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제1야전군 (대한민국)

색인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1야전군사령부(第一野戰軍司令部), 별명 "통일대"(統一臺)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기준으로 남한의 동부 전선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첫 번째 야전군으로, 강원도 원주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 (강원 원주 지역 방송에서 야전군사령부를 이전 한다고 한다).

60 처지: 동원전력사령부, 미사일사령부 (미국), 백선엽, 갑종장교,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박시창, 번개사업, 보충대, 김근태 (1952년), 김종오, 김윤호,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군수사령부,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 목록,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4성 장군 목록, 대한민국 예비군, 국방개혁 2020, 국군의무사령부, 군사도시, 이민우 (1921년), 이광노, 이준 (1940년), 이한림, 제102보충대대,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군,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수지원사령부, 제1훈련소, 제2군단 (대한민국), 제2작전사령부, 제306보충대대, 제3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3기갑여단 (대한민국), 제3군단 (대한민국),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5군단 (대한민국), 제8군단 (대한민국), 정승화, 정지뜰, 정수성 (1946년), 조남풍, 주특기번호, 진짜 사나이의 에피소드 목록, 지상작전사령부, ..., 참모총장, 충정훈련, 캠프 롱, 유재흥, 피우진, 송요찬, 안교덕, 신병교육대, 원주시, 환경부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동원전력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動員戰力司令部)는 대한민국 육군의 예비군사령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동원전력사령부 · 더보기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사일사령부(Missile Command (Air Transport) (MSL CMD))는 냉전 초기에 미국 육군이 창설하여 운용했던 4개 미사일 사령부로서 야전 포병대의 부대였.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미사일사령부 (미국) · 더보기 »

백선엽

thumb 백선엽(白善燁, 일본식 창씨명: 시라카와 요시노리(白川義則), 1920년 11월 23일 ~)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의 간도특설대 군인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 교육인이며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백선엽 · 더보기 »

갑종장교

갑종장교(甲種將校)는 과거에 존재했던 대한민국 국군의 중요 장교 양성과정 중의 하나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갑종장교 · 더보기 »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江陵地域武裝共匪侵透事件)은 1996년 9월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 더보기 »

박시창

박시창(朴始昌, 1903년 11월 5일 ~ 1986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이며 사회운동가 겸 사회기관단체장이었.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박시창 · 더보기 »

번개사업

번개사업은 북한이 170발의 장사정포 공격을 한 2010년 연평도 포격에 대한 한국의 신형 지대지 미사일 개발사업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번개사업 · 더보기 »

보충대

보충대(補充隊)는 입대하는 입대자들이 신병교육대로 가기 전에 대기하며, 충원을 필요로 하는 부대로 전입병을 배치하는 부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보충대 · 더보기 »

김근태 (1952년)

(金近泰, 1952년 11월 26일 ~, 부여)는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정치인으로서 육군 제1군사령관을 역임한 새누리당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김근태 (1952년) · 더보기 »

김종오

종오(金鍾五, 1921년 5월 22일 ~ 1966년 3월 30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김종오 · 더보기 »

김윤호

윤호(金潤鎬, 1930년 8월 10일 ~ 2013년 1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국영기업가,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김윤호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군수사령부

육군 군수사령부 "칠성대"(陸軍軍需司令部 "七星臺")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본부 직할의 군수/병기/병참 전담 사령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군수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四星將軍) 목록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의 4성 장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四星將軍) 목록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4성 장군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4성 장군(四星將軍) 목록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출신의 4성 장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2020(國防改革 2020)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2005년 9월 13일 공식 발표한 미래 선진정예 국방을 위한 장기적 국방 개혁안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국방개혁 2020 · 더보기 »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國軍醫務司令部, The Armed Force Medical Command, AFMC)는 군진의학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국군의무사령부 · 더보기 »

군사도시

사도시(軍事都市)란 군대의 주둔이 많아 군사적인 기능이 두드러진 도시를 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군사도시로는 대한민국 육군·해군·공군 3군 본부가 있는 계룡시와 해군항이 있는 창원시 진해구가 있. 그 밖에 주한미군 기지가 있는 송탄·팽성읍(이상 평택시)·동두천시·왜관읍(칠곡군), 육군훈련소와 보충대가 있는 연무읍(논산시)·춘천시·의정부시, 1군사령부가 있는 원주시, 군사분계선 접경의 파주시 등이 군사도시로 분.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군사도시 · 더보기 »

이민우 (1921년)

이민우(李敏雨, 1921년 ~ 1993년 12월 9일)는 대한민국의 육군 군인, 관료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이민우 (1921년) · 더보기 »

이광노

이광노(李光魯, 이광로, 1931년 6월 16일 ~ 2016년 1월 28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이광노 · 더보기 »

