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제7보병사단 (미국)

색인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7th Infantry Division)은 미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

54 처지: 도쿄 익스프레스,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 마르셀 G. 크롬베즈, 몰락 작전 전투 서열, 미국 극동 육군, 미국 육군, 미국 육군 레인저, 미국 육군의 사단 목록, 미국 태평양 육군 전투 서열, 미국의 제2보병사단장, 백곰 (탄도탄), 부산 교두보 전투, 극동 사령부 (미국),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김영옥 (군인),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닉슨 독트린, 스트라이커 장갑차, 스티븐 J. 타운센드, 장진호 전투, 재일학도의용군, 페이스 특수임무부대, 인천 상륙 작전, 제10군 (미국), 제10군단 (미국),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 제1·2차 원주 전투, 제1군단 (미국),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24군단 (미국), 제2보병사단 (미국), 제2군 (미국),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5상륙군단, 제7사단, 제8군 (미국), 제9군단 (미국), 조지프 스틸웰, 존 B. 콜터, 존 하지, 주한 미군의 철수, 칵뉴 대대, 캠프 마켓, 캠프 드레이크, 캠프 케이시, 캠프 코이너, 캠프 호비, 윌리엄 F. 딘, 한국 전쟁 당시의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 ..., 한국 전쟁 전투 서열,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303고지 학살, 9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도쿄 익스프레스

상륙용 보트로 옮겨타는 일본군의 모습 도쿄 익스프레스("쥐 수송")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솔로몬 군도의 과달카날 섬에서 벌어진 과달카날 전투 기간 중 일본 제국 해군과 육전대 병사들이, 과달카날의 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벌인 수송작전을 가리켜 붙인 이름이다(일본 측에서는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도쿄 익스프레스 · 더보기 »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

이스-맥코드 합동 기지(Joint Base Lewis-McChord; JBLM)는 워싱턴 주 터코마에서 남남서로 9.1 마일(14.6 km) 떨어진 곳에 있는 미국 육군과 공군의 합동 기지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 · 더보기 »

마르셀 G. 크롬베즈

마르셀 구스타브 크롬베즈(Marcel Gustave Crombez, 1900년 10월 3일 ~ 1982년 8월 17일)는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마르셀 G. 크롬베즈 · 더보기 »

몰락 작전 전투 서열

음은 1945년 8월 연합국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한 몰락 작전에 따라 구성한 부대의 전투 서열 목록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몰락 작전 전투 서열 · 더보기 »

미국 극동 육군

미국 극동 육군()은 1941년 7월 26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존재했었던 미국 육군의 극동 전구 사령부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 극동 육군 · 더보기 »

미국 육군

미합중국 육군(美合衆國陸軍, United States Army)은 미군의 육군 부문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 육군 · 더보기 »

미국 육군 레인저

미국 육군 레인저(United States Army Rangers)는 미국 육군의 엘리트 군사 조직으로서, 현재는 제75레인저연대를, 75레인저연대 창설 전엔 여러 보병사단 예하에서 활동하던 레인저 중대 혹은 레인저 대대 등의 각종 레인저 부대들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 육군 레인저 · 더보기 »

미국 육군의 사단 목록

음의 목록은 미국 육군의 사단에 관한 것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 육군의 사단 목록 · 더보기 »

미국 태평양 육군 전투 서열

이 문서는 미국 태평양 육군의 전투 서열에 관한 문서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 태평양 육군 전투 서열 · 더보기 »

미국의 제2보병사단장

제2보병사단 지휘관 혹은 제2보병사단장은 미국 제2보병사단을 통솔하는 지휘관을 가리.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미국의 제2보병사단장 · 더보기 »

백곰 (탄도탄)

백곰 미사일과 동일한 외형의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 백곰 미사일(NHK-1)은 대한민국의 첫 국산 단거리 지대지 탄도 미사일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백곰 (탄도탄) · 더보기 »

부산 교두보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는 한국 주둔 국제연합 사령부와 북한 사이에 벌어진 거대한 전투로 1950년 8월 4일부터 같은 해 9월 18일까지 벌어졌.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부산 교두보 전투 · 더보기 »

극동 사령부 (미국)

