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정이 (불교)

색인 정이 (불교)

정이(定異)는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목차

  1. 23 처지: 무신론, 방 (불교),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화합성, 이숙 (불교), 정이, 차제, 유전 (불교), 유신견, 팔단십의문, 상응, 수 (심불상응행법), 오위백법, 사견, 세속,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심불상응행법 (현양성교론), 십이연기설, 시간 (불교), 화합성.

무신론

무신론(無神論)은 큰 의미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정하거나, 신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사상이.

보다 정이 (불교)와 무신론

방 (불교)

방(方)은 다음을 뜻.

보다 정이 (불교)와 방 (불교)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보다 정이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보다 정이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정

불화합성

불화합성(不和合性) 또는 불화합(不和合)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불화합성

이숙 (불교)

이숙(異熟: 다름게 익음)은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의 불교의 인과사상 또는 교의를 말. 다르게 익는다는 것은 선(善)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낙(樂)으로 성숙(成熟) 또는 변환되고, 불선 즉 악(惡)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고(苦)로 성숙 또는 변환되는 것을 말.

보다 정이 (불교)와 이숙 (불교)

정이

정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정이 (불교)와 정이

차제

제(次第)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차제

유전 (불교)

유전(流轉)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유전 (불교)

유신견

유신견(有身見,,,, self view, identity view) 또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유신견

팔단십의문

8단10의문(八段十義門) 또는 줄여서 8단10의(八段十義)는 법상종의 소의논서인 《성유식론》에서 사용된 아뢰야식에 대한 해석체계와 그에 따른 해석을 말. 특히, 아뢰야식(엄밀히는 제8식)의 여러 다른 명칭들 가운데 하나인 초능변식(初能變識)의 의미 또는 본질을 자세히 밝히는 것으로, 능변(能變)은 '자신을 포함한, 세력권 내의 갖가지 법들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 현행시키는 것'을 뜻하는 능변현(能變現)의 줄임말이다.

보다 정이 (불교)와 팔단십의문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보다 정이 (불교)와 상응

수 (심불상응행법)

수(數), 개수(個數), 수량(數量) 또는 숫자(數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수 (심불상응행법)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보다 정이 (불교)와 오위백법

사견

사견(邪見)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첫 번째의 사견(邪見)은 모든 잘못된 견해를 통칭하는 말이.

보다 정이 (불교)와 사견

세속

세속(勢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세속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또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과 그 주석서인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보다 정이 (불교)와 심불상응행법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인 《유가사지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보다 정이 (불교)와 심불상응행법 (유가사지론)

심불상응행법 (현양성교론)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에서 설명하고 있는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에.

보다 정이 (불교)와 심불상응행법 (현양성교론)

십이연기설

THDL: tendrel yenlak chunyi THDL: tendrel yenlak chunyi --@> |th.

보다 정이 (불교)와 십이연기설

시간 (불교)

시(時)시간(時間) 또는 시각(時刻)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시간 (불교)

화합성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정이 (불교)와 화합성

또한 각이성, 무잡란성, 인과각이성, 인과종종차별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