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자연법

색인 자연법

자연법(自然法)은 인위적인 법률과 그 가치에 대칭되는 것으로 자연히 존재하는 언제, 어디서나 유효한 보편적 불변적 법칙이.

55 처지: 독일 이혼법, 루돌프 슈타믈러, 만민법, 물리 법칙, 미국 독립 혁명, 미국 독립선언, 배아복제,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법 앞의 평등, 법가치론, 법학, 법실증주의, 법원 (법의 근원), 고대 로마, 고대 로마의 문화, 고전적 자유주의, 볼테르, 관방학, 불문법, 근세 프랑스,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 대한민국 헌법, 구스타프 라드부르흐, 국민의 권리와 의무, 자유, 자연법, 자연권, 자연적 정의, 크리스토방 페레이라,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일반 법학, 의사주의, 적법절차, 제롬 잔키우스, 전쟁과 평화의 법, 정치학, 조리 (법), 존 로크,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팍타 순트 세르반다, 휴고 그로티우스, 혁명, 에드워드 코크, 역사 법학, 헌법, 사회주의 문화, 토머스 모어, 합리론,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 아부다비 중재사건, 아나르코자본주의, 신법, 신자연법론, 실정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독일 이혼법

유책주의는 배우자 중 한쪽에게 동거·부양·협조·정조 의무 등의 혼인의무를 위반하는 책임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 이혼을 허용하는 입법주의이.

새로운!!: 자연법와 독일 이혼법 · 더보기 »

루돌프 슈타믈러

슈타믈러(1856년 2월 19일 ∼ 1938년 4월 25일)는 신칸트파의 마르부르크학파에 속하는 독일의 법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루돌프 슈타믈러 · 더보기 »

만민법

만민법(萬民法, jus gentium)은 원래 로마에서 로마 시민권을 가지지 못한 외국인에게 적용하기 위해 제정한 법을 말. 현재는 경제적 영역에서 여러 민족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만민법 사상을 이론적으로 일반화해 국적이 서로 다른 민족들 간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일반적인 법을 일컫.

새로운!!: 자연법와 만민법 · 더보기 »

물리 법칙

물리 법칙(物理法則) 또는 자연 법칙(自然法則)은 경험적인 관찰에 기초한 과학적인 일반화이.

새로운!!: 자연법와 물리 법칙 · 더보기 »

미국 독립 혁명

미국 독립 선언에 서명하는 13개 식민지의 대표들 미국 독립 혁명(美國獨立革命)은 18세기 중엽에 13개 식민지가 초대 대통령이 된 조지 워싱턴을 중심으로 프랑스의 원조를 받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미국을 수립한 것을 말. 프랑스 혁명과 함께 양대 민주주의 혁명으로 유명.

새로운!!: 자연법와 미국 독립 혁명 · 더보기 »

미국 독립선언

미국 독립 선언(美國獨立宣言, United States Declaration of Independence)은 1776년 7월 4일 당시의 영국의 식민지 상태에 있던 13개의 주가 서로 모여 필라델피아 인디펜던스 홀에서 독립을 선언한 사건을 일컬으며, 이 사건은 〈미국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 오늘날 미국에서는 7월 4일을 독립기념일로 삼아 축제를 하고 있. 독립 선언이 있은 후 약 8년간에 걸친 싸움 끝에 1783년 9월 3일에 비로소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로부터 이른바 〈파리 조약〉을 거쳐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게 되었.

새로운!!: 자연법와 미국 독립선언 · 더보기 »

배아복제

배아복제는 특정 장기로 분화가 일어나기 전인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특정한 조직을 만들고 이 조직으로 손상되거나 노화된 조직을 대체하는 과정을 말. 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연.

새로운!!: 자연법와 배아복제 · 더보기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년 8월 27일~1831년 11월 14일)은 관념철학을 대표하는 독일의 철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더보기 »

정의의 의인화 유스티티아. 법(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함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적 규범 또는 관습을 말. 넓은 뜻으로는 자연법(自然法), 헌법(憲法), 관습법(慣習法), 명령, 규칙, 판례까지를 포함하지만 좁은 뜻에서는 일정한 조직과 절차 밑에서 제정된 법률을 가리.

새로운!!: 자연법와 법 · 더보기 »

법 앞의 평등

법 앞의 평등()의 관념은 플라톤의'국가론'에서의 정의이념과'신앞의 평등'이라는 종교사상에서 연원.

