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장건상

색인 장건상

장건상(張建相, 1882년 12월 19일 ~ 1974년 5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이.

70 처지: 미소공동위원회, 민족자주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백남운, 강경애, 박찬현, 박헌영,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곽상훈, 부산시의 국회의원, 극동인민대표회의, 근로인민당, 김립 (1880년), 김규식, 김구, 김두봉, 김지태, 김창숙, 김칠성, 김성숙 (1898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민국 제2대 국회,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남북협상, 장덕수, 장택상, 장현광,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경희 (1880년), 이병준 (1964년), 이극로, 이철승, 이현상, 이시영 (1868년), 인동 장씨, 전진한, 정기원, 정화암, 조동호, 조봉암, 조선공산당, 좌우합작운동, 진보당 (대한민국), 유림 (1894년), 윤봉길, ..., 윤기섭, 호헌동지회, 최원봉, 여운형, 여운홍, 허정, 허정숙, 허영호 (정치인), 허헌, 서재필, 서상일, 함태영, 한국민주당, 한석범, 안재홍, 신규식, 신익희, 신성모, 홍명희, 5월 14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0 더) »

미소공동위원회

미소공동위원회(美蘇共同委員會, US-Soviet Joint Commission)는 1946년 3월 20일부터 1947년 10월 21일까지 한반도의 임시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이 개최한 회의이.

새로운!!: 장건상와 미소공동위원회 · 더보기 »

민족자주연맹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족자주연맹(民族自主聯盟, Federati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KNI)은 1947년 12월 20일 김규식 등에 의해서 창당, 발족된 대한민국의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민족자주연맹 · 더보기 »

민주주의민족전선

민주주의민족전선(民主主義民族戰線)은 미군정 시기에 서울에서 결성된 좌파 계열의 연합 단체이.

새로운!!: 장건상와 민주주의민족전선 · 더보기 »

백남운

백남운(白南雲, 1894년 2월 11일 ~ 1979년 6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제학자, 교육자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백남운 · 더보기 »

강경애

강경애 (1930년대) 강경애(姜敬愛, 1906년 4월 20일 ∼ 1944년 4월 26일)는 일제강점기 여성 소설가, 작가, 시인, 페미니스트 운동가, 노동운동가, 언론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강경애 · 더보기 »

박찬현

1974년경의 박찬현 박찬현(朴瓚鉉, 1917년 9월 23일 ~ 1991년 9월 24일, 부산)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박찬현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새로운!!: 장건상와 박헌영 · 더보기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대통령장(大統領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장건상와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곽상훈 · 더보기 »

부산시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건상와 부산시의 국회의원 · 더보기 »

극동인민대표회의

극동인민대표대회(極東人民代表大會)란, 1922년 1월 21일부터 2월 2일까지 모스크바에서 열린 코민테른 국제대회를 말. 최종회의는 레닌그라드(現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

새로운!!: 장건상와 극동인민대표회의 · 더보기 »

근로인민당

인민당(勤勞人民黨)은 1947년 5월 24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중도좌파, 현대적 해석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근로인민당 · 더보기 »

김립 (1880년)

립(金立, 1880년 ~ 1922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독립운동가이며, 사회주의자였.

새로운!!: 장건상와 김립 (1880년)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장건상와 김규식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김구 · 더보기 »

김두봉

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1년?)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김두봉 · 더보기 »

김지태

(金智泰, 1908년 7월 ~ 1982년 4월 9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김지태 · 더보기 »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새로운!!: 장건상와 김창숙 · 더보기 »

김칠성

성(金七星, 1897년 6월 24일 ~ 1984년 5월 21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건상와 김칠성 · 더보기 »

김성숙 (1898년)

성숙(金星淑, 1898년 3월 10일 ~ 1969년 4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불교 승려 겸 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김성숙 (1898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

민국 제2대 국회는 1950년 5월 30일 국회의원 선거를 통하여 1950년 5월 31일 구성된 국회이.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민국 제2대 국회 의원 목록(임기: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의회가 소집된 지 한 달도 안되어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미처 피난을 못 가고 서울에 남았다가 납북되거나 처형된 의원이 상당수 있었.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일: 1950년 5월 30일.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민국의 보수정당(大韓民國의 保守政黨)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보수주의적 반공주의세력이 만든 정당으로, 대체적으로 강경우파 및 반공주의, 국가주의, 민족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민국 진보세력의 흐름 대한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은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더보기 »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국제공산당 자금사건(國際共産黨資金事件)이란, 한인사회당이 코민테른(국제공산당)으로부터 받은 운동자금을 이르쿠츠크의 전러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이 탈취하여 일어난 사건을 말. 이사건은 1차 사건과 이동휘의 측근인 한형권, 김립이 국제 공산당에서 받은 자금을 사회주의 운동가들에게 나눠준 2차 자금사건으로 나눌 수 있.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김구는 사회주의자들이 지원받은 자금을 임시정부에 상납하지 않고 좌파 혁명가들끼리 나눠서 가졌다는 이유로 이동휘, 여운형, 안병찬 등을 임시정부에서 축출하고, 이동휘의 직계 부하이자 레닌에게서 200만 루블을 지원받은 운송책 한형권과 김립의 사살령을 내린.

