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몽주

색인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199 처지: 동방 18현, 동학사, 만경대 암각서, 마전군, 모현읍, 문묘, 문익점, 문충공, 문하시중, 백 (성씨), 백이정, 개국 (드라마), 개성관광, 개성역사유적지구, 반고서원 유허비, 간제온지, 박준혁 (배우), 박지원 (1737년), 강서 (1347년), 경상도선생안, 범세동, 고려, 고려 공양왕, 고려 우왕, 고려 창왕, 고려의 문화, 고려사, 고려실록, 고여, 변계량, 변중량, 변안렬, 광산 탁씨, 봉산사, 권근, 권우 (1363년), 길재, 비봉루, 김륵, 김굉필, 김득배, 김장생, 김인후, 김일손, 김의성, 김전, 김종직, 김집 (1574년), 김진양, 김충한, ..., 김사형, 김안로, 대지산 (경기), 대풍수,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국제 태권도 연맹, 두문동칠십이인, 둔촌잡영, 남곤, 남재, 남포 백씨, 남은, 단령, 단심가, 용인 충렬서원, 용의 눈물, 우홍수, 우왕 복위 사건, 장지화, 장하, 작괘천, 임고면, 임호 (배우), 포은대로,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란 (여말선초), 이맥, 이마가와 사다요, 이반계, 이부 (조선), 이극돈, 이장경, 이재인 (조선), 이이, 이인복 (1308년), 이제현, 이준경, 이지란, 이색, 이숭인, 이언적, 이심원, 이원 (여말선초), 음력 12월 22일, 음력 4월 4일, 의안대군 (1348년), 익양군, 절명시, 절의파, 전기 왜구, 정 (성씨), 정도복 (고려), 정도전, 정도전 (드라마), 정몽주, 정몽주 초상화, 정몽주로, 정몽주선생묘, 정보 (조선), 정광필, 정승현 (성우), 정습명, 정평천, 정이오, 정인지, 정진 (1361년), 정철, 정철수, 정여창 (1450년), 정후겸, 정환덕, 조민수, 조박, 조광조, 조영무, 조영규 (고려), 조선,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의 유학자, 조선의 역사, 조선의 성리학, 주영편, 죽전동 (용인시), 진극원, 지용기, 지정조격, 지윤, 추동궁 마마, 유교, 육룡이 나르샤, 윤지임, 윤소종, 위화도 회군, 탁광무, 숭양서원, 영성대군, 영원 오씨, 오사충, 옥종면,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최영, 연일 정씨, 염흥방, 염정수, 풍덕천동, 사림파, 삼은, 삼청공원, 선비, 선죽교, 설장수, 성리학, 서경덕, 서울 문묘, 서침, 서원 철폐, 송재호, 한명회, 한방신,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역사,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안방준 (1573년), 안경공 (여말선초), 하륜, 하윤원, 하여가, 하연 (1376년), 신덕린, 신덕왕후, 신돈, 신포시 (1361년), 신수근, 신숙주, 심덕부, 원덕현, 원경왕후, 황희, 황희석, 완풍대군, 1337년, 1392년, 1월 13일, 4월 2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9 더) »

동방 18현

동방 18현(東方 十八賢) 또는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은 문묘에 종사된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

새로운!!: 정몽주와 동방 18현 · 더보기 »

동학사

동학사동학사(東鶴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정몽주와 동학사 · 더보기 »

만경대 암각서

만경대 암각서(萬景臺 巖刻書)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1길 33-31에 있는 만경대 남쪽 바위에 새겨진 글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만경대 암각서 · 더보기 »

마전군

마전군(麻田郡)은 지금의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를 중심으로 연천군의 미산면과 왕징면, 백학면에 있었던 경기도의 옛 군이.

새로운!!: 정몽주와 마전군 · 더보기 »

모현읍

모현읍(慕賢邑)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의 가장 북쪽에 있는 읍이.