새로운!!: 자연법와 법 앞의 평등 · 더보기 »

법가치론

법가치론(法價値論)은 법에 대한 가치적 고찰이.

새로운!!: 자연법와 법가치론 · 더보기 »

법학

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새로운!!: 자연법와 법학 · 더보기 »

법실증주의

법실증주의 (法實證主義)는 광의로는 법의 실재면(實在面)을 경험적으로 고찰하는 경향의 법사상·법학이.

새로운!!: 자연법와 법실증주의 · 더보기 »

법원 (법의 근원)

법원(法源)은 법의 존재형식 또는 현상상태를 말. 법원이란 법을 아는 데는 무엇을 보면 되는가, 또 법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의 문제를 말.

새로운!!: 자연법와 법원 (법의 근원) · 더보기 »

고대 로마

마(古代 -)는 기원전 8세기경 이탈리아 중부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해 지중해를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이룬 고대 문명으로 고대 그리스, 오리엔트, 셈족, 서유럽 켈트, 게르만 등 문화의 용광로였.

새로운!!: 자연법와 고대 로마 · 더보기 »

고대 로마의 문화

이 문서는 고대 로마 제국에서 발달한 문화를 설명.

새로운!!: 자연법와 고대 로마의 문화 · 더보기 »

고전적 자유주의

전적 자유주의(古典的自由主義)는 경제적 자유에 중점을 두고 법치주의 아래에서 시민자유를 옹호하는 정치 이데올로기이자 자유주의의 분파이.

새로운!!: 자연법와 고전적 자유주의 · 더보기 »

볼테르

랑수아 마리 아루에(François Marie Arouet)는 필명인 볼테르 (Voltaire, 1694년 11월 21일 ~ 1778년 5월 30일)로 널리 알려진 프랑스의 계몽주의 작가이.

새로운!!: 자연법와 볼테르 · 더보기 »

관방학

방학(官房學, Cameralism,, Kameralismus)은 16세기 중엽부터 18세기 말까지 약 200여년에 걸친 절대주의 국가 시대에 독일 및 오스트리아에서 생겨난 행정 사상이.

새로운!!: 자연법와 관방학 · 더보기 »

불문법

불문법(不文法)은 법규범의 존재 형식이 제정되지 않은 법체계에 의하는 것을 말. 비제정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불문법 · 더보기 »

근세 프랑스

세 프랑스는 프랑스의 역사에서 15세기 말 프랑스 르네상스부터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까지 해당하는 시기이.

새로운!!: 자연법와 근세 프랑스 · 더보기 »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

보아소나드 (1825-1910)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1825년 6월 7일 ~ 1910년 6월 27일)는 프랑스의 법학자, 교육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 · 더보기 »

대한민국 헌법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헌법(大韓民國憲法)은 대한민국의 최고 기본법으로, 인적으로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적용되고, 장소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영역내에서 적용되는 헌법을 말. 1919년 3.1운동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임시 헌법을 제정하였.

새로운!!: 자연법와 대한민국 헌법 · 더보기 »

구스타프 라드부르흐

스타프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 1878년 11월 21일 뤼벡 - 1949년 11월 23일 하이델베르크)는 신칸트파의 서남학파에 속하는 독일의 형법·법철학자.

새로운!!: 자연법와 구스타프 라드부르흐 · 더보기 »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에는 국민(인간,인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권리와 행해야 할 의무를 헌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나라별로 대동소이.

새로운!!: 자연법와 국민의 권리와 의무 · 더보기 »

자유

자유(自由)는 일반적으로 어떤 존재가 내부나 외부로부터 구속이나 지배를 받지 않고 하고자 하는 것을 하거나 있는 그대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말. 서구 학술사의 맥락에서는 영어 리버티(liberty)와 프리덤(freedom)의 번역어로 사용되고 있.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liberty는 freedom과 뚜렷한 차이를 갖. freedom은 주로 누군가가 의지한 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며, 누군가가 행위 할 수 있는 힘을 가짐을 말. 반면 liberty는 원칙 혹은 법이 아닌 자의적인 의지로 행해지는 억압을 봉쇄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연루된 모든 이의 권리를.

새로운!!: 자연법와 자유 · 더보기 »

자연법

자연법(自然法)은 인위적인 법률과 그 가치에 대칭되는 것으로 자연히 존재하는 언제, 어디서나 유효한 보편적 불변적 법칙이.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법 · 더보기 »

자연권

자연권(自然權)은 자연법상의 인간의 천부인권(天賦人權)을 말. 태어나면서부터 당연히 주어지는, 법률이나 믿음보다 앞선 보편적 선험적 권리이.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권 · 더보기 »

자연적 정의

자연적 정의(Natural Justice)란 영국의 법원리로서, 미국과 한국에서도 적법절차조항에 의해 헌법적 원리로 적용되고 있.