이준 (1940년)

이준(李俊, 1940년 6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을 지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이준 (1940년) · 더보기 »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이한림 · 더보기 »

제102보충대대

제102보충대대(第102補充大隊)는 1951년 3월 창설된 대한민국의 보충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02보충대대 · 더보기 »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1기계화보병사단(第十一機械化步兵師團, The 11th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별명: 화랑부대)은 제7기동군단 예하 기계화 보병 사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1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5보병사단(第十五步兵師團, The 15th Infantry Division, 별명: 승리부대)은 휴전선 중동부 전선을 맡고 있는 사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군

1 군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군 · 더보기 »

제1군단 (대한민국)

제1군단 "광개토부대"(第一軍團)는 고구려 19대 왕인 광개토왕의 시호를 별명으로 쓰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1군수지원사령부

제1군수지원사령부 정문 제1군수지원사령부 "황소"(1st Logistical Support Command)는 1군지사로 잘 알려진 대한민국 육군의 군수사령부 예하 전투근무지원 사령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군수지원사령부 · 더보기 »

제1훈련소

제1훈련소(6873부대)는 모슬포 훈련소, 강병대로도 알려진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에 남아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훈련소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1훈련소 · 더보기 »

제2군단 (대한민국)

제2군단 본부 정문 제2군단 "쌍용"(第二軍團)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 주둔하고 있는 제1야전군 예하소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2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무열대"(第二作戰司令部 "武烈臺", Second Operational Command)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두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2작전사령부 · 더보기 »

제306보충대대

제306보충대대(第306補充大隊)는 대한민국의 보충대로 6831부대로도 부른.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306보충대대 · 더보기 »

제3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제36보병사단(第三十六步兵師團, 36th Infantry Division) 백호부대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향토방위 사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36향토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3기갑여단 (대한민국)

제3기갑여단 "번개"(3rd Armored Brigade)는 강원도 홍천군에 주둔중인 대한민국 육군의 기갑 여단으로, 제1야전군 예하부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3기갑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3군단 (대한민국)

제3군단 지구 시찰에 나선 이승만 대통령을 환영하는 인파(1954) 제3군단 "산악"(第三軍團)은 강원도 인제군에 주둔하고 있는 제1야전군 예하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3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3야전군 "선봉대"(第三野戰軍 "先鋒臺")는 경기도 용인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세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3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5군단 (대한민국)

제5군단 "승진(勝進)"(第五軍團, ROK V Corps)은 경기도 포천시에 주둔하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5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8군단 (대한민국)

제8군단 "동해충용"(第八軍團)은 대한민국 육군 제1야전군 예하 군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제8군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정승화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정승화 · 더보기 »

정지뜰

정지뜰(艇址뜰)은 강원도 원주시의 지명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정지뜰 · 더보기 »

정수성 (1946년)

정수성(鄭壽星, 1946년 1월 2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국회의원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정수성 (1946년) · 더보기 »

조남풍

조남풍(1938년 6월 5일 ~, 충청남도 서천군)은 국군보안사령관, 1군사령관을 지낸 군인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조남풍 · 더보기 »

주특기번호

주특기번호는 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병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주특기번호 · 더보기 »

진짜 사나이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MBC 《일밤》의 코너 〈진짜 사나이〉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진짜 사나이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지상작전사령부

상작전사령부는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병합하여 설립할 예정인 전투 사령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지상작전사령부 · 더보기 »

참모총장

모총장(參謀總長)은 육해공의 선임 장교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참모총장 · 더보기 »

충정훈련

충정훈련(忠情訓練)은 군에서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실시한 공세적 진압 훈련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충정훈련 · 더보기 »

캠프 롱

롱()은 강원도 원주시 태장동에 위치한 미국 육군의 주둔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캠프 롱 · 더보기 »

유재흥

유재흥(劉載興, 1921년 8월 3일 ~ 2011년 11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일본군 장교이자 대한민국의 친일파 군인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유재흥 · 더보기 »

피우진

우진(皮宇鎭, 1956년 8월 20일 ~)은 대한민국 육군 예비역 중령이자 제29대 국가보훈처장이다.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피우진 · 더보기 »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송요찬 · 더보기 »

안교덕

안교덕(安敎德, 1933년 12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안교덕 · 더보기 »

신병교육대

신병교육대(新兵敎育隊)는 갓 입대한 훈련병들을 교육하는 부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신병교육대 · 더보기 »

원주시

원주시(原州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원주시 · 더보기 »

환경부대

환경 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환경오염에 대응하는 부대이.

새로운!!: 제1야전군 (대한민국)와 환경부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 1 군, 대한민국 1군, 대한민국 1야전군, 제1야전군사령부, 육군 제1군사령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