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장영실

색인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64 처지: 느티나무 (KBS), 맹사성, 물시계, 강하늘, 경복궁,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관노,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 기아 크레도스, 길용우, 김담,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왕 세종, 나는 왕이로소이다, 노비, 자동기계, 자격루, 장 (성씨), 장영실 (드라마), 임혁주, 임형준, 퐁당퐁당 Love,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병욱 (배우), 이천 (1376년), 이천희, 이순지, 인쇄, 일성정시의, 정분, 조선 세종,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조선의 활자, 진수일, 초롱이의 옛날여행, 유한 상태 기계, 타임캡슐 목록, 오원균, 옥루, 혼천의, 최무선, 최해산, 어린이 모험극 스파크,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예가 중계의 에피소드 목록, 사람 이름을 딴 소행성 목록, 송일국, ..., 해피선데이,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사 전, 안신우, 아스트롤라베, 아산 장씨, 앙부일구, 신암행어사, 시계, 황희, 1434년, 1441년, 68719 장영실.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 더) »

느티나무 (KBS)

《느티나무》는 2008년 11월 18일부터 2010년 5월 7일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장영실와 느티나무 (KBS) · 더보기 »

맹사성

맹사성(孟思誠, 1360년 8월 28일/음력 7월 17일 ~ 1438년 10월 22일/음력 10월 4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장영실와 맹사성 · 더보기 »

물시계

의 물시계 물시계 또는 누각(漏刻) 또는 누수기(漏水器)는 물이 그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용기로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여 그 양을 측정하여 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계이.

새로운!!: 장영실와 물시계 · 더보기 »

강하늘

강하늘(1990년 2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강하늘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장영실와 경복궁 · 더보기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은 대한민국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역사상 위대한 과학기술인을 헌액한 명예의 전당이.

새로운!!: 장영실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 더보기 »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는 과학선현 장영실선생의 과학사적 업적을 선장하고 과학사상과 전통기술을 계승 발전시켜, 과학기술문화의 진흥에 기여하며 전국민의 1인 1기 생활화를 통해 국민생화 과학화에 일조함으로써 과학입국의 실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0년 3월 24일 설립허가된 사단법인이.

새로운!!: 장영실와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 더보기 »

관노

(官奴)는 관아(官衙) 소유의 노비이.

새로운!!: 장영실와 관노 · 더보기 »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는 매주 일요일 밤 8시에 KBS 1TV로 방송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장영실와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 · 더보기 »

기아 크레도스

아 크레도스(Kia Credos)는 기아자동차의 중형 승용차로, 콩코드의 후속 차종이자 세피아, 스포티지에 이은 기아자동차의 3번째 고유 모델이.

새로운!!: 장영실와 기아 크레도스 · 더보기 »

길용우

용우(吉用祐, 1955년 12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교수이.

새로운!!: 장영실와 길용우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장영실와 김담 · 더보기 »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1983년 7월 8일부터 12월 12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장영실와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장영실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장영실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장영실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의 영화이.

새로운!!: 장영실와 나는 왕이로소이다 · 더보기 »

노비

비(奴婢)는 한국의 과거 신분제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어 있던 천민 사회 계급을 가리.

새로운!!: 장영실와 노비 · 더보기 »

자동기계

스위스 기계 박물관에 있는 자동 인형 자동기계 (自動機械) 또는 오토머튼(복수형은)은 스스로 작동하는 기계이.

새로운!!: 장영실와 자동기계 · 더보기 »

자격루

자격루(自擊漏)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

새로운!!: 장영실와 자격루 · 더보기 »

장 (성씨)

장(張, 章, 莊, 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장영실와 장 (성씨) · 더보기 »

장영실 (드라마)

《장영실》은 KBS 1TV에서 2016년 1월 2일부터 2016년 3월 26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장영실와 장영실 (드라마) · 더보기 »

임혁주

임혁주(1955년 6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임혁주 · 더보기 »

임형준

임형준(林炯俊, 1974년 5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임형준 · 더보기 »

퐁당퐁당 Love

《퐁당퐁당 Love》는 2015년 12월 1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창사 54주년 특집 드라마이.

새로운!!: 장영실와 퐁당퐁당 Love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장영실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병욱 (배우)

이병욱(李秉旭, 1974년 9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이병욱 (배우) · 더보기 »

이천 (1376년)

이천(李蕆, 1376년 ~ 1451년 11월 30일(음력 11월 8일))은 조선 세종 대에 활약한 무관(武官)이자 행정가, 과학자(科學者)이.

새로운!!: 장영실와 이천 (1376년) · 더보기 »

이천희

이천희(李天熙, 1979년 2월 1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이천희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장영실와 이순지 · 더보기 »

인쇄

인쇄(印刷)는 글과 그림을 찍어내는 과정이며, 대개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잉크를 사용해서 종이에 찍는 것을 이야.

새로운!!: 장영실와 인쇄 · 더보기 »

일성정시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1437년 5월 19일(조선 세종 19년 음력 4월 15일)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세종이 이천, 정인지, 정초에게 명하여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고안하여 낮과 밤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게 하여 장영실 등이 만든 주야간 시계이.

