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수론

색인 정수론

타원곡선 정수론(整數論) 또는 수론(數論)은 수학의 한 분야로, 각종 수의 성질을 대상으.

214 처지: Abc 추측, ENT,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데릭 헨리 레머, 동역학계, 라그랑주의 네 제곱수 정리, 레오폴트 크로네커, 로랑 라포르그, 로버트 랭글랜즈,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로서의 정리, 루이스 모델, 뤼카의 정리, 르장드르 기호, 리만 제타 함수, 리하르트 브라우어, 마랭 메르센, 마트베예프의 정리, 마사토시 귄뒤즈 이케다, 멜린 변환, 메르텐스 정리 (정수론), 모듈러 곡선, 모듈러 형식, 모듈러성 정리, 모츠킨 수, 모치즈키 신이치, 뫼비우스 반전 공식, 뫼비우스 함수, 미허일레스쿠 정리, 민코프스키 정리, 배수,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밀레니엄 문제, 가법성, 가공할 헛소리, 가토 가즈야, 베르누이 수, 베르트랑 공준, 베주 항등식, 베유 추측, 게오르크 칸토어, 버나드 드워크,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고트홀트 아이젠슈타인, 골롬-딕맨 상수, 골드바흐의 추측, 보형 형식, 과잉수, 복소해석학, ..., 괴물군 (수학), 부냐콥스키 추측, 근접 대수, 블럼 정수,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비슈바나트 상수, 대수기하학, 대수적 수, 대수적 수론, 대수학, 대역체, 국소 제타 함수, 군 (수학),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디리클레 지표, 디리클레 합성곱, 디오판토스, 디오판토스 방정식, 노먼 레빈슨, 다비트 힐베르트, 다니야마 유타카, 니븐 상수,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스큐스 수, 스킴 (수학), 스티븐 섀뉴얼, 울프 수학상, 힐렐 퓌르스텐베르크, 자연수, 자연수의 분할, 장피에르 세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페르마의 다각수 정리, 페르마의 소정리, 페르마상, 페리 수열,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페아노 공리계, 큐-포흐하머 기호, 크라메르 추측, 크리스티안 골드바흐, 클로드 슈발레, 이반 비노그라도프, 이븐 알하이삼, 이차 유수 상수, 이차 상호 법칙, 이차 형식, 이산수학, 인자 (대수기하학), 응오바오쩌우, 은 비율, 점근 밀도, 점근 표기법, 젬 이을드름, 제르맹 항등식,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제곱잉여,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절단 가능 소수, 정상 순서 (동음이의), 정수, 정수론,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존 호턴 콘웨이,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Φ, 지시 함수, 챔퍼나운 수, 천의 정리, 천징룬, 추상대수학, 카를 루트비히 지겔,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카를 안톤 브레치나이더, 카마이클 수, 콘의 기약성 기준, 쿠르트 헤그너, 쿠르트 헨젤, 쌍둥이 소수 추측, 유리 마닌, 유클리드 기하학, 유클리드의 정리, 유수, 유수 공식, 율리우스 페테르센, 윌슨의 정리, 팔팅스의 정리, 위상군, 샤를 에르미트,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타원곡선, 투에-모스 수열, 투에의 보조정리, 수론적 함수, 수학, 수학 걸, 수학 상수, 수학적 구조, 오희, 오일러 수, 오일러 피 함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양수 (수학), 에르되시 팔, 에르되시-스트라우스 추측, 에른스트 쿠머, 에드문트 란다우,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엠브리-트레페텐 상수, 헤르만 민코프스키, 헤르만 바일,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엔리코 봄비에리, 킨친 상수, 산술, 산술 도함수, 피에르 드 페르마, 프로트 수, 프로트의 정리, 프로이즈볼로프 항등식, 서로소 아이디얼, 서지 랭, 손자산경,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토션트 함수, 소 아이디얼, 소수 (수론), 소수 계량 함수, 소피 제르맹, 앨런 베이커, 앨런 튜링, 합동 (동음이의), 합동 산술, 해석적 수론, 해석학 (수학), 야코비 기호, 약수, 약수 함수,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알렉산드르 겔폰트, 하늘책의 증명, 하샤드 수,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폴로니오스의 문제, 아이디얼, 아이젠슈타인 정수, 악셀 투에, 앙드레 베유, 테오도어 슈나이더, 시카다 3301, 웨어링의 문제, 외젠 샤를 카탈랑, 환론, 화뤄겅, 완전수, 홀수와 짝수, K이론, L-함수의 특별한 값, P진수.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4 더) »

Abc 추측

수론에서, abc 추측()은 고차 거듭제곱을 인자로 갖는 두 수의 합은 보통 고차 거듭제곱 인자를 갖지 않는다는 추측이.

새로운!!: 정수론와 Abc 추측 · 더보기 »

ENT

EN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수론와 ENT · 더보기 »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

새로운!!: 정수론와 러시아 과학자의 목록 · 더보기 »

데릭 헨리 레머

릭 헨리 레머(Derrick Henry Dick Lehmer,1905년2월23일 - 1991년5월22일)는 1930년대 에두아르 뤼카(Édouard Lucas)의 작업을 세련되게 발전시키고 메르센 소수에 대한 뤼카-레머 소수판별법을 고안한 미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데릭 헨리 레머 · 더보기 »

동역학계

로렌즈 끌개(Lorenz attractor) 동역학계(動力學系, dynamical system)는 수학 또는 물리학의 한 분야로서 시간에 따른 움직임의 과정으로 정의.

새로운!!: 정수론와 동역학계 · 더보기 »

라그랑주의 네 제곱수 정리

랑주의 네 제곱수 정리(Lagrange's four-square theorem, -數 定理)는 정수론의 정리로, 디오판토스의 《산술(Αριθμητικα)》에서 처음으로 그 내용이 나타나고 프랑스의 클로드 가스파르 바셰가 1621년 이 책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유럽 수학계에 알려졌지만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증명은 없었.

새로운!!: 정수론와 라그랑주의 네 제곱수 정리 · 더보기 »

레오폴트 크로네커

오폴트 크로네커(1823년 12월 7일 ~ 1891년 12월 29일)는 독일의 수학자이며 논리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레오폴트 크로네커 · 더보기 »

로랑 라포르그

랑 라포르그(1966년 11월 6일 ~)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로랑 라포르그 · 더보기 »

로버트 랭글랜즈

버트 필런 랭글랜즈(1936–)은 캐나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로버트 랭글랜즈 · 더보기 »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버트 대니얼 카마이클(1879년 3월 1일 ~ 1967년 5월 2일)은 미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로버트 대니얼 카마이클 · 더보기 »

로서의 정리

서의 정리(Rosser's theorem, -定理)는 소수의 크기에 관한 수론의 정리로, 미국의 수리논리학자 존 바클리 로서(John Barkley Rosser)가 1938년 증명하였.