새로운!!: 자연법와 자연적 정의 · 더보기 »

크리스토방 페레이라

이라는 사위인 스기모토 주케이의 가족 분묘지에 매장됐다. 크리스토방 페레이라(Cristóvão Ferreira, 1580년 ~ 1650년 11월 4일)은 일본의 기독교 탄압 시기에 고문을 받은 후, 배교를 한 것으로 유명한 포르투갈 출신의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자연법와 크리스토방 페레이라 · 더보기 »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랑스 인권선언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Déclaration des droits de l'Homme et du citoyen)은 프랑스 혁명으로 만들어진 인권선언이.

새로운!!: 자연법와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 더보기 »

일반 법학

일반 법학(一般法學)은 역사 법학으로부터 비롯하였고, 개념 법학과 이익 법학에 의해 더욱 진전된 자연법 극복의 기도를 일층 철저하게 하려는 것이.

새로운!!: 자연법와 일반 법학 · 더보기 »

의사주의

의사주의는 국제법의 강제성은 어디에서 기원하는가에 대한 학설이.

새로운!!: 자연법와 의사주의 · 더보기 »

적법절차

적법절차(適法節次, due process of law)는 개인의 권리보호를 위해 정해진 일련의 법적 절차를 말. 적법 절차에서 적(適)은 적정한(due)이란 뜻이고 절차는 권리의 실질적인 내용을 실현하기 위하여 택하여야 할 수단적, 기술적 방법을 말. 적법에서의 법은 불문법을.

새로운!!: 자연법와 적법절차 · 더보기 »

제롬 잔키우스

제롬 잔키우스 헨드릭 혼디우스 1세 작품 제롬 잔키우스(라틴어 "Hieronymus Zanchius," 영어 제롬 잔키우스 "Jerome Zanchi/Zanchius"; 1516년 2월 2일 – 1590년 11월 19일)은 이탈리아 출신의 개신교 종교개혁가이며 칼빈 서거 후에 개혁신학에 큰 영향을 준 교육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제롬 잔키우스 · 더보기 »

전쟁과 평화의 법

전쟁과 평화의 법⟫(De jure belli ac pacis)은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철학자인 그로티우스가 출판한 책이.

새로운!!: 자연법와 전쟁과 평화의 법 · 더보기 »

정치학

정치학(政治學) 또는 정치과학(政治科學)은 주로 국가권력을 행사하거나 자원의 획득, 배분을 둘러싼 또는 권력의 행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제(諸) 세력들 간의 갈등과 투쟁 및 타협으로 나타나는 국가현상을 중심으로 정치사상과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자연법와 정치학 · 더보기 »

조리 (법)

조리(條理)란 사람의 상식으로 판단가능한 사물이나 자연의 본질적 이치를 말하거나, 유추해석·반대해석·일반원칙 추출방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조리 (법) · 더보기 »

존 로크

존 로크 존 로크(John Locke, 1632년 8월 29일 - 1704년 10월 28일)는 잉글랜드 왕국의 철학자·정치사상가이다 로크는 영국의 첫 경험론 철학자로 평가를 받지만, 사회계약론도 동등하게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 그의 사상들은 인식론과 더불어 정치철학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

새로운!!: 자연법와 존 로크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Carl Friedrich Rudolf Smend, 1882년 1월 15일 ~ 1975년 7월 5일)는 히틀러 시대의 독일 헌법학자이.

새로운!!: 자연법와 카를 프리드리히 루돌프 스멘트 · 더보기 »

팍타 순트 세르반다

팍타 순트 세르반다(pacta sunt servanda) 는 약속은 지켜져야만 한다는 뜻의 라틴어 법격언이.

새로운!!: 자연법와 팍타 순트 세르반다 · 더보기 »

휴고 그로티우스

휴고 그로티우스(1583년 4월 10일 ~ 1645년 8월 28일) 또는 휘호 더 흐로트(), 하위흐 더 흐로트(Huig de Groot)는 "국제법의 아버지", "자연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자연법와 휴고 그로티우스 · 더보기 »

혁명

혁명(革命)은 권력이나 조직 구조의 갑작스런 변화를 의미.

