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로아스터교

색인 조로아스터교

야즈드 조로아스터 사원 (이란)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 마즈다교(Mazdaism) 혹은 배화교(拜火敎)의 창시는 기원전 1800년에서 기원전 640년경으로 다양.

147 처지: 로자바, 마법, 마기, 마니 (예언자), 마니교, 마즈다크교, 마술피리, 마쓰모토 세이초, 모비딕, 무함마드 알리 진나, 물질 우주, 묵시, 미륵보살, 미트라, 미트라 (동음이의), 미트라 (조로아스터교), 미트라교, 민족 종교, 믿음, , 발라시, 발흐, 바빌론 유수, 바흐람 1세, 바흐람 2세, 바흐람 5세, 바쿠, 박트리아,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가타스, 베레스라그나, 베가, 게미스토스 플레톤, 고대 근동의 종교, 고대사,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대바, 대진사, 대천사, 날개, 나르세스 1세, 딤미, 다리우스 1세, 다리우스 3세, 당나라, 슬로베니아, 우르미아, 우주 (계통), 우즈베키스탄, ..., 회창의 폐불, 회색늑대, 자라투스트라, 자마습, 잠시드, 장례, 힌두교, 페르시아 문학, 페르시아인, 크세르크세스 2세, 이란, 이란의 역사, 이베리아 왕국,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 이슬람교, 이원론, 인도, 인도 문학, 인도-그리스 왕국, 인문학, 일신교, 제석천, 조로아스터 달력, 조지아의 역사, 종교, 종교학, 창조주의, 체르노보그, 천년왕국, 천일야화, 침묵의 탑, 카르티르, 카니슈카, 카이펑유대인, 캅카스, 캅카스 알바니아, 쿠르드인, 쿠샨 제국, 유신론, 파르티아, 파르티아 제국, 파시교, 팔라비어, 샤흐르바라즈, 샤푸라간, 샤푸르 1세, 샤푸르 2세, 영지주의, 호르미즈드 1세, 호스로 1세, 혼합주의, 에프탈, 역사철학강의, 사만 호다, 사산 제국, 사원, 프라쇼케레티, 프레디 머큐리, 선악이원론, 성 벤자민, 성지, 세계의 주요 종교, 소그드인, 소그디아나, 소그디아노스, 야자타, 야즈데게르드 1세, 야즈데게르드 2세, 야즈데게르드 3세, 야즈드, 야지디, 하오마, 아르다시르 1세, 아메샤 스펜타, 아베스타, 아베스타 문자, 아베스타어, 아브라삭스, 아스모데우스, 아우둠블라, 아제르바이잔인, 아제르바이잔의 역사, 아케메네스 제국, 아샤, 아수라, 아프가니스탄, 아후라, 아후라 마즈다, 악마, 악마학, 앙그라 마이뉴, 신학, 시리우스, 시간과 운명의 신, 시스탄, 시이드 알리 모하마드, Ə.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7 더) »

로자바

시리아령 쿠르디스탄의 국기 2014 2015 2016 북부 시리아 민주연방체제(北部 시리아 民主聯邦體制)는 시리아 북부에 있는 쿠르드인의 사실상 자치구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로자바 · 더보기 »

마법

마법원을 그리는 마녀,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1886년 작품 마법(魔法)이란 불가사의한 현상이나 일을 일으키는 힘이나 방법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법 · 더보기 »

마기

마기 혹은 마구스(라틴어:magi, 단수형:magus)는 본래 메디아 왕국에서 종교 의례를 주관하고 있던 페르시아계 제사장 계급의 호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기 · 더보기 »

마니 (예언자)

마니 마니 혹은 마네스(216년 ~ 274년 3월 2일, 중기 페르시아어와 시리아어: Mānī 마니, 코이네 그리스어: 마네스 또는 마니카이오스, 또는 마니카이우스)는 페르시아의 예언자로 마니교의 창시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니 (예언자) · 더보기 »

마니교

마니교()는 사산 왕조(226~651) 시대에 성립된 주요한 페르시아 영지주의 종교 가운데 하나로, 현존하지 않는 고대 및 중세의 종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 · 더보기 »

마즈다크교

마즈다크교()는 5세기말에서 6세기에 걸쳐 사산 왕조에서 발생한 종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즈다크교 · 더보기 »

