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장안

색인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389 처지: 란저우 시, 도안 (동진), 도시 계획, 동관 전투, 동승, 동탁, 동탁 토벌전, 동아시아의 역사, 라성염, 뤄양 시, 리치 (식물), 맹방립, 맹호연, 마대 (삼국지), 마니교, 마초 (촉한), 모용덕, 모용의, 모용충 (2대), 모용성, 모용홍, 문성공주, 묵돌선우, 방덕, 방훈의 난, 백거이, 백등산 포위전, 갑관요, 갑훈, 바그다드, 간쑤성, 강충 (전한), 강유, 가르궁린, 가르통짼 율숭, 가규, 밀교 (불교), 가오창 구, 가후, 베이징 시, 격의불교, 경건, 경조윤,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수창, 번조, 버간 왕조, 법림, 법현, 고구려-당 전쟁, ..., 고혜진, 고언랑, 고연수, 고선지, 곽사, 공손찬, 공손홍, 변이중, 관고, 관부, 관중 (지명), 북위 (북조), 북위 도무제, 북위 효무제, 북송 태조, 불공, 부건, 부견, 규기, 길장, 금강지, 비단길, 비담종, 비전 (화폐), 비수 대전, 김일제, 김양도, 대운하, 대흥, 대진경교유행중국비, 대진사, 대항해시대 2, 대하돌라, 대하마회, 누란, 교모, 교토 시, 국자감 (중국), 두릉 두씨, 두보, 두여회, 남연, 나라 시, 나라 시대, 나라현, 노욱, 노초, 녹안홍, 단언모, 단외, 당 덕종, 당 고조, 당 대종, 당 태종, 당 숙종, 당 예종, 당 현종, 당 헌종, 당나라, 당희, 당삼채, 효문황후, 우문천, 우보 (삼국지), 우금, 우중문, 승조, 회창의 폐불, 요익중, 요양, 요홍, 장무 (전한), 장간회, 장괴, 장궤, 장우 (신), 장제 (후한), 장직방, 장천석, 장수 (후한), 장양 (치숙), 장합, 장한가, 장안 (동음이의), 장안문, 장안성, 장안성 전투, 장식 (전량), 평창동, 이리 (삼국지), 이몽, 이각 (후한), 이감 (삼국지), 이백약, 이밀, 이극용, 이인한, 이정 (571년), 이창언, 이유 (후한), 이상은 (당나라), 이수 (위위), 이연 (후한), 이사도, 이섬 (후한), 이성 (당나라), 이하 (당나라), 일본어의 한자, 의령 여씨, 의종 (전한), 은굉, 적미의 난, 적방진, 제 (전한),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갈량의 북벌, 제갈탄의 난, 절도사, 전량, 전분 (전한), 전조 (오호 십육국), 전주 (후한), 전촉, 전한, 전한 무제, 전한 고제, 전한 혜제, 정명진, 정은, 저준, 저수, 조덕인, 조비의 남정, 조전, 조진, 조창 (조위), 조온 (후한), 조홍, 조확, 좌령, 종백봉, 종회, 종요, 종정자설, 주 평왕, 주령, 주건, 주경매, 주보언, 주비 (삼국지), 주전충, 주준, 주사 (전한), 주환 (후한), 중국 철학,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중국의 불교, 중국의 기독교, 준불의, 진 (성씨), 진백종, 진숙보, 진언종, 지의,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참깨볼, 청두 시, 천평, 척부인, 충주 박씨, 충집, 축법호, 치송데짼, 팍스 시니카, 유무 (회양왕), 유경 (전한), 유부 (사람), 유비 (제도혜왕), 유비 (오왕), 유우 (후한), 유요 (전조), 유장 (회남여왕), 유장 (성양경왕), 유흡, 유희 (전조), 유이 (조위), 유총, 유언 (삼국지), 유여의, 유표, 윈청 시,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족, 위진, 위현, 위연, 위월, 태종무열왕, 탈라스 전투, 탕평책, 순나라, 순욱, 수 문제, 수 양제, 수원 화성, 영류왕, 영가의 난, 영희 (북위), 오대 십국 시대, 오습, 오호 십육국 시대, 온정균, 호모반, 옹주 (중국), 혜초, 옌안 시, 혜원 (동진), 현무문의 변, 현장, 최열 (후한), 양민황후, 양귀비 (당나라), 양흥, 양정 (후한), 양상 (전한), 양성연, 헤이조쿄, 헤이안쿄, 여포, 역사 연표, 염단, 헌제 탈출전, 허난성, 허상 (전한), 풍야왕, 사례교위부, 사마의, 사누키 우동, 사자림, 사예교위, 사원 (후한), 산시성 (섬서성), 삼보, 삼국 시대 (중국), 삼국지 가공인물, 삼국지 III, 삼국지연의, 석륵, 석호 (후조), 선 (불교), 선무외, 설양, 성라피, 성렴, 서도, 서명사, 서진 민제, 서영 (후한), 서연 (오호 십육국), 서송 (청나라), 서황, 손자산경, 송기 (전한), 송창 (전한), 송상 (전한), 소망지, 소그드인, 소칙, 해광, 야마시로 국, 야광배, 한덕 다섯 부자,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한자음, 한나라, 한중 전투, 한유, 한융, 한수 (후한), 한언, 한사군, 한섬 (후한), 한신 (전한), 안·사의 난, 하 (오호 십육국), 하수 (전한), 하후무, 하후연, 아베노 나카마로, 필사탁, 셴양 시, 퉁관 현, 식부궁, 신배, 신수 (당나라), 신행, 십호, 티베트, 시안 시, 시안성벽, 원유 (삼국지), 원술, 원소 (후한), 훈자족, 후량 (오대), 후문, 후군집, 후진 (오호 십육국), 후지와라쿄, 후한, 후한 광무제, 후한 헌제, 후한말, 홍순언 (1530년), 황소 (당나라), 황완, 외효, 환전 (후한), 화흠, 화엄경, 왕맹, 왕방, 왕경무, 왕불해, 왕굉 (장문), 왕장 (중경), 왕중영 (형), 왕준 (군공), 왕찬, 왕유, 왕윤, 왕오천축국전, 왕온서, 왕세충, NHK 특집 실크로드, 190년 중국, 316년, 5세기, 8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39 더) »

란저우 시

저우(난주/란주)는 서북지방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간쑤 성의 성도(省都)이며 면적은 13,271km2이고 인구는 321만 명에 그중 도시인구가 약 140만 명 정도이.

새로운!!: 장안와 란저우 시 · 더보기 »

도안 (동진)

안(道安: 312-385) 또는 석도안(釋道安)은 초기 중국불교를 대표하는 동진(東晉: 317-420) 시대의 고승(高僧)이.

새로운!!: 장안와 도안 (동진) · 더보기 »

도시 계획

밤, 도시의 분포를 알 수있다. 퍼스시의 교외지역인 소렌토. 난개발 중에서도 자연 보존과 도시의 심미화가 슬럼화, 도시 재개발, 초고층화, 교외화와 함께 공존하는 도시이다. 호주의 캔버라 시. 1868년의 스웨덴 스톡홀름 전경. 1758년의 오스트리아 빈 전경. 도시 계획(都市計劃)은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해 가며 이를 시행하려는 일련의 과정을 말. 또한 도시계획은 도시의 장래 발전 수준을 예측하여 사전에 바람직한 형태를 미리 상정해두고 이에 필요한 규제나 유도정책, 혹은 정비수단 등을 통하여 도시를 건전하고 적정하게 관리해 나가는 도구이.

새로운!!: 장안와 도시 계획 · 더보기 »

동관 전투

동관 전투(潼關 戰鬪)는 후한 말기 건안 15년(211년) 조조와 관중 지방의 군벌 연합이 싸워 조조가 승리한 싸움으로 관중 군벌들은 몰락하게 되었.

새로운!!: 장안와 동관 전투 · 더보기 »

동승

동승(董承, 생년 미상 ~ 200년 정월)은 후한 말기의 정치인이.

새로운!!: 장안와 동승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동탁 · 더보기 »

동탁 토벌전

동탁 토벌전(董卓討伐戰)은 190년~191년에 동탁과 동탁에 대항하여 연합군을 결성한 관동의 지방 세력 간의 싸움이.

새로운!!: 장안와 동탁 토벌전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장안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라성염

성염(羅盛炎, 634년 ~ 712년) 또는 라성(羅盛)은 대몽국의 제 2대 국왕이.

새로운!!: 장안와 라성염 · 더보기 »

뤄양 시

양(낙양)은 허난 성의 도시로, 동주와 후한 그리고 육조 시대의 옛 수도이.

새로운!!: 장안와 뤄양 시 · 더보기 »

리치 (식물)

리치(Litchi chinensis) 또는 라이치(Lychee)는 무환자나무과의 상록수 과일나무이.

새로운!!: 장안와 리치 (식물) · 더보기 »

맹방립

맹방립(孟方立, ? ~ 889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소의군(昭義軍) 번진(藩鎭)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그곳의 절도사로서 881년부터 889년까지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맹방립 · 더보기 »

맹호연

맹호연 맹호연(孟浩然, 689년 ~ 740년)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장안와 맹호연 · 더보기 »

마대 (삼국지)

마대(馬岱, ? ~ ?)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장군으로 마등의 조카이자 마초의 종제이.

새로운!!: 장안와 마대 (삼국지) · 더보기 »

마니교

마니교()는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영지주의 종교 가운데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

새로운!!: 장안와 마니교 · 더보기 »

마초 (촉한)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마초 (촉한) · 더보기 »

모용덕

연 세종 헌무황제 모용덕(燕 世宗 獻武皇帝 慕容德, 336년 ~ 405년, 재위: 398년 ~ 40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연의 초대 황제로, 자는 현명(玄明)이.

