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8 처지: 김무력, 김균정, 김흠돌, 김흠돌의 난, 두품, 이금서, 이구 (고려 중기), 이회영, 이제현, 이주좌, 이찬 (신라 관직), 이순우 (고려), 이시영 (1868년), 사다함, 성덕왕, 소나 (신라), 알평, 신라의 관등.
김무력
무력(金武力, 518년 ~ 579년 10월 16일)은 가락국의 왕족이자 금관가야의 왕자였.
보다 잡찬와 김무력
김균정
__목차숨김__ 김균정(金均貞, ? ~ 836년)은 신라 말기 왕족이.
보다 잡찬와 김균정
김흠돌
흠돌(金欽突, ? ~ 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은 신라 중대와 통일신라의 군인이자 왕족, 무신, 외척이며 반란자이.
보다 잡찬와 김흠돌
김흠돌의 난
흠돌의 난(金欽突의 亂)은 신라에서 681년 소판(蘇判) 김흠돌(金欽突: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이 파진찬(波珍湌) 흥원(興員: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 대아찬(大阿飡) 진공(眞功: 미상~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 등과 함께 모반을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된 사건으로 신라(新羅)의 왕권이 전제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건이.
보다 잡찬와 김흠돌의 난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보다 잡찬와 두품
이금서
이금서(李金書)는 고려초 문신으로, 호는 남계(南溪), 본관은 경주(慶州)이.
보다 잡찬와 이금서
이구 (고려 중기)
이구(李球, 1265년 - ?)는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 시인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잡찬와 이회영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보다 잡찬와 이제현
이주좌
이주좌(李周佐, ? ~ 1040년 음력 8월)는 고려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잡찬와 이주좌
이찬 (신라 관직)
이찬(伊湌)은 법흥왕 7년(520년) 에 시행한 신라 17관등(官等)의 제2등으로 잡찬의 위이.
이순우 (고려)
이순우(李純祐, ? ~ 1196년음력 3월)는 고려 중후기의 문신이며, 초명은 이청(李請), 자는 발지(拔之)이.
보다 잡찬와 이순우 (고려)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사다함
사다함(斯多含, 547년? ~ 564년?, 풍월주 재임: 562년 ~ 564년)은 신라의 화랑으로 진흥왕의 대가야 정복에서 활약하였.
보다 잡찬와 사다함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보다 잡찬와 성덕왕
소나 (신라)
소나(素那,?~675년)는, 7세기 신라의 무장이.
보다 잡찬와 소나 (신라)
알평
경주시 동천동에 위치한 경주이씨시조휘알평경모비 (慶州李氏始祖諱謁平景募碑) 알평(謁平, 생몰년 미상)은 신라 초기 신화에 등장하며, 사로6촌장(진한)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촌장으로 경주 이씨의 시조이.
보다 잡찬와 알평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보다 잡찬와 신라의 관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