새로운!!: 정몽주와 모현읍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정몽주와 문묘 · 더보기 »

문익점

문익점(文益漸, 1331-1400)은 고려 말의 학자, 문신, 외교관이.

새로운!!: 정몽주와 문익점 · 더보기 »

문충공

문충공(文忠公)은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정몽주와 문충공 · 더보기 »

문하시중

문하시중(門下侍中)은 고려시대의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품계는 종1품이.

새로운!!: 정몽주와 문하시중 · 더보기 »

백 (성씨)

백(白)씨는 한국의 성씨, 중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백 (성씨) · 더보기 »

백이정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백이정 · 더보기 »

개국 (드라마)

국은 1983년 1월 2일에서 1983년 12월 18일까지 방송한 KBS1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몽주와 개국 (드라마) · 더보기 »

개성관광

07년 12월 5일 시작된 개성관광은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출발하여 군사분계선을 지나 북측에 도착한 후, 고려 오백년 도읍인 개성의 문화유적을 둘러보는 것으로, 현대아산이 북측과 함께 진행.

새로운!!: 정몽주와 개성관광 · 더보기 »

개성역사유적지구

성 역사유적 지구(開城歷史遺蹟地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개성 일대에 집중된 고려 시대 유적이.

새로운!!: 정몽주와 개성역사유적지구 · 더보기 »

반고서원 유허비

반고서원 유허비(槃皐書院遺墟碑)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새로운!!: 정몽주와 반고서원 유허비 · 더보기 »

간제온지

제온지(観世音寺)는, 일본 후쿠오카현(福岡県) 다자이후 시(太宰府市) 간제온지 5초메(丁目)에 있는 천태종(天台宗) 사찰이.

새로운!!: 정몽주와 간제온지 · 더보기 »

박준혁 (배우)

박준혁(1975년 1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몽주와 박준혁 (배우)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서 (1347년)

강서(姜筮, 1347년 ~ 1424년 음력 10월 19일)은 여말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강서 (1347년) · 더보기 »

경상도선생안

경상도선생안(慶尙道先生案) 고려 문종 때부터 조선을 거쳐 대한제국 시대에 이르기 까지 경상도 도백(道伯)을 지낸 이들의 명단을 수록한 『증보 경상도선생안』이.

새로운!!: 정몽주와 경상도선생안 · 더보기 »

범세동

범세동(范世東, ? ~ 1397?)은 고려 말기의 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범세동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공양왕

공양왕(恭讓王, 1345년 3월 9일 (음력 2월 5일) ~ 1394년 5월 17일 (음력 4월 17일), 재위: 1389년 ~ 1392년)은 고려의 제34대 국왕이자 마지막 임금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 공양왕 · 더보기 »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 우왕 · 더보기 »

고려 창왕

창왕(昌王, 1380년 9월 6일 (음력 8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3대 국왕(재위: 1388년 ~ 1389년)이다.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 창왕 · 더보기 »

고려의 문화

의 문화는 신라 말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전기에 꽃피운 호족 문화, 무신 정권기의 은거한 선비들의 시가 문화, 후기의 성리학적 문화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문화로 구성되어 있. 한편 고려 전반에 걸쳐 귀족 문화의 성격을 띠었.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의 문화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사 · 더보기 »

고려실록

《고려실록》(高麗實錄)은 《고려왕조실록》(高麗王朝實錄)을 지칭하는 것으로 고려왕조에서 편찬한 실록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려실록 · 더보기 »

고여

(髙呂, ? ∼ 1402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고여 · 더보기 »

변계량

변계량(卞季良, 1369년~1430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변계량 · 더보기 »

변중량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변중량 · 더보기 »

변안렬

변안렬(邉安烈, 1334년 4월 ~ 1390년 2월 1일(음력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인(詩人)이.