마술피리

《마술피리》(혹은 마적(魔笛),, K. 620)는 모차르트가 죽기 두 달 전에 완성한 징슈필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오페라 중 하나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술피리 · 더보기 »

마쓰모토 세이초

마쓰모토 세이초(1909년 12월 21일 ~ 1992년 8월 4일)는 일본의 작가, 언론인이며 1952년 소설 《어느 고쿠라 일기전》으로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하였.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마쓰모토 세이초 · 더보기 »

모비딕

《모비딕》(Moby-Dick)은 허먼 멜빌의 장편 소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모비딕 · 더보기 »

무함마드 알리 진나

무함마드 알리 진나 (1945년) 무함마드 알리 진나(Muhammad Ali Jinnah, 1876년 12월 25일 ~ 1948년 9월 11일)는 인도의 독립운동가이자 인도 이슬람교 정치인, 파키스탄의 정치인이며 파키스탄의 초대 총독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무함마드 알리 진나 · 더보기 »

물질 우주

종교신화밀교신비주의나스티시즘 등에서 물질 우주(Material cosmos, Material universe, Physical universe), 물질 세상 또는 물질 세계()는 영적인 또는 초자연적인 에센스(성품스피릿영영혼) 또는 존재들이 거주하는 비물질적인 세계와 물질 또는 육체가 존재하는 세계를 구분할 때 사용.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물질 우주 · 더보기 »

묵시

일곱 나팔 묵시(默示, Απōκάλυψις, apocalypsis, 아포칼립스)는 초기의 유태교 및 크리스트교에서 신이 선택된 예언자에게 주었다는 「비밀의 폭로」, 또 그것을 기록한 것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묵시 · 더보기 »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미트라

미트라는 인도-이란인의 종교에서 나타나는 신 또는 영웅의 이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미트라 · 더보기 »

미트라 (동음이의)

미트라(mitra, mithra)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미트라 (동음이의) · 더보기 »

미트라 (조로아스터교)

미트라(/ Miϑra, 고대 페르시아어 Miça, 현대 페르시아어 مهر 미르, 메르, 메헤르)는 조로아스터교와 후의 이란 역사와 문화의 중요한 신 또는 신적 개념(야자타)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미트라 (조로아스터교) · 더보기 »

미트라교

솔이 만찬을 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양면 부조, 로마 근처의 피아노 로마노, 기원후 2~3세기. 루브르 박물관 바위에서 태어나는 미트라: 대리석, AD 180-192. 로마의 스테파노 로톤도 출토 솔이 4두4륜 마차를 타고 있고 오른쪽 위에 달의 여신 루나가 2두2륜 마차를 타고 있다 미트라 밀교(Mithraic Mysteries 또는 Mysteries of Mithras)는 미트라(Mithras)라는 신을 주된 신앙 대상으로 하는 밀의종교(mystery religion)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미트라교 · 더보기 »

민족 종교

민족종교(民族宗敎)는 일부 민족의 범위 내에서 전파하고 퍼져 나가는 종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민족 종교 · 더보기 »

믿음

믿음은 어떠한 가치관, 종교, 사람, 사실 등에 대해 다른 사람의 동의와 관계 없이 확고한 진리로서 받아들이는 개인적인 심리 상태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믿음 · 더보기 »

(학명: Canis lupus familiaris)는 식육목 개과 개속에 속하는 동물로, 회색늑대(Canis lupus)의 아종으로, 현대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며 개체 수가 가장 많은 지상 육식 동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개 · 더보기 »

발라시

발라시와 조로아스터교의 배화신전이 새겨진 동전 발라시(? - 488년) 혹은 볼로가세스()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발라시 · 더보기 »

발흐

박트라(Bactra)로 잘 알려져 있는 발흐(페르시아어: بلخ)는 한때 세계의 주요 도시였지만 몽골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발흐 · 더보기 »

바빌론 유수

바빌론 유수(- 幽囚)는 기원전 587년 유다 왕국이 멸망하면서 시드기야왕을 비롯한 유대인이 바빌로니아의 수도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간 것을 말하며, 기원전 538년에 바빌로니아를 정복한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풀려날 때까지 약 50년 동안의 기간을 뜻. 포로들의 대이동 -제임스 티소 작품 추방되는 유대인의 슬픔 -에드워드 벤데맨 작.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바빌론 유수 · 더보기 »