새로운!!: 장안와 모용덕 · 더보기 »

모용의

모용 의(慕容顗, ? ~ 386년, 재위:386년)는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서연(西燕)의 4대 군주이.

새로운!!: 장안와 모용의 · 더보기 »

모용충 (2대)

연 위제 모용충(燕 威帝 慕容沖, 359년 ~ 386년, 재위:384년 ~ 386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서연(西燕)의 2대 군주이.

새로운!!: 장안와 모용충 (2대) · 더보기 »

모용성

연 중종 소무황제 모용성(燕 中宗 昭武皇帝 慕容盛, 373년 ~ 401년, 재위: 398년 ~ 401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의 제4대 황제로, 자는 도운(道運)이.

새로운!!: 장안와 모용성 · 더보기 »

모용홍

모용 홍(慕容 泓, ? ~ 384년, 재위:384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서연(西燕)의 초대 군주이.

새로운!!: 장안와 모용홍 · 더보기 »

문성공주

브리쿠티(좌)-송첸캄포(中)-문성공주(우) 문성공주(623년경 ~ 680년)는 당나라의 공주로 토번이라 일컫는 티베트 손챈감포 왕의 제2왕비이.

새로운!!: 장안와 문성공주 · 더보기 »

묵돌선우

묵돌선우();, 기원전 234년경 ~ 기원전 174년, 재위: 기원전 209년 ~ 기원전 174년)는 기원전 3세기 말의 흉노의 선우이다. 묵돌이라는 이름은 투르크어의 Bayatur(바야투르, 용감한 자)를 한자로 음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시황의 통일과 비슷한 무렵 묵돌 선우가 유목 세계의 패권을 세운 이래 진한 제국과 맞먹는 적수가 되었고 한 고조가 흉노에게 포위당해 큰 곤경을 치른 이래 '돈으로 평화를 사는' 화친 관계를 맺어 무제 때까지 100년 가까이 계속되었다.

새로운!!: 장안와 묵돌선우 · 더보기 »

방덕

방덕(龐德,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마등,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영명(令明)이며 양주 남안군 환도현(豲道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방덕 · 더보기 »

방훈의 난

방훈의 난(龐勛之亂)은 중국 당나라 말기 의종 때 서주 무녕군(武寧軍. 본거지는 현 장쑤 성 쉬저우 시) 번진(藩鎭)의 군인인 방훈(龐勛)이 일으킨 대형 반란으로, 868년부터 869년까지 지속되었.

새로운!!: 장안와 방훈의 난 · 더보기 »

백거이

백거이(白居易, 772년 ~ 846년) 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었.

새로운!!: 장안와 백거이 · 더보기 »

백등산 포위전

백등산 포위전()은 기원전 200년 전한과 흉노 사이에 발생한 군사 충돌이.

새로운!!: 장안와 백등산 포위전 · 더보기 »

갑관요

갑관요(蓋寬饒, ? ~ 기원전 60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차공(次公)이며 위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갑관요 · 더보기 »

갑훈

갑훈(蓋勳, 140년 ~ 190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고(元固)이며 양주 돈황군 광지현(廣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갑훈 · 더보기 »

바그다드

바그다드()는 이라크의 수도이.

새로운!!: 장안와 바그다드 · 더보기 »

간쑤성

쑤 성(감숙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성이.

새로운!!: 장안와 간쑤성 · 더보기 »

강충 (전한)

강충(江充, ? ~ 기원전 9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차천(次倩)이며 조국 한단현(邯鄲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강충 (전한) · 더보기 »

강유

강유 강유(姜維, 202년 ~ 264년)는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백약(伯約)이며 옹주 천수군 기현(冀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강유 · 더보기 »

가르궁린

르궁린(喝(爾)弓仁 또는 논궁인(論弓仁, 663년 ~ 723년)은 과거 티베트 고원, 서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세력을 떨치던 토번(吐番)의 명장이자 재상이기도 하였던 가르친링(喝(爾)欽陵, 論欽陵, ?~699)의 아들이다. 그는 티베트 사람으로써는 최초로 중원 왕조에 들어와 고위의 장군직에 있던 사람이었다. 그는 663년 위우(位于, 현재 산남지구(山南地區)의 궁결현(窮結縣))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할아버지인 가르통첸은 토번의 찬보중 가장 위대하다고 여겨지는 송첸캄포(松贊干布, 581~649)를 도와 외적인 일을 하였던 최고의 재상 중 한 명이었다. 가르통첸과 가르친링 대를 거치면서, 가르(Mgar) 가문은 토번에서 막강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새로운!!: 장안와 가르궁린 · 더보기 »

가르통짼 율숭

르통첸 율숭(? ~ 667년)은 티베트 전역을 통일하여 토번의 전성기를 연 33대 감포 손챈감포 시대의 재상이.

새로운!!: 장안와 가르통짼 율숭 · 더보기 »

가규

(賈逵, 174년 ~ 228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무장으로, 자는 양도(梁道)이며 하동군 양릉현(襄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가규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장안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가오창 구

오창 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루판 시의 시할구이.

새로운!!: 장안와 가오창 구 · 더보기 »

가후

후 가후(賈詡, 147년 ~ 223년)는 중국 후한 말 ~ 조위의 정치가로, 자는 문화(文和)이며 양주 무위군 고장현(姑臧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가후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장안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격의불교

격의불교(格義佛敎) 또는 격의(格義)는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인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 나타났던 불교 교리 이해 방법 또는 불교 연구 방법이.

새로운!!: 장안와 격의불교 · 더보기 »

경건

경건(景建, ? ~ 기원전 87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경조윤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경건 · 더보기 »

경조윤

경조윤(京兆尹)은 중국 고대의 관직으로, 전한의 수도인 장안과 그 주변 지역을 관할하는 특수한 지방 장관이.

새로운!!: 장안와 경조윤 · 더보기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慶州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은 경상북도 월성군 내동면 신계리(현재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 절터에서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제82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장안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더보기 »

경수창

경수창(耿壽昌,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장안와 경수창 · 더보기 »

번조

번조(樊稠, ? ~ 195년)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양주(涼州)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번조 · 더보기 »

버간 왕조

1210년경의 버간 왕국 버간 왕조(Pagan Kingdom, 1044년 ~ 1287년) 또는 파간 왕조는 버마족에 의한 최초의 미얀마 통일 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버간 왕조 · 더보기 »

법림

법림(法琳, 572년 ~ 640년)은 수당(隋唐)시대의 불교승이.

새로운!!: 장안와 법림 · 더보기 »

법현

법현(法顯: 함강 3년(337)~영초 3년(422))은 중국 동진의 승려이.

새로운!!: 장안와 법현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장안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혜진

혜진(高惠眞, ? ~ ?)은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고혜진 · 더보기 »

고언랑

언랑(顧彦朗, ? ~ 891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7년부터 891년 사망할 때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써 동천(東川, 본거지는 지금의 쓰촨 성 몐양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고언랑 · 더보기 »

고연수

연수(高延壽, ? ~ 645년)는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고연수 · 더보기 »

고선지

선지(高仙芝, ? ~ 755년)는 고구려 유민 출신 당나라 장군이.

새로운!!: 장안와 고선지 · 더보기 »

곽사

이각과 곽사 곽사(郭汜,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양주 장액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곽사 · 더보기 »

공손찬

공손찬(公孫瓚, ? ~ 199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백규(伯圭, 伯珪)이며 유주 요서군 영지현(令支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공손찬 · 더보기 »

공손홍

공손 홍(公孫弘, 기원전 199년 ~ 기원전 12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계(季) 또는 차경(次卿)이며 치천국 설현(薛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공손홍 · 더보기 »

변이중

변이중(邉以中, 1546년~161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장안와 변이중 · 더보기 »

관고

(貫高, ? ~ 기원전 198년)는 전한 초기의 관료로, 조왕 장오의 재상을.

새로운!!: 장안와 관고 · 더보기 »

관부

부(灌夫, ? ~ 기원전 131년)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중유(仲孺)이며 영천군 영음현(潁陰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관부 · 더보기 »

관중 (지명)

중(관의 가운데) 또는 관중 분지(關中盆地), 관중 평원(關中平原)은 역사적으로 북쪽의 소관(), 동쪽의 함곡관(), 남쪽의 무관(), 서쪽의 대산관() 사이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현재의 중국 산시 성 중부와 허난 성 서단을.

새로운!!: 장안와 관중 (지명) · 더보기 »

북위 (북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479년 당시의 북위. 북위(北魏, 386년~53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 탁발부에 의해 화북에 건국되어 남북조 시대까지 이어진 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북위 (북조) · 더보기 »

북위 도무제

위 태조 도무황제 탁발규(魏 太祖 道武皇帝 拓跋珪, 371년 ~ 409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북위의 제1대 황제(재위: 386년 ~ 409년)이.

새로운!!: 장안와 북위 도무제 · 더보기 »

북위 효무제

위 효무황제 원수(魏 孝武皇帝 元修, 510년 ~ 534년)는 북위의 제16대 황제(재위: 532년 ~ 534년)이.