새로운!!: 정수론와 로서의 정리 · 더보기 »

루이스 모델

이스 조엘 모델(1888년 1월 28일 ~ 1972년 3월 12일)은 미국 태생의 영국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루이스 모델 · 더보기 »

뤼카의 정리

의 정리(Lucas' theorem, -定理)는 수론과 조합론에서 이용되는 정리로, 프랑스인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Édouard Lucas)의 이름이 붙어 있. 이 정리는 어떤 조합의 수를 소수 p에 대해 법 p 상에서 구할 때 간편한 계산 방식을 제공.

새로운!!: 정수론와 뤼카의 정리 · 더보기 »

르장드르 기호

수론에서, 르장드르 기호(Legendre symbol)는 어떤 수가 제곱잉여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르장드르 기호 · 더보기 »

리만 제타 함수

각을 나타내며, 적색은 양의 실수, 연두색은 양의 허수, 옥색은 음의 실수, 남색은 음의 허수를 나타낸다. 수론에서, 리만 제타 함수() \zeta(s)는 소수들의 정수론적 성질을 해석적으로 내포하는 유리형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리만 제타 함수 · 더보기 »

리하르트 브라우어

리하르트 다고베르트 브라우어(1901~1977)는 독일 태생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리하르트 브라우어 · 더보기 »

마랭 메르센

마랭 메르센 마랭 메르센(Marin Mersenne, 1588년 9월 8일~1648년 9월 1일)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마랭 메르센 · 더보기 »

마트베예프의 정리

마트베예프의 정리(Matveev's theorem, -定理)는 러시아의 수학자 마트베예프(Matveev)의 이름이 붙은 수론의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마트베예프의 정리 · 더보기 »

마사토시 귄뒤즈 이케다

마사토시 귄뒤즈 이케다(1926년 2월 25일 ~ 2003년 2월 9일)는 터키의 일본계 터키인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마사토시 귄뒤즈 이케다 · 더보기 »

멜린 변환

석학에서, 멜린 변환(Mellin變換)은 양의 실수선 위의 함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적분 변환의 일종이.

새로운!!: 정수론와 멜린 변환 · 더보기 »

메르텐스 정리 (정수론)

정수론에서 메르텐스 정리(Mertens' theorems)는 독일 수학자 프란츠 메르텐스(Franz Mertens)가 1874년에 제출한 정리로서, 소수의 밀도에 관한 해석학적 정수론(Analytic number theory)의 초기 결과이.

새로운!!: 정수론와 메르텐스 정리 (정수론) · 더보기 »

모듈러 곡선

수론과 대수기하학에서, 모듈러 곡선(modular曲線)은 상반평면의 모듈러 군의 부분군에 대한 몫공간인 리만 곡면이.

새로운!!: 정수론와 모듈러 곡선 · 더보기 »

모듈러 형식

모듈러 형식(modular形式)은 수학에서 특정한 종류의 함수 방정식과 증가 조건을 만족하는, 상반 평면 위에서 정의되는 (복소) 해석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모듈러 형식 · 더보기 »

모듈러성 정리

수기하학과 수론에서, 모듈러성 정리() 또는 다니야마-시무라-베유 추측()은 타원곡선과 고전 모듈러 곡선의 관계에 대한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모듈러성 정리 · 더보기 »

모츠킨 수

수학에서, 모츠킨 수()는 원 위의 주어진 개수의 점들 사이에서 교차하지 않는 현들을 그리는 방법의 가짓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모츠킨 수 · 더보기 »

모치즈키 신이치

모치즈키 신이치(1969년 3월 29일 ~)는 정수론과 기하학을 연구하는 일본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모치즈키 신이치 · 더보기 »

뫼비우스 반전 공식

수론에서의 뫼비우스 반전 공식(Möbius inversion formula)은 19세기 수학자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의 이름을 딴 공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뫼비우스 반전 공식 · 더보기 »

뫼비우스 함수

수론과 조합론에서, 뫼비우스 함수(Möbius函數)는 정수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인지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곱셈적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뫼비우스 함수 · 더보기 »

미허일레스쿠 정리

미허일레스쿠 정리(Mihăilescu's theorem, -定理) 또는 카탈랑의 추측(Catalan's conjecture)은 수론의 정리로, 프랑스 수학자 외젠 샤를 카탈랑(Eugène Charles Catalan)이 1844년 추측하고 루마니아 수학자 프레다 미허일레스쿠(Preda Mihăilescu)가 2002년 증명하였.

새로운!!: 정수론와 미허일레스쿠 정리 · 더보기 »

민코프스키 정리

수론에서, 민코프스키 정리()는 볼록집합이 어떤 격자점을 포함할 충분조건에 대한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민코프스키 정리 · 더보기 »

배수

배수 기호 오른쪽 수가 왼쪽 수의 배수가 아닐 때 사용하는 기호 수론에서, 어떤 수의 배수(倍數)는 그 수에 정수를 곱한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배수 · 더보기 »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Weierstrass Zeta Function) \zeta(z; g_2, g_3) 는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는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Weierstrass Elliptic Function)와 주되게 관련되어 나타나는 특수 함수로, 또한 특히 다른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들(바이어슈트라스 함수 패밀리)과의 연관성을 복소변수들의 정보로 일관되게 보여준.

새로운!!: 정수론와 바이어슈트라스 제타 함수 · 더보기 »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메달에 새겨진 시에르핀스키 바츠와프 프란치셰크 시에르핀스키(1882년 3월 14일 ~ 1969년 10월 21일)는 폴란드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 더보기 »

밀레니엄 문제

밀레니엄 문제()는 2000년 5월 24일에 클레이 수학연구소(CMI)가 정한, 21세기 사회에 가장 크게 공헌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미해결 문제 7가지를 말.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중요한 기본 문제"로 여겨지고 있. CMI는 각 문제를 처음으로 해결하는 사람에게는 100만 달러씩을 수여한다고 하였.

