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정여립

색인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58 처지: 동래 정씨, 동인 (붕당), 류성룡, 광산 이씨, 북인, 권징 (조선의 문신), 불멸의 이순신, 기자헌, 기축옥사, 김륵, 김명원, 김갑수 (배우), 대동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남인, 노수신, 우성전, 이발 (1544년), 이이, 이정란, 이산해, 이원익, 이완용, 전주시의 역사, 전설의 고향 - 2009년, 전성군 (1545년), 정 (성씨), 정감록, 정철, 정언지, 정언신, 조종도, 조헌, 조선 광해군, 조선 선조, 조선의 공신, 죽도 (동음이의), 증산교, 징비록 (드라마), 충주 박씨, 유동근, 유홍 (1524년), 윤두수, 최철호, 최영경, 역사 연표, 허목, 성혼, 서익, 송익필, ..., 한국의 반란 목록, 한응인, 안위 (1563년), 홍가신, 황윤길, 왕도 (드라마), 왕의 얼굴, 16세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 더) »

동래 정씨

동래 정씨(東萊 鄭氏)는 부산광역시 동래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새로운!!: 정여립와 동래 정씨 · 더보기 »

동인 (붕당)

동인(東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정여립와 동인 (붕당)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정여립와 류성룡 · 더보기 »

광산 이씨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광주광역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여립와 광산 이씨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정여립와 북인 · 더보기 »

권징 (조선의 문신)

징(權徵, 1538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크게 활약하였.

새로운!!: 정여립와 권징 (조선의 문신) · 더보기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대한민국 KBS에서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까지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정여립와 불멸의 이순신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립와 기자헌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정여립와 기축옥사 · 더보기 »

김륵

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정여립와 김륵 · 더보기 »

김명원

명원(金命元, 1534년 ~ 1602년 12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응순, 호는 주은, 시호는 충익,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정여립와 김명원 · 더보기 »

김갑수 (배우)

갑수(1957년 4월 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여립와 김갑수 (배우) · 더보기 »

대동계

동계(大同契)는 조선 중기 때, 정여립이 조직한 계(契)로 정여립 모반 사건의 증거로 거론됐던 조직이.

새로운!!: 정여립와 대동계 · 더보기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조선 선조 때 일어난 이몽학의 난을 소재로 한 박흥용의 만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을 원작으로 한 영화이.

새로운!!: 정여립와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정여립와 남인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노수신 · 더보기 »

우성전

우성전(禹性傳, 1542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

새로운!!: 정여립와 우성전 · 더보기 »

이발 (1544년)

이발(李潑, 1544년 ~ 1589년 음력 12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菴), 본관은 광산이.

새로운!!: 정여립와 이발 (1544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정여립와 이이 · 더보기 »

이정란

이정란(李廷鸞, 1529년 ~ 160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

새로운!!: 정여립와 이정란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정여립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립와 이원익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정여립와 이완용 · 더보기 »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정여립와 전주시의 역사 · 더보기 »

전설의 고향 - 2009년

《전설의 고향 - 2009년》(傳說의 故鄕)은 한반도 지역에 걸쳐 전해지는 전설이나 민간 설화 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KBS에서 방영되는 고전 형식의 시리즈 드라마이.

새로운!!: 정여립와 전설의 고향 - 2009년 · 더보기 »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새로운!!: 정여립와 전성군 (1545년) · 더보기 »

정 (성씨)

정(鄭, 丁, 程, 井)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정여립와 정 (성씨) · 더보기 »

정감록

정감록(鄭鑑錄)은 조선 중기 이후 민간에 널리 퍼진 예언서로 "송하비결"과 "격암유록"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예언서로 꼽히고 있. 실존 여부를 알 수 없는 이심(李沁)과 정감(鄭鑑)의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 풍수 사상과 도참 신앙이 합쳐져 이루어진 난해한 책으로, 국가 운명과 생민 존망(生民存亡)에 대한 판단을 담고 있.

새로운!!: 정여립와 정감록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정여립와 정철 · 더보기 »

정언지

정언지(鄭彦智, 1520년 ~ 몰년 미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정언지 · 더보기 »

정언신

정언신(鄭彦信, 1527년 ~ 159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정언신 · 더보기 »

조종도

조종도(趙宗道, 1537년 ~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조종도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정여립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정여립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정여립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정여립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죽도 (동음이의)

죽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정여립와 죽도 (동음이의) · 더보기 »

증산교

증산교(甑山敎)란 어휘는 현재 두 가지 의미.

새로운!!: 정여립와 증산교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정여립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정여립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유동근

유동근(1956년 6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여립와 유동근 · 더보기 »

유홍 (1524년)

유홍(兪泓, 1524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지숙, 호는 송당, 시호는 충목, 본관은 기계이.

새로운!!: 정여립와 유홍 (1524년)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정여립와 윤두수 · 더보기 »

최철호

호(崔哲浩, 1970년 3월 2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정여립와 최철호 · 더보기 »

최영경

영경(崔永慶, 1529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선비이며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최영경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정여립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정여립와 허목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립와 성혼 · 더보기 »

서익

서익(徐益, 1542년 ~ 15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서익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립와 송익필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정여립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응인

응인(韓應寅, 1554년 ~ 161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한응인 · 더보기 »

안위 (1563년)

안위(安衛, 1563년 ~ 1644년)는 조선 중기의 무관이.

새로운!!: 정여립와 안위 (1563년) · 더보기 »

홍가신

홍가신(洪可臣, 1541년 ~ 161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정여립와 홍가신 · 더보기 »

황윤길

황윤길(黃允吉, 1536년 ~ ? 생몰년 미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교관, 정치인이.

새로운!!: 정여립와 황윤길 · 더보기 »

왕도 (드라마)

《왕도》(王道)는 1991년 대한민국의 방송사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이며 조선 정조시대 때 절대권력을 누린 홍국영의 일생을 중심으로 한 사극이.

새로운!!: 정여립와 왕도 (드라마) · 더보기 »

왕의 얼굴

《왕의 얼굴》은 2014년 11월 19일부터 2015년 2월 5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정여립와 왕의 얼굴 · 더보기 »

16세기

16세기는 1501년부터 1600년까지이.

새로운!!: 정여립와 16세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죽도 정여립, 죽도공 정여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