새로운!!: 장영실와 일성정시의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장영실와 정분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장영실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국의 전통 과학 기술은 조선 초에 이르러 한 단계 발전.

새로운!!: 장영실와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 더보기 »

조선의 활자

이 문서는 조선시대의 활자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장영실와 조선의 활자 · 더보기 »

진수일

수일(陳秀一, 1943년 6월 5일 ~ 2009년 9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및 의학박사이자 평론가 겸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

새로운!!: 장영실와 진수일 · 더보기 »

초롱이의 옛날여행

《초롱이의 옛날여행》은 한국의 역사적 위인들을 소재로 한 교육용 만화영화를 말. 한국방송공사와 애니메이션 전문제작업체인 세영애니텔이 공동으로 제작하였.

새로운!!: 장영실와 초롱이의 옛날여행 · 더보기 »

유한 상태 기계

유한 상태 기계(finite-state machine, FSM) 또는 유한 오토마톤(finite automaton, FA; 복수형: 유한 오토마타 finite automata)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전자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데에 쓰이는 수학적 모델이.

새로운!!: 장영실와 유한 상태 기계 · 더보기 »

타임캡슐 목록

음은 타임캡슐의 목록이.

새로운!!: 장영실와 타임캡슐 목록 · 더보기 »

오원균

오원균(吳元均, 1946년 12월 20일 ~ 2015년 10월 16일)은 대한민국의 대전 지방 중등교원과 서대전고등학교 교장을 거쳐 대전 우송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이후 대전실업전문대학 전임강사와 배재대학교 겸임교수와 우송대학교 교수를 지낸 대학 교수 겸 저술가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장영실와 오원균 · 더보기 »

옥루

옥루(玉漏)는 조선시대의 천상시계(天象時計)이며 자동물시계의 하나이.

새로운!!: 장영실와 옥루 · 더보기 »

혼천의

1585년 카셀에서 요스트 뷔르기(Jost Bürgi), 안토니우스 아이젠호이트(Antonius Eisenhoit)가 제작한 혼천의와 천문시계. 현재는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북유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혼천의(渾天儀)는 천체 관측 기구로 천구의(天球儀), 혼의(渾儀),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장영실와 혼천의 · 더보기 »

최무선

무선(崔茂宣, 고려 충숙왕 12년(1325년) ~ 조선 태조 4년(1395년) 4월 19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장영실와 최무선 · 더보기 »

최해산

산(崔海山, 1380년 ~ 1443년)은 조선시대의 무신이.

새로운!!: 장영실와 최해산 · 더보기 »

어린이 모험극 스파크

《어린이 모험극 스파크》는 2009년 2월 23일부터 2009년 6월 2일까지 EBS에서 방송한 퓨전 사극이.

새로운!!: 장영실와 어린이 모험극 스파크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장영실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예가 중계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2TV의 한주간 연예가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하는 모든 것의 연예계 정보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연예가중계》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장영실와 연예가 중계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사람 이름을 딴 소행성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영실와 사람 이름을 딴 소행성 목록 · 더보기 »

송일국

송일국(宋一國, 1971년 10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송일국 · 더보기 »

해피선데이

선데이는 2004년 11월 7일부터 KBS 2TV에서 방송중인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이.

새로운!!: 장영실와 해피선데이 · 더보기 »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영실와 한국과 관련 있는 소행성 목록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장영실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장영실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안신우

안신우(본명: 안성민, 1969년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장영실와 안신우 · 더보기 »

아스트롤라베

18세기경 페르시아의 아스트롤라베 아스트롤라베(Astrolabe)는 고대에서부터 만들어져 발전되어온 정교한 천문 도구로서, 태양, 달, 행성, 별의 위치를 예측하는 기능을 하였.

새로운!!: 장영실와 아스트롤라베 · 더보기 »

아산 장씨

아산 장씨(牙山 蔣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장영실와 아산 장씨 · 더보기 »

앙부일구

앙부일구(仰釜日晷)는 1434년 조선 세종대왕 16년 이후로 제작·사용된 해시계로, 과학·역사·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4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장영실와 앙부일구 · 더보기 »

신암행어사

신암행어사는 윤인완이 쓰고 양경일이 그린 만화로, 일본에서 연재되었고 한국으로는 정식 수입되었.

새로운!!: 장영실와 신암행어사 · 더보기 »

시계

주로 스위스 연방 철도에서 쓰이는 시계 시계(時計)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시간을 재는 기계나 장치이.

새로운!!: 장영실와 시계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장영실와 황희 · 더보기 »

14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영실와 1434년 · 더보기 »

14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장영실와 1441년 · 더보기 »

68719 장영실

68719 장영실(68719 Jangyeongsil, 2002 DW)은 한국 천문학자인 전영범이 2002년 2월 16일, 보현산천문대에서 발견한 소행성이.

새로운!!: 장영실와 68719 장영실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