극동 사령부()는 남서 태평양 지역 사령부(SWPA)의 후신 조직으로서 극동군 사령부로도 잘알려진 미국의 전구 사령부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극동 사령부 (미국) · 더보기 »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Operation Blacklist Forty)는 1945년부터 1948년 사이 미국의 한반도 점령 작전의 코드네임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 더보기 »

김영옥 (군인)

영옥(金永玉, 1919년 1월 29일~ 2005년 12월 29일)은 한국계 미국 군인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김영옥 (군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본 문서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했거나 운용하고 있는 전차 세력에 대한 문서.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 더보기 »

닉슨 독트린

미국의 제 37대 대통령/리처드 닉슨 닉슨 독트린() 또는 괌 독트린()은 미국 대통령 닉슨이 1969년 7월 25일 괌에서 발표한 외교정책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닉슨 독트린 · 더보기 »

스트라이커 장갑차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서 내려오는 스트라이커 장갑차 토우 대전차 미사일을 발사하는 스트라이커 장갑차 스트라이커 장갑차는 2002년 실전배치된 미국 육군의 8륜구동 장갑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스트라이커 장갑차 · 더보기 »

스티븐 J. 타운센드

스티븐 J. 타운센드는 연합 합동 특수임무부대 – 내재된 결단 작전과 제18공수군단의 사령관으로 복무 중인 미국 육군의 장교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스티븐 J. 타운센드 · 더보기 »

장진호 전투

장진호 전투(長津湖戰鬪), 또는 장진 저수지 전역, 장진 저수지 전투는 한국 전쟁의 결정적 전투 중 하나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장진호 전투 · 더보기 »

재일학도의용군

재일학도의용군(在日學徒義勇軍)은 카투사(KATUSA)의 시조격으로 한국 전쟁에 자발적으로 참전한 재일동포들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재일학도의용군 · 더보기 »

페이스 특수임무부대

이스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Faith) 또는 맥클린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Maclean)는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에서 붕괴된 미군 부대로, 공식 부대지정은 제31연대전투단(Regimental Combat Team 31; RCT-31)이었.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페이스 특수임무부대 · 더보기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Battle of Incheon)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시작된 상륙작전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인천 상륙 작전 · 더보기 »

제10군 (미국)

미국 제10군(이하 10군)는 태평양 전역에서 활약했던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0군 (미국) · 더보기 »

제10군단 (미국)

제10(X)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미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0군단 (미국) · 더보기 »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164th Theater Airfield Operations Group (164th TAOG)), 옛 제164항공단(164th Aviation Group)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서 한반도에 주둔했었던 미국 육군 항공과의 집단(Group)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64전구비행장작전단 · 더보기 »

제1·2차 원주 전투

제1·2차 원주 전투 (Bataille de Wonju), 또는 원주 전역이나 동부 전선 제3차 공세서부 전선은 1·4 후퇴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2차 원주 전투 · 더보기 »

제1군단 (미국)

제1(I)군단(I Corps)는 미국 육군의 첫 번째 군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군단 (미국) · 더보기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미 제1군단()은 1971년 7월 1일부터 1980년 3월 14일까지 군단, 1980년 3월 14일부터 1992년 7월 1일까지 야전군으로서 존재했던 대한민국 육군과 주한 미국 육군의 다국적 연합 부대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 더보기 »

제1야전군 (대한민국)

제1야전군사령부(第一野戰軍司令部), 별명 "통일대"(統一臺)는 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기준으로 남한의 동부 전선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첫 번째 야전군으로, 강원도 원주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 (강원 원주 지역 방송에서 야전군사령부를 이전 한다고 한다).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1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4군단 (미국)

24(XXIV) 군단(XXIV Corps)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서 참전했던 미국 육군의 군단이었.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24군단 (미국) · 더보기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2nd Infantry Divison, 2ID또는 2nd ID)은 미국 육군의 사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2보병사단 (미국) · 더보기 »

제2군 (미국)

미국 제2군()은 미국 육군의 두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2군 (미국) · 더보기 »

제3야전군 (대한민국)

제3야전군 "선봉대"(第三野戰軍 "先鋒臺")는 경기도 용인시에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세 번째 야전군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3야전군 (대한민국) · 더보기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 8월 23일 캠프 엘리어트에서 창설되어 1946년 1월 15일까지 활약한 미국 해병대의 군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5상륙군단 · 더보기 »

