시)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신 (후한) · 더보기 »

허훈 (후한)

훈(許訓,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계사(季師)이며 여남군 평여현(平輿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훈 (후한) · 더보기 »

허화평

화평(許和平, 1937년 10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사회평론가 및 시민사회단체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허화평 · 더보기 »

엄흔 (전한)

엄흔(嚴訢, ? ~ 기원전 10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경(子慶)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엄흔 (전한) · 더보기 »

엄준

엄준(嚴畯, ? - ?)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문신으로, 자는 만재(曼才)며 팽성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엄준 · 더보기 »

엄팽조

엄팽조(嚴彭祖, ? ~ ?)는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공자(公子)이며 동해군 하비현(下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엄팽조 · 더보기 »

엄연년 (장손)

엄연년(嚴延年,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손(長孫)이.

새로운!!: 자 (이름)와 엄연년 (장손) · 더보기 »

쑨커

쑨커(孫科, 1895년 10월 21일 ~ 1973년 9월 13일)는 중화민국의 정치가이고 자(字)는 저성(哲生, 철생)이며 만년에는 저술가로도 활약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쑨커 · 더보기 »

쑹자수

쑹자수(1863년 2월 17일 ~ 1918년 5월 3일)은 객가 출신 중국인으로 감리교 목사 이자 성공한 사업가였.

새로운!!: 자 (이름)와 쑹자수 · 더보기 »

쑹자오런

쑹자오런(1882년 4월 5일 ~ 1913년 3월 22일)은 중국의 언론인,혁명가이자 정치지도자였.

새로운!!: 자 (이름)와 쑹자오런 · 더보기 »

쑹쯔량

쑹쯔량(宋子良, 송자량, 1903년 3월 27일 ~ 1987년 5월 11일)은 중화민국 타이완의 실업가, 은행가, 정치인 겸 외교관이며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쑹쯔량 · 더보기 »

풍도 (정치가)

풍도(馮道, 882년《구오대사》, 권126. ~ 954년 5월 21일(음력 4월 17일))는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십국 시대에 걸쳐 활약했던 중국의 정치가이자 고급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풍도 (정치가) · 더보기 »

풍야왕

풍야왕(馮野王,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경(君卿)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풍야왕 · 더보기 »

사림 (전한)

사림(師臨,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위(子威)이며,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림 (전한) · 더보기 »

사마랑

사마 랑(司馬朗, 171년 ~ 217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백달(伯達)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랑 · 더보기 »

사마륜

사마륜(司馬倫, 249년? ~ 301년 6월 5일)은 중국 서진의 황족이자 무장으로, 자는 자이(子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륜 · 더보기 »

사마망

사마망(司馬望, 205년 ~ 271년)은 중국의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이며, 서진의 황족으로, 자는 자초(子初)이고, 시호는 의양성왕(義陽成王)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망 · 더보기 »

사마방

사마 방(司馬芳,《사마방잔비》(司馬芳殘碑) 司馬防,저자 미상, 《조만전》(曹瞞傳)·사마표, 《서전》(序傳) 149년 ~ 219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예(文豫) 또는 건공(建公)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지금의 허난성 원 현) 출신.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방 · 더보기 »

사마부

사마부(司馬孚, 180년 ~ 272년 2월)는 조위의 관료이자 서진의 관료·황족으로, 자는 숙달(叔達)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부 · 더보기 »

사마의

조 선황제 사마의(晉 高祖 宣皇帝 司馬懿, 179년 ~ 251년 8월 5일)는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관료이자 서진의 추존 황제로, 자는 중달(仲達)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의 · 더보기 »

사마주

낭야무왕 사마주(琅耶武王 司馬伷, 227년 ~ 283년)는 중국 서진(西晉)의 황족이며 사마의(司馬懿)의 4남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주 · 더보기 »

사마천

사마천 사마 천(기원전 145년? - 기원전 86년?)은 중국 전한(前漢)시대의 역사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천 · 더보기 »

사마휘

사마휘 (司馬徽, ? ~ 208년)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덕조(德操)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휘 · 더보기 »

사마사

세종 경황제 사마사(晉 世宗 景皇帝 司馬師, 208년 ~ 255년)는 중국 삼국 시대의 조위의 관료이자 서진의 추존 황제로, 자는 자원(子元)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사 · 더보기 »

사마소

조 문황제 사마소(晉 太祖 文皇帝 司馬昭, 211년 ~ 265년)는 조위의 관료이자 서진의 추존 황제로, 자는 자상(子上)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마소 · 더보기 »

사요

사요(謝堯, 기원전 66년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장평(長平)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요 · 더보기 »

사주국

사주국(史柱國,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위공(衛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주국 · 더보기 »