새로운!!: 정수론와 밀레니엄 문제 · 더보기 »

가법성

법성(加法性,Additivity,덧셈 사상,가산 사상)은 정의역의 두 함수들에 대한 함수와 항상 각 함수의 값 합계가 서로 같은 값을 반환한다는 함수의 성질을 말. 대수학 수이론 에서 덧셈 사상 또는 Z-선형사상 또는 가산함수는 가산 연산을 보존하는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가법성 · 더보기 »

가공할 헛소리

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또는 가공할 이론(moonshine theory,가공할 헛소리 가설)은 j-불변량및 괴물군 및 이론 물리학와 관련된 수로서 기묘한 우연적 관계를 보여주는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가공할 헛소리 · 더보기 »

가토 가즈야

야(1952년 1월 17일 ~)는 현재 시카고 대학교의 수학 교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가토 가즈야 · 더보기 »

베르누이 수

수론에서, 베르누이 수(Bernoulli數)는 거듭제곱수의 합,삼각함수의 멱급수 따위의 다양한 공식에 등장하는 유리수 수열이.

새로운!!: 정수론와 베르누이 수 · 더보기 »

베르트랑 공준

베르트랑 공준(-公準, Bertrand's postulate), 베르트랑-체비쇼프 정리(-定理, Bertrand-Chebyshev theorem), 혹은 베르트랑 가설은 정수론에서 소수들의 분포에 관한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베르트랑 공준 · 더보기 »

베주 항등식

수론에서, 베주 항등식()은 두 정수의 최대공약수를 원래 두 수의 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베주 항등식 · 더보기 »

베유 추측

수론과 대수기하학에서, 베유 추측()은 유한체 위에 정의된 대수다양체의 점의 수에 대한 네 개의 정리들이.

새로운!!: 정수론와 베유 추측 · 더보기 »

게오르크 칸토어

오르크 페르디난트 루트비히 필리프 칸토어(1845년 3월 3일~1918년 1월 6일)는 러시아에서 태어난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게오르크 칸토어 · 더보기 »

버나드 드워크

버나드 모리스 드워크(1923년 5월 27일 ~ 1998년 5월 9일)는 미국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버나드 드워크 · 더보기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수론에서,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은 수체 상의 타원곡선 E의 점들이 이루는 아벨 군의 계수와 그 하세-베유 L-함수 L(E, s)의 s.

새로운!!: 정수론와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 더보기 »

고트홀트 아이젠슈타인

르디난트 고트홀트 막스 아이젠슈타인(1823 – 1852)은 프로이센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고트홀트 아이젠슈타인 · 더보기 »

골롬-딕맨 상수

-딕맨 상수(Golomb-Dickman constant) 또는 골롬 상수 \; \lambda \; 수학에서 골롬-딕맨 상수(Golomb-Dickman constant)는 무작위 순열 (랜덤 순열)이론과 수 이론에서 각각 보여.이것은 정수들의 확장에서 소수들간의 출현길이와 무작위한 랜덤 순열을 가장 크게 확장했을 때의 분포가 일치하는 값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놀라운 상수들간의 관계이.

새로운!!: 정수론와 골롬-딕맨 상수 · 더보기 »

골드바흐의 추측

바흐의 추측(Goldbach's conjecture)은 오래전부터 알려진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개의 소수(Prime number)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

새로운!!: 정수론와 골드바흐의 추측 · 더보기 »

보형 형식

수학에서, 보형 형식(保型 形式,또는 자기동형 형식(自己同型 形式))은 고전적인 모듈러 형식을 임의의 리 군 및 그 이산 부분군으로 일반화시킨 개념이.

새로운!!: 정수론와 보형 형식 · 더보기 »

과잉수

수론에서 과잉수 (過剩數)는 자연수 중에서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모두 더했을 때 원래의 수보다 더 커지는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과잉수 · 더보기 »

복소해석학

복소해석학(複素解析學)은 복소변수 함수(복소함수)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정수론와 복소해석학 · 더보기 »

괴물군 (수학)

물군은 수론 및 군론 그리고 물리학등에서 대칭과 관련된 문제들과 연. 로버트 루이스 그리스 주니어(Robert Louis Griess, Jr.)와 브렌드 피셔(Bernd Fischer)에의해서 그 존재가 예측되었.

새로운!!: 정수론와 괴물군 (수학) · 더보기 »

부냐콥스키 추측

수론에서, 부냐콥스키 추측(Буняковский推測)은 정수 계수 기약다항식의 자연수에 대한 상이 보통 무한히 많은 소수를 포함한다는 추측이.

새로운!!: 정수론와 부냐콥스키 추측 · 더보기 »

근접 대수

순서론에서, 근접 대수(近接代數)는 부분 순서 집합에 대하여 정의된, 일반화 뫼비우스 반전 공식이 성립하는 단위 결합 대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근접 대수 · 더보기 »

블럼 정수

정수론에서 어떤 자연수 n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블럼 정수(Blum integer).

새로운!!: 정수론와 블럼 정수 · 더보기 »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블라디미르 게르쇼노비치 드린펠트(1954년 2월 14일 ~)는 우크라이나 태생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더보기 »

비슈바나트 상수

정수론 에서, 비슈바나트 상수 (Viswanath's constant) 는 K.

새로운!!: 정수론와 비슈바나트 상수 · 더보기 »

대수기하학

수기하학(代數幾何學)은 대수적 방정식들로 정의될 수 있는 도형들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며, 현재 많은 수학 분야들 중 가장 복잡하고 발달된 분야 중.

새로운!!: 정수론와 대수기하학 · 더보기 »

대수적 수

복소평면 속의, 유리수 계수 1차~4차 다항식의 근인 대수적 수들의 분포. 1차 다항식의 근은 녹색, 2차는 적색, 3차는 하늘색, 4차는 청색으로 채색하였다. 낮은 차수의 대수적 정수의 분포. 낮은 차수의 다항식의 해는 붉은 색의 점, 비교적 고차 다항식의 해는 푸른 색의 점으로 나타내었다. 수론에서, 대수적 수(代數的數)는 유리수 계수의 일계수 다항식의 근을 이루는 복소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대수적 수 · 더보기 »

대수적 수론

수적 (정)수론(代數的(整)數論)은 수론의 한 분야로, 대수적 수(유리 계수 다항식의 근)의 성질을.

새로운!!: 정수론와 대수적 수론 · 더보기 »

대수학

수학(代數學, 독일어,영어: Algebra)은 일련의 공리들을 만족하는 수학적 구조들의 일반적인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정수론와 대수학 · 더보기 »

대역체

수적 수론에서, 대역체(大域體)는 대수적 수체 및 이와 유사한 함수체를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

새로운!!: 정수론와 대역체 · 더보기 »

국소 제타 함수

수론에서, 국소 제타 함수()는 어떤 다양체의 유한체에 대한 유리점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담는 생성함수.