바흐람 1세

바흐람 1세의 동전 바흐람 1세(? - 276년)은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바흐람 1세 · 더보기 »

바흐람 2세

바흐람 2세의 동전 바흐람 2세(? - 293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바흐람 2세 · 더보기 »

바흐람 5세

바흐람 5세의 동전 (British Museum, London) 바흐람 5세(생년 미상 ~ 438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바흐람 5세 · 더보기 »

바쿠

바쿠()는 아제르바이잔의 수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바쿠 · 더보기 »

박트리아

박트리아의 고대 도시 박트리아(Bactriana)는 힌두쿠시 산맥과 아무다리야 강(옥서스) 사이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박트리아 · 더보기 »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 건물 (Bactria-Margiana Archaeological Complex; BMAC)는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투르크메니스탄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문화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 더보기 »

가타스

스(Gāθās)는 17 성가로 짜라투스트라가 직접 작곡한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가타스 · 더보기 »

베레스라그나

베레스라그나는 승리를 신격화한 신으로써, 그이름의 승리의 의미가 있. 팔라비아어로 바흐람 1세(Varahrän)의 이름에도 승리라는 의미가 있는데, 이것은 원래 베레스라그나의 어형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베레스라그나 · 더보기 »

베가

베가(Vega, α Lyrae)는 거문고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5.3 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베가 · 더보기 »

게미스토스 플레톤

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Γεώργιος Γεμιστός Πλήθων, 1355년~1452년)은 비잔티움의 플라톤 학자·철학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게미스토스 플레톤 · 더보기 »

고대 근동의 종교

Ancient Near East) 비옥한 초승달 지대 그리스 미케네 문명 (분홍) 1000년경의 인도유럽인의 이동: 분홍색은 인도유럽인의 우르하이마트(고향), 빨간색은 기원전 2500년경까지의 인도유럽인의 거주 지역, 오렌지색은 기원전 1000년경까지의 인도유럽인의 거주 지역 animal sacrifice): 제주(祭酒)도 함께 바쳐지고 있다. 아티카식의 붉은색 문양의 오이노코이(물주전자), 기원전 430~425년경 (루브르 박물관 소재) 고대 근동(古代近東, Ancient Near East)은 청동기 시대(기원전 3300~기원전 1300/1200)로부터 철기 시대(기원전 1300/1200~기원전 600) 초기까지 약 2천년간 이상의 기간 동안의,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고대 이집트 문명의 지역들을 포괄하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중동 지역을 일컫.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고대 근동의 종교 · 더보기 »

고대사

(古代)는 서양의 역사 시대 구분의 하나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고대사 · 더보기 »

230px 불은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연소하면서 에너지를 빛과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산화 과정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불 · 더보기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오도토스의 금화, 기원전 245년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은 기원전 250년에서 125년까지 중앙아시아의 박트리아와 소그디아나를 지배했던 고대 왕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더보기 »

대바

바(daēuua, daāua, daēva)는 아베스타어 용어로 특정 종류의 동의하기 어려운 특징을 지닌 초자연적인 개체에 대한 것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대바 · 더보기 »

대진사

탑(大秦塔) 대진사(大秦寺)는, 중국에 전래된 경교(중국에 전해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사원(교회)의 일반적 명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대진사 · 더보기 »

대천사

브리엘의 이콘, 12세기, 시나이 산의 성 카타리나 수녀원. 대천사(大天使)는 능력이 뛰어나거나 높은 지위에 있는 천사들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대천사 · 더보기 »

날개

를 펼친 혹고니 참새의 날개. 양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볼 수 있다 날개 또는 나래 는 새나 곤충등의 몸 양쪽에 붙어서 날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을 말하며, 비행기 등의 물체를 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를 의미.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날개 · 더보기 »

나르세스 1세

르세스 1세의 동전 나르세스 1세 또는 나르세 1세(페르시아어:نرسى Narisā / نرسي Narsī, 팔라비어:nrsḥy, 그리스어:Ναρσης, Ναρασαιος, ? ~ ?)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나르세스 1세 · 더보기 »

딤미

미(집합명사: ahl al-ḏimmah 딤미의 국민)는 이슬람법이 다스리는 국가에서 무슬림이 아닌 국민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딤미 · 더보기 »