사섭

사섭(士燮, 137년 ~ 226년 음력 11월) 또는 시 니엡()은 중국 후한 말기 ~ 삼국 시대의 관료로, 자는 위언(威彦)이며 창오군 광신현(廣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섭 · 더보기 »

사토 노부히로

사토 노부히로(1769년 7월 18일 ~ 1850년 2월 17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절대주의적 사상가로, 경세가(経世家, 경제학자), 농학자, 병학자(兵学者), 농정가(農政家, 농업 정책 및 법령 연구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토 노부히로 · 더보기 »

사환

사환(史渙, ? ~ 20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공유(公劉)이며 예주 패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사환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자 (이름)와 피휘 · 더보기 »

석도

석도 석도(石濤, 1642년 ~ 1707년)는 명말 청초의 화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석도 · 더보기 »

석숭

석숭(石崇, 249년 ~ 300년)은 중국 서진의 문인으로, 석포의 막내아들이며, 자는 계륜(季倫), 아명은 제노(齊奴)이며 발해군 남피현(南皮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석숭 · 더보기 »

석현 (전한)

석현(石顯,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방(君房)이며 제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석현 (전한) · 더보기 »

석성 (명나라)

석성(생년 미상 ~ 만력 27년(1599년)은 명나라의 문신이다. 자는 공진(拱辰), 호는 동천(東泉). 북직례 동명현(현재의 산둥 성 둥밍 현) 출신.

새로운!!: 자 (이름)와 석성 (명나라) · 더보기 »

선기

숙충친왕 선기(肅忠親王 善耆, 1866년 3월 15일 ~ 1922년 3월 15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및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선기 · 더보기 »

선우황

선우 황(鮮于璜, ? ~ 125년)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겸(伯謙)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선우황 · 더보기 »

설례

설례(薛禮, ? ~ 195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례 · 더보기 »

설거정

설거정(薛居正, 912년 ~ 981년)은 중국 송나라의 역사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거정 · 더보기 »

설제

설제(薛悌, 173년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효위(孝威)이며 연주 동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제 · 더보기 »

설종

설종(薛綜, ? - 243년)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문장가로, 자는 경문(敬文)이며 예주 패군 죽읍현(竹邑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종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총 · 더보기 »

설세웅

설세웅(薛世雄, 555년 ~ 617년)은 수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세웅 · 더보기 »

설신

설신(薛愼, 미상 ~ 1251년 7월 4일(음력 6월 14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신지(愼之)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설신 · 더보기 »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성준 (조선) · 더보기 »

성윤

성윤(盛允, ? ~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백세(伯世)《한사도성윤묘비》(漢司徒盛允墓碑) 또는 자사(子嗣)응소, 《풍속통의》(風俗通義) 권5 십반(十反)이며, 양국 우현(虞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성윤 · 더보기 »

성사달

성사달(成士達, ? ~ 1380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성원달(成元達), 자는 겸선(兼善), 호는 역암(易菴)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성사달 · 더보기 »

서명선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명선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인 (전한)

서인(徐仁, ? ~ 기원전 78년 음력 4월)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중손(中孫)이며 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인 (전한) · 더보기 »

서정 (동오)

서정(徐整, 220년 ~ 265년)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관료로, 자는 문조(文操)이며 예장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정 (동오) · 더보기 »

서정 (전한)

서정(徐靜, ? ~ ?)은 전한의 관료로, 자는 군안(君安)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정 (전한) · 더보기 »

서유방

서유방(徐有防, 1741년 ~ 17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유방 · 더보기 »

서온

서온(徐溫, 862년《신오대사》, 권61. ~ 927년 11월 20일《자치통감》, 권268.)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오나라의 대장이자 섭정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서온 · 더보기 »

서양 (전한)

서양(徐讓,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장(子張)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양 (전한) · 더보기 »

서성

서성(徐盛, ? ~ ?)은 중국 후한 말 ~ 동오의 무장으로 자는 문향(文響)이며 서주 낭야국 거현(莒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성 · 더보기 »

서서

서서(徐庶, ? ~ 234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원직(元直)이며 예주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서 · 더보기 »

서송 (전한)

서송(徐誦, ? ~ ?)은 전한의 관료로, 자는 자산(子産)이며 파군 낭중현(閬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송 (전한) · 더보기 »

서소

서소(舒邵, ? ~ ?)는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중응(仲膺, 仲應)이며 연주 진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소 · 더보기 »

서황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서황 · 더보기 »

손량

회계왕 손량(會稽王 孫亮, 243년 ~ 260년, 재위 252년 ~ 258년)은 오의 제2대 황제로, 손권(孫權)의 일곱째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량 · 더보기 »

손랑 (후한)