새로운!!: 장안와 북위 효무제 · 더보기 »

북송 태조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새로운!!: 장안와 북송 태조 · 더보기 »

불공

불공(不空: 705~774)은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장안와 불공 · 더보기 »

부건

조 경명황제 부건(秦 高祖 景明皇帝 苻健, 317년 ~ 355년, 재위: 351년 ~ 355년)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진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부건 · 더보기 »

부견

세조 선소황제 부견(秦 世祖 宣昭皇帝 苻堅, 337년 ~ 385년, 재위: 357년 ~ 38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3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부견 · 더보기 »

규기

(窺基, 632년 ~ 682년) 또는 기(基)는 중국의 당나라 초기의 승려이.

새로운!!: 장안와 규기 · 더보기 »

길장

장(吉藏: 549~623)은 수나라(隋: 581~618) 시대의 불교인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이.

새로운!!: 장안와 길장 · 더보기 »

금강지

강지(金剛智, 671년~741년)는 당나라 시대의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이.

새로운!!: 장안와 금강지 · 더보기 »

비단길

비단길(緋緞路)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육상, 또는 해상을 통한 근대 이전의 동서 교역로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안와 비단길 · 더보기 »

비담종

비담종(毘曇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으로 설일체유부의 《6족발지(六足發智)》 등 소승불교의 여러 논서들을 연구강술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학파적인 종파이.

새로운!!: 장안와 비담종 · 더보기 »

비전 (화폐)

비전(飛銭), 또는 편전(便銭) ・ 편환(便換)은, 중국 당(唐), 송(宋) 시기의 송금 어음 제도를 가리.

새로운!!: 장안와 비전 (화폐) · 더보기 »

비수 대전

비수 대전(淝水大戰)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383년 동진(東晉)을 공격했다가 비수(淝水)에서 동진의 사현(謝玄)에게 패배한 전투이.

새로운!!: 장안와 비수 대전 · 더보기 »

김일제

일제(金日磾, 기원전 134년 ~ 기원전 86년 음력 8월)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옹숙(翁叔)이.

새로운!!: 장안와 김일제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장안와 김양도 · 더보기 »

대운하

운하 경로 대운하()는 중국의 베이징과 항저우를 잇는 운하이.

새로운!!: 장안와 대운하 · 더보기 »

대흥

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안와 대흥 · 더보기 »

대진경교유행중국비

경교유행중국비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教流行中國碑)는, 중국 당(唐) 건중(建中) 2년(781년)에 장안 서녕방(西寧坊)의 대진사(大秦寺)에 세워진 경교(景敎)의 중국 전래를 전하는 비석이.

새로운!!: 장안와 대진경교유행중국비 · 더보기 »

대진사

탑(大秦塔) 대진사(大秦寺)는, 중국에 전래된 경교(중국에 전해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사원(교회)의 일반적 명칭이.

새로운!!: 장안와 대진사 · 더보기 »

대항해시대 2

항해시대2(大航海時代II, Uncharted Waters: NEW HORIZONS)는 1993년 2월 10일에 코에이에서 발매한 비디오 게임이.

새로운!!: 장안와 대항해시대 2 · 더보기 »

대하돌라

(大賀咄羅,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장안와 대하돌라 · 더보기 »

대하마회

마회(大賀摩會, ? ~ ?)는 거란(契丹)의 추장이.

새로운!!: 장안와 대하마회 · 더보기 »

누란

에서 나온 조각된 목재(3-4세기) 고대 서구문명의 영향을 보인다. 누란 (樓蘭, Loulan)은 현재 중국령인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고대 도시의 작은 국가였.

새로운!!: 장안와 누란 · 더보기 »

교모

모(橋瑁, ? ~ 190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위(元偉)이며 양국(梁國) 수양현(睢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교모 · 더보기 »

교토 시

시()는 일본 혼슈 중앙부에 있는 일본 10대 도시중 하나이.

새로운!!: 장안와 교토 시 · 더보기 »

국자감 (중국)

국자감(國子監)이란 중국 수(隋)대 이후의 중앙관학으로서 중국의 고대 교육 체계 최고 학부였.

새로운!!: 장안와 국자감 (중국) · 더보기 »

두릉 두씨

릉 두씨(杜陵 杜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안와 두릉 두씨 · 더보기 »

두보

보(712년 ~ 770년)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

새로운!!: 장안와 두보 · 더보기 »

두여회

여회 두여회(杜如晦, 585년 ~ 630년)는 당 초기의 명재상이.

새로운!!: 장안와 두여회 · 더보기 »

남연

연(南燕 398년~410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부(慕容部)의 모용덕(慕容德)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남연 · 더보기 »

나라 시

시()는 일본 긴키 지방 나라현 북쪽에 위치하는 시이며,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장안와 나라 시 · 더보기 »

나라 시대

시대(710년 ~ 794년)는 넓은 의미로는 710년 겐메이 천황이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한 때부터 794년 간무 천황이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할 때까지의 84년의 기간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710년에서 784년에 간무 천황이 나가오카쿄(長岡京)로 천도할 때 까지이 74년의 기간을 가리키는 일본역사의 시대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장안와 나라 시대 · 더보기 »

나라현

현()은 일본 긴키 지방의 내륙에 있는 현이며 현청 소재지는 나라 시()이.

새로운!!: 장안와 나라현 · 더보기 »

노욱

욱(魯旭, ? ~ 192년 음력 6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노욱 · 더보기 »

노초

(路招, ? ~ ?)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노초 · 더보기 »

녹안홍

녹안홍(鹿晏弘, Lu Yanhong, ? ~ 886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3년부터 884년까지 산남서도(山南西道, 본거지는 현 산시 성 한중 시) 번진(藩鎭)을, 884년부터 886년까지 절도사(節度使)의 신분으로서 충무군(忠武軍,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쉬창 시) 번진을 각각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녹안홍 · 더보기 »

단언모

언모(段彦謨, Duan Yanmo, 882년 7월 17일《자치통감》제255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0년부터 882년까지 환관 주경매와 연합하여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으나, 후에 주경매와 사이가 틀어져 최후에는 주경매에게 살해되었.

새로운!!: 장안와 단언모 · 더보기 »

단외

외(段煨, ? ~ 209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충명(忠明)《서악화산당궐비명(西嶽華山堂闕碑銘)》 이며 양주(凉州) 무위군(武威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단외 · 더보기 »

당 덕종

당 덕종 당 덕종 이괄(唐德宗 李适, 742년 5월 27일~ 805년 2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당 대종 이예의 장남이.

새로운!!: 장안와 당 덕종 · 더보기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唐 高祖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중국 당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당 고조 · 더보기 »

당 대종

당 대종 이예(唐代宗 李豫, 726년: 개원(開元) 14년 ~ 779년: 대력(大歷) 14년)은 중국 당나라의 제8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당 대종 · 더보기 »

당 태종

당 태종 이세민(唐 太宗 李世民, 598년: 개황(開皇) 19년 1월 23일 ~ 649년: 정관(貞觀) 23년 7월 10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두 번째 아들이.

새로운!!: 장안와 당 태종 · 더보기 »

당 숙종

당 숙종 이형(唐肅宗 李亨, 711년 ~ 762년 음력 5월 18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7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현종 이융기, 어머니는 추존된 원헌황후 양씨이.

새로운!!: 장안와 당 숙종 · 더보기 »

당 예종

당 예종 이단(唐睿宗 李旦, 662년: 용삭(龍朔) 2년 6월 22일 ~ 716년:개원(開元) 4년 7월 13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5대 황제이며, 아버지는 당 고종 이치, 어머니는 측천무후이.

새로운!!: 장안와 당 예종 · 더보기 »

당 현종

당 현종 이융기(唐玄宗 李隆基, 685년 9월 8일 ~ 762년 5월 3일)는 중국 당나라의 제6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당 현종 · 더보기 »

당 헌종

당 헌종(唐 憲宗, 대력 13년(778년) 음력 2월 14일 ~ 820년)은 중국 당(唐)의 제11대 황제(재위 805년 ~ 820년)이.

새로운!!: 장안와 당 헌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당나라 · 더보기 »

당희

당희 (唐姬, ? ~ ?) 는 중국 후한의 13대 황제인 소제(少帝)의 후궁이.

새로운!!: 장안와 당희 · 더보기 »

당삼채

당삼채마상 당삼채(唐三彩)는 중국 당대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을 말. 주로 장안·낙양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었고, 묘릉에 부장되었.

새로운!!: 장안와 당삼채 · 더보기 »

효문황후

효문황후 두의방(孝文皇后 竇漪房, ? ~ 기원전 135년)은 전한 문제의 황후이며 전한 경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장안와 효문황후 · 더보기 »

우문천

주 정황제 우문천(周 靜皇帝 宇文闡, 573년 ~ 581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북주의 제5대 황제(재위: 579년 ~ 581년)이.

새로운!!: 장안와 우문천 · 더보기 »

우보 (삼국지)

우보(牛輔, ? ~ 192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우보 (삼국지) · 더보기 »

우금

우금(于禁, ? ~ 22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칙(文則)이며 연주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우금 · 더보기 »

우중문

우중문(于仲文, 545년 - 613년)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장안와 우중문 · 더보기 »

승조

승조(僧肇, 384년~414년)는 중국 동진의 승려이.

새로운!!: 장안와 승조 · 더보기 »

회창의 폐불

회창의 폐불(會昌-廢佛)이란 중국 당조의 무종 때 이루어진 폐불 사건을 말. 또 불교와 함께, 장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삼이교(마니교·조로아스터교·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배척당.

새로운!!: 장안와 회창의 폐불 · 더보기 »

요익중

시조 경원황제 요익중(秦 始祖 景元皇帝 姚弋仲, 280년 ~ 352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에 활동한 강족의 수장이.

새로운!!: 장안와 요익중 · 더보기 »

요양

요양(姚襄, 331년 ~ 35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강족(羌族)의 수장이.