새로운!!: 정수론와 국소 제타 함수 · 더보기 »

군 (수학)

루빅스 큐브를 돌리는 방법들을 모은 집합은 군을 이룬다. 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6)의 군 다이어그램 추상대수학에서, 군(群)은 결합 법칙과 항등원과 각 원소의 역원을 가지는 이항 연산을 갖춘 대수 구조이.

새로운!!: 정수론와 군 (수학) · 더보기 »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수론에서,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Dirichlet等差數列定理)는 첫 수와 항들의 차가 서로소인 등차수열에 무한히 많은 소수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 더보기 »

디리클레 지표

수론에서, 디리클레 지표(Dirichlet指標)는 수론적 함수의.

새로운!!: 정수론와 디리클레 지표 · 더보기 »

디리클레 합성곱

리클레 합성곱(Dirichlet convolution) 혹은 디리클레 포갬은 수론적 함수(arithmetic function)의 집합에서 정의되는 이항연산(binary operation)으로, 수론에서 중요.

새로운!!: 정수론와 디리클레 합성곱 · 더보기 »

디오판토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판토스(200년 또는 214년 태어남 ~ 284년 또는 298년 죽음)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디오판토스 · 더보기 »

디오판토스 방정식

수론에서, 디오판토스 방정식()은 정수로 된 해만을 허용하는 부정 다항 방정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디오판토스 방정식 · 더보기 »

노먼 레빈슨

먼 레빈슨(Norman Levinson, 1912년 8월 11일 매사추세츠 주 린 ~ 1975년 10월 10일 보스턴)은 미국의 수학자였.

새로운!!: 정수론와 노먼 레빈슨 · 더보기 »

다비트 힐베르트

비트 힐베르트(1862년 1월 23일~1943년 2월 14일)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다비트 힐베르트 · 더보기 »

다니야마 유타카

야마 유타카(1927년 11월 12일 ~ 1958년 11월 17일)는 일본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다니야마 유타카 · 더보기 »

니븐 상수

수 이론에서 니븐 상수(Niven constant)는 이반 니븐(Ivan Niven)의 이름을 따서 지어 졌는데, "자연적으로" 자연수 n 의 소수 분해에 나타나는 가장 큰 지수.

새로운!!: 정수론와 니븐 상수 · 더보기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스리니바사 아이양가르 라마누잔 스리니바사 아이양가르 라마누잔(Srinivāsa Aiyangar Rāmānujan, 1887년 12월 22일~1920년 4월 26일)은 인도 출신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더보기 »

스큐스 수

수론에서, 스큐스 수(Skewes' number)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학자 스탠리 스큐스가 정의한 매우 큰 수로,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를 말. 여기서 \pi(x) 는 소수 계량 함수, 즉 x 미만의 소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함수이며, li(x) 는 로그 적분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스큐스 수 · 더보기 »

스킴 (수학)

수기하학에서, 스킴()은 국소적으로 가환환의 스펙트럼과 동형인 공간이.

새로운!!: 정수론와 스킴 (수학) · 더보기 »

스티븐 섀뉴얼

스티븐 호엘 섀뉴얼(1933년 7월 14일 ~ 2014년 7월 21일)은 미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스티븐 섀뉴얼 · 더보기 »

울프 수학상

울프 수학상은 거의 매년 울프 재단에 의해 수여되는 수학상이.

새로운!!: 정수론와 울프 수학상 · 더보기 »

힐렐 퓌르스텐베르크

힐렐 퓌르스텐베르크(1935–)는 독일 태생이며 미국·이스라엘 이중 국적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힐렐 퓌르스텐베르크 · 더보기 »

자연수

수학에서, 자연수(自然數)는 수를 셀 때나 순서를 매길 때 사용되는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자연수 · 더보기 »

자연수의 분할

분할 10.

새로운!!: 정수론와 자연수의 분할 · 더보기 »

장피에르 세르

장피에르 세르(1926년 9월 15일 ~)는 프랑스의 수학자로, 20세기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새로운!!: 정수론와 장피에르 세르 · 더보기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Observatio domini Petri di Fermat)이 수록되어 있다. 정수론에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 지수의 거듭제곱수는 같은 지수의 두 거듭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는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더보기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Fermat's theorem on sums of two squares, -數 定理)는 정수론의 정리로, 프랑스의 알베르 지라르가 1632년 처음 착상하고 역시 프랑스 수학자인 피에르 드 페르마가 1640년 마랭 메르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처음 증명을 제시하였으나 완전하지 못. 이 정리가 처음 증명된 것은 1749년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크리스티안 골트바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였.

새로운!!: 정수론와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더보기 »

페르마의 다각수 정리

르마의 다각수 정리(Fermat polygonal number theorem, -多角數 定理)는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의 이름이 붙은 정수론의 정리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로운!!: 정수론와 페르마의 다각수 정리 · 더보기 »

페르마의 소정리

정수론에서 페르마의 소정리(Fermat의小定理)는 어떤 수가 소수일 간단한 필요조건에 대한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페르마의 소정리 · 더보기 »

페르마상

르마상()은 매년 2년마다 피에르 드 페르마가 헌신했던 분야와 밀접한 수학 연구에서 업적을 남긴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이.

새로운!!: 정수론와 페르마상 · 더보기 »

페리 수열

수론에서, 페리 수열()은 0과 1,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분모가 어떤 자연수 n 을 넘지 않는 기약진분수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수열을 말.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

새로운!!: 정수론와 페리 수열 · 더보기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요한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또는, 1805년 2월 13일 뒤렌 - 1859년 5월 5일 괴팅겐)는 독일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 더보기 »

페아노 공리계

수리논리학에서.

새로운!!: 정수론와 페아노 공리계 · 더보기 »

큐-포흐하머 기호

-포흐하머 기호(q-Pochhammer symbol)는 큐-쉬프티드 팩토리얼(q-shifted factorial)로도 불린.

새로운!!: 정수론와 큐-포흐하머 기호 · 더보기 »

크라메르 추측

수론에서, 크라메르 추측()은 소수 간극의 분포에 대한 가설이.