손랑(孫朗, ? ~ ?)은 후한의 관료로, 자는 대평(代平) 단, 성윤의 예로 볼 때 이는 이현이 《후한서》에 주석을 달 때 당태종의 휘를 피하기 위하여 ‘세(世)’를 ‘대(代)’로 고친 것일 수 있. 이러할 경우, 손랑의 자는 세평(世平)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랑 (후한) · 더보기 »

손건

손건(孫乾, ? ~ 21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공우(公祐)이며 청주(靑州) 북해군(北海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건 · 더보기 »

손건 (신)

손건(孫建, ? ~ 15년)는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군인으로, 자는 자하(子夏)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건 (신) · 더보기 »

손견

손견(孫堅, 155년? ~ 191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견 · 더보기 »

손보 (전한)

손보(孫寶,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엄(子嚴)이며, 영천군 언릉현(鄢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보 (전한) · 더보기 »

손보 (후한)

손보(孫輔,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국의(國儀)이며 양주 오군(吳郡)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보 (후한) · 더보기 »

손권

오 태조 대황제 손권(吳 太祖 大皇帝 孫權, 182년 음력 5월 18일 ~ 252년 음력 4월 16일)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 자는 중모(仲謀)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권 · 더보기 »

손교

손교(孫皎, 한어 병음: Sun Jiao, ? - 219년)는 삼국 시대의 인물로, 오나라의 왕족 손정(孫靜)의 3남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교 · 더보기 »

손등

손등(孫登, 209년 ~ 241년)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첫 번째 황태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등 · 더보기 »

손노반

손노반(孫魯班, ? ~ ?)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공주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노반 · 더보기 »

손운

손운(孫雲,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숙(子叔)이며, 하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운 · 더보기 »

손자 (조위)

손자(孫資)는 조위의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자 (조위) · 더보기 »

손의

손의(孫意,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승(子承)이며, 청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의 · 더보기 »

손정

손정(孫靜,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유대(幼臺)이며, 오군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정 · 더보기 »

손책

오 장사환왕 손책(吳 長沙桓王 孫策, 175년 ~ 200년 4월)은 중국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吳)나라의 추존왕으로, 198년 조조에 의해 오후에 봉해졌.

새로운!!: 자 (이름)와 손책 · 더보기 »

손휴

오 경황제 손휴(吳 景皇帝, 235년 ~ 264년, 재위 258년 ~ 264년)는 오의 제3대 황제로, 자는 자열(子烈)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휴 · 더보기 »

손숙오

손숙오(孫叔敖, ? ~ ?)는 중국 춘추 시대 초나라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숙오 · 더보기 »

손호

손호(孫皓, 242년 ~ 284년, 재위 264년 ~ 280년)는 오나라 최후의 황제로 자는 원종(元宗)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호 · 더보기 »

손소 (공례)

손소(孫韶, 188년 - 241년)는 중국 후한 말기, 삼국 시대 오나라의 황족으로, 자는 공례(公禮)며, 손하(孫河)의 조.

새로운!!: 자 (이름)와 손소 (공례) · 더보기 »

손소 (장서)

손소(孫邵, 163년 ~ 225년 5월)는 후한 말기 ~ 동오의 관료로, 자는 장서(長緖)이며 북해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소 (장서) · 더보기 »

손하

손하(孫河, ? - 204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해(伯海)이며, 오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하 · 더보기 »

손신

손신(孫信,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유(子儒)이며, 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신 · 더보기 »

손환 (계명)

손환(孫奐, 195년~234년)은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종실 사람으로, 손정(孫靜)의 4남이며, 자는 계명(季明)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환 (계명) · 더보기 »

손완

손완(孫𩅦, ? ~ 265년 음력 7월)은 중국 삼국 시대 동오의 황족이자 제후왕으로, 자는 흘(莔)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손완 · 더보기 »

송기 (전한)

송기(宋畸,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옹일(翁壹)이며, 동해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송기 (전한) · 더보기 »

송평

송평(宋平,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차군(次君)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송평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상현 (1551년)

송상현 문집 송상현(宋象賢, 1551년 ~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이며 임진왜란 때의 장수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송상현 (1551년) · 더보기 »

소망지

소망지(蕭望之, ? ~ 기원전 46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천(長倩)이며 동해군 난릉현(蘭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망지 · 더보기 »

소감 (후한)

소감(巢堪, ? ~ ?)은 후한 초기 ~ 중기의 관료로, 자는 차랑(次朗)이며 태산군 남성현(南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감 (후한)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정방 · 더보기 »

소칙

소칙(蘇則, ? ~ 223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문사(文師)이며 우부풍 무공현(武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칙 · 더보기 »

소함

소함(蕭咸, ? ~ 2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仲)이며 동해군 난릉현(蘭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함 · 더보기 »

소신신

소신신(召信臣, ? ~ ?)은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옹경(翁卿)이며, 구강군 수춘현(壽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소신신 · 더보기 »

통주 양씨

통주 양씨(通州 楊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자 (이름)와 통주 양씨 · 더보기 »

통칭명

통칭명(通稱名)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이름이나 설명하는 말을 뜻하며, 재일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일본풍의 인명을 뜻.