새로운!!: 장안와 요양 · 더보기 »

요홍

요홍(姚泓, 388년 ~ 417년, 재위: 416년 ~ 417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요홍 · 더보기 »

장무 (전한)

장무(張武, ? ~ ?)는 전한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장무 (전한) · 더보기 »

장간회

장간회(張簡會, Zhang Jianhui, 생몰년 미상)는 중국 당나라 후기 의종 때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장간회 · 더보기 »

장괴

장괴(張瓌, Zhang Gui, ? ~ 888년 2월 10일《자치통감》제257권)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885년부터 888년까지 형남(荊南,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장괴 · 더보기 »

장궤

전량 태조 무왕 장궤(前涼 太祖 武王 張軌, 255년 ~ 314년, 재위: 301년 ~ 31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량(前凉)의 초대 왕이.

새로운!!: 장안와 장궤 · 더보기 »

장우 (신)

장우(莊尤, ? ~ 23년)는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백석(伯石)이.

새로운!!: 장안와 장우 (신) · 더보기 »

장제 (후한)

장제(張濟, ? ~ 196년)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양주 무위군 조려현(祖厲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장제 (후한) · 더보기 »

장직방

장직방(張直方, Zhang Zhifang, ? ~ 881년 1월 23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54)은 중국 당나라 후기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장직방 · 더보기 »

장천석

전량 도공 장천석(前涼 掉公 張天錫, 346년 ~ 398년, 재위: 363년 ~ 376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전량(前凉)의 제9대이자 마지막 국왕이.

새로운!!: 장안와 장천석 · 더보기 »

장수 (후한)

장수(張繡, ? ~ 207년)는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양주 무위군 조려현(祖厲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장수 (후한) · 더보기 »

장양 (치숙)

장양(張楊,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치숙(稚叔) 또는 아숙(雅淑)이며 병주(幷州) 운중군(雲中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장양 (치숙) · 더보기 »

장합

장합 장합(張郃, ?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준예(儁乂)이며 기주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장합 · 더보기 »

장한가

백거이 장한가(長恨歌)는 당나라 때 백거이가 지은 장편 서사시이.

새로운!!: 장안와 장한가 · 더보기 »

장안 (동음이의)

장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안와 장안 (동음이의) · 더보기 »

장안문

장안문의 앞모습 수원 화성 장안문 장안문(長安門)은 화성의 4대문 중 북쪽 대문이.

새로운!!: 장안와 장안문 · 더보기 »

장안성

장안성(長安城).

새로운!!: 장안와 장안성 · 더보기 »

장안성 전투

장안성 전투(長安城戰鬪)는 192년 한나라 장안성에서 동탁이 죽은 뒤 다시 정권을 되찾으려는 동탁의 잔당 이각, 곽사, 장제, 번조 등이 여포와 벌인 전투로 여포는 전투에서 대패해 원술에게로 가고 왕윤은 장안성에서 이각과 곽사에게 살해당.

새로운!!: 장안와 장안성 전투 · 더보기 »

장식 (전량)

전량 고조 명왕 장식(前涼 高祖 明王 張寔, 271년 ~ 320년, 재위: 314년 ~ 320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량(前凉)의 제2대 국왕이.

새로운!!: 장안와 장식 (전량) · 더보기 »

평창동

평창동(平倉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속하는 동이.

새로운!!: 장안와 평창동 · 더보기 »

이리 (삼국지)

이리(李利, ? ~ ?)는 중국 후한 말 이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이리 (삼국지) · 더보기 »

이몽

이몽(李蒙, ? ~ 195년)은 중국 후한 말 동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이몽 · 더보기 »

이각 (후한)

이각과 곽사 이각(李傕,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치연(稚然) 이며 북지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이각 (후한) · 더보기 »

이감 (삼국지)

이감(李堪, ? ~ 211년)은 중국 후한 말 관중 일대의 세력가로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이감 (삼국지) · 더보기 »

이백약

이백약(李百藥, Li Baiyao, 564년 ~ 647년)은 중국 수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에 걸쳐 활약했던 관료이자 역사가로, 그의 뛰어난 문학적 재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서 존경받았으며, 아버지 이덕림이 편찬을 시작했던 남북조시대 북제의 공식 역사서 중의 하나인 북제서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장안와 이백약 · 더보기 »

이밀

이밀(582년 ~ 619년)은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정치가이자 유력 군웅의 한 사람으로, 수 양제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반란군의 수령이었.

새로운!!: 장안와 이밀 · 더보기 »

이극용

이극용(李克用, 856년~908년)은 설연타 지도자 이국창 (李國昌)의 아들로서 중국 당나라말기 돌궐계 사타족(沙陀族) 출신의 최대 군벌이자 군사지도자이.

새로운!!: 장안와 이극용 · 더보기 »

이인한

이인한(李仁罕, 872년 ~ 934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촉의 대장이었.

새로운!!: 장안와 이인한 · 더보기 »

이정 (571년)

이정(李靖, 571년~649년)은 중국 당나라의 명장으로, 중국 섬서성 장안(長安)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장안와 이정 (571년) · 더보기 »

이창언

이창언(李昌言, Li Changyan, ? ~ 88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전임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바오지 시)였던 전직 재상 정전을 전복시킨 이후, 881년부터 884년까지 절도사로서 봉상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이창언 · 더보기 »

이유 (후한)

이유(李儒, 136년 이전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우(文優)이며 사례 좌풍익 합양현(郃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이유 (후한) · 더보기 »

이상은 (당나라)

이상은 이상은(李商隱, 원화 7년(812년) 또는 원화 8년(813년)~대중 12년(858년))은, 중국 당나라의 관료 정치가로 두목(杜牧)과 함께 만당(晩唐)을 대표하는 한시인이.

새로운!!: 장안와 이상은 (당나라) · 더보기 »

이수 (위위)

이수(李壽, ? ~ 기원전 90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이수 (위위) · 더보기 »

이연 (후한)

이연(李延, ? ~ 190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안와 이연 (후한) · 더보기 »

이사도

이사도(李師道, ? ~ 819년)는 제나라의 마지막 왕이었.

새로운!!: 장안와 이사도 · 더보기 »

이섬 (후한)

이섬(李暹, ? ~ ?)은 중국 후한 말 이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이섬 (후한) · 더보기 »

이성 (당나라)

이성(李成, 919년~967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의 화가이.

새로운!!: 장안와 이성 (당나라) · 더보기 »

이하 (당나라)

이하 이하(李賀, 791년 ~ 817년)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이.

새로운!!: 장안와 이하 (당나라) · 더보기 »

일본어의 한자

()는 일본에서 쓰이고 있는 한자(漢字) 즉, 일본어의 한자를 지칭.

새로운!!: 장안와 일본어의 한자 · 더보기 »

의령 여씨

의령 여씨(宜寧 余氏)는 백제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안와 의령 여씨 · 더보기 »

의종 (전한)

의종(義縱, ? ~ 기원전 117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의종 (전한) · 더보기 »

은굉

은굉(殷宏, ? ~ ?)은 전한 중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은굉 · 더보기 »

적미의 난

적미의 난(赤眉-亂)는 18년 지금의 산둥 성에서 번숭(樊崇)이나 역자도(力子都) 등을 지도자로 하여 일어난 반(反)왕망의 농민 반란이다(18~27).

새로운!!: 장안와 적미의 난 · 더보기 »

적방진

적방진(翟方進, ? ~ 기원전 7년 음력 2월)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위(子威)이며 여남군 상채현(上蔡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적방진 · 더보기 »

제 (전한)

제(齊, 기원전 203년 ~ 기원전 110년)는 중국 전한의 제후왕국이.

새로운!!: 장안와 제 (전한)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장안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갈량의 북벌

제갈량의 북벌(諸葛亮 - 北伐)은 227년부터 234년까지 촉한(蜀漢)의 승상인 제갈량이 추진한 군사 정책이.

새로운!!: 장안와 제갈량의 북벌 · 더보기 »

제갈탄의 난

256년 위나라 사마씨 정권의 수장인 사마소는 서서히 반역의 음모를 꾸미기 시작하고 심복 가규의 아들 가충을 회남의 진동대장군 제갈탄에게 보. 이에 제갈탄은 사마씨 정권이 아닌 위나라 조정에 충성한다는 말을 하고 가충이 이를 보고하자 사마소는 양주 자사 악침에게 밀서를 보내고 사신에게도 밀서를 주어 제갈탄에게 보. 하지만 사신을 심문해 사실을 안 제갈탄은 사신의 목을 베고 군사 1000명을 거느려 양주 땅으로 가 악침을 살. 그리고 회남과 회북에 주둔하던 군사 10만과 양주에서 항복한 군사 4만을 동원허고 마초와 양곡까지 비축해 만반의 준비를 하며 반란을 일으.

새로운!!: 장안와 제갈탄의 난 · 더보기 »

절도사

절도사(節度使)는, 중국 당(唐) 왕조에서 북송(北宋) 왕조에 걸쳐 존재했던 지방 조직인 번진(藩鎭)을 통솔했던 수장을 말. 관찰사(觀察使) 등을 겸하는 수도 있었으며, 지방의 군사와 재정을 통괄하였.

