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광수

색인 정광수

정광수(丁珖秀, 1909년 ∼ 2003년 11월 2일 한겨레, 2003년 11월 3일자.)는 판소리 명창이.

6 처지: 나주 정씨 (丁), 정학진, 조연현문학상, 창극, 춘향가, 판소리.

나주 정씨 (丁)

주 정씨(羅州 丁氏)는 전라남도 나주시 및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광수와 나주 정씨 (丁) · 더보기 »

정학진

정학진(丁學珍, 1863년 ~ 1912년)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정광수와 정학진 · 더보기 »

조연현문학상

조연훈문학상은 시인 조연현의 문학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2년 한국문인협회가 제정한 문학상이.

새로운!!: 정광수와 조연현문학상 · 더보기 »

창극

창극(唱劇)은 여러 가객(歌客)들이 무대에서 연기를 하며 판소리 조로 연행하는 한국 극의 한 분야이.

새로운!!: 정광수와 창극 · 더보기 »

춘향가

《춘향가》(春香歌)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로서 춘향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 작자미상으로서 조선시대 동리 신재효가 원래의 춘향가를 수정한 것이 지금에 이른.

새로운!!: 정광수와 춘향가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정광수와 판소리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