새로운!!: 자 (이름)와 통칭명 · 더보기 »

항우

항우(項羽,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는 중국 진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초한전쟁 때 초나라의 군주로, 우는 자이며, 이름은 적(籍)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항우 · 더보기 »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해안군 · 더보기 »

야율대석

야율 대석(耶律大石, 1087년 ~ 1143년, 재위: 1132년 ~ 1143년)은 요나라의 황족 출신이며, 서요(西遼)의 초대 황제.

새로운!!: 자 (이름)와 야율대석 · 더보기 »

야율적로

야율적로(耶律敵魯, ? ~ ?)는 요나라의 관료이며, 자는 살부완(撒不碗)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야율적로 · 더보기 »

한 경시제

경시제 유현(漢 更始帝 劉玄, ? ~ 25년)은 중국 현한의 제1대 황제로, 자는 성공(聖公)이며 형주 남양군 채양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 경시제 · 더보기 »

한립

립(韓立,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연(子淵)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립 · 더보기 »

한백록

백록(韓百祿, 1555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지(綬之)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백록 · 더보기 »

한계희

희(韓繼禧, 1423년 ~ 1482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계희 · 더보기 »

한규설

설 한규설(韓圭卨, 1856년~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규설 · 더보기 »

한기 (조위)

(韓曁, 158년 이전 ~ 23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지(公至)며 남양군 자양현(堵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기 (조위)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단순

순(邯鄲淳, 132년 ~ ?)은 중국 후한 말 ~ 조위의 유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자례(子禮)이는 한단순이 비문을 적은 《조아비》(曹娥碑)의 기록이며, 《위지》(魏志) 왕찬전(王粲傳)에서는 자숙(子叔), 《예문유취》에서는 숙(淑), 《태평어람》에서는 원숙(元淑)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단순 · 더보기 »

한당

당(韓當,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오(吳)나라의 장수로, 자는 의공(義公)이며 유주 요서군 영지현(令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당 · 더보기 »

한용

용(韓容,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백(子伯)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용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용운 · 더보기 »

한종유

종유(韓宗愈, 1287년-1354년)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종유 · 더보기 »

한융

융(韓融,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장(元長)이며 영천군 무양현(舞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융 · 더보기 »

한수 (후한)

수(韓遂, 145년 이전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관서 일대의 세력가로 자는 문약(文約)이며 양주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수 (후한) · 더보기 »

한호

호(韓濩, 1543년~1605년)는 조선의 문신·서예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호 · 더보기 »

한호 (삼국지)

호(韓浩, ? ~ ?)는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원사(元嗣)이며 사례 하내군진수, 《삼국지》9권 위서 제9 하후돈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호 (삼국지) · 더보기 »

한형

형(韓珩, ? ~ ?)은 중국 후한 말 원희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자패(子佩)이며 유주 대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형 · 더보기 »

한형운

형운(韓亨允, 1470년 ~ 1532년)은 조선의 문신 및 서예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형운 · 더보기 »

한언

언(韓嫣, ? ~ 기원전 137년)은 전한의 중기의 인물로, 자는 왕손(王孫)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언 · 더보기 »

한연

연(韓演, 韓縯, ? ~ ?) 또는 한인(韓寅) 은 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백남(伯南)이며, 영천군 무양현(舞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연 · 더보기 »

한연수 (전한)

연수(韓延壽, ? ~ 기원전 57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공(長公)이며 연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연수 (전한) · 더보기 »

한열

열(韓說, ? ~ 기원전 9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소경(少卿)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열 · 더보기 »

한안국

안국(韓安國, ? ~ 기원전 127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장유(長孺)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안국 · 더보기 »

한훈 (전한)

훈(韓勳, ? ~ 기원전 13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빈(長賓)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한훈 (전한) · 더보기 »

안경공 (여말선초)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1월 10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경공 (여말선초) · 더보기 »

안경수 (1853년)

안경수(安駉壽, 1853년 ~ 190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화파 정치인으로 독립협회의 초대 회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경수 (1853년) · 더보기 »

안고 (춘추)

안고(顔高, 기원전 501년 ~ ?), 또는 안각(顔刻), 안산(顔産)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교(子驕)이며, 노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고 (춘추) · 더보기 »

안평대군

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 10월 18일(음력 9월 19일) ~ 1453년 11월 18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이자 서예가, 서화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평대군 · 더보기 »

안사고

안사고(顔師古, 581년 ~ 645년)는 중국 당나라 초기의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사고 · 더보기 »