새로운!!: 장안와 절도사 · 더보기 »

전량

전량(前涼, 301년 ~ 376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한족 출신의 장궤(張軌)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전량 · 더보기 »

전분 (전한)

전분(田蚡, ? ~ 기원전 131년 음력 3월)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우내사 장릉현(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전분 (전한) · 더보기 »

전조 (오호 십육국)

전조(前趙, 304년~329년)는 오호십육국시대 유연(劉淵)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전조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전주 (후한)

전주(田疇, 169년 ~ 214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로, 자는 자태(子泰)이며 유주 우북평군 무종현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전주 (후한) · 더보기 »

전촉

전촉(前蜀, 907년 ~ 925년)은 중국의 오대십국 시대 10국 중 하나로 성도를 중심으로 한 사천성을 지배하던 나라로 절도사였던 왕건이 건국하였.

새로운!!: 장안와 전촉 · 더보기 »

전한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기원후 8년)은 고조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전한 · 더보기 »

전한 무제

세종 효무황제 유철(漢 世宗 孝武皇帝 劉徹, 기원전 156년 7월 30일 ~ 기원전 87년 3월 29일)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이.

새로운!!: 장안와 전한 무제 · 더보기 »

전한 고제

조 고황제 유방(漢 太祖 高皇帝 劉邦,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95년)은 한나라(漢)의 초대 황제(재위: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이.

새로운!!: 장안와 전한 고제 · 더보기 »

전한 혜제

효혜황제 유영(漢 孝惠皇帝 劉盈, 기원전 210년 ~ 기원전 188년)은 전한의 2대 황제(재위: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88년)이.

새로운!!: 장안와 전한 혜제 · 더보기 »

정명진

정명진(程名振, ? ~ 662년)은 당나라의 장군으로 명주(洺州) 평은현(平恩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정명진 · 더보기 »

정은

정은(程銀, ?~?)은 중국 후한 말기 서량의 장수.

새로운!!: 장안와 정은 · 더보기 »

저준

저준(沮儁, 171년 ~ 195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저준 · 더보기 »

저수

저수(沮授, ? ~ 200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기주 광평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저수 · 더보기 »

조덕인

조덕인(趙德諲, Zhao Deyin, ? ~ 892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당초에는 황제를 자칭한 진종권 휘하의 무장으로 있었으나, 진종권의 패망이 가까워지자 당나라에 충성을 맹세하였고, 충의군 절도사(忠義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샹양 시)로서 해당 번진(藩鎭)의 지배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

새로운!!: 장안와 조덕인 · 더보기 »

조비의 남정

조비의 남정(魏- 吳 侵攻)은 삼국시대 위나라가 222년과 224년 두 차례에 걸쳐 오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침공한 사건으로 위 황제던 조비까지 직접 나가고 대군을 동원했으나 끝내 패배.

새로운!!: 장안와 조비의 남정 · 더보기 »

조전

조전(趙戩, ? ~ ?)은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숙무(叔茂)이며, 경조윤 장릉현(長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조전 · 더보기 »

조진

조진(曹眞, ? ~ 23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황족이자 장수로 자는 자단(子丹)이.

새로운!!: 장안와 조진 · 더보기 »

조창 (조위)

조창(曹彰, 189년~223년)은 위왕 조조(曹操)의 넷째 아들로, 무선황후(武宣皇后)의 소생 중에서 둘째며, 자는 자문(子文)이고, 시호는 임성위왕(任城威王)이.

새로운!!: 장안와 조창 (조위) · 더보기 »

조온 (후한)

조온(趙溫, 137년 ~ 20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유(子柔)이며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조온 (후한) · 더보기 »

조홍

조홍(曹洪, ? ~ 232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렴(子廉)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조홍 · 더보기 »

조확

조확(曹確, Cao Que, 생몰년 미상)은 중국 당나라 후기에 활동했던 관료로, 당 의종 연간에 재상을 지냈던 인물이.

새로운!!: 장안와 조확 · 더보기 »

좌령

좌령(左靈,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안와 좌령 · 더보기 »

종백봉

종백 봉(宗伯鳳, ? ~ ?)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군방(君房)이.

새로운!!: 장안와 종백봉 · 더보기 »

종회

종회(鍾會, 225년 ~ 264년 1월 18일)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사계(士季)이며 예주 영천군 장사현(長社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종회 · 더보기 »

종요

종요 종요(鍾繇, 151년 ~ 230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로 자는 원상(元常)이며 예주 영천군 장사현(長社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종요 · 더보기 »

종정자설

종정자설(宗正子泄,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경조윤 장안현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종정자설 · 더보기 »

주 평왕

주 평왕(周 平王)은 주나라의 제13대 왕이.

새로운!!: 장안와 주 평왕 · 더보기 »

주령

주령(朱靈, ? ~ ?)은 중국 후한 말 ~ 조위의 무장으로, 자는 문박(文博)이며, 기주 청하국 수현(鄃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령 · 더보기 »

주건

주건(朱建, ? ~ 기원전 177년)은 전한 초의 정치가로, 초(楚)나라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건 · 더보기 »

주경매

주경매(朱敬玫, Zhu Jingmei, ? ~ 885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환관으로, 형남절도사(荊南節度使, 본거지는 현 후베이 성 징저우 시) 단언모를 살해한 후, 수하의 정예 친위부대인 충용군(忠勇軍)을 기반으로 삼아 사실상 형남 번진(藩鎭)의 지배자가 되었.

새로운!!: 장안와 주경매 · 더보기 »

주보언

주보 언, 또는 주부 언(主父偃, ? ~ 기원전 125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제국 임치현(臨菑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보언 · 더보기 »

주비 (삼국지)

주비(周毖, ? ~ 190년) 혹은 주필(周珌)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원(仲遠)이며 무위군 또는 한양군(漢陽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비 (삼국지) · 더보기 »

주전충

주전충(朱全忠, 852년 10월 21일 ~ 912년 7월 18일, 재위: 907년 ~ 912년)은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창건자로서 초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주전충 · 더보기 »

주준

주준(朱儁, ? ~ 195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위(公偉)이며 양주 회계군 상우현(上虞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준 · 더보기 »

주사 (전한)

주사(周舍, ? ~ ?)는 전한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주사 (전한) · 더보기 »

주환 (후한)

주환(周奐, ? ~ 192년 음력 6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명(文明)이며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주환 (후한)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장안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삼국 시대의 세력도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은 중국 후한 말기의 주군현(州郡縣) 체제를 기반으로 이를 계속 사용하였.

새로운!!: 장안와 중국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장안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중국의 기독교

중국의 기독교는 중국의 기독교 역사를 말.

새로운!!: 장안와 중국의 기독교 · 더보기 »

준불의

준불의(雋不疑,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만천(曼倩)이며 발해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준불의 · 더보기 »

진 (성씨)

(陳. 晉, 眞, 秦)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장안와 진 (성씨) · 더보기 »

진백종

백종(陳伯宗, 554년 ~ 570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진백종 · 더보기 »

진숙보

수 장성양공 진숙보(隋 長城煬公 陳叔寶, 553년 12월 3일 ~ 604년 12월 16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제5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진숙보 · 더보기 »

진언종

언종(眞言宗)은 불교의 종파로, 신라의 승려인 혜통(惠通: fl. 7세기)을 종조로 하는 해동 진언종과 일본의 승려인 구카이(홍법 대사)에 의해서 9세기 초에 열린 일본의 진언종이 있.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혜통,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삼국시대의 불교 > 밀교의 전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일본의 사상 > 불교사상 > 진언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라의 승려인 명랑(明朗: fl. 668)은 진언종의 별파인 해동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

새로운!!: 장안와 진언종 · 더보기 »

지의

사 지의(智顗: 538~597)는 수나라(581~618) 시대의 승려로, 천태종의 개조(開祖)이.

새로운!!: 장안와 지의 · 더보기 »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역패권에 의한 평화는 "팍스"(- 평화)와 제국의 라틴어 이름을 합성하여 그 시대의 제국이나 국가의 패권에 의한 안정, 평화적이었던 시대를 일컫는 용어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안와 지역패권에 의한 평화 목록 · 더보기 »

참깨볼

볼은 찹쌀가루로 빚은 다음 참깨 고물을 묻혀 튀긴 중국식 경단이.

새로운!!: 장안와 참깨볼 · 더보기 »

청두 시

청두(성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서남부 사천 성의 청사 소재지이.

새로운!!: 장안와 청두 시 · 더보기 »

천평

평(天平)은 중국 동위(東魏) 효정제(孝靜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장안와 천평 · 더보기 »

척부인

척부인(戚夫人, ? ~ 기원전 194년)은 진 말기부터 전한 초기 사람이며, 정도(定陶, 현 산둥 성(山東) 딩타오 현)출신이.

새로운!!: 장안와 척부인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안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충집

충집(种輯, ? ~ 200년 1월)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장안와 충집 · 더보기 »

축법호

축법호(竺法護: fl. 266년 ~ 313년)는 서진 시대에 활약한 역경승이.

새로운!!: 장안와 축법호 · 더보기 »

치송데짼

송데짼(ཁྲི་སྲོང་ལྡེ་བཙན, Khri-sRong lDe-bTsan, Trisong Detsen, Chisong Dêzän, 742년 ~ 797년)은 토번의 제38대 짼뽀(재위: 756년 ~ 797년)이.

새로운!!: 장안와 치송데짼 · 더보기 »

팍스 시니카

팍스 시니카()는 중국에 의한 평화라는 라틴어의 뜻으로 중국의 패권에 의해 동아시아에 평화가 오는 것을 의미.

새로운!!: 장안와 팍스 시니카 · 더보기 »

유무 (회양왕)

회양왕 유무(淮陽王 劉武, ? ~ 기원전 180년)는 중국 전한의 황족 · 제후왕으로, 전한 혜제의 아들이라 하나 고황후가 속인 것이라는 말도 있. 혜제의 후궁의 아들로, 혜제 사후 임조칭제를 하는 고황후가 여씨를 왕으로 세우기 위해 먼저 여후 원년(기원전 187년) 4월에 혜제의 후궁의 아들들을 왕과 후로 봉하면서 호관후에 봉해졌.