새로운!!: 정몽주와 변안렬 · 더보기 »

광산 탁씨

광산 탁씨(光山 卓氏)는 광주광역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광산 탁씨 · 더보기 »

봉산사

강이식 장군을 모신 봉산사 봉산사(鳳山祠)는 진주 강씨의 시조인 고구려 장군 강이식(姜以式)을 배향한 사당으로 경남 진주시 상봉동 885번지 대봉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정몽주와 봉산사 · 더보기 »

권근

(權近, 1352년~140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권근 · 더보기 »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새로운!!: 정몽주와 권우 (1363년) · 더보기 »

길재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길재 · 더보기 »

비봉루

비봉루(飛鳳樓)는 경상남도 진주시 상봉동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정몽주와 비봉루 · 더보기 »

김륵

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륵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굉필 · 더보기 »

김득배

득배(金得培, 충선왕 3년(1311년)~공민왕 11년 3월 1일(1362년 3월 27일))는, 고려 말기의 문신 · 무장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득배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의성

의성(1965년 12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의성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전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진양

양(金震陽)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진양 · 더보기 »

김충한

충한(金沖漢)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충한 · 더보기 »

김사형

사형(金士衡, 1341년 ~ 1407년)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사형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정몽주와 김안로 · 더보기 »

대지산 (경기)

산(大地山)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과 처인구 모현읍, 광주시 오포읍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정몽주와 대지산 (경기) · 더보기 »

대풍수

《대풍수》(大風水)는 2012년 10월 10일부터 2013년 2월 7일까지 SBS에서 방송된 대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정몽주와 대풍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정몽주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정몽주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국제 태권도 연맹

국제 태권도 연맹(國際跆拳道聯盟,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은 1966년 3월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인 최홍희가 주축이 되어 설립한 국제 태권도 단체이.

새로운!!: 정몽주와 국제 태권도 연맹 · 더보기 »

두문동칠십이인

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 또는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은 고려 멸망 직후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절개를 지켰다고 전하는 72인의 유신(遺臣)들을 가리.

새로운!!: 정몽주와 두문동칠십이인 · 더보기 »

둔촌잡영

《둔촌잡영》(遁村雜詠)은 조선 태종 10년(1410년)에 고려말 학자 둔촌 이집의 문집을 목판본 2권 1책으로 간행한 것이.

새로운!!: 정몽주와 둔촌잡영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남곤 · 더보기 »

남재

재(南在, 1351년 ~ 1419년)는 조선의 개국 공신으로, 자는 경지, 호는 귀정, 본관은 의령이.

새로운!!: 정몽주와 남재 · 더보기 »

남포 백씨

백씨(藍浦 白氏)는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남포 백씨 · 더보기 »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본관은 의령이고,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행촌 이암의 외손녀사위이기도 하다.

새로운!!: 정몽주와 남은 · 더보기 »

단령

흑단령을 입은 흥선대원군 초상 단령(團領)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관리들이 입던 중국식 관복의 하나이.

새로운!!: 정몽주와 단령 · 더보기 »

단심가

심가(丹心歌)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에 고려 말의 충신 정몽주(鄭夢周)가 지은 시조이.

새로운!!: 정몽주와 단심가 · 더보기 »

용인 충렬서원

충렬서원(忠烈書院)은 경기도 용인시 모현읍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정몽주와 용인 충렬서원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몽주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우홍수

우홍수(1355년~1392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지신사·대사헌·첨서밀직사사·동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1392년 정몽주 일파로 몰려 파면되었다가 조선 건국 후 귀양가서 장살되었.

새로운!!: 정몽주와 우홍수 · 더보기 »

우왕 복위 사건

우왕 복위 사건 또는 우왕 복위 미수 사건은 1389년 창왕과 김저, 정득후 등이 폐위된 우왕을 복위시키려다가 이성계, 정도전 등의 신진사대부에 의해 발각된 사건이.

새로운!!: 정몽주와 우왕 복위 사건 · 더보기 »

장지화

장지화(張至和, ?~1398년 8월 26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장지화 · 더보기 »

장하

장하(張夏, 생몰년 미상)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었.