다리우스 1세

리우스 대제(고대 페르시아어: 𐎭𐎠𐎼𐎹𐎺𐎢𐏁 - Dārayava(h)uš,, 기원전 550년경 ~ 기원전 486년경)는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제국의 세 번째 샤한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다리우스 1세 · 더보기 »

다리우스 3세

리우스 3세(기원전 380년 ~ 기원전 330년, 페르시아어 داریوش 다리우슈)는 페르시아 제국의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기원전 336년부터 기원전 330년까지 재위.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다리우스 3세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당나라 · 더보기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는 중앙유럽과 남유럽에 있는 나라로 알프스 산맥 끝부분과 지중해와 접하고 있. 서쪽으로는 이탈리아, 서남쪽으로는 아드리아 해, 남동쪽으로는 크로아티아, 북동쪽으로는 헝가리, 북쪽으로는 오스트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 수도는 류블랴나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슬로베니아 · 더보기 »

우르미아

우르미아(시리아어: ܐܘܪܡܝܐ)는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아자르바이잔에가르비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871,204명(2006년 기준)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우르미아 · 더보기 »

우주 (계통)

스모스(cosmos)는 일반적으로, 우주를 질서 있는, 조화로운 시스템으로 간주하는 우주관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우주 (계통) ·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약칭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내륙국이고, 수도는 타슈켄트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우즈베키스탄 · 더보기 »

회창의 폐불

회창의 폐불(會昌-廢佛)이란 중국 당조의 무종 때 이루어진 폐불 사건을 말. 또 불교와 함께, 장안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삼이교(마니교·조로아스터교·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도 배척당.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회창의 폐불 · 더보기 »

회색늑대

회색늑대(Canis lupus, wolf, 또는 gray/grey wolf)는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황무지에 서식하는 개과의 종으로 이리나 말승냥이로도 불린.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회색늑대 · 더보기 »

자라투스트라

자라투스트라() 또는 영어식으로 조로아스터(Zoroaster), 독일어식으로 차라투스트라(Zarathustra)는 이란 북부지방에서 태어난 예언자로서 그의 이름을 딴 조로아스터교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 그의 생애와 출생 연대 및 활동 지역에 관해서 매우 엇갈리는 기록들이 남아 전하고 있. 더러는 박트리아 지역, 더러는 이란 남부 지역이 예전의 페르시아 지역을 그의 출생지로 보기도 하며, 출생 연대에 관해서는 심지어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의견이 매우 엇갈리고 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자라투스트라 · 더보기 »

자마습

자마습의 동전 자마습(영어:Djamasp, Jamasp, Zamasp, ? - ?)은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자마습 · 더보기 »

잠시드

자하크앞에서 잠시드를 반으로 가르는 것을 묘사한 페르시아 그림 잠세드 또는 잠시드 또는 아베스타어 위마는 이란의 신화적인 인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잠시드 · 더보기 »

장례

장례(葬禮)는 사람이 죽은 후 치러지는 의식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장례 · 더보기 »

힌두교

'''옴(AUM)''': 힌두교에서 부르는 깨닫는 소리 힌두교()는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종교로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 널리 믿어지고 있는 종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힌두교 · 더보기 »

페르시아 문학

샤나메 페르시아 문학()은 페르시아어로 씐 문학을 말. 광의의 페르시아 문학은 고대와 중세, 그리고 근세로서 구분.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페르시아 문학 · 더보기 »

페르시아인

르시아인(پارسیان)은 이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페르시아어를 사용.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페르시아인 · 더보기 »

크세르크세스 2세

세르크세스 2세(IPA:/ˈzəːksiːz/ - Xšayāršā, 크사야 아르샤,? - 기원전 424년, 재위: 기원전 424년)는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으로 선대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의 후계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크세르크세스 2세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란 · 더보기 »

이란의 역사

이란 고원에 인류가 정착한 것은 아주 오래된 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란의 역사 · 더보기 »

이베리아 왕국

이베리아()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에 의하여 기원전 4세기부터 5세기에 이르기까지 현재의 조지아 남쪽과 동쪽을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었던 카르틀리의 고대 조지아 왕국에 붙여진 이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베리아 왕국 · 더보기 »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849년 5월 - 907년 11월) 혹은 이스마일 사마니는 사만 왕조의 지배자(아미르)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스마일 이븐 아흐마드 · 더보기 »