제7사단

제7사단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7사단 · 더보기 »

제8군 (미국)

미국 제8군()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자,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주한 미군의 지상군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8군 (미국) · 더보기 »

제9군단 (미국)

제9(IX)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제9군단 (미국) · 더보기 »

조지프 스틸웰

조지프 스틸웰(Joseph Warren Stilwell, 1883년 3월 19일 ~ 1946년 10월 12일) 대장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역에서 중화민국 국군을 지도하여 일본군과 싸운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조지프 스틸웰 · 더보기 »

존 B. 콜터

존 브레이틀링 콜터(John Breitling Coulter, 1891년 4월 27일 ~ 1983년 3월 6일)는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존 B. 콜터 · 더보기 »

존 하지

존 리드 하지(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는 미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존 하지 · 더보기 »

주한 미군의 철수

주한미군의 철수는 과거에 자주 좌우간 정치적 논쟁이 되었고, 점차 감축되어 왔. 2016년 현재 주한미군은, 보병부대들은 모두 철수했고, 포병부대, 화학부대, 공군 등만 잔류해 있. 미국은 항상 전세계에 지상군, 즉 보병의 파병과 철수에 큰 관심을 갖고 있. 보병은 가급적 현지인 부대로 구성해 싸우고, 공군, 해군 등 지원임무만 미국이 맡겠다는 입장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주한 미군의 철수 · 더보기 »

칵뉴 대대

에티오피아 제국의 칵뉴 대대 (ቃኘው)는 한국 전쟁 당시 국제 연합 병력 중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파견한 제1사단 황실근위대에서 착출된 3개의 대대명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칵뉴 대대 · 더보기 »

캠프 마켓

마켓(Camp Market)은 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형성되어 1945년 8월부터 1973년 6월 30일까지 주한 미군의 전투 근무 지원 복합단지였던 ASCOM 도시()의 일부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캠프 마켓 · 더보기 »

캠프 드레이크

이크(Camp Drake, 시설번호: FAC 3048)는 사이타마현 와코 시, 아사카 시, 니자 시, 도쿄 부 네리마 구에 걸쳐있던 거대한 주일 미군의 군영이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캠프 드레이크 · 더보기 »

캠프 케이시

이시(Camp Casey)로 잘 알려져 있는 케이시 엔클레이브 미국 육군 기지(US Army Garrison Casey Enclave)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주한 미군 육군의 군영 중 하나로, 한국 전쟁 도중 1952년에 전사한 제7보병연대 공병 장교 휴 보이드 케이시 소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캠프 케이시 · 더보기 »

캠프 코이너

이너(Camp Conier)는 용산 기지의 일부로서 북쪽 외곽에 위치하고 있. 1953년 한국 전쟁 중에 은성 훈장을 수여받은 제7보병사단, 31보병연대, 3대대 소속 랜돌 코이너 소위(2nd Lieutenant Randall Coiner)의 이름을 딴 기지 이름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캠프 코이너 · 더보기 »

캠프 호비

호비(Camp Hovey)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주한 미군 육군의 제1지역 군영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캠프 호비 · 더보기 »

윌리엄 F. 딘

윌리엄 프리시 딘(William Frishe Dean, 1899년 8월 1일 ~ 1981년 8월 24일)은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윌리엄 F. 딘 · 더보기 »

한국 전쟁 당시의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

음은 한국 전쟁 당시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한국 전쟁 당시의 미국 제8군의 전투 서열 · 더보기 »

한국 전쟁 전투 서열

음은 한국 전쟁에서의 진영별 전투 서열 목록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한국 전쟁 전투 서열 · 더보기 »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Archibald Vincent Arnold, 1889년 2월 24일 - 1973년 1월 4일)는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미군 소장이었.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 더보기 »

303고지 학살

303고지 학살(三百三高地虐殺)은 한국 전쟁 초기인 1950년 8월 17일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근교의 자고산에서 조선인민군이 미군 전쟁 포로 41명을 총살한 전쟁 범죄이.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303고지 학살 · 더보기 »

9월 8일

9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1번째(윤년일 경우 2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제7보병사단 (미국)와 9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7 보병 사단 (미국), 미국 7 보병사단, 주한미군 7사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