새로운!!: 정몽주와 장하 · 더보기 »

작괘천

작괘천(酌掛川)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알프스리의 신불산 홍류폭포에서 발원하여 삼남면 신화리에서 삼동천으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으로, 작수천(酌樹川)으로 불리기도 하였.

새로운!!: 정몽주와 작괘천 · 더보기 »

임고면

임고면(臨皐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동북부에 위치한 면이.

새로운!!: 정몽주와 임고면 · 더보기 »

임호 (배우)

임호(1970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몽주와 임호 (배우) · 더보기 »

포은대로

은대로(Poeun-daero)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광교상현 나들목과 광주시 역동 역동사거리를 잇는 경기도의 도로이.

새로운!!: 정몽주와 포은대로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란 (여말선초)

이란(李蘭, 1357년 ~ 1428년 8월 5일)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자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이자 왕족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란 (여말선초) · 더보기 »

이맥

이맥(李陌, 1455년 ~ 1528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정부(井夫), 호는 일십당(一十堂)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맥 · 더보기 »

이마가와 사다요

이마가와 사다요(1326년~1420년?)는 일본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무로마치 시대에 걸쳐서 활약한 무장으로, 도토미·스루가의 슈고 다이묘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마가와 사다요 · 더보기 »

이반계

이반계(李攀桂, ? - 1392)는 이알평의 후손으로 고려시대 말기,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반계 · 더보기 »

이부 (조선)

이부(李敷, ? ~ 1422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부 (조선)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극돈 · 더보기 »

이장경

이장경(李長庚, ? ~ ?)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이백년, 이천년, 이만년, 이억년, 이조년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 이승경의 할아버지였.

새로운!!: 정몽주와 이장경 · 더보기 »

이재인 (조선)

이재인(李在仁,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재인 (조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이 · 더보기 »

이인복 (1308년)

이인복(李仁復, 1308년 ~ 1374년)은 고려 말기의 학자,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인복 (1308년) · 더보기 »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제현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지란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지란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색 · 더보기 »

이숭인

이숭인(李崇仁, 1347년~1392년 9월 10일(음력 8월 23일))은 고려 말의 시인, 대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숭인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심원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심원 · 더보기 »

이원 (여말선초)

이원(李原, 1368년 ~ 1429년)은 고려 말과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이원 (여말선초) · 더보기 »

음력 12월 22일

음력 12월 22일은 음력 12월의 22번째 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음력 12월 22일 · 더보기 »

음력 4월 4일

음력 4월 4일은 음력 4월의 4번째 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음력 4월 4일 · 더보기 »

의안대군 (1348년)

의안대군 이화(義安大君 李和, 1348년 ~ 1408년 10월 6일)는 고려 말의 선비이며 조선 초의 왕족, 무신,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의안대군 (1348년) · 더보기 »

익양군

익양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몽주와 익양군 · 더보기 »

절명시

배의 책임을 져, 할복을 실시하려는 무사(아카시 기다유우). 절명시의 구를 쓰고 있다. 츠키오카 요시토시에 의한 획 쿠로키 히로시의 절명시의 구 절명시(絶命詩), 또는 사세구(辭世句)는 사람이 세상을 떠날 때(곧 죽으려고 할 때 등)에 읊는 한시, 가타스, 단가, 하이쿠 또는 그에 비슷한 단형시의 종류이.

새로운!!: 정몽주와 절명시 · 더보기 »

절의파

절의파(節義派)는 조선 전기 유학계(儒學界)의 4대학파 중 하나이.

새로운!!: 정몽주와 절의파 · 더보기 »

전기 왜구

전기 왜구(前期倭寇)는 14세기의 왜. 시대사적으로는 일본 남북조 시대-무로마치 시대, 한반도 여말선초에 해당.