안원대군

안원대군(安原大君)은 조선 목조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이진(李珍), 자는 국서(國瑞),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안원대군 · 더보기 »

하묘

묘(何苗, ? ~ 189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숙달(叔達)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묘 · 더보기 »

하근

(夏勤,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종(伯宗)이며 구강군 수춘현(壽春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근 · 더보기 »

하응림

응림(河應臨, 1536년 ~ 156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응림 · 더보기 »

하진

(何進, ? ~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수고(遂高)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진 · 더보기 »

하상

상(夏常,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제(仲齊)이며 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상 · 더보기 »

하오

오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자 (이름)와 하오 · 더보기 »

하후돈

후돈(夏侯惇, ? ~ 220년 6월 13일)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돈 · 더보기 »

하후무

후무(夏侯楙, 생몰년 미상)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림(子林)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무 · 더보기 »

하후패

후패 하후패(夏侯霸, ? ~ 259년 이전)는 중국 삼국 시대의 위나라와 촉한의 무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패 · 더보기 »

하후휘

후휘(夏侯徽, 211년 ~ 234년)는 삼국시대 위나라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휘 · 더보기 »

하후상

후상(夏侯尙, ? ~ 225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수로, 자는 백인(伯仁)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상 · 더보기 »

하후혜

후혜(夏侯惠, ? ~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字)는 치권(稚權)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혜 · 더보기 »

하후현

후현(夏侯玄, 209년 ~ 254년)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문신으로 자는 태초(太初)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현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연 · 더보기 »

하후화

후화(夏侯和, ? ~ ?)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의권(義權)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하후화 · 더보기 »

필유

유(畢由, ? ~ ?)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세숙(世叔)이며 좌풍익 운양현(雲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필유 · 더보기 »

악진

악진(樂進, ? ~ 218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문겸(文謙)이며 동군 위현(衛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악진 · 더보기 »

학보

학보(郝普,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태(子太)이며 형주 의양군(義陽郡)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학보 · 더보기 »

학당 (전한)

학당(郝黨,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엄(子嚴)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학당 (전한) · 더보기 »

학소

학소(郝昭, ? -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수로, 《위략》에 따르면, 자는 백도(伯道)이며, 병주 태원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학소 · 더보기 »

쉬잉쭝

쉬잉쭝(許應騤, 허응종, 아명(兒名)은 쉬잉구이(許應揆, 허응규), 1830년 2월 ~ 1903년 7월 22일)은 중국 청(淸) 왕조의 관료(官僚), 대신(大臣), 정치가(政治家), 무관(武官)이.

새로운!!: 자 (이름)와 쉬잉쭝 · 더보기 »

쉬융창

쉬융창(1887년 12월 15일 ~ 1959년 7월 12일)은 중화민국의 군인으로, 자는 차신(次宸)이.

새로운!!: 자 (이름)와 쉬융창 · 더보기 »

신돌석

신돌석(申乭石, 본명(本名)은 신태호(申泰浩), 일명은 신돌석(申乭錫), 1878년 11월 26일(음력 11월 3일) ~ 1908년 12월 11일(음력 11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돌석 · 더보기 »

신도반

신도 반(申屠蟠,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은사로, 자는 자룡(子龍)이며, 진류군 외황현(外黃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도반 · 더보기 »

신도박

신도 박(申屠博,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차손(次孫)이며,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도박 · 더보기 »

신무

신무(辛茂, ? ~ 3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연(子淵)이며, 농서군 적도현(狄道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무 · 더보기 »

신기선 (1851년)

신기선(申箕善, 1851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사상가, 학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기선 (1851년) · 더보기 »

신비 (조위)

신비(辛毗, ? ~ ?)는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좌치(佐治)이며 예주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비 (조위) · 더보기 »

신평 (후한)

신평(辛評, ? ~ 204년?)은 중국 후한 말의 군벌 원소의 모사로, 자는 중치(仲治)이며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평 (후한) · 더보기 »

신익성

신익성(申翊聖, 1588년 ~ 164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익성 · 더보기 »

신정 (춘추)

신정(申棖, ?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공자의 제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정 (춘추) · 더보기 »

신탐

신탐(申耽, ? - ?)은 중국 후한 말, 삼국 시대의 인물로, 자는 의거(義擧)이며 한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신탐 · 더보기 »

심배

심배(審配, ? ~ 204년 8월)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정남(正南) 이며 기주 위군 음안현(陰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심배 · 더보기 »

시마즈 히사미쓰

시마즈 히사미쓰 시마즈 히사미쓰은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초기에 걸친 일본의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시마즈 히사미쓰 · 더보기 »

시적

시적(施積, ? - 270년)은 동오의 군인으로, 자는 공서(公緒)이며 단양군 고장현(故鄣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시적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자 (이름)와 시호 · 더보기 »