이슬람교

이슬람()또는 회교(回敎)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알라를 단일신으로 삼는 종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슬람교 · 더보기 »

이원론

이원론(二元論)은 세계나 사상(事象)을 두 개의 상호간에 '독립'하는 근본 원리로 설명하는 입장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이원론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인도 · 더보기 »

인도 문학

인도(印度)는 원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은데 이에 따른 민족의 이동종교의 복잡성다양한 언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도의 문학(印度의 文學)도 단순하지가 않. 종교의 종류도 브라만교불교자이나교힌두교 등의 인도 고유의 것이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슬람교조로아스터교 등이 있으며, 이들 종교들 상호간에는 충돌과 교류가 있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인도 문학 · 더보기 »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80년 ~ 10년)은 인도 북서부에 존속하였던 왕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인도-그리스 왕국 · 더보기 »

인문학

학자 플라톤 인문학(人文學)은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인문학 · 더보기 »

일신교

일신교(一神敎Monotheism,توحيد) 또는 유일신교(唯一神敎)는 오직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일신교 · 더보기 »

제석천

제석천(좌측)과 범천(우측) 제석천(帝釈天)은 불교의 수호신인 천부 중 하나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제석천 · 더보기 »

조로아스터 달력

조로아스터 달력은 종교력으로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에 의해 사용.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조로아스터 달력 · 더보기 »

조지아의 역사

조지아의 역사()는 콜키스와 이베리아의 왕국이 번영함으로써 시작되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조지아의 역사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종교 · 더보기 »

종교학

양한 종교들의 상징 종교학(宗敎學)은 종교에 대한 학문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종교학 · 더보기 »

창조주의

창조주의(創造主義, Creationism)는 인간, 삶, 지구, 우주가 신의 의지적 작정과 섭리 그리고 개입에 의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하는 사상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창조주의 · 더보기 »

체르노보그

르노보그(Чернобог, Chernobog)는 슬라브 신화의 죽음의 신이며, 그 이름은 「검은 신」을 의미.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체르노보그 · 더보기 »

천년왕국

왕국(千年王國, millennialism, 수천 년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 밀레니엄/millenium에서 비롯됨)은 그리스도가 최후의 심판 이전에 재림하여 1,000년 동안 황금기나 낙원이 지상에 올 것이라고 하는, 일부 기독교 교파가 내세우는 믿음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천년왕국 · 더보기 »

천일야화

《천일야화》(千一夜話)은 중동의 구전문학들을 정리한 책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천일야화 · 더보기 »

침묵의 탑

묵의 탑 또는 다흐마()는 조로아스터교에서 조장(鳥葬)을 하는 시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침묵의 탑 · 더보기 »

카르티르

르티르(? - 3세기)는 사산 왕조 시대의 조로아스터 교 신관(마기)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카르티르 · 더보기 »

카니슈카

슈카의 금화 카니슈카는 인도 쿠샨 왕조의 제3대 왕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카니슈카 · 더보기 »

카이펑유대인

이펑 유대인()은 중화인민공화국 허난 성 카이펑 시에 거주해 온 유대인 사회를 뜻. 남모회회(蓝帽回回)라고도 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카이펑유대인 · 더보기 »

캅카스

캅카스 지역의 1994년 지도. 이 지역의 많은 주들에 의해 공유되는 값비싼 자원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자원들은 알루미늄, 금, 크로뮴, 철광석, 수은, 마그네슘, 몰리브데넘, 납, 텅스텐, 아연, 석유, 천연 가스 등이 있다. 캅카스() 또는 카프카스 또는 코카서스() 또는 카우카스 또는 코카시아()는 유럽의 동쪽, 아시아의 서북쪽의 지리학적 지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캅카스 · 더보기 »