새로운!!: 정몽주와 전기 왜구 · 더보기 »

정 (성씨)

정(鄭, 丁, 程, 井)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 (성씨) · 더보기 »

정도복 (고려)

정도복(鄭道復)은 고려시대 말기, 조선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도복 (고려)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몽주 · 더보기 »

정몽주 초상화

정몽주 초상화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충렬서원에 있던 고려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몽주 초상화 · 더보기 »

정몽주로

정몽주로(Jeongmongju-ro)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강평리에서 청림동을 거쳐 청림삼거리까지 연결하는 도로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몽주로 · 더보기 »

정몽주선생묘

정몽주선생묘(鄭夢周先生墓)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고려시대 정몽주 선생의 묘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몽주선생묘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광필

정광필(鄭光弼, 1462년 ~ 15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광필 · 더보기 »

정승현 (성우)

정승현(鄭昇鉉, 1940년 2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승현 (성우) · 더보기 »

정습명

정습명(鄭襲明, 1094년? ~ 1151년 3월 21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 시인, 작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습명 · 더보기 »

정평천

정평천(亭坪川)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광교산에서 발원하여 성복천으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평천 · 더보기 »

정이오

정이오(鄭以吾, 1347년 ~ 1434년)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이오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진 (1361년)

정진(鄭津, 1361년 ~ 1427년)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으로 시호는 희절공(僖節公)이며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아들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진 (1361년)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철 · 더보기 »

정철수

정철수(1923년 12월 22일 ~ 1989년 2월 17일)는 경기도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극작가, 민족교육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철수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후겸 · 더보기 »

정환덕

정환덕(鄭煥悳, 1857년 ~ 19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작가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작가으로 본관은 연일, 휘는 환덕(煥悳), 호는 퇴산(退山)이.

새로운!!: 정몽주와 정환덕 · 더보기 »

조민수

조민수(曺敏修, ? ~ 1391년 1월 27일(음력 1390년 12월 22일))는 고려 말의 무신, 군인, 정치가로,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민수 · 더보기 »

조박

조박(趙璞, 1356년 ~ 1408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박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영규 (고려)

조영규(趙英珪, ? ~ 1395년 1월 9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영규 (고려)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朝鮮前期-文學)은 조선시대 초기의 아악의 정비와 훈민정음 창제의 영향으로 악장, 시조, 가사 문학이 발달하였.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의 유학자

조선의 정치 이념은 성리학이었.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의 유학자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성리학

이 문서는 조선의 성리학에 대한 문서입.

새로운!!: 정몽주와 조선의 성리학 · 더보기 »

주영편

주영편(晝永編)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유(1744년 4월 2일(음력 2월 20일)~ 1808년 2월 16일(음력 1월 20일))가 저술한 필기(筆記), 차기(箚記)이.

새로운!!: 정몽주와 주영편 · 더보기 »

죽전동 (용인시)

죽전동(竹田洞)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법정동이.

새로운!!: 정몽주와 죽전동 (용인시) · 더보기 »

진극원

극원(陳克元, 1534년 음력 6월 10일 ~ 1595년 음력 8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진극원 · 더보기 »

지용기

용기(池湧奇, 1330년 ~ 1392년 4월)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지용기 · 더보기 »

지정조격

정조격(至正條格)은 원나라의 법전으로 원나라 순제 지정(至正) 6년, 고려 충목왕 2년인 1346년에 완성.

새로운!!: 정몽주와 지정조격 · 더보기 »

지윤

윤(池奫, ? ∼ 1377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 정치인, 재상이.

새로운!!: 정몽주와 지윤 · 더보기 »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83년 3월 31일부터 1983년 7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정몽주와 추동궁 마마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몽주와 유교 · 더보기 »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SBS에서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3월 22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몽주와 육룡이 나르샤 · 더보기 »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새로운!!: 정몽주와 윤지임 · 더보기 »

윤소종

윤소종(尹紹宗, 1345년 ~ 1393년)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文臣), 시인(詩人), 무신(武臣), 정치가(政治家)이.

새로운!!: 정몽주와 윤소종 · 더보기 »

위화도 회군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은 고려 말기 1388년(우왕 14) 음력 5월, 요동 정벌차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위화도까지 이른 우군 도통사(右軍 都統使) 이성계가 개경(開京)으로 회군(回軍)한 사건이.