새로운!!: 정수론와 크라메르 추측 · 더보기 »

크리스티안 골드바흐

리스티안 골드바흐(Christian Goldbach, 1690년 3월 18일 ~ 1764년 11월 20일)는 독일 출신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크리스티안 골드바흐 · 더보기 »

클로드 슈발레

슈발레(1909년 2월 11일 – 1984년 6월 28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클로드 슈발레 · 더보기 »

이반 비노그라도프

이반 마트베예비치 비노그라도프(1891년 9월 14일 ~ 1983년 3월 20일)는 소비에트 연방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이반 비노그라도프 · 더보기 »

이븐 알하이삼

아부 알리 알하산 이븐 알하산 이븐 알하이삼(965년 7월 1일~1040년 3월 6일)은 아랍인이었는지 학자이며, 신학, 물리학, 천문학, 수학, 안과학, 철학, 공학, 과학적 방법 등에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서 수많은 업적을.

새로운!!: 정수론와 이븐 알하이삼 · 더보기 »

이차 유수 상수

수론에서 이차 유수 상수 또는 이차수체 유수 상수(Quadratic Class Number Constant)는 실수 이차 수체의 평균 수치와 관련하여 보여지는 수학 상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이차 유수 상수 · 더보기 »

이차 상호 법칙

수론에서, 이차 상호 법칙(二次相互法則)은 두 홀수 소수가 서로에 대하여 제곱잉여인지 여부가 대칭적이라는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이차 상호 법칙 · 더보기 »

이차 형식

수론과 선형대수학에서, 이차 형식(二次形式)은 다변수 2차 동차다항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이차 형식 · 더보기 »

이산수학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離散數學)은 이산적인 수학 구조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연속되지 않는 공간을.

새로운!!: 정수론와 이산수학 · 더보기 »

인자 (대수기하학)

수기하학에서, 인자(因子) 또는 베유 인자(Weil因子)는 여차원이 1인 부분 대수다양체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

새로운!!: 정수론와 인자 (대수기하학) · 더보기 »

응오바오쩌우

응오바오쩌우(쯔놈: 吳寶珠,, 1972년 6월 28일 ~)는 베트남·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응오바오쩌우 · 더보기 »

은 비율

은 비율또는 백은비(白銀比, Silver ratio)란 두 수중 작은 수의 두 배 그리고 큰 수의 합과 작은 수의 비가 작은 수와 큰 수의 비율과 일치할 때의 비율을 말. 그 값은 1에 루트 2를 더한 것으로 약 2.4142135623이.

새로운!!: 정수론와 은 비율 · 더보기 »

점근 밀도

정수론에서 점근 밀도(Asymptotic Density 또는 Natural density 또는 arithmetic density)란, 자연수의 부분집합이 얼마나 큰지를 측정하는 척도이.

새로운!!: 정수론와 점근 밀도 · 더보기 »

점근 표기법

점근 표기법(asymptotic notation)은 어떤 함수의 증가 양상을 다른 함수와의 비교로 표현하는 수론과 해석학의 방법이.

새로운!!: 정수론와 점근 표기법 · 더보기 »

젬 이을드름

젬 얄츤 이을드름()은 터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젬 이을드름 · 더보기 »

제르맹 항등식

소피 제르맹 항등식()은 프랑스의 수학자인 소피 제르맹이 제출한 항등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제르맹 항등식 · 더보기 »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수론에서,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제곱 因數가 없는 整數,, quadratfrei integer)는 1이 아닌 제곱수를 인수로 갖지 않는 양의 정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 더보기 »

제곱잉여

수론에서, 정수 n에 대한 제곱잉여(-剩餘)는 제곱수의 n에 대한 동치류이.

새로운!!: 정수론와 제곱잉여 · 더보기 »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1814–1897)는 잉글랜드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 · 더보기 »

절단 가능 소수

수론에서, 왼편 절단 가능 소수는 0을 포함하지 않는 주어진 자릿수의 숫자에서, 제일 왼쪽 자릿수부터 하나씩 제거할 때, 만들어지는 수들도 모두 소수가 되는 소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절단 가능 소수 · 더보기 »

정상 순서 (동음이의)

정상 순서(Normal order)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정수론와 정상 순서 (동음이의) · 더보기 »

정수

정수들의 집합은 순서에 따라 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수학에서, 정수(整數)는 양의 정수(1, 2, 3,...) 및 음의 정수(-1, -2, -3,...)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이.

새로운!!: 정수론와 정수 · 더보기 »

정수론

타원곡선 정수론(整數論) 또는 수론(數論)은 수학의 한 분야로, 각종 수의 성질을 대상으.

새로운!!: 정수론와 정수론 · 더보기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1736년 1월 25일 ~ 1813년 4월 10일) 은 토리노, 피에몬테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태생, 프랑스와 프로이센에서 활동한 프랑스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더보기 »

존 호턴 콘웨이

존 호턴 콘웨이(1937년 12월 26일 ~)는 유한군, 매듭 이론, 수론, 조합론적 게임 이론, 블록 부호 이론 등에 업적을 남긴 영국 출신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존 호턴 콘웨이 · 더보기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청나라 때 출판된 《손자산경》 사본.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는 《손자산경》에서 최초로 언급되었다. 수론과 환론에서,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中國人-定理)는 쌍마다 서로소 아이디얼들에 대한 몫환들의 곱에 대한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더보기 »

Φ

Φ, φ()는 그리스 문자의 21번째 글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Φ · 더보기 »

지시 함수

2차원 집합의 지시 함수의 그래프. 수학에서, 지시 함수(指示函數), 정의 함수(定義函數), 또는 특성 함수(特性函數)는 특정 집합에 특정 값이 속하는지를 표시하는 함수로, 특정 값이 집합에 속한다면 1, 속하지 않는다면 0의 값을.

새로운!!: 정수론와 지시 함수 · 더보기 »

챔퍼나운 수

수론에서, 챔퍼나운 수()는 초월수이자 실수인 수학 상수 중 하나로 소수점 이하 자릿수에 특이한 점이 있는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챔퍼나운 수 · 더보기 »

천의 정리

의 정리(Chen's theorem, -定理) 또는 천씨 정리(진씨 정리)는 수론의 정리로, 중국인 수학자 천징룬(陈景润, 진경윤, 1933년 - 1996년)이 1973년 증명한 두 정리를 말. 첫째는 골트바흐의 추측에 관한 정리, 둘째는 쌍둥이 소수 추측에 대한 정리로, 천징룬은 이 정리를 통해 두 문제의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

새로운!!: 정수론와 천의 정리 · 더보기 »

천징룬

샤먼 대학에 서 있는 천징룬 동상 천징룬(1933년 5월 22일 ~ 1996년 3월 1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천징룬 · 더보기 »

추상대수학

상대수학(抽象代數學)은 대수 구조를 다루는 여러 수학적 대상을 연구하는 분야이.