캅카스 알바니아

387년 아르메니의 분할 이후의 카프카스 알바니아, 아르차크와 우티크의 아르메니아 속국들이 모두 다 같이 있는 쿠라 강의 (빨간 점선으로 윤곽이 그려진) 오른쪽 제방을 포함했을 때이다. 알바니아(라틴어:Albānia, 그리스어:Ἀλβανία,James Stuart Olson, Albanía.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옛 아르메니아어: Աղուանք, 아루안크, 파르티아어: 아르드한, 중세 페르시아어: 아르란, 오늘날 발칸 반도에 있는 국가 알바니아와 구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카프카스 알바니아라고 한다. 그 나라 이름의 근원은 밝혀지지 않았다.Robert H. Hewsen. "Ethno-History and the Armenian Influence upon the Caucasian Albanians", in: Samuelian, Thomas J. (Ed.), Classical Armenian Culture. Influences and Creativity. Chicago: 1982, pp. 27-40.Bosworth, Clifford E.. Encyclopædia Iranica.)는 오늘날 아제르바이잔과 부분적으로 남부 다게스탄으로 영토를 확장했던 동캅카스의 나라에 대한 역사적인 이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캅카스 알바니아 · 더보기 »

쿠르드인

르드인()은 터키의 아나톨리아 반도 동남부와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이 접경을 이루는 약 30만 km²의 산악지대인 쿠르디스탄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쿠르드인 · 더보기 »

쿠샨 제국

샨 왕조(30년경 - 375년경)는 타지키스탄, 카스피 해, 아프가니스탄, 갠지스 강 상류를 가로지르던 제국이었.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쿠샨 제국 · 더보기 »

유신론

유신론(有神論, Theism)은 신에 대한 종교적 믿음으로, 인격신론(人格神論)과 범신론, 이신론을.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유신론 · 더보기 »

파르티아

 파르티아(페르시아어: اشکانیان Ashkâniân)는 오늘날의 이란 북동부에 해당하는 고대의 지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파르티아 · 더보기 »

파르티아 제국

르티아(Parthian) 또는 아르사크(Arsacid) 또는 아쉬카니아 제국(Ashkanian Empire)는 고대 이란과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주요 이란계 정치적 문화적 체제였.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파르티아 제국 · 더보기 »

파시교

시교(ParsisParsees) 또는 파시 공동체는 남아시아(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에 있는 두 조로아스터교 공동체들 중 규모가 큰 공동체를 칭하는 이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파시교 · 더보기 »

팔라비어

비어(또는) 는 중세 페르시아어의 일종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팔라비어 · 더보기 »

샤흐르바라즈

샤흐르바라즈(파로칸)의 동전 샤흐르바라즈(? - 630년) 또는 파로칸()은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장군이자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샤흐르바라즈 · 더보기 »

샤푸라간

《샤푸라간》() 또는 《샤부라간》() 은 마니교의 창시자인 마니(216?~276?)가 저술한 마니교의 경전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샤푸라간 · 더보기 »

샤푸르 1세

샤푸르 1세 (Shāpūr I, ?~272, 재위 241~272)는 사산조 페르시아 제국의 두 번째 왕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샤푸르 1세 · 더보기 »

샤푸르 2세

샤푸르 2세의 동전 샤푸르 2세 (309 ~ 379)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샤푸르 2세 · 더보기 »

영지주의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는 고대에 존재하였던 혼합주의적 종교 운동 중 하나로, "Gnosticism" 항목,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영지주의 · 더보기 »

호르미즈드 1세

호르미즈드 1세의 동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행됨 호르미즈드 1세(영어:Hormizd I, 그리스어:Ώρμισδης / Hōrmisdēs, ? - 273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호르미즈드 1세 · 더보기 »

호스로 1세

호스로 1세의 사냥하는 모습 호스로 1세(501년~579년, 재위 531년~579년)는 사산 왕조의 영주(英主)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호스로 1세 · 더보기 »

혼합주의

싱크리티즘(syncretism) 또는 혼합주의(混合主義)는 본질적으로 상이하거나 혹은 완전히 정반대의 성격을 가진 여러 믿음을 조화롭게 공존시키고 다양한 학파의 사상들을 융합하는 것을 가리.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혼합주의 · 더보기 »

에프탈

에프탈(Ephthalites 또는 Hephthalites)은 5세기 중엽부터 약 1세기 동안 투하리스탄을 중심으로 투르키스탄과 서북 인도에 세력을 떨친 페르시아계(系) 유목 민족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에프탈 · 더보기 »

역사철학강의

《역사철학강의》(歷史哲學講義)은 독일의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베를린 대학에서 1822년부터 1831년까지, 모두 5회에 걸쳐 행해진 강의 를 토대로 하여 쓰여졌.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역사철학강의 · 더보기 »