새로운!!: 장안와 유무 (회양왕) · 더보기 »

유경 (전한)

유경(劉敬, ? ~ ?)은 중국 전한의 정. 원래 이름은 누경(婁敬)이.

새로운!!: 장안와 유경 (전한) · 더보기 »

유부 (사람)

유부(劉富, ? ~ 기원전 151년)는 중국 전한의 황족이.

새로운!!: 장안와 유부 (사람) · 더보기 »

유비 (제도혜왕)

제도혜왕 유비(齊悼惠王 劉肥, ? ~ 기원전 189년)는 전한의 황족이며 제후왕이.

새로운!!: 장안와 유비 (제도혜왕) · 더보기 »

유비 (오왕)

오왕 유비(吳王 劉濞, 기원전 215년 ~ 기원전 154년)는 전한 전기의 황족이자 제후왕으로, 패현(沛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비 (오왕) · 더보기 »

유우 (후한)

유우(劉虞, ? ~ 193년)는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백안(伯安)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우 (후한) · 더보기 »

유요 (전조)

유요(劉曜, ? ~ 328년, 재위: 318년 ~ 328년)는 오호십육국시대 전조(前趙)의 5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유요 (전조) · 더보기 »

유장 (회남여왕)

회남여왕 유장(淮南厲王 劉長, 기원전 199년 ~ 기원전 174년)은 전한 초기의 제후왕으로, 고제의 7남이.

새로운!!: 장안와 유장 (회남여왕) · 더보기 »

유장 (성양경왕)

성양경왕 유장(城陽景王 劉章, 기원전 200년 ~ 기원전 177년)은 전한의 황족이자 제후왕으로, 초대 성양왕이.

새로운!!: 장안와 유장 (성양경왕) · 더보기 »

유흡

유흡(劉歙, ? ~ 34년)은 신나라 ~ 후한 초기의 인물로, 자는 경손(經孫)이며 남양군(南陽郡)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흡 · 더보기 »

유희 (전조)

유희(劉熙, ? ~ 329년, 재위: 328년 ~ 329년)는 오호십육국 시대 전조(前趙)의 6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유희 (전조) · 더보기 »

유이 (조위)

유이(劉廙, 180년 ~ 221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사(恭嗣)이며 형주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이 (조위) · 더보기 »

유총

유총(劉聰, ? ~ 318년, 재위: 310년 ~ 318년)은 오호 십육국 시대 전조의 3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유총 · 더보기 »

유언 (삼국지)

유언(劉焉, ? ~ 194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군랑(君郞)이며 형주 강하군 경릉현(竟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언 (삼국지) · 더보기 »

유여의

조은왕 유여의(趙隱王 劉如意, 기원전 207년사마천, 《사기》 권96 장승상열전 ~ 기원전 195년)는 전한 초기의 제후왕으로, 전한 고제의 서자이.

새로운!!: 장안와 유여의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유표 · 더보기 »

윈청 시

윈청()은 중국 산시 성의 지급시이.

새로운!!: 장안와 윈청 시 · 더보기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회흘(回纥/回鶻))은 위구르족이 세운 제국이.

새로운!!: 장안와 위구르 카간국 · 더보기 »

위구르족

위구르족()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이.

새로운!!: 장안와 위구르족 · 더보기 »

위진

위진(衛臻, ? ~ ?)은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공진(公振)이며 연주 진류군 양읍현(襄邑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위진 · 더보기 »

위현

위현(衛玄, 541년 ~ 617년) 혹은 위문승(衛文昇)은 북주, 수나라의 정치가 겸 장군이.

새로운!!: 장안와 위현 · 더보기 »

위연

위연(魏延, ? ~ 234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문장(文長)이며 형주 의양군(義陽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위연 · 더보기 »

위월

위월(魏越,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위월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장안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탈라스 전투

스 전투(Battle of Talas)는 751년 7월 ~ 8월 사이에 고구려 출신 당나라 장수 고선지 장군이 지휘하는 당나라군과 동맹군 카를루크가 압바스 왕조, 티베트 연합군을 상대로 지금의 카자흐스탄 영토인 탈라스 강 유역에서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두고 싸운 전투였.

새로운!!: 장안와 탈라스 전투 · 더보기 »

탕평책

탕평책(蕩平策)은 조선 영조가 당파 싸움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세력 균형을 위해 추진한 정책이.

새로운!!: 장안와 탕평책 · 더보기 »

순나라

순(順, 1644년~1645년)또는 대순(大順)은, 1644년에 이자성이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순나라 · 더보기 »

순욱

순욱(荀彧, 163년 ~ 212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문약(文若)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穎陰縣) - 지금의 허난 성 쉬창 시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순욱 · 더보기 »

수 문제

수 고조 문황제 양견(隋 高祖 文皇帝 楊堅, 541년 ~ 604년)은 중국 수나라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수 문제 · 더보기 »

수 양제

수 세조 명황제 양광(隋 世祖 明皇帝 楊廣, 569년 ~ 618년 3월 11일)은 중국 수나라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수 양제 · 더보기 »

수원 화성

화성의 지도 수원 화성(水原 華城)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

새로운!!: 장안와 수원 화성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장안와 영류왕 · 더보기 »

영가의 난

영가의 난(永嘉之亂)은 중국 서진 말기에, 이민족에 의해 일어난 반란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안와 영가의 난 · 더보기 »

영희 (북위)

영희(永熙)는 중국 북위(北魏) 효무제(孝武帝)의 세 번째 연호이자 북위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장안와 영희 (북위)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장안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오습

오습(伍習,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오습 · 더보기 »

오호 십육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304년 ~ 439년)는 삼국을 통일한 서진(西晉)이 멸망한 후, 5개의 비한족을 비롯한 16개의 국가가 회수(淮水) 북부에 여러 나라를 세우며 난립하던 시대를 말. 구체적으로는 전조(前趙: 304 ~ 329)가 건국된 304년부터 북위(北魏: 386 ~ 534)가 화북을 통일한 439년까지를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

새로운!!: 장안와 오호 십육국 시대 · 더보기 »

온정균

온정균 온정균(溫庭筠, 812년∼870년)은 중국 당나라 시기의 시인이.

새로운!!: 장안와 온정균 · 더보기 »

호모반

호모 반(胡母班, ? ~ 190년 음력 6월)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계피(季皮)이며 연주 태산군 봉고현(奉高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호모반 · 더보기 »

옹주 (중국)

옹주(雍州)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장안와 옹주 (중국) · 더보기 »

혜초

혜초(慧超 또는 惠超, 704년~787년)는 신라 성덕왕(또는 경덕왕) 때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의 오대산(五臺山) 건원보리사(乾元菩提寺)에서 입적하였.

새로운!!: 장안와 혜초 · 더보기 »

옌안 시

옌안()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의 시이.

새로운!!: 장안와 옌안 시 · 더보기 »

혜원 (동진)

1921년에 간행된 《만소당죽장화전》(晩笑堂竹莊畫傳)에 실린 혜원의 초상. 혜원(慧遠, 334년 ~ 416년)은, 중국 동진(東晉)의 여산(廬山)에 주석했던 고승이.

새로운!!: 장안와 혜원 (동진) · 더보기 »

현무문의 변

현무문의 변(玄武門之變)은 626년 7월 2일에 발생한 당 고조 이연의 후계자를 두고 장남 이건성(李建成)과 차남 이세민의 다툼이.

새로운!!: 장안와 현무문의 변 · 더보기 »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새로운!!: 장안와 현장 · 더보기 »

최열 (후한)

열(崔烈, ? ~ 192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위고(威考) 이며 유주 탁군 안평현(安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최열 (후한) · 더보기 »

양민황후

양민황후 소씨(煬愍皇后 蕭氏, 566년 ~ 648년)는 중국 수나라의 두 번째 황후이며, 수 양제 양광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장안와 양민황후 · 더보기 »

양귀비 (당나라)

양귀비(楊貴妃, 719년 6월 26일 ~ 756년 7월 15일)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

새로운!!: 장안와 양귀비 (당나라) · 더보기 »

양흥

양흥(梁興, ? ~ 212년)은 중국 후한 말 관중 일대의 세력가이.

새로운!!: 장안와 양흥 · 더보기 »

양정 (후한)

양정(楊定,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정수(整修)이며 양주(凉州)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양정 (후한) · 더보기 »

양상 (전한)

양상(梁相,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하(子夏)이며 하동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양상 (전한) · 더보기 »

양성연

양성 연(陽成延, ? ~ 기원전 182년)은 전한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양성연 · 더보기 »

헤이조쿄

헤이조쿄 유적. 헤이조쿄()는 나라 시대(710년 ~ 794년)의 대부분 기간(710년 ~ 740년, 745년 ~ 784년) 때 일본의 수도였던 곳이.

새로운!!: 장안와 헤이조쿄 · 더보기 »

헤이안쿄

헤이안쿄의 전경 헤이안쿄(平安京)는 현재의 교토 시의 몇몇 예전 이름 중 하나이.

새로운!!: 장안와 헤이안쿄 · 더보기 »

여포

여포(呂布, ? ~ 198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봉선(奉先)이며 병주 오원군 구원현(九原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여포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장안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염단

염단(廉丹, ? ~ 22년)은 신나라의 군인으로, 농서군 양무현(襄武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염단 · 더보기 »

헌제 탈출전

제 탈출전은 195년 동쪽으로 가려는 후한 황제 헌제와 이를 호송하는 양봉, 한섬, 외척 동승, 이락이 이끄는 흑산적 도적 등이 이각과 곽사, 장제의 끈질긴 추격에서 벗어난 전투로 이후 조조가 황제를 끼고 천하의 중심에 서게 되는 단초가 되었.