새로운!!: 정수론와 추상대수학 · 더보기 »

카를 루트비히 지겔

를 루트비히 지겔(1896–1981)은 독일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카를 루트비히 지겔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요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년 4월 30일~1855년 2월 23일)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더보기 »

카를 안톤 브레치나이더

를 안톤 브레치나이더(1808년 5월 27일 ~ 1878년 11월 6일)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카를 안톤 브레치나이더 · 더보기 »

카마이클 수

수론에서 카마이클 수(Carmichael number)는 합성수 n이 그보다 작고 n과 서로소인 임의의 b에 대해 합동식 bn − 1 ≡ 1 (mod n) 를 만족할 때, 그 n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정수론와 카마이클 수 · 더보기 »

콘의 기약성 기준

환론에서, 콘의 기약성 기준()은 어떤 다항식이 기약일 조건을 제공하는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콘의 기약성 기준 · 더보기 »

쿠르트 헤그너

르트 헤그너(Kurt Heegner,독일어, 1893년 12월 16일 - 1965년 2월 2일)는 베를린 출신의 독일계 학자로 라디오 공학과 수학을 전공.

새로운!!: 정수론와 쿠르트 헤그너 · 더보기 »

쿠르트 헨젤

르트 빌헬름 제바스티안 헨젤(1861년 12월 29일 – 1941년 6월 1일)은 독일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쿠르트 헨젤 · 더보기 »

쌍둥이 소수 추측

쌍둥이 소수 추측()은 정수론에서 가장 유명한 추측 가운데 하나로, 다음과 같. 이런 소수쌍을 쌍둥이 소수라고 부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

새로운!!: 정수론와 쌍둥이 소수 추측 · 더보기 »

유리 마닌

유리 이바노비치 마닌(1937년 2월 16일 -)은 러시아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유리 마닌 · 더보기 »

유클리드 기하학

리스의 수학자가 컴퍼스로 작도를 하고 있는 모습.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 일부) 유클리드 기하학(-幾何學, Euclidean geometry)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가 구축한 수학 체계로 《원론》은 기하학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논의로 알려져 있. 유클리드의 방법은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공리를 참으로 간주.

새로운!!: 정수론와 유클리드 기하학 · 더보기 »

유클리드의 정리

수론에서, 유클리드의 정리(Euclid의定理)는 무한한 수의 소수들이 존재한다는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유클리드의 정리 · 더보기 »

유수

유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수론와 유수 · 더보기 »

유수 공식

수론에서, 유수 공식(類數公式)은 수체의 데데킨트 제타 함수의 극점의 유수에 대한 공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유수 공식 · 더보기 »

율리우스 페테르센

율리우스 페테르 크리스티안 페테르센(1839~1910)은 덴마크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율리우스 페테르센 · 더보기 »

윌슨의 정리

윌슨의 정리(Wilson's Theorem)는 1보다 큰 소수 p에 대해서 이 성립한다는 정수론의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윌슨의 정리 · 더보기 »

팔팅스의 정리

팅스의 정리() 또는 모델 가설(Mordell conjecture)은 유리수체에 대하여 정의된, 종수가 2 이상인 대수 곡선은 유한개의 유리점을 가진다는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팔팅스의 정리 · 더보기 »

위상군

에서, 위상군(位相群)은 위상이 주어진 군으로서 위상적 구조와 대수적 구조가 서로 어울리는 경우이.

새로운!!: 정수론와 위상군 · 더보기 »

샤를 에르미트

샤를 에르미트(1822–1901)는 프랑스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샤를 에르미트 · 더보기 »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샤를장 에티엔 귀스타브 니콜라 드 라 발레푸생(1866–1962)은 벨기에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 더보기 »

타원곡선

특이점이므로 타원곡선이 아니다.) 대수기하학에서, 타원곡선(橢圓曲線)은 간단히 말해 y^2.

새로운!!: 정수론와 타원곡선 · 더보기 »

투에-모스 수열

이 그래픽은 투에 모스 수열의 반복적이고 상보적인 생성을 나타낸다. 수학에서, 투에-모스 수열(), 또는 프로헷-투에-모스 수열()은 0에서 시작해서 앞의 수열의 불 보수를 덧붙여서 얻어지는 이진 수열 (0과 1의 무한수열)이.

새로운!!: 정수론와 투에-모스 수열 · 더보기 »

투에의 보조정리

에의 보조정리(Thue's lemma, -補助定理)는 노르웨이 수학자 악셀 투에의 이름이 붙은 정수론의 정리이.

새로운!!: 정수론와 투에의 보조정리 · 더보기 »

수론적 함수

정수론에서 수론적 함수(數論的函數)는 모든 양의 정수에 대해 정의된 함수이며 복소수 함수값을 가질 수도 있. 다시 말하면 수론적 함수는 복소수의 수열에 지나지 않. 중요한 수론적 함수로 덧셈적 함수와 곱셈적 함수가 있으며, 수론적 함수 사이의 연산으로는 디리클레 합성곱이 중요.

새로운!!: 정수론와 수론적 함수 · 더보기 »

수학

수학(數學)은 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정수론와 수학 · 더보기 »

수학 걸

"수학 걸"('수학 홀릭' 또는 '수학 소녀')는 수학을 소재로 삼은 유키 히로시의 소설이.

새로운!!: 정수론와 수학 걸 · 더보기 »

수학 상수

수학에서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량으로, 변수의 반대말이.

새로운!!: 정수론와 수학 상수 · 더보기 »

수학적 구조

수학적 구조(數學的構造) 또는 수론적 구조는 임의의 집합이 주어졌을때에 여기에 부여한 수학적 성질로 인해 그 집합이 갖추게 되는 형태를 말. 수학적 성질을 제공하는 기능으로는 대수학, 위상수학, 순서론 등의 영역이 있. 이들은 각각 대수적 구조, 위상 구조, 순서 구조.

새로운!!: 정수론와 수학적 구조 · 더보기 »

오희

오희(吳熙, 1969년~)는 대한민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오희 · 더보기 »

오일러 수

수론에서, 오일러 수()는 정수열의.

새로운!!: 정수론와 오일러 수 · 더보기 »

오일러 피 함수

오일러 φ 함수의 그래프. φ(1)부터 φ(1000)까지의 값들을 나타낸다. 정수론에서, 오일러 φ 함수(Euler φ 函數)는 1부터 n까지의 양의 정수 중에 n과 서로소인 것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오일러 피 함수 · 더보기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정수론에서,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常數)는 조화급수를 자연 로그로 근사한 경우의 오차를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더보기 »

최대공약수

수론에서, 정수들의 공약수(公約數)는 동시에 그들 모두의 약수인 정수.

