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안왕후

색인 정안왕후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1355년 1월 22일/음력 1월 9일~ 1412년 8월 2일/음력 6월 25일)는 조선 정종의 왕비이.

25 처지: 덕비, 덕천군 (1397년), 박윤선 (배우), 경주 김씨, 부원군, 김 (성씨), 김해숙, 용의 눈물, 이천우 (1354년), 전성군 (1545년), 조선 정종,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왕릉, 종묘, 추동궁 마마, 어보 목록, 소헌왕후, 해안군, 신덕왕후, 원경왕후, 후릉 (조선), 1355년, 1412년.

덕비

덕비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정안왕후와 덕비 · 더보기 »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덕천군 (1397년) · 더보기 »

박윤선 (배우)

박윤선(1973년 3월 2일 ~)은 대한민국의 여성 연기자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박윤선 (배우)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부원군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해숙

숙(金海淑, 1955년 12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김해숙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이천우 (1354년)

이천우(李天祐, 1354년 ∼ 1417년(태종 17년))는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겸 무신(武臣)이며, 조선 초기의 문신, 무신, 군인이자 조선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이천우 (1354년) · 더보기 »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전성군 (1545년) · 더보기 »

조선 정종

정종(定宗, 1357년 7월 18일 (음력 7월 1일) ~ 1419년 10월 15일 (음력 9월 26일), 재위: 1398년 ~ 1400년)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2대 임금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조선 정종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정안왕후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정안왕후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정안왕후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종묘 · 더보기 »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1983년 3월 31일부터 1983년 7월 1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정안왕후와 추동궁 마마 · 더보기 »

어보 목록

이 문서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 세자와 세자빈의 인장이었던 어보(御寶)의 목록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어보 목록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소헌왕후 · 더보기 »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해안군 · 더보기 »

신덕왕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1356년 7월 12일(음력 6월 14일) ~ 1396년 9월 15일(음력 8월 13일))는 조선 태조(太祖)의 계비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신덕왕후 · 더보기 »

원경왕후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년 7월 29일 (음력 7월 11일) ~ 1420년 8월 18일 (음력 7월 10일))는 조선 태종(太宗)의 왕비이자 조선 세종대왕(世宗大王)의 모후이.

새로운!!: 정안왕후와 원경왕후 · 더보기 »

후릉 (조선)

후릉(厚陵)은 조선의 제2대왕인 정종과 정안왕후의 능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에 있으며, 태종 12년인 1412년에 조성되었.

새로운!!: 정안왕후와 후릉 (조선) · 더보기 »

13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안왕후와 1355년 · 더보기 »

1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안왕후와 141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천서, 정안왕후 김씨, 안정왕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