새로운!!: 정몽주와 위화도 회군 · 더보기 »

탁광무

탁광무(卓光茂)는 고려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정몽주와 탁광무 · 더보기 »

숭양서원

숭양서원(崧陽書院)은 개성시 선죽동 자남산 소재한 조선시대의 지방 사설 교육기관이.

새로운!!: 정몽주와 숭양서원 · 더보기 »

영성대군

영성대군(永城大君, 1333년 ~ 1392년)은 고려 말기의 무신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

새로운!!: 정몽주와 영성대군 · 더보기 »

영원 오씨

녕원 오씨(寧遠 吳氏)는 평안남도 녕원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영원 오씨 · 더보기 »

오사충

오사충(吳思忠, 1327년~1406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오사충 · 더보기 »

옥종면

옥종면(玉宗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새로운!!: 정몽주와 옥종면 · 더보기 »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玉川府院君 趙元吉 墓 및 墓表)는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에 있는, 고려 말의 문신 조원길(趙元吉)의 묘와 묘표이.

새로운!!: 정몽주와 옥천부원군 조원길 묘 및 묘표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정몽주와 최영 · 더보기 »

연일 정씨

연일 정씨(延日 鄭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몽주와 연일 정씨 · 더보기 »

염흥방

염흥방(廉興邦, ? ~ 1388년)은 고려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주(坡州), 자는 중창(仲昌), 호는 동정(東亭)이.

새로운!!: 정몽주와 염흥방 · 더보기 »

염정수

염정수(廉廷秀, ? ~ 1388년)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염정수 · 더보기 »

풍덕천동

풍덕천동(豊德川洞)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동이.

새로운!!: 정몽주와 풍덕천동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정몽주와 사림파 · 더보기 »

삼은

여말삼은(麗末三隱) 또는 고려삼은(高麗三隱)은 고려의 세 충신을 말하며, 흔히 삼은이라 부른.

새로운!!: 정몽주와 삼은 · 더보기 »

삼청공원

삼청 공원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공원으로 고려 충신 정몽주와 그 어머니의 시조비가 있으며, 공원 복판에 약수터가 있. 삼청동 계곡 일대가 공원이 되어야 한다는 논쟁이 1929년부터 시작되어 1934년 3월에 조선총독부로부터 경성부가 삼청동 안 임야 5만평을 빌려 공원의 면모를 갖추었.

새로운!!: 정몽주와 삼청공원 · 더보기 »

선비

right 선비는 조선 사회에서 학문을 닦는 사람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몽주와 선비 · 더보기 »

선죽교

선죽교(善竹橋)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에 있는 돌다리이.

새로운!!: 정몽주와 선죽교 · 더보기 »

설장수

설장수(偰長壽, 1341년∼1399년 11월 5일(음력 10월 19일))은, 여말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설장수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정몽주와 성리학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정몽주와 서경덕 · 더보기 »