원봉 (후한)

원봉(袁逢, ? ~ 187년 이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주양(周陽)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봉 (후한)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균 · 더보기 »

원교 (동진)

원교(袁喬, ? ~ ?)는 중국 동진의 관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교 (동진) · 더보기 »

원담

원담(袁譚, ? ~ 205년)은 후한 말의 세력가 원소의 장남으로 자는 현사(顯思)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담 · 더보기 »

원천군 (1533년)

원천군 이휘(原川君 李徽, 1533년 ~ 1594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시인이자 문관 겸 무관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천군 (1533년) · 더보기 »

원유 (삼국지)

원유(袁遺, ? ~ 192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업(伯業)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유 (삼국지) · 더보기 »

원상 (후한)

원상(袁尙, ? ~ 207년)은 후한 말의 군웅 원소의 아들로 자는 현보(顯甫)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상 (후한)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술 · 더보기 »

원성

원성(袁成,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개(文開)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성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원앙 (전한)

원앙(袁盎, ? ~ ?)은 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사(絲)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앙 (전한) · 더보기 »

원외

원외(袁隗, ? ~ 190년 음력 3월)는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차양(次陽)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원외 · 더보기 »

후막진숭

후막진숭(侯莫陳崇, ? ~ 563년)은 서위(西魏)의 무장이며, 자는 상락(尙樂)이.

새로운!!: 자 (이름)와 후막진숭 · 더보기 »

후경

후경(侯景, ? ~ 552년)은 북위·동위·양나라의 장군이며, 자는 만경(萬景)이.

새로운!!: 자 (이름)와 후경 · 더보기 »

후창 (전한)

후창(后蒼, 后倉, ? ~ ?)은 전한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근군(近君)이며 동해군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후창 (전한) · 더보기 »

후한 광무제

세조 광무황제 유수(漢 世祖 光武皇帝 劉秀, 기원전 6년 ~ 57년)는 중국 후한 황조의 초대 황제로, 아명은 호(呼)며 자는 문숙(文叔)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후한 광무제 · 더보기 »

후한 헌제

효헌황제 유협(漢 孝獻皇帝 劉協, 181년 ~ 234년)은 후한(後漢)의 제14대이자 마지막 황제로 자는 백화(伯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후한 헌제 · 더보기 »

홍무제

명 태조(明太祖, 원 천력 원년 9월 18일(1328년 10월 21일) ~ 홍무 31년 윤 5월 10일(1398년 6월 24일) 또는 홍무제(洪武帝)는 명나라(明)의 태조(재위: 1368년 ~ 1398년)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홍무제 · 더보기 »

홍국영

홍국영(洪國榮, 1748년 ~ 1781년 4월 28일(음력 4월 5일))은 조선 영조,정조대의 세도 정. 본관은 풍산(豊山)이며, 자는 덕로(德老)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국영 · 더보기 »

홍낙순

홍낙순(洪樂純, 1723년 ~ ?)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낙순 · 더보기 »

홍담

홍담(弘譚,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거군(巨君)이며 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담 · 더보기 »

홍재룡

홍재룡(洪在龍, 1794년 11월 6일(음력 10월 13일) ~ 1863년 2월 21일(음력 1월 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재룡 · 더보기 »

홍양길

홍양길(洪亮吉, 1746년 ~ 1809년)은 중국 청나라의 관리, 학자,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양길 · 더보기 »

홍석주

홍석주(洪奭周, 1774년 ~ 1842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석주 · 더보기 »

홍세태

홍세태(洪世泰, 1654년 1월 25일(음력 1653년 12월 7일『유하집』, 부록, 묘지명)~1725년 2월 27일(음력 1월 15일))는 조선 후기의 시인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홍세태 · 더보기 »

황개

황개(黃蓋, ?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공복(公覆)이며 영릉군 천릉현(泉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개 · 더보기 »

황보 (전한)

황보(黃輔, ? ~ 7년)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원(子元)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보 (전한) · 더보기 »

황보밀

황보 밀(皇甫謐, 215년 ~ 282년)은 후한 말기 ~ 서진 초기의 학자로, 자는 사안(士安)이며 양주 안정군 조나현(朝那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보밀 · 더보기 »

황권

황권(黃權, ? ~ 240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의 촉나라,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형(公衡)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낭중현(閬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권 · 더보기 »

황효원

황효원(黃孝源, 1414년 ~ 1481년)은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정치가(政治家) 및 시인(詩人)이자 공신(功臣)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효원 · 더보기 »

황충

황충 황충(黃忠, ? ~ 220년)은 후한 말 유비 휘하의 군인으로 자는 한승(漢升)이며 형주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충 · 더보기 »

황패

황패(黃霸, ? ~ 기원전 51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차공(次公)이며 회양군 양가현(陽夏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패 · 더보기 »