새로운!!: 장안와 헌제 탈출전 · 더보기 »

허난성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부의 성이.

새로운!!: 장안와 허난성 · 더보기 »

허상 (전한)

상(許商, ? ~ ?)은 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자는 장백(長伯)이며 경조윤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허상 (전한) · 더보기 »

풍야왕

풍야왕(馮野王, ? ~ ?)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군경(君卿)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풍야왕 · 더보기 »

사례교위부

사예교위부(司隸校尉部)는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 중 하나이며, 한나라 당시 사예교위(司隸校尉)가 관장하며 행정을 감독하는 지역을 일컫.

새로운!!: 장안와 사례교위부 · 더보기 »

사마의

조 선황제 사마의(晉 高祖 宣皇帝 司馬懿, 179년 ~ 251년 8월 5일)는 중국 삼국시대 조위의 관료이자 서진의 추존 황제로, 자는 중달(仲達)이며 하내군 온현(溫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사마의 · 더보기 »

사누키 우동

마아게식 사누키 우동 사누키 우동()은 일본 사누키 국(가가와현) 일대에서 생산되는 우동의 일종이.

새로운!!: 장안와 사누키 우동 · 더보기 »

사자림

쑤저우의 사자림 사자림()은 졸정원 등과 더불어 장쑤 성 쑤저우 시에 있는 중국 강남의 대표적인 정원 중의 하나이.

새로운!!: 장안와 사자림 · 더보기 »

사예교위

사예교위(司隷校尉)는 고대 중국의 관직이.

새로운!!: 장안와 사예교위 · 더보기 »

사원 (후한)

사원(射援,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한(蜀)의 정치가로, 자는 문웅(文雄)《삼보결록주(三輔決錄注)》 이며 사례(司隷) 부풍군(扶風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사원 (후한) · 더보기 »

산시성 (섬서성)

산시 성(섬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성이.

새로운!!: 장안와 산시성 (섬서성) · 더보기 »

삼보

삼보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장안와 삼보 · 더보기 »

삼국 시대 (중국)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후한이 몰락하기 시작했던 2세기 말부터 위, 촉, 오가 세워져 서로 다투다가 서진이 중국을 통일하는 3세기 후반까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장안와 삼국 시대 (중국) · 더보기 »

삼국지 가공인물

음은 소설 《삼국지연의》 등 삼국지와 관련하여 창작된 가상의 인물들이.

새로운!!: 장안와 삼국지 가공인물 · 더보기 »

삼국지 III

《삼국지 III》은 코에이에서 출시한 삼국지 시리즈의 세 번째 게임이.

새로운!!: 장안와 삼국지 III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장안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석륵

후조 고조 명황제 석륵(後趙 高祖 明皇帝 石勒, 274년 ~ 333년, 재위: 319년 ~ 333년)은 오호십육국 시대 후조(後趙)의 창건자이.

새로운!!: 장안와 석륵 · 더보기 »

석호 (후조)

후조 태조 무황제 석호(後趙 太祖 武皇帝 石虎, 295년 ~ 349년, 재위:334년 - 349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後趙)의 제3대의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석호 (후조)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장안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무외

선무외(善無畏: 637~735)은 당나라(唐) 시대의 불교승이자 인도로부터 중국에 밀교를 전한 역경승(譯經僧)이.

새로운!!: 장안와 선무외 · 더보기 »

설양

설양(薛穰, ? ~ ?)은 전한 중기의 제후로, 개국공신 설구의 증손이자 승상 설택의 아들이.

새로운!!: 장안와 설양 · 더보기 »

성라피

성라피(盛羅皮, 673년 ~ 728년)는 대몽국의 제4대 국왕이.

새로운!!: 장안와 성라피 · 더보기 »

성렴

성렴(成廉,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성렴 · 더보기 »

서도

서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장안와 서도 · 더보기 »

서명사

서명사(西明寺)는, 중국 당대(唐代)에 수도 장안(長安)에 세워진 사찰이.

새로운!!: 장안와 서명사 · 더보기 »

서진 민제

민황제 사마업(晉 愍皇帝 司馬鄴, 300년 음력 2월 7일 ~ 317년)는 중국 서진 황조의 제4대 황제이.

새로운!!: 장안와 서진 민제 · 더보기 »

서영 (후한)

서영(徐榮,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유주 현도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서영 (후한) · 더보기 »

서연 (오호 십육국)

서연(西燕, 384년 ~ 394년)은 오호십육국 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홍(慕容泓)·모용충(慕容沖)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서연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서송 (청나라)

서송 서송(徐松, 1781년 ~ 1848년)은 청나라(淸)의 역사가이.

새로운!!: 장안와 서송 (청나라) · 더보기 »

서황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서황 · 더보기 »

손자산경

청나라 때 출판된 《손자산경》 사본 《손자산경》()은 기원후 5세기 경 중국에서 집필된 수학서이.

새로운!!: 장안와 손자산경 · 더보기 »

송기 (전한)

송기(宋畸, ? ~ ?)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자는 옹일(翁壹)이며, 동해군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송기 (전한) · 더보기 »

송창 (전한)

송창(宋昌, ? ~ ?)은 전한 초기의 관료로, 초나라의 상장군 송의의 손자이.

새로운!!: 장안와 송창 (전한) · 더보기 »

송상 (전한)

송상(宋尙, ? ~ ?)은 전한 후기의 정치가로, 경조윤(京兆尹)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송상 (전한) · 더보기 »

소망지

소망지(蕭望之, ? ~ 기원전 46년)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장천(長倩)이며 동해군 난릉현(蘭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소망지 · 더보기 »

소그드인

thumb 소그드인(Sogd人, 속특 粟特)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를 근거지로 하는 이란계(系)의 주민이.

새로운!!: 장안와 소그드인 · 더보기 »

소칙

소칙(蘇則, ? ~ 223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문사(文師)이며 우부풍 무공현(武功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소칙 · 더보기 »

해광

광(解光, ? ~ ?)은 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장안와 해광 · 더보기 »

야마시로 국

야마시로 국 야마시로 국()은 기나이에 설치되었던 일본의 옛 구니이.

새로운!!: 장안와 야마시로 국 · 더보기 »

야광배

야광배(夜光杯)는, 옥(玉)으로 만든 잔으로 중국 간쑤 성(甘粛省) 주취안(酒泉)의 특산품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장안와 야광배 · 더보기 »

한덕 다섯 부자

덕(韓德)과 그 아들 한영(韓瑛), 한요(韓瑤), 한경(韓瓊), 한기(韓琪)는 사서가 아닌 소설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들이.

새로운!!: 장안와 한덕 다섯 부자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장안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 한자음

국 한자음(韓國漢字音)은 한국어에서의 한자 소리를 이른.

새로운!!: 장안와 한국 한자음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장안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중 전투

중 전투(漢中 戰鬪)는 219년 유비와 조조가 벌인 전투로 유비가 대승을 거두고 조조를 무찔러 한중을 차지하여 촉의 힘은 2배로 커지게 되었.

새로운!!: 장안와 한중 전투 · 더보기 »

한유

유 한유(韓愈, 대력 3년(768년)~장경 4년(824년))는,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 정치가 · 사상가이.

새로운!!: 장안와 한유 · 더보기 »

한융

융(韓融,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장(元長)이며 영천군 무양현(舞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한융 · 더보기 »

한수 (후한)

수(韓遂, 145년 이전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관서 일대의 세력가로 자는 문약(文約)이며 양주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한수 (후한) · 더보기 »

한언

언(韓嫣, ? ~ 기원전 137년)은 전한의 중기의 인물로, 자는 왕손(王孫)이.

새로운!!: 장안와 한언 · 더보기 »

한사군

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은 기원전 108년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낙랑군·진번군·임둔군·현도군의 4군과 그 속현을 말. 근대 이전에는 전통적으로 사군(四郡)이라 불렀고, 현대 한국사학계에서는 한군현, 동방변군 등으로 지칭.

새로운!!: 장안와 한사군 · 더보기 »

한섬 (후한)

섬(韓暹,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한섬 (후한) · 더보기 »

한신 (전한)

신(韓信, ? ~ 기원전 196년)은 전한의 장군이자 제후이.

새로운!!: 장안와 한신 (전한) · 더보기 »

안·사의 난

안·사의 난(安史之亂, An Shi Rebellion)은 755년 12월 16일부터 763년 2월 17일에 걸쳐 당나라의 절도사인 안녹사와 그 부하인 사사명과 그 자녀들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 반란이.

새로운!!: 장안와 안·사의 난 · 더보기 »

하 (오호 십육국)

(夏, 407년 ~ 431년)는 오호십육국시대 남흉노(南匈奴)의 후예인 혁련발발(赫連勃勃)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하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하수 (전한)

수(何壽, ? ~ ?)는 전한 후기의 관료로,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하수 (전한) · 더보기 »

하후무

후무(夏侯楙, 생몰년 미상)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림(子林)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하후무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하후연 · 더보기 »

아베노 나카마로

아베노 나카마로 아베노 나카마로(阿倍 仲麻呂, 698년 ~ 770년 음력 1월)는 나라 시대의 견당유학생이.

새로운!!: 장안와 아베노 나카마로 · 더보기 »

필사탁

사탁(畢師鐸, ? ~ 888년 3월 2일《자치통감》, 권257.)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장령(將領)이었.