새로운!!: 정수론와 최대공약수 · 더보기 »

최소공배수

수론에서, 여러 개의 정수/다항식/환의 원소의 공배수(公倍數)는 그들 모두의 배수가 되는 정수/다항식/환의 원소이.

새로운!!: 정수론와 최소공배수 · 더보기 »

양수 (수학)

양수(陽數)는 +1, 2,, 1.414 처럼 0보다 큰 실수를 말. 양수 중 정수(양의 정수)는 수론에서 자연수라고 일컬으며, 양수 앞에 붙은 부호 (+)는 생략할 수 있.

새로운!!: 정수론와 양수 (수학) · 더보기 »

에르되시 팔

에르되시 팔((책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에선 폴 에어디쉬라고 발음하기도 했다.), 1913년 3월 26일~1996년 9월 20일)은 헝가리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에르되시 팔 · 더보기 »

에르되시-스트라우스 추측

수학의 수 이론(수론)에서 1948년, 에르되시 팔과 에른스트 스트라우스가 추측에 사용한 공식이.

새로운!!: 정수론와 에르되시-스트라우스 추측 · 더보기 »

에른스트 쿠머

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1810년 1월 29일 – 1893년 5월 14일)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에른스트 쿠머 · 더보기 »

에드문트 란다우

에드문트 게오르크 헤르만 란다우(1877~1938)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에드문트 란다우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300년경) 또는 영어식 이름으로 유클리드(또는 Euclid of Alexandria)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정수론와 에우클레이데스 · 더보기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의 첫 번째 영어판 표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스토이케이아)은 고대 그리스의 저명한 수학자인 에우클레이데스가 기원전 3세기에 집필한 책으로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 그리스어 제목 Στοιχεῖα는 ‘원소’, ‘구성 요소’, ‘글자’ 등을 뜻하는 단어이며, 한국어로는 유클리드의 원론, 또는 기하학 원본이라는 제목으로도 불린.

새로운!!: 정수론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 더보기 »

엠브리-트레페텐 상수

정수론 에서, 엠브리 트레페덴 상수(Embree–Trefethen constnat)는 "임계값" 으로 \beta^.

새로운!!: 정수론와 엠브리-트레페텐 상수 · 더보기 »

헤르만 민코프스키

헤르만 민코프스키 (1864년 6월 22일 - 1909년 1월 12일)는 러시아 제국 태생 독일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헤르만 민코프스키 · 더보기 »

헤르만 바일

헤르만 클라우스 후고 바일(1885년 11월 9일 - 1955년 12월 8일)은 독일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헤르만 바일 · 더보기 »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1826~1833)는 아일랜드 태생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헨리 존 스티븐 스미스 · 더보기 »

엔리코 봄비에리

엔리코 봄비에리(1940년 11월 26일 -)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엔리코 봄비에리 · 더보기 »

킨친 상수

아래는 킨친 상수(Khinchin constant)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정수론와 킨친 상수 · 더보기 »

산술

산술(算術, arithmetic)은 수학의 가장 역사 깊은 분야로, 수의 개념이나 수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하는 방법, 그 성질이나 계산의 법칙 등의 이론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정수론와 산술 · 더보기 »

산술 도함수

수론에서, 산술 도함수(算術導函數)란 정수 상에서 소인수 분해를 기초로 정의된 함수로서, 라이프니츠 법칙을 만족하여 일종의 도함수처럼 계산할 수 있는 것이.

새로운!!: 정수론와 산술 도함수 · 더보기 »

피에르 드 페르마

에르 드 페르마(1601년 8월 17일~1665년 1월 12일)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피에르 드 페르마 · 더보기 »

프로트 수

수론에서, 프로트 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프로트 수 · 더보기 »

프로트의 정리

의 정리는 수론에서 프로트 수에 대한 소수 판별법이.

새로운!!: 정수론와 프로트의 정리 · 더보기 »

프로이즈볼로프 항등식

이즈볼로프 항등식(Proizvolov's identity, -恒等式)은 초등적인 정수론에서 사용되는 항등식의 일종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뱌체슬라프 프로이즈볼로프(Вячесла́в Произволов)가 1985년 소비에트 학생 올림피아드에서 문제로 제시한 것이.

새로운!!: 정수론와 프로이즈볼로프 항등식 · 더보기 »

서로소 아이디얼

수론과 환론에서, 서로소(-素整數)는 정수나 다항식들끼리의 최대 공약수가 1이라는 뜻의 표현이.

새로운!!: 정수론와 서로소 아이디얼 · 더보기 »

서지 랭

서지 랭(1927년 ~ 2005년)은 프랑스 태생의 미국인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서지 랭 · 더보기 »

손자산경

청나라 때 출판된 《손자산경》 사본 《손자산경》()은 기원후 5세기 경 중국에서 집필된 수학서이.

새로운!!: 정수론와 손자산경 · 더보기 »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2세(1856년 12월 29일 ~ 1894년 12월 31일)는 네덜란드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 더보기 »

토션트 함수

션트 함수(Totient function)는 수론에서, 일반적으로 오일러 토션트 함수 또는 오일러 φ(피) 함수에서 처럼 1부터 n까지의 양의 정수 중에 n과 서로소인 것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와 같은 작동을 하는 함수를 일컫.

새로운!!: 정수론와 토션트 함수 · 더보기 »

소 아이디얼

환론에서, 소 아이디얼(素ideal)은 아이디얼 가운데 소수와 같은 성질을 갖는 것들이.

새로운!!: 정수론와 소 아이디얼 · 더보기 »

소수 (수론)

소수(素數, 발음: 소쑤)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소수 (수론) · 더보기 »

소수 계량 함수

소수 계량 함수(素數計量函數)는 주어진 양의 실수 x에 대해 그 값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소수 계량 함수 · 더보기 »

소피 제르맹

마리소피 제르맹(1776년 4월 1일 ~ 1831년 6월 27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소피 제르맹 · 더보기 »

앨런 베이커

앨런 베이커(1939년 8월 19일~)는 영국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앨런 베이커 · 더보기 »

앨런 튜링

앨런 매티슨 튜링(OBE, FRS, 1912년 6월 23일 ~ 1954년 6월 7일)은 영국의 수학자, 암호학자, 논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의 선구적 인물이.