새로운!!: 자연법와 혁명 · 더보기 »

에드워드 코크

에드워드 코크 경 에드워드 코크(Edward Coke, "Cook"으로 발음함) (1552년 2월 1일-1634년 9월 3일)는 17세기 영국의 식민지 사업가, 판사, 정치인이.

새로운!!: 자연법와 에드워드 코크 · 더보기 »

역사 법학

역사법학(歷史法學)은 19세기 초에, 그때까지 지배적이었던 합리주의적 자연법론의 비역사적·추상적 사변(思辨)과 그것이 내세우는 확고 불변의 법원리를 입법에 의하여 고정화시키려던 절대주의적 권력에 대항해서 법률학의 혁신에 의하여 법률생활의 개선을 도모하려는 학파를 말하며 사비니를 창시자.

새로운!!: 자연법와 역사 법학 · 더보기 »

헌법

함무라비 법전이 새겨진 돌기둥 헌법(憲法)은 국가의 기본 법칙으로서,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국가의 정치 조직 구성과 정치 작용 원칙을 세우며 시민과 국가의 관계를 규정하거나 형성하는 최고의 규범이.

새로운!!: 자연법와 헌법 · 더보기 »

사회주의 문화

사회주의 문화(社會主義文化)는 레닌주의 정치에 정립된 마르크스주의적 철학 문화를 통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자연법와 사회주의 문화 · 더보기 »

토머스 모어

머스 모어 경(1478년 2월 7일~1535년 7월 6일) 또는 성 토마스 모어()는 잉글랜드 왕국의 법률가, 저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기독교의 성인이.

새로운!!: 자연법와 토머스 모어 · 더보기 »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론(合理論), 합리주의(合理主義) 또는 이성주의(理性主義)는 이성을 지식의 제일의 근원으로 보는 견해를 말. 합리론에서의 진리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으로 정의.

새로운!!: 자연법와 합리론 · 더보기 »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안티고네》()는 고대 그리스의 비극작가 소포클레스가 기원전 441년에 만든 비극이.

새로운!!: 자연법와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 더보기 »

아부다비 중재사건

아부다비 중재사건(Abu Dhabi Arbitration Case, Petroleum Development Ltd., v. Sheikh of Abu Dhabi)은 1951년 있었던 국제법 유명 판례이.

새로운!!: 자연법와 아부다비 중재사건 · 더보기 »

아나르코자본주의

무정부 자본주의의 상징 무정부 자본주의(無政府資本主義)는 개인 자결의 개념에 근거한, 그리고 강제와 사기를 반대하는 이데올로기이.

새로운!!: 자연법와 아나르코자본주의 · 더보기 »

신법

신법(神法, Divine law)이란 하나님의 의지나 신들의 의지처럼 직접적으로 신의 기원을 믿는 어떤 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신법 · 더보기 »

신자연법론

신자연법론(新自然法論)이란 19세기 말부터 붕괴하기 시작한 법실증주의에 대신하여 일어난 새로운 자연법사상을 말. 신자연법론이라 함은 근세 자연법론이 19세기 초엽에 독일에서는 역사법학파의 지배에 의하여, 프랑스에서는 민법전의 편찬에 의하여 법학계의 전면(前面)에서 물러난 후 19세기 말에서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당시의 법학계를 지배하고 있던 법실증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프랑스와 독일에서 또다시 등장된 자연법론을 말. 신자연법론에는 실정법을 넘어선 법원리를 주장하는 점에서 공통성을 가지면서 종래의 자연법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섭취한 위에서 새로운 방법론적인 반성에 기해서 자연법론을 구성하려는 경향과, 중세의 성 토머스의 사상적 전통을 부활시키려는 경향 등이 있. '변화하는 내용을 갖고 있는 자연법'이라는 정식(定式)을 내세운 독일의 슈타믈러나 프랑스의 살레유, 제니 등이 전자에 속하며, 독일의 카트라인 등이 후자에 속. 이와 같은 신자연법론의 노력도 법학계의 대세를 움직이지는 못. 그래서 제2차 세계대전 후 나치독재의 성립을 방지하지 못했던 법실증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주로 독일에서 또다시 여러 가지 경향의 자연법론이 나타난 것이.

새로운!!: 자연법와 신자연법론 · 더보기 »

실정법

실정법(實定法)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권리를 만드는 법이.

새로운!!: 자연법와 실정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자연법 사상, 자연법론, 자연법주의, 자연법사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