황순원

황순원(黃順元, 1915년 3월 26일 ~ 2000년 9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순원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황현 · 더보기 »

외효

외효(隗囂, ? ~ 33년)은 신나라 ~ 후한 초기의 군인으로, 자는 계맹(季孟)이며 천수군 성기현(成紀縣, 현 간쑤 성 징닝 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외효 · 더보기 »

환범

환범(桓範, ? ~ 249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원칙(元則)이며 예주 패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환범 · 더보기 »

환계

환계(桓階,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서(伯緖)이며 형주 장사군 임상현(臨湘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환계 · 더보기 »

환우

환우(桓虞, ? ~ ?)는 중국 후한 전기의 관료로, 자는 중춘(仲春)이며 풍익군 만년현(萬年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환우 · 더보기 »

환전 (후한)

환전(桓典, ? ~ 201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아(公雅)이며 패국 용강현(龍亢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환전 (후한) · 더보기 »

환온

환온(桓溫, 312년 ~ 37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의 동진(東晉)의 정치가, 군인, 재상.

새로운!!: 자 (이름)와 환온 · 더보기 »

환현 (동진)

환현(桓玄, 369년 - 404년 6월 19일)은 동진(東晉) 초국(譙國) 용항(龍亢)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환현 (동진) · 더보기 »

화흠

화흠(華歆, 157년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어(子魚)이며 청주 평원군 고당현(高唐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화흠 · 더보기 »

화흡

화흡(和洽, ? ~ ?)은 중국 후한, 위의 관료로, 자는 양사(陽士)며 여남군 서평현(西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화흡 · 더보기 »

화의군

화의군 이영(和義君 李瓔, 1425년 ~ 1460년)은 조선 전기의 왕족, 문신으로, 세종과 영빈 강씨의 아들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화의군 · 더보기 »

화타

화타 화타(華佗, 145년 ~ 208년)는 중국 후한 말의 의사로, 이름을 부(旉)라고도 하며, 자는 원화(元化)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화타 · 더보기 »

화양홍

화양 홍(觟陽鴻, ? ~ ?)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맹손(孟孫)이며 중산국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화양홍 · 더보기 »

완우

완우(阮瑀, 2세기 ~ 212년)는 후한 말기의 저술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완우 · 더보기 »

완얀 우야수

완얀 우야수(完顏烏雅束, 1061년 ~ 1113년, 재위 1103년 ~ 1113년)는 여진 완옌부의 추장으로 자는 모로완(毛路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완얀 우야수 · 더보기 »

완원대군

완원대군(完原大君, 1331~1356)은 조선 도조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이자선(李子宣)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완원대군 · 더보기 »

왕랑

왕랑(王朗, ? ~ 228년)은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정치가로, 자는 경흥(景興)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淡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랑 · 더보기 »

왕릉 (조위)

왕릉(王淩, 172년 ~ 25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언운(彦雲)진수: 《삼국지》위서 권28 왕관구제갈등종전 이며 병주 태원군 기현(祈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릉 (조위) · 더보기 »

왕망

왕망(王莽, 기원전 45년 ~ 기원후 25년 10월 6일)은 중국 전한 말기의 관료이자 신나라의 황제로, 자는 거군(巨君)이며 위군 원성현(元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망 · 더보기 »

왕망 (치숙)

왕망(王莽, ? ~ 기원전 80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치숙(稚叔)이며 천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망 (치숙) · 더보기 »

왕민 (후한)

왕민(王敏, ? ~ 74년 음력 2월)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숙공(叔公)이며 서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민 (후한) · 더보기 »

왕발

왕발(王勃, 647년 ~ 674년)은 당나라의 시인으로, 자는 자안(字安)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발 · 더보기 »

왕경 (조위)

왕경(王經, ? ~ 260년)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자는 언위(彦偉)이며곽반(郭頒): 《위진세어(魏晉世語)》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 권9 제하후조전의 배송지 주석에서 재인용) 기주 청하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경 (조위) · 더보기 »

왕공 (전한)

왕공(王龔, ? ~ 3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즉(子卽)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공 (전한) · 더보기 »

왕공 (후한)

왕공(王龔, ? ~ ?)은 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백종(伯宗)이며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공 (후한) · 더보기 »

왕광 (후한)

왕광(王匡, ? ~ ?)은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공절(公節)이며 연주 태산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광 (후한) · 더보기 »

왕기 (백여)

왕기(王基, 190년 ~ 261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이며 정치가로, 자는 백여(伯輿)이며 청주(靑州) 동래군(東萊郡) 곡성현(曲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기 (백여) · 더보기 »

왕운

왕운(王惲,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경(子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운 · 더보기 »

왕장 (자연)