서울 문묘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문묘 대성전에는 공자(公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대 성인(四大 聖人)인 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공문 10철(孔門 十哲) 및 송조 6현(宋朝 六賢)과 우리나라 18현인(東方 十八賢)의 위패를 종사하고 있다. 문묘와 함께 있는 성균관(成均館)은 조선시대에 인재 양성을 위해 현 위치에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國子監)·국학(國學)·태학(太學)·반궁(泮宮) 등으로도 불렸다. 성균관은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서재(西齋)로 구성되었다. 성균관·문묘는 태조 7년(1398)에 창건되었으나 정종 2년(1400)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그 후 태종(1407)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거의 대부분 소실되고 말았다. 전쟁이 끝난 후 성균관의 유생들이 전국적으로 자금을 모아 선조 34∼35년(1601∼1602)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36∼37년(1603∼1604)에 동무·서무·신문·중문을, 39년(1606)에는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중건 확충하였다. 인조 4년(1626)에는 정록청(正錄廳)·존경각(尊經閣)·양현고(養賢庫) 등을 재건하였으며, 고종6년(1869)의 한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균관·문묘를 구성하는 건물 중에서 보물로 지정된 건물은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삼문 등 모두 5동이다. 서울 문묘 일원은 성균관대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일곽을 이루며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숭교방(崇敎坊)이었던 곳이다. 원래 입구에 반교(伴橋)가 있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문묘 일원은 크게 남쪽의 대성전 일곽과 그 후편의 명륜당 일곽으로 나뉘었다. 대성전 일곽에는 공간제향(祭享)을 이루는 문묘시설의 건물군이 있고, 명륜당 일곽에는 시설교학(敎學)의 건물군들이 배치되어 있다. 문묘 일원에는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三門) 등 5동 건물을 제외하고, 서무 서북쪽으로 제기고와 제학당, 전사청과 숙수청이 각각 일곽을 형성하고 있고, 명륜당 남쪽 앞 마당 좌·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東齋)·서재(西齋), 동재 동편에 있는 진사식당, 그 북쪽의 창고, 명륜당 북동쪽으로 존경각(尊經閣)·육일각(六一閣)·정록청·서리청·향관청(享官廳) 등의 건물들이 있다. 명륜당의 서북쪽 담 밖으로는 비천당(丕闡堂)이 있으며, 그 뒤쪽에 계성사(啓聖祠)가 별도로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새로운!!: 정몽주와 서울 문묘 · 더보기 »

서침

서침(徐沉, ? ~ ?)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서침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정몽주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재호

송재호(송재언)(1937년 3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출연작으로는 《부모님 전상서》, 《내 남자의 여자》 등이 있.

새로운!!: 정몽주와 송재호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정몽주와 한명회 · 더보기 »

한방신

방신(韓方信, ? ~ 1376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한방신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정몽주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정몽주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韓國을 빛낸 百名의 偉人들)은 박인호(박문영)가 작사, 작곡하여 1991년에 최영준, 노사사(노래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노래로 발표한 노래이.

새로운!!: 정몽주와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몽주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안경공 (여말선초)

안경공(安景恭, 1347년 ~ 1421년 1월 10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안경공 (여말선초)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하륜 · 더보기 »

하윤원

윤원(河允源, 1322년 ~ 1376년)은 고려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양(晉陽).

새로운!!: 정몽주와 하윤원 · 더보기 »

하여가

여가(何如歌)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에 이방원(李芳遠)이 지은 시조이.

새로운!!: 정몽주와 하여가 · 더보기 »

하연 (1376년)

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하연 (1376년) · 더보기 »

신덕린

신덕린(申德隣, 1330년 ~ 1402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서예가·화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덕린 · 더보기 »

신덕왕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년 7월 12일(음력 6월 14일) ~ 1396년 9월 15일(음력 8월 1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계비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덕왕후 · 더보기 »

신돈

신돈(辛旽, 1322년 ~ 1371년 8월 21일 (음력 1371년 7월 11일))은 고려 말의 승려 출신 정치가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돈 · 더보기 »

신포시 (1361년)

신포시(申包翅, 1361년 ~ 1432년)는 여말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포시 (1361년)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수근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정몽주와 신숙주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심덕부 · 더보기 »

원덕현

원덕현(1996년 8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몽주와 원덕현 · 더보기 »

원경왕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

새로운!!: 정몽주와 원경왕후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정몽주와 황희 · 더보기 »

황희석

황희석(黃希碩, ? ~ 139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정몽주와 황희석 · 더보기 »

완풍대군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 호(號)는 불사재(不思齋)이.

새로운!!: 정몽주와 완풍대군 · 더보기 »

133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몽주와 1337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몽주와 1392년 · 더보기 »

1월 13일

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번째(윤년일 경우도 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몽주와 1월 13일 · 더보기 »

4월 26일

4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6번째(윤년일 경우 1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정몽주와 4월 2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문충공 정몽주, 익양부원군, 정몽룡, 정몽란, 정달가, 정포은, 수원군 정몽주, 포은, 포은 정몽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