사만 호다

사만 호다(? ~ ?)는 사만 왕조의 창시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사만 호다 · 더보기 »

사산 제국

사산 왕조()는 아르다시르 1세가 세운 고대 이란 왕조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사산 제국 · 더보기 »

사원

사원(寺院)은 종교를 위해 종교 단체의 신자들이 모여 종교 활동을 하는 장소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사원 · 더보기 »

프라쇼케레티

쇼케레티(Frashokereti)는 조로아스터교의 종말론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말론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프라쇼케레티 · 더보기 »

프레디 머큐리

머큐리(1946년 9월 5일 ~ 1991년 11월 24일)는 잔지바르에서 태어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프레디 머큐리 · 더보기 »

선악이원론

선악이원론(善悪二元論)은 세상의 사상을 선과 악의 두 가지 분류로 세계를 해석하는 인식법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선악이원론 · 더보기 »

성 벤자민

성 벤자민은 424년경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에서 순교한 부제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성 벤자민 · 더보기 »

성지

성지(聖地) 또는 성소(聖所), 성역(聖域)은 각 종교에서 신성시하는 도시 또는 지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성지 · 더보기 »

세계의 주요 종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세계의 주요 종교 · 더보기 »

소그드인

thumb 소그드인(Sogd人, 속특 粟特)은 중앙아시아 소그디아나를 근거지로 하는 이란계(系)의 주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소그드인 · 더보기 »

소그디아나

소그디아나 또는 소그디아(Суғд, 수구다, سغد, Σογδιανῆ)는 이란계 민족(소그드인)이 일으킨 고대 문명권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소그디아나 · 더보기 »

소그디아노스

소그디아노스(Sogdianos, Sogdyậna? - 기원전 423년)는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으로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소그디아노스 · 더보기 »

야자타

야자타는 조로아스터교의 개념으로, 폭넓은 의미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을 뜻. 원래는 아베스타어로 ‘숭배할만한 (것)’을 뜻하는 단어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자타 · 더보기 »

야즈데게르드 1세

야즈데게르드 1세의 동전 야즈데게르드 1세(생년 미상 ~ 421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즈데게르드 1세 · 더보기 »

야즈데게르드 2세

야즈데게르드 2세의 동전 야즈데게르드 2세(생년 미상 ~ 457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즈데게르드 2세 · 더보기 »

야즈데게르드 3세

야즈데게르드 3세의 동전 야즈데게르드 3세(? - 651년)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즈데게르드 3세 · 더보기 »

야즈드

야즈드 시가지 야즈드()는 이란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야즈드 주의 주도이며 인구는 533,000명(2008년 기준), 높이는 해발 1,216m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즈드 · 더보기 »

야지디

예지디 또는 야지디는 쿠르드인이면서 야지디교를 믿는 민족종교집단, iranicaonline.org; accessed June 11, 2015.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야지디 · 더보기 »

하오마

오마(Haoma)는 조로아스터교에서 제사를 지낼 때 이용하는 술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하오마 · 더보기 »

아르다시르 1세

아르다시르 1세의 동전 아르다시르 1세(Ardashir I, 180년 ~ 242년 2월, 재위 226년 ~ 241년)는 파팍(Pāpağ)의 아들 아르다시리 파파간(Pāpagān) 또는 아르데쉬리 바바칸 그리고 아르타 크세르크세스로 알려져 있. 그는 사산 왕조의 창시자로, 아르타사레스, 아르타샤스트라 그리고 아르타크샤.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르다시르 1세 · 더보기 »

아메샤 스펜타

아메샤 스펜타는 아베스타어 용어로 조로아스터교의 신의 부류에 대한 것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메샤 스펜타 · 더보기 »

아베스타

아베스타는 자라투스트라교(조로아스터교)의 주요 경전 모음으로 아베스타어로 쓰였.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베스타 · 더보기 »

아베스타 문자

아베스타 문자는 아베스타어를 표기하기위한 문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베스타 문자 · 더보기 »

아베스타어

아베스타어(Avestan)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한 고대 이란 언어의 하나로, 조로아스터교의 경전 아베스타에 사용된 언어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베스타어 · 더보기 »