왕장(王章, ? ~ 기원전 22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자연(子然)이며 경조윤 장릉현(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장 (자연) · 더보기 »

왕장 (중경)

왕장(王章, ? ~ 기원전 24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경(仲卿)이며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장 (중경) · 더보기 »

왕장 (유공)

왕장(王臧,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유공(幼公)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장 (유공) · 더보기 »

왕평 (전한)

왕평(王平, 王評 ? ~ 기원전 78년 음력 4월)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자심(子心)이며 제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평 (전한) · 더보기 »

왕일

왕일(王逸, ? ~ ?)은 후한 중기의 문장가로, 자는 숙사(叔師)이며 남군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일 · 더보기 »

왕준 (군공)

왕준(王駿, ? ~ 16년)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군인으로, 자는 군공(君公)이며 경조윤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준 (군공) · 더보기 »

왕준 (서진)

왕준(王濬, 206년 ~ 284년 12월 17일)은 진나라의 장군이며, 자는 사치(士治)이고, 홍농(弘農) 출신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준 (서진) · 더보기 »

왕창 (치빈)

왕창(王昌,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치빈(穉賓)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창 (치빈) · 더보기 »

왕초 (전한)

왕초(王超, ? ~ 기원전 8년)는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교군(驕軍)이며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초 (전한) · 더보기 »

왕충 (후한)

왕충(王充, 27년 ~ ?)은 중국 후한 초기의 사상가로, 자는 중임(仲任)이며 회계군 상우현(上虞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충 (후한) · 더보기 »

왕상 (희백)

왕상(王象,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희백(羲伯)어환(魚豢)(《위략》 (진수, 《삼국지》 권23 화상양두조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이며 사례 하내군 사람이다.

새로운!!: 자 (이름)와 왕상 (희백) · 더보기 »

왕상 (중자)

왕상(王賞,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자(中子)이며 낭야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상 (중자) · 더보기 »

왕상 (휴징)

왕상 왕상(王祥, 184년 ~ 268년)은 중국 삼국 시대, 서진 시대의 관료로, 자는 휴징(休徵)이며 서주 낭야국 임기현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상 (휴징) · 더보기 »

왕상 (소공)

왕상(王賞,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소공(少公)이며 평원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상 (소공) · 더보기 »

왕숙

왕숙(王肅, 195년 ~ 256년)은 중국 삼국시대 위(魏)의 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숙 · 더보기 »

왕혼

왕혼(王渾, 223년 ~ 297년)은 중국 삼국시대 ~ 서진의 장수로 자는 현충(玄沖)이며, 병주 태원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혼 · 더보기 »

왕예 (후한)

왕예(王叡, ? ~ 189년? 190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통요(通耀)저자 미상, 《왕씨보》(王氏譜) 이며 서주 낭야국 임기현(臨沂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예 (후한) · 더보기 »

왕현 (전한)

왕현(王玄,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도(中都)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현 (전한) · 더보기 »

왕언장

왕언장(王彦章, 863년《구오대사》, 권21. ~ 923년 11월 15일《자치통감》, 권272.)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량의 대장이었.

새로운!!: 자 (이름)와 왕언장 · 더보기 »

왕연균

민 혜종 왕연균(閩惠宗 王延鈞, ? ~ 935년 11월 17일)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제3대 군주로, 황제를 칭한 민나라 최초의 군주이기도 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왕연균 · 더보기 »

왕연수

왕연수(王延壽, ? ~ ?)는 후한 중기의 문장가로, 자는 문고(文考)이며 남군 의성현(宜城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연수 · 더보기 »

왕연세

왕연세(王延世, ? ~ ?)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숙(長叔)이며 건위군 자중현(資中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연세 · 더보기 »

왕세충

왕세충(王世充, Wang Shichong, ? ~ 621년)은 수나라 말기부터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웅이자 수나라 최후의 황제인 양동(楊侗. 수 애제)을 섬겼던 수나라의 장수 중 한 사람으로, 후에 정나라의 황제를 자칭하여 짧은 기간 동안 하남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자 (이름)와 왕세충 · 더보기 »

왕함 (태상)

왕함(王鹹, ? ~ 기원전 13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백(長伯)이며 제남군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함 (태상) · 더보기 »

왕안 (전한)

왕안(王安, ? ~ 3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혜공(惠公)이며 탁군 여오현(蠡吾縣) 사람이.

새로운!!: 자 (이름)와 왕안 (전한) · 더보기 »

왕웅 (원백)

왕웅(王雄, ? ~ ?)은 중국 삼국 시대 조위의 관료로, 낭야국 임기현 사람방현령 등, 《진서》 권43 열전 제13 산도왕융악광전이고, 자는 원백(元伯)이며 태보 왕상의 종씨.

새로운!!: 자 (이름)와 왕웅 (원백)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