새로운!!: 장건상와 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새로운!!: 장건상와 남북협상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장덕수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장택상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장현광 · 더보기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다스리던 기간이었.

새로운!!: 장건상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경희 (1880년) · 더보기 »

이병준 (1964년)

이병준(李炳俊, 1964년 1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병준 (1964년) · 더보기 »

이극로

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는 전의예안이씨 대종중 전서공파 28대세손 울산 화수회 문중 예조참판 함장파 15대세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호는 "고루"이며,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조선어학회 회장이자 한글학자로, 복역하다 해방과 함께 출소하셨고 당 간사자격으로 백범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으며 전란속에 잔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극로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철승 · 더보기 »

이현상

이현상(李鉉相, 1905년 9월 27일 ~ 1953년 9월 17일)은 한국의 공산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 노동운동가이며, 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의 간부로 지리산 일대를 중심으로 파르티잔 활동을 주. 일제 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박헌영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과 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였.

새로운!!: 장건상와 이현상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인동 장씨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건상와 인동 장씨 · 더보기 »

전진한

전진한(錢鎭漢, 1901년 11월 5일 ~ 1972년 4월 22일, 경북 상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전진한 · 더보기 »

정기원

정기원(鄭基元, 1899년 3월 16일 ~ 1986년 6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건상와 정기원 · 더보기 »

정화암

정화암(鄭華岩, 1896년 9월 14일 전라북도 김제군 ~ 1981년 10월 2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정화암 · 더보기 »

조동호

조동호(趙東祜, 1892년 9월 24일(음력 8월 4일) ~ 1954년 9월 1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조동호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은 1925년 4월 17일 창건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조선공산당 · 더보기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새로운!!: 장건상와 좌우합작운동 · 더보기 »

진보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진보당(進步黨)은 1956년에 죽산 조봉암을 중심으로 창당된 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계열의 정당이.

새로운!!: 장건상와 진보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유림 (1894년)

유림(柳林, 1898년 5월 23일 ~ 1961년 4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유림 (1894년) · 더보기 »

윤봉길

윤봉길(尹奉吉, 1908년 6월 21일 ~ 1932년 12월 19일)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시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윤봉길 · 더보기 »

윤기섭

1943년 5월 중경에서 열린 '재중 한인대회'에서. 사진 왼 쪽이 우사 김규식. 그 옆에 안경을 쓴 사람이 윤기섭 윤기섭(尹琦燮, 1887년 ~ 1959년)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윤기섭 · 더보기 »

호헌동지회

호헌동지회(護憲同志會)는 제1공화국 시기 1954년 11월 30일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노리고 위헌적으로 강행한 사사오입 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결집된 범야당 연합을 말. 주로 민국당, 자유당 탈퇴파, 무소속 동지회 등 60명의 정치인들이 결집.

새로운!!: 장건상와 호헌동지회 · 더보기 »

최원봉

원봉(崔元鳳, 1922년 ~ 1950년 11월 10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건상와 최원봉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장건상와 여운홍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허정 · 더보기 »

허정숙

정숙(許貞淑,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여성운동가, 사회주의자이.

새로운!!: 장건상와 허정숙 · 더보기 »

허영호 (정치인)

영호(許永鎬, 혹은 허경호(許鏡湖), 일본식 이름: 德光允, 德光翼, 1900년 12월 21일 부산 ~ 1952년 1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허영호 (정치인) · 더보기 »

허헌

(許憲, 1885년 7월 22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허헌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장건상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상일

서상일(徐相日, 1886년 7월 9일 - 1962년 4월 18일, 대구 출생)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서상일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함태영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새로운!!: 장건상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석범

석범(韓錫範, 1897년 8월 26일 부산 - ? 북한)은 대한민국의 제헌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장건상와 한석범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장건상와 안재홍 · 더보기 »

신규식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신규식(申圭植, 1880년 2월 22일(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신규식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신익희 · 더보기 »

신성모

신성모(申性模, 1891년 10월 20일 ~ 1960년 5월 2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새로운!!: 장건상와 신성모 · 더보기 »

홍명희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건상와 홍명희 · 더보기 »

5월 14일

5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4번째(윤년일 경우 13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장건상와 5월 14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장명상, 소해 장건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