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전파천문학

색인 전파천문학

초대형 전파 망원경 배열, 미국, 뉴멕시코 주 전파천문학(電波天文學, radio astronomy)은 전파 주파수대에서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하위분야이.

20 처지: 마이크로파, 마틴 라일, 목성, 베텔게우스, 그로트 레버, 블레이자, 낸시 로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일반상대론 개론, 은하천문학, 전파, 존 해즈브룩 밴블렉, 천문학사, 휴이시, 파라볼라 안테나,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전파 천문대, 성간매질, 앤서니 휴이시, 안드로메다 은하, PSR B1919+21.

마이크로파

마이크로파(micro波)는 라디오파와 적외선 사이의 파장과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파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마이크로파 · 더보기 »

마틴 라일

마틴 라일 경(Sir Martin Ryle, 1918년 9월 27일~1984년 10월 14일)은 영국의 전파천문학자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마틴 라일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목성 · 더보기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 또는 베텔기우스()(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하여 오리온자리 알파, α Ori)는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으면서 오리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베텔게우스 · 더보기 »

그로트 레버

버(Grote Reber, 1911년 12월 22일 ~ 2002년 12월 20일)는 전파천문학 선구자로, 아마추어 무선과 아마추어 천문학에 대한 각각의 관심을 결합시킴으로써 선구자적 역할을 해내었.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그로트 레버 · 더보기 »

블레이자

블레이자()는 활동적이고 거대한 타원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질량 블랙홀과 연관된 매우 작은 퀘이사.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블레이자 · 더보기 »

낸시 로먼

시 로먼(1925년 5월 16일 ~)은 미국의 천문학자이며 나사에서 여성으로서 최초로 임원이었.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낸시 로먼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음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일반상대론 개론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07년에서 1915년 사이에 고안한 중력에 대한 이론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일반상대론 개론 · 더보기 »

은하천문학

은하천문학(銀河天文學, galactic astronomy)은 우리 은하 및 우리 은하에 속한 천체들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은하천문학 · 더보기 »

전파

섬네일 전파(電波)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진동수 3KHz부터 3THz까지의 전자기파를 의미.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전파 · 더보기 »

존 해즈브룩 밴블렉

존 해즈브룩 밴블렉 존 해즈브룩 밴블렉(John Hasbrouck Van Vleck, 1899년 3월 13일 - 1980년 10월 27일)은 자기력을 갖는 고체에서의 전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로 197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존 해즈브룩 밴블렉 · 더보기 »

천문학사

문학(天文學)은 자연 과학으로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상고 시대부터 인류 문명과 함께 발달해 왔. 천문학의 기원은 선사시대의 종교적 신화적, 점성술적인 행사에 기원.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천문학사 · 더보기 »

휴이시

휴이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휴이시 · 더보기 »

파라볼라 안테나

독일 바이에른 주 라이스팅에 있는 위성 통신을 위한 파라볼라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는 포물선 반사를 이용한 안테나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파라볼라 안테나 · 더보기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전파 천문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전파 천문대(Ohio State University Radio Observatory)는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의 SETI 프로젝트에 따라 건설된 전파 천문대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전파 천문대 · 더보기 »

성간매질

성간매질(星間媒質,, ISM) 또는 성간물질(星間物質)은 은하 내의 항성 사이나 항성 바로 근처에 존재하는 물질이나 에너지를.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성간매질 · 더보기 »

앤서니 휴이시

앤터니 휴이시 (Anthony Hewish, 1924년 5월 11일 -) 은 1974년에 구경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펄서를 발견한 공로로 마틴 라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전파 천문학자이.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앤서니 휴이시 · 더보기 »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_는 지구로부터 약 780 킬로파섹(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이다. 이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major galaxy)이며, 메시에 31(M31) 또는 NGC 224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옛 문헌에서는 종종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Andromeda大星雲)으로 표현되었다. 은하의 명칭은 은하가 보이는 별자리, 즉 안드로메다자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여기서 안드로메다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안드로메다 공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별자리이다. 폭이 대략 22만 광년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 및 삼각형자리 은하와 대략 44개의 작은 은하들을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초기의 탐사들은 우리은하가 더 많은 암흑물질을 포함하며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클 것이라고 시사하였지만, 2006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관측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2,000~4,000억 개의 별들을 포함할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은하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의 질량이 8.5 × 1011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은 1.5 × 101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2006년의 연구가 우리은하의 질량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의 ~80%임을 제시하였지만, 2009년의 연구에서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이 거의 같음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37억 5천만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 서로 병합하여 거대타원은하 또는 거대 원반은하를 형성할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겉보기 등급은 3.4등급으로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밝다. 때문에 광공해가 적은 지역에서 달이 없는 밤에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큰 망원경을 통해 촬영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시직경)이 보름달보다 여섯배나 크기 때문에 표면밝기 문제로 인해 오로지 밝은 중심 영역만이 맨눈이나 쌍안경,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보인다. 그래서 은하는 실제로 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보인다.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안드로메다 은하 · 더보기 »

PSR B1919+21

PSR B1919+21은 1.3373 초의 주기를 갖는 펄서로, 1967년 11월 28일 조셀린 벨 버넬과 앤서니 휴이시가 발견하였.

새로운!!: 전파천문학와 PSR B1919+21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전파 천문학.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