새로운!!: 정수론와 앨런 튜링 · 더보기 »

합동 (동음이의)

합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수론와 합동 (동음이의) · 더보기 »

합동 산술

수론에서, 합동 산술(合同算術)은 정수의 합과 곱을 어떤 주어진 수의 나머지에 대하여 정의하는 방법이.

새로운!!: 정수론와 합동 산술 · 더보기 »

해석적 수론

정수론에서 해석적 수론(解析的數論)은 소수나 다른 수론적 대상의 분포•밀도•크기 따위를 복소해석학적 기법을 사용해서 어림잡는 분야이.

새로운!!: 정수론와 해석적 수론 · 더보기 »

해석학 (수학)

석학(解析學)은 미적분학을 엄밀하게 형식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된 수학의 한 분야로, 수열이나 함수의 극한 및 무한급수, 미분, 적분, 측도 및 해석함수 등의 개념을.

새로운!!: 정수론와 해석학 (수학) · 더보기 »

야코비 기호

수론에서, 야코비 기호(Jacobi symbol)는 르장드르 기호를 소수뿐만이 아니라 모든 양의 홀수 범위로 확장한 함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야코비 기호 · 더보기 »

약수

수론에서, 약수(約數) 또는 인수(因數)는 어떤 정수를 나머지 없이 나눌 수 있는 정수를 원래의 정수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

새로운!!: 정수론와 약수 · 더보기 »

약수 함수

정수론에서, 약수 함수(約數函數)는 주어진 수의 약수들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정의되는 수론적 함수.

새로운!!: 정수론와 약수 함수 · 더보기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알렉산더 그로텐디크(1928년 3월 28일 ~ 2014년 11월 13일)는 독일 태생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더보기 »

알렉산드르 겔폰트

알렉산드르 오시포비치 겔폰트(1906–1968)는 러시아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알렉산드르 겔폰트 · 더보기 »

하늘책의 증명

《하늘책의 증명》(Proofs from THE BOOK)은 마르틴 아이그너와 귄터 M. 지글러가 쓴 수학증명 책이.

새로운!!: 정수론와 하늘책의 증명 · 더보기 »

하샤드 수

샤드 수 또는 니번 수는 주어진 진법에서 그 수의 각 자릿수 숫자의 합으로 그 수가 나누어지는 양의 정수를 말. 하샤드 수는 인도의 수학자 카프레카에 의해 정의되었.

새로운!!: 정수론와 하샤드 수 · 더보기 »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수론에서, 하세-민코프스키 정리()는 수체에 대한 이차 형식의 동치에 대한 정리.

새로운!!: 정수론와 하세-민코프스키 정리 · 더보기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1752년 9월 18일 - 1833년 1월 10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 더보기 »

아폴로니오스의 문제

림 1: 아폴로니오스의 문제에 대한 해답 (분홍색). 주어진 원은 검은색이다. 그림 2: 아폴로니오스의 문제에 대한 해답 8가지. 주어진 원은 검은색이다. 아폴로니오스의 문제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평면에 주어진 3개의 원에 접하는 원을 그리는 것이.(그림 1).

새로운!!: 정수론와 아폴로니오스의 문제 · 더보기 »

아이디얼

환론에서, 아이디얼() 또는 이데알()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의 부분집합이.

새로운!!: 정수론와 아이디얼 · 더보기 »

아이젠슈타인 정수

아이젠슈타인 정수들은 복소평면에서 삼각 격자를 이룬다. 수론에서 아이젠슈타인 정수()는 아래의 꼴로 표현될 수 있는 복소수를 말. 독일 수학자 고트홀트 아이젠슈타인의 이름이 붙어 있. 여기서 \omega는 1의 세제곱근이.

새로운!!: 정수론와 아이젠슈타인 정수 · 더보기 »

악셀 투에

악셀 투에(1863년 2월 19일 - 1922년 3월 7일)는 노르웨이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악셀 투에 · 더보기 »

앙드레 베유

앙드레 아브라암 베유(1906년 5월 6일 - 1998년 8월 6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앙드레 베유 · 더보기 »

테오도어 슈나이더

오도어 슈나이더(1911-1988)는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테오도어 슈나이더 · 더보기 »

시카다 3301

Cicada 3301의 로고 시카다 3301(Cicada 3301)는 세 차례에 걸쳐 나타난 "고도의 지능을 가진 사람"(highly intelligent individuals)을 모집한다는 이름으로 퍼즐을 내는 수수께끼 조직의 이름이.

새로운!!: 정수론와 시카다 3301 · 더보기 »

웨어링의 문제

웨어링의 문제(Waring's problem)는 에드워드 웨어링이 1770년에 제기한 문제로, 수학의 정수론에서 모든 자연수는 최대 's'개의 'k'제곱의 합으로 쓸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

새로운!!: 정수론와 웨어링의 문제 · 더보기 »

외젠 샤를 카탈랑

외젠 샤를 카탈랑(1814년 5월 30일 – 1894년 2월 14일)은 벨기에의 수학자이.

새로운!!: 정수론와 외젠 샤를 카탈랑 · 더보기 »

환론

수학의 한 분야인 환론(環論)은 환(정수의 집합처럼 좋은 성질을 가진 덧셈과 곱셈 연산이 주어진 집합)을 주 대상으.

새로운!!: 정수론와 환론 · 더보기 »

화뤄겅

화뤄겅(1910년 11월 12일 ~ 1985년 6월 12일)은 중국의 수학자.

새로운!!: 정수론와 화뤄겅 · 더보기 »

완전수

수론에서 완전수(完全數)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 최초 네 개의 완전수는 6, 28, 496, 8128이.

새로운!!: 정수론와 완전수 · 더보기 »

홀수와 짝수

수론에서, 짝수(-數)는 2로 나누어떨어지는 정수이.

새로운!!: 정수론와 홀수와 짝수 · 더보기 »

K이론

수학에서, K이론(K理論)은 위상 공간 또는 스킴 위에 존재하는 벡터다발 또는 연접층을 다루는 분야.

새로운!!: 정수론와 K이론 · 더보기 »

L-함수의 특별한 값

수학에서 L-함수의 특별한 값은 원주율 \pi에 대한 라이프니츠 (Leibniz) 수식처럼 L-함수의 수식이 일반화하는 데 사용되는 수 이론의 하위 필드이.

새로운!!: 정수론와 L-함수의 특별한 값 · 더보기 »

P진수

수론에서, p진수(p進數, p-adic number)는 유리수의 체를 마치 어떤 소수 p에 대한 로랑 급수처럼 해석하여 완비시켜 얻는 체이.

새로운!!: 정수론와 P진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수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