아브라삭스

아브라삭스 보석에 새겨진 조각 아브라삭스(ΑΒΡΑΣΑΞAbrasax)는 기원후 2세기의 나스티시즘 교부였던 바실리데스의 철학 체계에서 사용된 낱말로 신비적인 의미를 띄는 낱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브라삭스 · 더보기 »

아스모데우스

아스모대오스를 묘사한 그림,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 사전'' 아스모데우스()는 일반적으로 제2 경전인 토빗기에 나오는 악마로 알려졌.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스모데우스 · 더보기 »

아우둠블라

부리가 탄생했다. 아우둠블라()는 노르드 신화의 태고에 존재했다는 암소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우둠블라 · 더보기 »

아제르바이잔인

아제르바이잔인 소녀들 아제르바이잔인(또는 آذریلر / Azәrilәr 아재릴래르) 또는 아제리인()은 이슬람교 국가인 아제르바이잔과 이란에 거주하는 투르크계 민족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제르바이잔인 · 더보기 »

아제르바이잔의 역사

아제르바이잔은 유라시아의 캅카스 지역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제르바이잔의 역사 · 더보기 »

아케메네스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은 아케메네스를 시조로 하는 페르시아 제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케메네스 제국 · 더보기 »

아샤

아샤 또는 아르타는 아베스타어의 용어로 조로아스터교 신학과 교리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샤 · 더보기 »

아수라

바들과 아수라들이 그 양 쪽에 있다 아수라(阿修羅)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인간과 신의 혼혈인 반신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수라 · 더보기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줄여서 아프가니스탄(), 아프간은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프가니스탄 · 더보기 »

아후라

아후라는 조로아스터교 신의 특정 계급을 위한 아베스타어로 나타낸 것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후라 · 더보기 »

아후라 마즈다

left 아후라 마즈다()는 조로아스터교의 최고신의 아베스타어 이름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인 자라투스트라가 "불생불멸의 최고신(uncreated God, 창조되지 않은 신, 원래부터 존재하는 신, 제1원인으로서의 신)"조로아스터교외에도 기독교, 도교, 불교, 영지주의, 힌두교 등 많은 종교에서 "창조되지 않은 자(uncreated, 불생)" 또는 "태어나지 않은 자(unbegotten)"라는 표현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불생불멸의 존재를 가리.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아후라 마즈다 · 더보기 »

악마

《코덱스 기가스》에 묘사된 악마의 모습. 악마(惡魔) 또는 마귀(魔鬼)(영어: Devil 그리스어: diabolos)는 기독교나 이슬람 또는 불교에서 종교적인 수행을 방해하는 악한 영을 가리키는 명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악마 · 더보기 »

악마학

악마학(惡魔學, Demonology)은 신학(Theology)이 신에 대한 학문이듯이, 악마/악령/악귀/마신(영어: demon, 프랑스어: demon, 독일어: Damon, 라틴어: daemon)에 관한 고찰, 설명, 분류, 그 외의 체계적 기술의 총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악마학 · 더보기 »

앙그라 마이뉴

앙그라 마이뉴(Aŋra Mainiuu)는 아베스타어의 이름으로 파괴적인 영혼의 조로아스터교의 실체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앙그라 마이뉴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신학 · 더보기 »

시리우스

큰개자리. 화살표가 시리우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 낭성(狼星), 큰개자리 알파라 부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시리우스 · 더보기 »

시간과 운명의 신

시간과 운명의 신은 다신론적 종교에서, 종종 인간의 수명과 인간의 운명의 의미, 시간의 의인화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시간과 운명의 신 · 더보기 »

시스탄

시스탄에 있는 하오즈다르(Haozdar)의 문 시스탄(Sistan) 혹은 세이스탄(Seistan, 페르시아어: سیستان)은 동부 이란의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님르주 주, 파키스탄의 발루치스탄 주에 걸쳐 있는 면적 약 2만km2의 지역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시스탄 · 더보기 »

시이드 알리 모하마드

PAGENAMEBASE 시이드 알리 모하마드(1819년 10월 20일 - 1850년 7월 9일)는 바브교의 창시자이자 바하이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세 존재 가운데 한 명이.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시이드 알리 모하마드 · 더보기 »

Ə

Ə ə는 로마자의 하나로, '슈와'(schwa)라고 부른.

새로운!!: 조로아스터교와 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마즈다교, 배화교, 배화교도, 조로아스터 교, 자라투스트라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