새로운!!: 장안와 필사탁 · 더보기 »

셴양 시

셴양(함양)은 산시 성에 있는 지급시로 관중평원 중부에 있. 시안 시와 약 25km 떨어져 있. 면적은 10196km², 인구는 492만 명이.

새로운!!: 장안와 셴양 시 · 더보기 »

퉁관 현

퉁관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산시 성 웨이난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장안와 퉁관 현 · 더보기 »

식부궁

식부 궁(息夫躬, ? ~ 기원전 1년)은 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미(子微)이며 하내군 하양현(河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식부궁 · 더보기 »

신배

신배(申培, ? ~ ?)는 전한 초기 ~ 중기의 학자로, 노나라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신배 · 더보기 »

신수 (당나라)

신수(神秀: ?~706)는 당나라(618~907) 의 선승이며 북종선(北宗禪)의 시조이.

새로운!!: 장안와 신수 (당나라) · 더보기 »

신행

신행(信行: 540~594)은 수나라(隋: 581~618) 때 말법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불교 종파인 삼계교(三階敎)를 창종한 중국의 승려이.

새로운!!: 장안와 신행 · 더보기 »

십호

10호(十號,, ten epithets of the Buddha)는 고타마 붓다 또는 부처의 지위에 오른 모든 깨달은 자를 칭하는, 《장아함경》《잡아함경》《불설십호경(佛說十號經)》 등의 경전과 《대지도론(大智度論)》《대승의장(大乘義章)》 등의 불교 논서들에 나오는, 아래 목록의 부처의 10가지 다른 이름 또는 부처의 10가지 명호를 말하며, 모든 깨달은 자들이 가지는 10가지 뛰어난 공덕(功德)을 보여준.

새로운!!: 장안와 십호 · 더보기 »

티베트

중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티베트()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의 지역으로, 토착 티베트인들의 고향이.

새로운!!: 장안와 티베트 · 더보기 »

시안 시

시안()은 중국의 산시 성(陝西省)의 주요 도시이자 산시 성의 성도이.

새로운!!: 장안와 시안 시 · 더보기 »

시안성벽

서안성벽 서안 성벽의 옹성 시안성벽()은 산시 성 시안시 성구에 위치해 있. 명나라 초기에 당나라 장안황성의 기초 위에 건조한 것이.

새로운!!: 장안와 시안성벽 · 더보기 »

원유 (삼국지)

원유(袁遺, ? ~ 192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업(伯業)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원유 (삼국지)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원술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훈자족

훈자족(부루쇼족이나 훈자쿠트족이라고 함)들은 파키스탄 북동부의 카라코람 산맥 훈자 계곡에 살고 있는 소수 민족이.

새로운!!: 장안와 훈자족 · 더보기 »

후량 (오대)

후량(後梁, 907년 ~ 923년)은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장안와 후량 (오대) · 더보기 »

후문

후문(侯汶, ? ~ ?)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림(文林)《한사공종구비(漢司空宗俱碑)》 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중도현(中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후문 · 더보기 »

후군집

후군집(생년 미상 - 643년 4월 29일)은 중국 당나라의 장군으로 본관은 유주 삼수현(현재의 섬서성 순읍현)이.

새로운!!: 장안와 후군집 · 더보기 »

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후진(後秦, 384년 ~ 417년)은 오호 십육국 시대 강족 요장(姚萇)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후지와라쿄

후지와라쿄 후지와라쿄의 도시 구획 후지와라쿄()는 아스카쿄(飛鳥京)의 서북쪽, 야마토 국(大和國)에 위치해 있었던 고대 일본의 수도이.

새로운!!: 장안와 후지와라쿄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장안와 후한 · 더보기 »

후한 광무제

세조 광무황제 유수(漢 世祖 光武皇帝 劉秀, 기원전 6년 ~ 57년)는 중국 후한 황조의 초대 황제로, 아명은 호(呼)며 자는 문숙(文叔)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후한 광무제 · 더보기 »

후한 헌제

효헌황제 유협(漢 孝獻皇帝 劉協, 181년 ~ 234년)은 후한(後漢)의 제14대이자 마지막 황제로 자는 백화(伯和)이.

새로운!!: 장안와 후한 헌제 · 더보기 »

후한말

후한말(後漢末)이란 중국사에서 기원후 189년 ~ 220년이.

새로운!!: 장안와 후한말 · 더보기 »

홍순언 (1530년)

홍순언(洪純彦, 1530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한어 통역관, 외교관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장안와 홍순언 (1530년) · 더보기 »

황소 (당나라)

황소(黃巢, 820년~884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농민 반란 주모자이.

새로운!!: 장안와 황소 (당나라) · 더보기 »

황완

황완(黃琬, 141년 ~ 192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염(子琰)범엽, 《후한서》 권61 좌주황열전(左周黃列傳)이며 형주 강하군 안륙현(安陸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황완 · 더보기 »

외효

외효(隗囂, ? ~ 33년)은 신나라 ~ 후한 초기의 군인으로, 자는 계맹(季孟)이며 천수군 성기현(成紀縣, 현 간쑤 성 징닝 현)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외효 · 더보기 »

환전 (후한)

환전(桓典, ? ~ 201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아(公雅)이며 패국 용강현(龍亢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환전 (후한) · 더보기 »

화흠

화흠(華歆, 157년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어(子魚)이며 청주 평원군 고당현(高唐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화흠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장안와 화엄경 · 더보기 »

왕맹

왕맹(王猛 325년 ~ 375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전진의 승상으로 자(字)는 경략(景略)이며, 북해군(北海郡) 극현(劇縣)(현 중국 산둥성 창러 현) 출신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맹 · 더보기 »

왕방

왕방(王方, ? ~ ?)은 중국 후한 말 동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장안와 왕방 · 더보기 »

왕경무

왕경무(王敬武, Wang Jingwu, ? ~ 889년)는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절도사(節度使)로서 882년부터 889년까지 평로군(平盧軍, 본거지는 지금의 산둥 성 웨이팡 시) 번진(藩鎭)을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왕경무 · 더보기 »

왕불해

왕불해(王不害, ? ~ 기원전 133년)는 전한 중기의 제후로, 개국공신 왕흡의 증손이.

새로운!!: 장안와 왕불해 · 더보기 »

왕굉 (장문)

왕굉(王宏, ? ~ 192년 6월 7일)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장문(長文)범엽(范曄), 《후한서(後漢書)》 권66 진왕열전(陳王列傳) 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기현(祁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굉 (장문) · 더보기 »

왕장 (중경)

왕장(王章, ? ~ 기원전 24년)은 전한 후기의 관료로, 자는 중경(仲卿)이며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장 (중경) · 더보기 »

왕중영 (형)

왕중영(王重盈, Wang Chongying, ? ~ 895년 2월 12일타이완 중앙연구원 《자치통감》, 권 260)은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했던 군벌로, 섬괵절도사(陝虢節度使. 본거지는 현 허난 성 싼먼샤 시, 재위 883년 ~ 887년)・호국군 절도사(護國軍節度使. 본거지는 현 산시 성 윈청 시, 재위 887년 ~ 895년) 등을 역임하였으며, 절도사로서 이들 해당 번진(藩鎭)을 세습 지배했던 것으로 유명.

새로운!!: 장안와 왕중영 (형) · 더보기 »

왕준 (군공)

왕준(王駿, ? ~ 16년)은 전한 말기 ~ 신나라의 군인으로, 자는 군공(君公)이며 경조윤 장안현(長安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준 (군공) · 더보기 »

왕찬

왕찬(王粲, 177년 ~ 217년 음력 1월 24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문장가로, 자는 중선(仲宣)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찬 · 더보기 »

왕유

왕유 《만소당죽장화전》에서 왕유(왕웨이, 王維, 699년 ~ 759년)는 중국 성당(盛唐)의 시인·화가로서 자는 마힐(摩詰)이.

새로운!!: 장안와 왕유 · 더보기 »

왕윤

왕윤 왕윤(王允, 137년 ~ 192년 7월 4일(음력 6월 7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사(子師)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기현(祁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윤 · 더보기 »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신라 성덕왕 때, 승려 혜초가 인도 5국(五國) 부근의 여러 나라를 순례하고 그 행적을 적은 여행기이.

새로운!!: 장안와 왕오천축국전 · 더보기 »

왕온서

왕온서(王溫舒, ? ~ 기원전 104년)는 전한 중기의 관료로, 좌풍익 양릉현(陽陵縣) 사람이.

새로운!!: 장안와 왕온서 · 더보기 »

왕세충

왕세충(王世充, Wang Shichong, ? ~ 621년)은 수나라 말기부터 당나라 초기에 걸쳐 활약했던 군웅이자 수나라 최후의 황제인 양동(楊侗. 수 애제)을 섬겼던 수나라의 장수 중 한 사람으로, 후에 정나라의 황제를 자칭하여 짧은 기간 동안 하남 일대를 지배하였.

새로운!!: 장안와 왕세충 · 더보기 »

NHK 특집 실크로드

NHK 특집 실크로드()는 1980년대에 일본방송협회(NHK)에서 제작·방영한 다큐멘터리이.

새로운!!: 장안와 NHK 특집 실크로드 · 더보기 »

190년 중국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안와 190년 중국 · 더보기 »

3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안와 316년 · 더보기 »

5세기

5세기는 401년부터 500년까지이.

새로운!!: 장안와 5세기 · 더보기 »

8세기

8세기는 701년부터 800년까지이.

새로운!!: 장안와 8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다싱, 중징, 징자오, 창안, 시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